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오인수(In-Sue Oh),김광현(Kwanghyun Kim),Todd C. Darnold, 황종오(Jong-Oh Hwang),유태용(Tae-Yong Yoo),박영아(Young-Ah Park),박량희(Lyang Hee Park)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7 인사조직연구 Vol.15 No.4

        국내 종업원을 대상으로 수행된 작업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그리고 이직의 도간의 관련성에 관한 개별연구가 상당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련성에 관한 체계적 메타분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런 현실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국내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49개의 개별연구를 토대로 작업태도(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그리고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에 관한 메타분석(Hunter & Schmidt, 2004)을 수행하여 그 관계의 강도를 추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진점수 상관으로 볼 때 직무만족과 조직몰입(.76), 직무만족과 성과(.38), 조직몰입과 성과 간에 정적인 관련성(.52)이 있었으며, 80% 확신구간(credibility interval)을 검토할 때 이상의 변수들간의 정적인 관련성이 일반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는 각각 이직의도와 부적인 관련성(-.39, -.61, -.16)을 보였으며, 80% 확신구간을 검토할 때 이러한 변수들간의 부적인 관련성도 일반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몇 가지 흥미로운 차이점이 있지만 대체적으로 북미 지역에서 수행된 기존의 메타분석(Griffeth, Hom, & Gaertner, 2000; Tett & Meyer, 1993)의 결과와 유사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는 국내 표본에 대해서도 작업태도, 성과, 이직의도와 관련하여 동일한 이론이 적용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비교문화적 시사점, 연구 기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Many primary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work-related attitudes,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using Korean employee samples. Yet none has attempted to clarify the literature through meta-analytic integration. This is unfortunate given that such work-related attitudes and behaviors are variables of interest for both scholars in the organizational sciences and practitioners. A meta-analytic review, such as the one presented here, can provide more useful and organized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by correcting for the distorting effects of sampling and measurement error often found in primary studies. Accordingly,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s amo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Korean employees using meta-analytic technique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measurement foci (type) moderates the strength of variable relationships (e.g., global vs. facet job satisfaction, overall v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ask vs. contextual performance). Third, we compare our results with those from North American-based samples. By examining how the strength among these important variables differs between Korean and North American employees, we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 extensive literature search of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s in management and related disciplines -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ublic administration - was conducted to identify published empirical studies based on Korean employees. In order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current meta-analysis we set three inclusion criteria. First, we excluded unpublished papers (e.g., conference papers and dissertations). Second, a study was required to contain at least two out of the four designated variables -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formance, turnover intention. Finally, we included a paper if it addressed any dimension of job performance, including overall, task, contextual, counterproductive, and adaptive performance. This literature search yielded 49 independent samples for the current meta-analysis. Three of the coauthors coded the collected studies and the inter-rater agreement among them was high (97%). We held a meeting to resolve remaining discrepancies. The meta-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Hunter-Schmidt"s (2004) random effects mode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ue-scor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76 (k = 28, N = 14,003). Although the difference is not dramatic, when correlating overall job satisfaction to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79, k = 9, N = 7,034) the true-score correlation is somewhat stronger than when correlating facet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70, k = 8, N = 3,304). Second, the true-scor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s -.39 (k = 22, N = 47,003).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easurement type of job satisfaction moderates the strength of this relationship. Specifically, we found that the true-score correlation in the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relationship (-.67, k = 9, N = 3,366) is almost double that for the face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relationship (-.37, k = 13, N = 43,637). Third, fo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relationship, the true-score correlation is -.61 (k = 20, N = 76,833). Although the difference is marginal, the correlation is greater between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66, k = 9, N = 3,135) than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urnover intention (-.56, k = 11, N = 4,548). Fourth, the true-scor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s .38 (k = 22, N = 46,503), while the true score relations

