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체의 EGF수용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이여일(YI Lee),위점숙(JS W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0

        황체에서 EGF수용체의 존재여부를 규명할 목적으로 10개의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여성의 난소를 황체와 난소간질조직으로 분리하고 EGF수용체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적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EGF수용체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염색상 8개의 황체조직중 6예(75%)에서 양성반응을 보 였고, 10개의 난소간질조직에서는 전에에서 음성반응을 나타내어, 난소조직중 황체에 특이하 게 EGF수용체가 존재함을 알수 있었다. 2. 황체에서와 면역반응 양성도를 황체기의 성숙도에 다라 비교해본결과 월경주기 16일째는 3예중 1예(33%)만이 약한 양성반응을 보엿고 17-18일째는 3예모두 약한 양성반응(+)을 나타 냈으며 20일재는 중등도의 양성반응(++) 그리고 22일째는 강한 양성반응(+++)을 각 1예에서 관찰하여 황체가 점차 성숙됨에 다라 양성율과 양성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이상의 소견들로 미루어 보아 EGF수용체는 EGF와 결합하여 황체세포의 성장 및 분화와 호르몬생산의 조절에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Eight corpora lutea and ten ovarian stomal tissues from ten cycling women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by Immunohistochemical with the use of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EGF-R could be localized in the luteal cells of six corpora lutea but not in two corpus leteums of day 16 and all ovarian stromal tissues examined.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specific receptors for epidermal growth factor are present in the human corpus luteum. The physiologic significantly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in human corpus leuteum is unknown but epidermal growth factor may be involved in intragonadal regulation of luteal function.

      • KCI등재

        선천성 일측 다낭종신과 반대측 신결여 1 예

        변지수,송태복,위점숙,손세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

        본 교실에서 최근 임신중 초음파검사에 의해 진단된 왼쪽 다낭종신, 오른쪽 신결여 및 그외 동반기형을 가진 태아 1예를 경험하였기에 부검소견 및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Unilateral multicystic kidney and unilateral renal agenesis are both relatively rare congenital anomalies and usually associated with urinary tract and other anomalies. We present a case of antenatally diagnosed unilateral multicystic kidney with contralateral renal agenesis based on clinical and autosy finding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자궁경부암에 있어서 암 지표물질로서의 뇨중 Pseudouridine의 유용성

        오성택,위점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4 No.5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 환자의 뇨중 pseudouridine 배설량을 정상인의 뇨중 배설량과 비교하여 자궁경부암의 진단상의 pseudouridine의 이용가치를 관찰하였고 또한 각 병기별 배설량을 서로 비교하여 암의 진행정도에 따른 pseudouridine의 암 진행정도의 척도로서의 유용성을 관찰하였고 또한 자궁경부암 치료를 받은 후 1개월이 경과한 자궁경부암 환자들에서 뇨중 pseudouridine/creatinine치를 측정하고 그중 나중에 완치된 것으로 거의 확인된 14명의 것만 뽑아 자궁암 치료전의 환자들의 배설량을 치료전과 비교하여 자궁경부암 재발의 진단에 대한 pseudouridine의 유용성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정상 여성보다 뇨중 pseudouridine 배설이 증가함이 관찰되어(p$lt;0.01), 자궁경부암의 진단에 뇨중 pseudouridine의 배설량 측정이 상당히 유용 가치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2. 각 자궁경부암 병기간의 통계적인 뇨중 pseudouridine 배설량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으므로 뇨중 pseudouridine의 배설량을 측정하여 자궁암의 진행 정도를 추정하기는 곤란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3. 자궁암 치료후의 뇨중 pseudouridine 배설량은 정상 여성의 뇨중 pseudouridine 배설량과 통계적 차이가 없었으며 자궁경부암 치료를 받기전보다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배설량이 감소하였다(p$lt;0.01). 즉 뇨중 pseudouridine은 자궁암 치료후 정상 여성치로 감소되기 때문에 자궁암의 재발의 조기진단에 이용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위의 결과가 더 많은 임상예에서 증명된다면 뇨중 pseudouridine의 측정이 자궁경부암의 확실한 진단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고, 재발을 보다 빨리 또 보다 확실히 진단하여 재발 환자에 좀더 빨리 치료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Pseudouridine excretion was estimated in the urine of patients with uterine cervix carcinoma and compared with excretion in the urine of normal nonpregnant women. Separation and quantitation of urinary pseudouridine were accomplish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excretion levels of pseudouridine were expressed as a function of urine creatine concentration. Significantly elevated pseudouridine levels(46.53±23.57 nanomoles/ moles creatinine,n=48) were found in uterine cervix carcinoma as compared to normal levels of non-pregnant women(24.54±8.87 nanomoles/ moles creatinin,n=28), and significantly decreased pseudouridine levels(17.02±16.45 nanomoles/ moles creatinine, n=14) were founded in uterine cervix carcinoma after treatment as compared to levels before treatment(46.53±23.57 nanomoles/ moles creatinine, n=48), But Pseudouridine excretions among the uterine cervix carcinoma stage Ⅰ(46.02±17.41 nanomoles/ moles creatinine, n=24), stage Ⅱ(43.54 20.93 nanomoles/ moles creatinine, n=18) and stage Ⅲ(35.14±16.30 nanomoles/ moles creatinine, n=18)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urinary pseudouridine can be useful as a sensitive tumor marker for diagnosis of uterine cervix carcinoma and evaluating the recurrence of uterine cervix carcinoma.

      • KCI등재

        악성 임신성 융모성질환에 대한 연구

        최호선,변지수,김윤하,위점숙,조용훈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6

        1981년부터 1988년말까지 만8년동안 전남대학교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은 악성 임신성 융모성질환 129예에 대한 치료성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치율은 전체적으로 96.1%이었다. 2. 병기별 완치율은 stage I에서 III까지는 100%이었으나 stage IV군은 54.5%의 낮은 완치율이었다. 3. 완전 완해유도를 위한 화학요법의 평균횟수와 기간은 저위험군은 3.4주기, 80.3일, 고위험군은 6.2주기, 144.8일이었다. 4. 수술예의 분석에서 일단 완해된 후 3주기 이상 더 치료한 예에서 다시 혈청 β-hCG치가 상승을 보일 경우에는 반드시 병변부위를 찾으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있어야 하며, 이 부위를 찾기위해서는 병변부위를 약간 키울 필요가 있을 때도 있다고 생각되며, 그 정도로 키운 것은 완치에 지장을 주지않았다. 5. 뇌에 전이된 예는 5예중 1예만 치료에 성공하여 20%의 완치율 밖에 되지 않았다. 이는 전통적인 치료법을 따른 저자들의 치료법이 뇌의 병변에는 충분한 치료효과를 주지 못하며, 뇌의 미세병변을 조기에 찾아내어 보다 더 효과적인 치료를 행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The chemotherapeutic responses were clinically analyzed in 129 patients with malignant gestational trophoblastic diseases who were admitted to the Chonnam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complete remission was 96.1 %. 2. The remission percentage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was 100 % in stage I to III and 54.5 % in stage IV. 3. The mean number of chemotherapeutic courses until the induction of complete remission was obtained were 3.4 in low risk group and 6.2 in high risk group. 4. In the patient with recurrent TRD in spite of 2 to 3 courses of additional chemotherapy even after serum hCG level was returned to normal, surgery was considered to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at the time of significant elevation in serum hCG titer after the chemotherapy was discontinued. 5. The complete remission rate of the brain lesions was 20 %, and we suggest that the brain metastatic lesions were not responded successfully by the treatment with traditional chemotherapeutic protoc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