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리순이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양은주(Yang Eun-Ju),조영숙(Cho Young-Sook),최명숙(Choi Myung-Sook),우명남(Woo Myoung-Nam),김명주(Kim Myung-Joo),손미예(Shon Mi-Yae),이미경(Lee Mi-Kyung) 韓國營養學會 2009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2 No.1

        본 연구는 고지방 (열량의 37%를 지방으로 대체)을 급여한 마우스의 체중과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보리순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ICR 마우스 (n = 32)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보리순분말군과 고지방-보리순열수추출물군으로 나누어 8주간 사육하였다. 보리순은 사람이 하루에 3잔의 차를 마시는 양을 고려하여 보리순 1%수준이 섭취되도록 분말과 열수추출물을 각각 식이에 첨가 · 조제하여 8주간 급여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보리순분말군이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보리순열수추출물은 식이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마우스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낮추었으며 특히, 내장지방무게의 대표적 지표인 부고환지방조직 무게를 유적으로 낮추었다. 이는 보리순이 식이섭취 억제에 의존적으로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제시한다. 혈장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고지방 대조군에 비해 각각 25%와 20%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중성지질 함량은 보리순분말군과 열수추출물군 모두 28%와 43%의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 또한 보리순분말과 보리순열수추출물은 혈장 중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HTR)를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였다.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이 각각 1.3배, 1.2배의 증가를 보였으나 보리순 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모두 간조직과 지방조직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개선되었다. 신장에서의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고지방식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심장에서는 1.4배의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보리순열수추출군에서만 유의적인 개선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간조직과 신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심장 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보리순열수추출물의 경우 심장의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변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낮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은 약 6배 높았다. 한편, 보리순말과 열수추출물 급여는 고지방 대조군에 비하여 변으로의 트리글리세리드 배설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콜레스테롤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 FAS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고지방대조군에서 1.7배 높아진 반면, β-oxidation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지방산 합성효소의 활성을 정상군 수준으로 개선하였으나 지방산 산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콜레스테롤 합성에 관련하는 HMG-CoA reductase와 ACAT 활성은 각각 정상군보다 고지방대조군에서 각각 2.1배, 1.5배씩 높았으나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와 같이 보리순분말과 열수추출물은 고지방 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마우스의 간조직에서 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질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wdered young barley leaf and its water extract on body weight and lipid metabolism in high-fat fed mic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normal group, high-fat (HF) group,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YBL) and high-fat group supplemented with water extract of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HF-WYBL). The powdered young barley leaf or its water extract was added to a standard diet based on 1% dried young barley leaf (1 g YBL/100 diet and 0.28 g WYBL/100 g diet) for 8 weeks. Supplementation of YBL and WYBL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nd epididymal adipose tissue weight in highfat fed mice. Food intake and daily energy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group than in the HF group. After 8 weeks, plasma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however,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lowered those of the high-fat fed mice. The ratio of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of the YBL and WYBL group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compared to that of HF group. Both YBL and WYBL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excretion of triglyceride in high-fat fed mice, whereas they did not affect fecal cholesterol concentration. The triglyceride levels of liver, adipose tissue and hear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Supplementation of WYBL also lowered the kidney triglyceride and heart cholesterol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ose of HF group. Hepatic lipid regulating enzyme activities, fatty acid synthase, HMG-CoA reductase and acyl-coenzyme 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YBL and WYBL groups than in the HF group.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YBL and WYBL improve plasma and organ lipid levels partly by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and inhibiting fatty acid and cholesterol biosynthesis in the liver. (Korean J Nutr 2009; 42(1): 14 ~ 2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