      • KCI등재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역량에 대한 개념도 분석

        오인수(Insoo Oh),반지윤(Jiyoon Ban),김현수(Hyeonsu Kim),박연옥(Yeonok Park),이은지(Eunji Lee),송아름(Areum Song),김주희(Juhee K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3 No.1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역량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그러한 인식의 중요도와 수행도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을 실천하는 기관의 실무경력 평균 3년 이상인 연구참여자 9명을 대상으로 초점 집단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개념도 분석 절차에 따라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 역량에 대한 117개의 개념 진술문을 도출한 후 58개의 핵심 진술문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정된 진술문에 대해 28명을 대상으로 유사성 분류를 수행하고 다차원 척도 분석, 위계적 군집분석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2차원(인간적 자질-전문적 자질, 이주배경에 대한 지식과 태도-상담기법)의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6개의 개념 군집이 확인되었으며, 58개의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 수행도, 중요도-수행도 차이를 각각 평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 상담자의 중요성이 재조명되는 시점에서 그 핵심개념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competence of counselors for youths from migrant backgrounds through concept mapping and to explor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uch perceptions. In this research,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on 9 participants with an average of more than three years of practical experience in institutions that practice counseling for youths from migrant backgrounds. According to the conceptual map analysis procedure, 117 concept statements on the competency of counselors for youths from migrant backgrounds were derived, and 58 focal statements were finalized. A similarity classification task was performed on 28 confirmed statements, and two-dimensional conceptual map (human quality-professional quality,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migration background-counseling skills) was derived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Finally, six conceptual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the average valu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58 statement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the concept in an empirical way at a time when the professional qualities of counselors for youths with migrant backgrounds are revisit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맥락적 이해 및 개입전략

        오인수(Oh, Insoo),노은희(Ro, Eun Hee)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들의 정서행동 문제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통해이들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전략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정부산하 기관과 교육기관에서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와 이들의 부모인 북한이탈주민을 오랜 기간 동안 직접 만나서상담하고 교육하고 있는 상담 및 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접근 방식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127개의 개념과, 44개의 하위범주, 2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 ‘또래관계로부터의 소외감과 고립감, 심리적 장애로 인한 내재화·외재화 증상, 현실도피를 위한 과몰입 행동, 독특한 이주배경으로 인한 정체성의 혼란, 학습부진 및 학교 부적응’으로 분석되었다. 인과적 조건은 ‘부모와의 분리로 인한 불안정 애착, 언어의 차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적응의 어려움’이었고, 맥락적 조건은 ‘무국적으로 인한 학교 입학의 어려움, 제3 국 체류 시 열악한 성장 환경, 생활고를 겪는 부모 자신의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은 ‘한국생활에 대한 동기와 목표의식 정도, 부모와의 상호작용 정도, 제3국에서의 교육정도 및 한국 입국 연령, 활용 가능한 지역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적응과 학업을 위한 경제적 지원 정도’였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제3국 커뮤니티에 집착하며 적응을 회피함, 다양한 원인에 기초한 일탈행동, 한국사회 적응시도, 관련 지원 기관에 적극적으로 도움 요청’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한국 사회 정착, 적응실패 후 제3국으로 되돌아감, 돌아갈 곳도 없고 안정적 정착도 못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제3 국 출생북한이탈주민 자녀의 정서행동문제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효과적 개입전략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North Korean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based on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ir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ith experts at governm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held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experience with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nd their par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Grounded Theory, resulting in 127 concepts, 44 subcategories and 23 categories. The central phenomenon was analyzed as “the sense of alienation and isolation from peer relationships, internalizated and externalized symptoms due to psychological disorders, excessive immersion of game and smartphone addiction, confusion of identity due to unique migration background, poor learning and inadequate school performance”. Causal conditions were “unstable attachment due to separation from parents, difficulty in communicating due to language differences, difficulty in adapting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nd contextual conditions were “difficulty school adjustment due to lack of prior school experience, poor growth environment when staying in a third country, and stress of parents own living difficulties”. Intervening conditions were “the degree of motivation and sense of goals for Korean life, the degree of interaction with parents, the quality of education in a third country and the age of Korean entry, information on available regional services, and the degree of financial support for adaptation and study”.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was analyzed as “avoiding adaptation by sticking to the third countries community, deviant behavior based on various causes, attempts to adapt to Korean society, and actively requesting help from related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 result was “Korea s social settlement, returning to the third Country after failure to adaptation, and unstable status having no place to go back”. Based on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y,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공격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수준에 따른 또래 괴롭힘 가해경험 및 문제해결방식의 차이

