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FID를 이용한 국가기준점 원격 모니터링 웹 시스템 개발

        오윤석,이영균,박재민,Oh, Yoon-Seuk,Lee, Young-Kyun,Park, Jae-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7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5 No.3

        There are about 22,000 national control points throughout this nation. However, in order to identify the location data of a national control point, a control point result table is needed. And although the control points are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due to the fact that these points located at remote areas such as on top of mountains, the facilities are being maintained via on-site inspection without any protections around them. In this research, by taking the locations where the control points are placed into consideration, a specialized RFID tag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national control point's marker has been developed, and CDMA-ready PDA based mobile Web System and national control point control system are developed as well. With help of these systems, control point data can be checked at the seen, and national control point maintenance personnel can find out about maintenance status and keep track of usage record. When these systems are taken into effect, access to the national control point data becomes easy, fast response to the change in data can be possible, and management efficiency will go up. When the Ubiquitous society becomes reality, the importance of location information will be high. Therefore, national control points using above mentioned RFID tags will not only be useful to the control point users and maintenance personnels such as professional land surveyors, but also useful when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s to people, and it will become an important national infrastructure in terms of providing absolute location information.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약 22,000개의 국가기준점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국가기준점의 위치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기준점 성과표가 필요하며, 국가 주요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산 정상과 같은 야외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시설이 없는 상태에서 현장점검을 통해서만 관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준점 표석에 부착할 수 있고, 국가기준점이 설치된 환경을 고려한 특수 RFID 태그를 제작하였으며, CDMA 통신이 가능한 PDA기반 모바일 Web 시스템과 국가기준점 관제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기준점 정보를 현장에서 파악할 수 있고, 국가기준점 관리자가 기준점의 관리 상태 및 사용 이력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전국에 산재해있는 국가기준점 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정보의 변화에 따른 빠른 대응이 가능하며, 관리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다. 향후 유비쿼터스 사회가 도래하면 위치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일반인의 위치정보 확인이 용이한 RFID를 이용한 국가기준점은 측량전문가와 같은 기준점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위치기반 부가서비스 창출할 수 있을 것이며, 절대위치 정보 제공 측면에서도 중요한 국가 인프라가 될 것이다.

      • GIS를 이용한 도시철도 건설계획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오윤석,구지희,김태훈,Oh Yoon-Seuk,Koo Jee-Hee,Kim Tae-Ho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3 No.2

        Today, ever growing population density in Seoul or areas near Seoul is problematic. To overcome the problem, the government tries to construct so called, 'New-towns'near Seoul to spread out the population over larger areas. But building new-towns created another problem of traffic between Seoul and New-towns. It can be solved if more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such as urban railroads are constructed. In order to succeed in urban railroad construction, we have to make a perfect plan through in depth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train and the construction sit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sign the Decision Support Systems(DS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and Spatial Analysis for the planning of urban railroad construction. 수도권의 인구밀집 현상은 우리나라의 큰 사회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도시를 건립하여 인구를 분산시키려 노력하고 있지만 서울과의 접근성이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인하여 약하기 때문에 신도시들은 베드타운의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중교통수단의 확충이 그 해결책이 될 것이다. 따라서 국내 수도권 도시철도망의 경우 향후 연장길이 확충은 물론 경량전철 둥 다양한 유형의 도시철도가 도입될 예정이다. 이러한 계획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철도자체의 특성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도시철도가 건설되는 지역의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기능을 이용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설계함으로서 기존 도시철도 건설계획 수립과정을 개선해보고자 한다.

      • 수량계산을 위한 LiDAR와 SBES데이터 통합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오윤석,배상근,김병국,Oh Yoon-Seuk,Bae Sang-Keun,Kim Byung-Guk 한국공간정보학회 200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항공레이저측량(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을 이용한 지상지형자료(DEM, DSM DTM 등)와 단빔 음향측심기(SBES; Single Beam Echo Sounder), 측면음향주사기(SSS; Side Scan Sonar)를 이용한 하저 지형자료의 통합방안을 모색하고, LiDAR 데이터와 SSS/SBES 데이터를 통합하고 지형의 2차원 및 3차원 그래픽 표현, 수량계산 등의 기능을 갖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정확도 비교는 상용 소프트웨어인 Surfer를 이용하였다.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can make terrain model where above the ground and the mixed data between SBES(Single Beam Echo Sounder) and SSS(Side Scan Sonar) can make terrain model where bottom of water. So this research suggest that how to merge data which are got ken different devices and we developed the software which can display 2D/3D graphic and water volume calculation. And we compared accuracy between the commercial software'Surfer'and LiDAR and SBES data Merging Program.

