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추의 조직 특이적 발현유전자 데이터베이스

        유희주(Hee-Ju Yu),박신기(Sin-Gi Park),오미진(Mijin Oh),황현주(Hyun-Ju Hwang),김남신(Namshin Kim),정희(Hee Chung),손성한(Seong-Han Sohn),박범석(Beom-Seok Park),문정환(Jeong-Hwan Mun) 한국원예학회 2011 원예과학기술지 Vol.29 No.6

        배추는 배추속 식물의 A genome을 대표하는 모델로서 다양한 배추과 작물의 유전학 및 유전체학과 육종연구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작물이다. 최근 들어 배추 유전체 해독이 완료됨에 따라 유전체의 기능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전체 정보로부터 유전자의 구조를 예측하고, 기능을 분석하여 프로모터를 포함한 유용 유전자를 개발하기 위한 필수 재료로 이용되는 것이 다양한 조직 또는 실험 처리로부터 생성된 발현 유전자 데이터이다. 2011년 7월 현재 공공 데이터베이스에는 39개의 cDNA library로부터 분석된 147,217개의 배추 발현유전자가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발현 유전자들은 체계적으로 분석되거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정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들이 유전자 서열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하기 어 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독 완료된 배추 유전체와 함께 발현 유전자 정보를 보다 잘 활용하기 위하여 배추의 조직 특이적 발현유전자 데이터베이스인 BrTED를 개발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EST 서열 처리-정보 검색 단위와 조직 특이성 발현 특성 분석 단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정보들은 상호 연결되어 유기적인 검색 환경을 제공하게 하였다. BrTED는 23,962개의 단일 조합 유전자서열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 서열들의 유전자 주석과 암호화하고 있는 단백질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각 단일 조합 유전자서열들의 조직별 발현 특이성을 통계 분석을 통해 조사하여 연구자의 검색 기준에 따라 제공한다. BrTED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조직 특이적 발현 유전자 29개를 선발하고, 이들의 발현 특성을 RT-PCR로 확인한 결과, 선발한 유전자 모두 목표한 조직에서 특이적이거나 강한 발현을 보였다. BrTED는 조직 특이적 발현유전자를 신속하게 선발할 수 있는 공공 데이터베이스로서 배추의 기능 유전체 연구뿐만 아니라 근연 배추속 작물의 유전학과 유전체학 연구에 유용한 공공 연구 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Brassica rapa is an A genome model species for Brassica crop genetics, genomics, and breeding. With the completion of sequencing the B. rapa genome, functional analysis of the genome is forthcoming issue. The expressed sequence tags are fundamental resources supporting annotation and functional analysis of the genome including identification of tissue-specific genes and promoters. As of July 2011, 147,217 ESTs from 39 cDNA libraries of B. rapa are reported in the public database. However, little information can be retrieved from the sequences due to lack of organized databases. To leverage the sequence information and to maximize the use of publicly-available EST collections, the Brassica rapa tissue-specific EST database (BrTED) is developed. BrTED includes sequence information of 23,962 unigenes assembled by StackPack program. The unigene set is used as a query unit for various analyses such as BLAST against TAIR gene model, functional annotation using MIPS and UniProt, gene ontology analysis, and predict ion of tissue-specific unigene sets based on statistics test. The database is composed of two main units, EST sequence processing and information retrieving unit and tissue-specific expression profile analysis unit. Information and data in both units are tightly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a web based browsing system. RT-PCR evaluation of 29 selected unigene sets successfully amplified amplicons from the target tissues of B. rapa. BrTED provided here allows the user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xpression of genes of interest and aid efforts to interpret the B. rapa genome through functional genomics.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ublic resource in providing reference information to study the genus Brassica and other closely related crop crucifer plants.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채택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재광(Jae Kang Lee),강지호(Jiho Kang),김한별(Hanbyul Kim),안이슬(Eseul Ahn),오미진(Mijin Oh),조현(Hyeon Jo)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16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16 No.1

        In this paper, we figure out the factors influencing on intention to adopt of wearable devices. We attempt to study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AM(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former researches related to smart devices and information systems. For empirical analysis, we analyzed real users of wearable devices and verifi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rough PLS method. There are some findings. First, mobility and self-efficacy are positively significant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mobility, self-efficacy and personal innovation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ease of use.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positive influence on intention to adopt significantly.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be useful guidelines for wearable device industry and provi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