        오인수(Oh Insoo),임영은(Lim Younge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군집분석을 통해 공격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수준에 따라 자연 발생한 네 집단별 또래 괴롭힘 가해경험 및 문제해결방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생 및 중학생 434명을 대상으로 또래 괴롭힘 가해 경험여부, 공격성, 사회적 유능감, 문제해결방식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격성과 사회적 유능감에 따른 집단별 또래 괴롭힘 가해경험은 공격성이 가장 높은 ‘공격적 일반형’ 집단이 가장 많았고, 사회적 유능감이 가장 높은 ‘비공격적 유능형’ 집단이 가장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공격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수준에 따른 집단별 문제해결방식을 비교한 결과 사회지지 추구적, 적극적, 공격적, 소극적, 회피적 방식에서 모두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또래 괴롭힘 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 개입방법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problem-solving styles in bullying, agg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For this purpose, 43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and their bullying experience, aggression, social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styles were measured. A series of analysis including Cluster analysis, Chi-square test, One-way ANOVA with Scheffe post-hoc test wa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 was categorized into four sub-groups in terms of the level of agg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bullying experience. In particular, ‘Aggressive general group’, which aggression level is the highest, had the most experience. And ‘Non-aggressive competent group’, which social competence level is the highest, had the lowest experienc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 in problem solving styles such as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yles, active coping styles, passive coping styles and evasive coping styl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educational interventions and recommendation for the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초기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특징에 대한 개념도 연구

        오인수 ( Oh Insoo ),김현수 ( Kim Hyeonsu ),반지윤 ( Ban Jiy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학교생활 적응을 돕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특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 활용한 방법은 개념도 방법이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디어 생성을 위해 초점질문을 개발하고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연구참여자는 초등학교 현장 경험이 풍부한 1학년 담임교사 11명으로, 초점질문을 바탕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둘째, 아이디어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최초 59개의 진술문은 연구자 3인의 합의를 거쳐 총 44개의 진술문으로 확정하였다. 셋째,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수행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 참여한 연구참여자는 총 26명으로, 모두 초등학교 1학년 담임경력을 가진 초등학교 교사였다. 넷째, 결과분석 및 해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유사성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성 행렬을 작성하고 다차원척도분석 및 위계적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또한 중요도 및 수행도 평균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6개 군집을 포함하는 2차원(가정환경특징-학생개인특성, 사회정서역량-적응촉진환경)의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각 군집을 기준으로 개념도 및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결과의 시사점을 1)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간 연계, 2) 과도한 사교육 참여의 지양, 3) 집행기능의 향상, 4) 사회적 유능감의 향상, 5) 교사에 대한 아동의 긍정적 인식 제고, 6) 부모와 협력적 관계 형성의 6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characteristics that help them adjust to early school life. The concept mapping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focusing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enerate idea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first grade homeroom teachers who had extensive field experience. Second, idea statements were extracted. Initially, there were 59 statements, but through consensus among 3 researchers, a total of 44 statements were confirmed. Third,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importance-performance rating were conducted. Notably, 26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and all of them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a first grade homeroom teacher. Fourt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were implemented. Based on the similarity classification results, a similarity matrix was created,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were performed so that a concept map was completed. In addi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verages were analyzed. Finally, a two-dimensional concept map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studen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ocial vs. emotional competency vs. adjustment-promoting environment) including a total of 6 clusters was drawn up. Based on each cluster, 6 themes were derived: 1) linkage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elementary schools, 2) avoidance of excessive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3) improvement of executive function, 4) advancement of social competence, 5) enhancement of children's positive perception of teachers, and 6) formation of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s. According to these themes,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cept map,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평가문항 개발 및 타당화

        오인수(In soo Oh),임영은(Young eun Lim),이선아(Sun a L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3