      • 우리나라 연안해역 해저정보조사의 필요성 및 조사방향에 관한 연구

        오윤석,김병국,김형수,Oh Yoon-Seuk,Kim Byung-Guk,Kim Hyung-Su 한국공간정보학회 200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3 No.1

        연안지역은 환경적, 국제적, 자원개발적인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여러 다른 기관에서 다양한 목적에 따라 연구$\cdot$조사되어 왔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연안에 대한 통합적이고 기초적인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지금까지 구축된 자료는 여러 가지 목적으로 활용하기 힘든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안에 대해 현재까지 조사된 실정을 파악하고 새로운 조사의 필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효율적인 조사 방법으로 지역을 세분화하여 나누고 조사 대상간의 중요성에 따른 조사 우선순위를 고려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조사 방법을 제안한다. The coast is important area to set up policies in aspects of environmental, international and developing of resources. Th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by many different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ir own purposes. So the fundamental researches of Korean coastal area haven't been completed. For that reason, we can't use the datum to apply f3r different cases. In this paper, we studied about our current situations and the need of surveying. For a effective research methods, we suggest dividing research areas into zones and dividing them into smaller zones. And we divide priority of research and ranging of surveying classes by grading them depending on the importance.

      • KCI등재

        스마트건설에서 측량이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도로 토공사 중심으로)

        오윤석(Oh, Yoon Seuk),권영삼(Kwon, Young Sam),이재강(Lee, Jae Kang),이수득(Lee, Su Deuk) 대한공간정보학회 2020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8 No.4

        건설현장의 안전, 인력문제, 생산성향상 등을 위해 스마트건설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260m 길이의 도로 토공사에 대해 일반적인 공사 방식과 스마트건설 공사 방식을 비교하였다. 두 방식의 조건이 완벽하게 동일하지 않아 총 작업한 토공량을 총 시간으로 나눈 분당 작업량으로 환산한 결과 스마트건설 공사 방식의 장비별 작업량은 평균 2.12㎥로 측정되었고 일반적인 공사 방식의 장비별 작업량은 평균 0.89 ㎥로 측정되어 스마트건설 공사 방식이 2.38배 향상된 것으로 계산되었다. 시공 중 측량이 전체 작업에서 차지하는 작업량의 비중이 19.4%에서 5.0%로 낮아졌으며, 특히 도저 작업에서 측량이 작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5% 에서 1.3%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또한 시공 전 준비과정에서도 측량에 소요되는 시간이 일반적인 공사 방식이 8일 소요된데 반해 스마트건설 공사 방식은 1일만 소요되었다. 향후, 스마트건설 도입에 따른 시공현장에서 측량 관련 업무의 변화는 불가피할 것이며 이를 대비할 계획수립이 필요할 시점이다 A lot of R&Ds which are related to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are actively progressing due to the need for improvement in construction site safety, labor shortage problems,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of works.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general method and the smart construction method were compared for 260 meters long road earthworks. Since the conditions of the two methods were not completely the same, the total amount of earthwork was converted into the amount of work per minute divided by the total time and compared. As a result, the average work amount for each equipment of the smart construction method was measured at 2.12㎥ and the average work amount for each equipment of the general construction method was measured at 0.89㎥, and it was calculated that the smart construction method improved by 2.38 times. In this case, the share of surveying in the works decreased from 19.4% to 5.0% on average, and especially the share of surveying in dozer work decreased the most from 20.5% to 1.3%. Also even in the pre-construction preparation process, the time required for surveying took 8 days for the general construction method, but only one day for the smart construction method. In the future, changes in the surveying process will be unavoidable at the construction sit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smart construction, and it is time to prepare a response plan for this.

      • 마그네틱 필드를 이용한 지중 시설물 센싱 데이터 획득 필요성에 관한 연구

        오윤석(Yoon-Seuk Oh),남상관(Sang-Kwan Nam)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9

        본 논문은 지중에서는 통신이 불가능한 기존 전파를 이용한 방식의 무선통신 기술의 대안으로서 자기장 통신을 소개함으로서 Geosensor 활용이 지중에서도 가능하며, U-City 등 USN 구축이 지중 환경에서도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지중 환경에서 무선통신이 가능할 경우 개발할 수 있는 u-City 등과 관련한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였다.

      • u-City 기술개발을 위한 Test Lab의 필요성 연구

        오윤석(Yoon-seuk Oh),남상관(Sang-kwan Nam),최현상(Hyun-Sang Choi),류승기(Seung-ki Ryu)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u-City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개념이 수립되어 현재 32개 도시에서 건설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 u-City는 도시건설에 있어 첨단 IT기술을 적용함으로서 도시내의 사물과 정보가 연결됨으로서 완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도가 만들어져야 하고, 기술의 표준이 이루어져야 하며, 무엇보다도 첨단 IT 기술이 도시라는 변화를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도시공간에서 각 사물간의 정보를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적인 센서와 센서네트워크를 개발을 위해서는 기술개발 단계에서 실증실험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상시설물 및 지하시설물의 센서 및 센서네트워크 기술을 검증할 수 있는 Test Lab의 조건과 역할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