        본 연구의 목표는 학교폭력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하여 학교폭력과 관련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평가하는 평가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교폭력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구성요인별로 각 요인을 측정하는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선행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된 기존의 평가도구를 바탕으로 구성요인을 측정하는 예비문항을 추출했다. 구성된 예비문항에 대해 델파이 방법으로 평가문항을 추출했다. 추출된 평가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한 후 1,000명의 중학생에게 설문을 송부했으며, 이 가운데 604부가 회수되었고, 클리닝 후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559부이다. 이후 평가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요인분석은 교차타당화 방식을 적용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의 잠재적 구성요인을 도출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이론적 요인구조의 안정성이 유지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총 23요인, 93문항이 최종 학교폭력 가해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평가문항으로 확정되었고,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questionnaire that evaluate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in order to effectively prevent school violence. To this end, the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comprehensively to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school violence. A set of preliminary questions was constructed to measure each factor.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extracted to measure the factors based on existing validated questionnaires.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were extracted in the Delphi method. The extracted questionnaire items were sent to 1,000 middle school students, 604 of which were collected, and 559 cas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actor analyses for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were implemented based on a cross󰠏validation procedure. After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derive the potential components of the collected data, it was verified that the theoretical factors structure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a total of 23 factors, 93 questions, was finalized as final school violence risk and protective factor assessment questionnair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공감과 공격성을 중심으로

        오인수 ( In Soo Oh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괴롭힘 행동을 목격한 초등학생 1,51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행동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공감과 공격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112명(7.4%)의 학생이 가해자를 직접적으로 돕는 부정적 행동을 보였고, 91명(6.0%)의 학생이 가해자의 행동을 부추기는 부정적 강화행동을 보였다. 619명(41%)의 학생은 방관적인 중립적 태도를 취하였으며 689명(45.6%)의 학생은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긍정적 행동을 보였다. 긍정적인 행동반응과 공감은 정적상관을, 공격성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남학생의 경우 정의적 공감이 높을수록, 여학생의 경우 인지적, 정의적 공감이 높을수록 긍정적 행동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학생의 경우 반응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여학생의 경우 선제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행동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괴롭힘 현상에 대한 심리적 이해와 이에 기초한 효과적 상담 및 중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explored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aggression on bystanders` behavioral reactions to bullying by investigating 15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112(7.4%) students were identified as assistants who helped bullies directly, and 91(6.0%) students were categorized as reinforcers who boosted bullying behaviors. 619(41%) students were identified as outsiders who wanted to stay away from bullying situations, and 689(45.6%) students were recognized as defenders who protected victims. Bystanders` positive behavioral reaction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ggression. Male bystanders` higher emotional empathy and female bystanders` higher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positive behavioral reactions to bullying. In addition, male bystanders` reactive aggression and female bystanders` proactive aggress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negative behavioral reactions to bullying.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역대 한국 정부의 문화예술소비격차 비교에 관한 연구

        오인수 ( Oh In Soo ) 한국행정사학회 2017 韓國行政史學誌 Vol.40 No.-

        새로운 정부의 주요 정책은 국정지표로 나타난다. 국정지표는 새로 집권한 정치세력의 이념, 가치에 따른 국가경영 비전을 제시하며, 그 비전에 따라 문화정책의 목표가 결정된다. 각 정권별 문화예술에 대한 소비의 차이를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별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각 정권간의 정책변화에 따른 문화예술 소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행정부 수반의 변경에 따라 대중들의 문화예술 소비행태는 영향을 받을 것이다”라는 연구 가설 하에 다음 세 가지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행정부 수반의 정책 변경에 따라 대중들의 문화예술 소비내용은 변화하였다. 둘째, 특정 행정부 수반 아래 대중들의 문화예술 소비양태는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 셋째, 특정 행정부 수반 아래 대중들의 문화예술 소비양태는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향후 어느 정권이든 대중들이 고급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문화민주화의 정책과, 대중들이 문화를 스스로 창조해 낼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문화민주주의 정책을 상호 보완하여, 개인의 문화소비 격차를 해소, 삶의 질을 높여 나가도록 해야할 것이다. The main policy of the new government appears as a national index. The National Indicator sets out the national management vision based on the ideology and values of the new ruling political forces, and the goal of the cultural polic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at vi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s according to the policy change between each regime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onsumption for culture and arts by each regime by sex, age, region, income, Consumption behavior will be influenced by the research hypothesis. First, according to the policy change of the executive branch, the culture and arts consumption behavior of the public changed. Second, the culture and artistic consumption behavior of the public under the leadership of certain administrations was positively influenced. Third, the culture and arts consumption behavior of the public under the leadership of a certain administration was negatively affected. In the future, cultural democracy policies that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the enjoyment of high-class culture and cultural democratic policies that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the masses to create a culture are supplemented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that guarantee and extend the `cultural rights` of the individu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