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가정용 소셜 로봇의 감정 표현을 위한 동작언어(Kinesics)에 관한 연구

        김수아(Kim, Sua),오동우(Oh, Dong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가정용 소셜 로봇이 진화함에 따라 인간과 로봇의 원활한 감정 교류 및 소통 방법에 관한 디자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통한 로봇의 감정표현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인간에게 시각적 영향을 미치는 로봇의 외형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호도 조사를 통해 로봇의 기본 형태를 추출하였다. 2) 추출한 기본형 로봇에 긍정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동작언어인 고개 끄덕이기와 부정을 나타내는 고개 가로젓기를 대입하고, 동일한 동작 내에서 움직임의 범위가 다른 시뮬레이션을 제작하였다. 해당 시뮬레이션을 피실험자에게 보여주고 로봇의 동작 디자인에 따라 인식되는 감정에 대하여 범주화(Categorization)하였다. 3) 범주화된 동작 디자인의 움직임 범위 및 속도에 따라 참가자가 느끼는 감정의 유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은 로봇의 머리 움직임을 통해 감정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작이 30도 이상일 때, 머리가 정면을 향하지 않고 위/아래쪽으로 각도를 가진 상태에서 동작할 때 로봇의 감정에 대해 명확하게 인지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에 나타난 로봇의 감정을 묘사할 때 인간과 동일시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로봇을 감정을 가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같은 유형의 움직임 속성(각도, 속도)이 다르게 설정된 5개의 시뮬레이션을 시청한 77%의 피실험자가 2개 이상의 동작 범위에서 동일한 감정을 인식하였다. 본 연구는 소셜로봇과 인간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위한 동작언어 디자인 가이드라인 기초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As household social robots are evolving,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need for design research of the emotional and communicative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robo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on-verbal communication design for the robots’ emotional expression.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a robot’s shape design on humans and their preference was survey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basic shape for the robot was extracted. Second, In the extracted basic shape of the robot, a head nod to indicate positivity and a head shake to indicated negativity was implemented, and the diverse angles of movement with same action were designed and simulated. Last, these simulations were presented to test subjects and the subjects’ emotions were examined by each motion design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umans were able to recognize emotions through the head movement of the robot, when the angle of the action was more than 30 degrees and the head was at a slight upward/downward angle and was not directly facing forward, there was a clear recognition of the robot’s emotions. In addition, when the emotions that were shown in the simulation were made by doing similar expressions to humans, the robot was able to be recognized as having social awareness. Second, in the 5 simulations of the same action but different characteristics (angle, speed), 77% of the test subjec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same emotion from more than 2 of the actions in the scope.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is to support robots’ non-verbal communication design as a tool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obots and humans and to develop the base of design guideline for kinesics.

      • KCI등재

        폐쇄자막방송의 폐쇄자막 위치와 정렬방식이 청각장애인의 방송 콘텐츠 인지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희준(Pak, Heejune),오동우(Oh, Dong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UHD TV는 HD TV보다 최소 4배 이상 높은 해상도를 갖고 있으며 기존 HD TV환경에 비해 근거리 시청에도 깨끗한 화면을 제공한다. UHD TV의 권장 시청거리에 맞춰 대화면 UHD TV로 방송을 시청할 경우, 영상 콘텐츠에 대한 몰입감은 증가하나 시청자의 시야각의 주변부에 대한 정보인지효과는 감소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인의 폐쇄자막방송 시청환경에서 폐쇄자막의 출력 방식과 위치가 자막과 영상의 동시시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 방법으로 UHD TV의 최적권장시청거리에 맞춰 설계한 실험환경에서 청각장애 시청자의 폐쇄자막 독이성 만족도와 영상 콘텐츠 인식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면 UHD TV의 근거리 시청 상황에서 폐쇄자막의 위치에 따라 폐쇄자막의 독이성과 영상 콘텐츠 인지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시간 출력되는 폐쇄자막의 특성에 따라 자막의 문단 정렬 방식이 자막의 독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실험결과를 근거로 대화면 UHD TV의 시청 환경에서 방송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한 최적화된 폐쇄자막의 출력 위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청각장애인의 폐쇄자막방송 시청 환경 개선을 위한 폐쇄자막의 출력위치와 문단 정렬방식이 시청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청각장애인을 위한 폐쇄자막 방송의 TV시청 경험 연구의 기초를 이루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A UHD TV has at least four times higher resolution than standard HD TV sets. It also provides a more transparent view of near distance environment. Watching broadcasts on a large-screen UHD TV at the recommended viewing distance, the immersion for video content increases, but the effect of the viewers’ information awareness on a periphery of the viewers’ viewing angle de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lignment and location of closed-captions for the hearing-impaired persons in closed-caption broadcast. The method of research, we measured video contents recognition and the readability satisfaction of closed-cap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viewers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complying with the recommended viewing distance of UHD TV.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follows. First, the experiments confirmed that when watching UHD TV at close distance, the location of the closed-captions affects their readability and the awareness of their content. Second, the experiments also confirmed tha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losed-caption broadcasting, the paragraph alignment of closed-captions affects their readability. Third,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ur research suggests an improved scheme for best locating closed-captions in watching UHD TV on a large scree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earch into the location and paragraph alignment of closed-captions for the hearing - impaired.

      • KCI등재

        청각과 시각의 교차감각 매핑에 의한 소리 시각화 연구

        김희정 ( Heejung Kim ),오동우 ( Dongwoo O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2

        연구배경 청각-시각 교차감각은 서로 다른 두 감각 채널 간의 상호작용이다. 오늘날 미디어 환경은 멀티모달리티(multi-modality)가 강화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 분야에서 청각과 시각의 상호작용성은 커뮤니케이션 효과와 사용자 몰입도를 증강하는 요인이다. 다가올 미디어 환경에서 청각과 시각의 서로 다른 두 감각 간의 상호작용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소리-시각화 프레임워크 연구가 요구된다. 연구방법 먼저 공감각과 교차감각의 메커니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다음 단계로, 사례통합분석 방법론으로 청각-시각 교차감각의 선행연구 패턴을 분석하여 청각-시각 교차감각의 속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각-시각 교차감각의 속성을 적용한 청각-시각 관계에 관한 조합 매트릭스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소리 속성 중 하나인 음고는 모든 연구에서 일관되게 명도와 관련이 있었다. 채도는 배음과 가장 관련이 있었으며 음고와 음량, 템포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공감각과 일반인의 교차감각 모두에서 공통으로 정확히 일치하는 색의 정의는 단정할 수 없으나, 음악적 정서나 촉각적 심상 등의 공유된 감성을 매개로 하여 유사한 색채 반응이 나타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지금까지 시청 공감각에 대한 연구는 제한된 조건과 일반화하기에 적은 표본으로 수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다른 문화권과 다른 시기에 다양한 조건과 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공감각 속성 및 교차감각 패턴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토대로 미디어를 이용한 소리 시각화에 있어서 청각-시각 정보의 조합 매트릭스를 활용한 소리-시각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Background Cross-modality of auditory and visual senses is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different sensory channels. Today media environments are evolving towards the reinforcement of multi-modality. In various fields using media, the interaction between hearing and sight is an element that strengthens communication effect and user’s immersion level. Therefore, it is needed to study the way to visualize sound for the coming digital media era, by analyzing the framework of interactions between two different senses: auditory and visual. Methods Firstly, we discussed about mechanisms of synesthesia and cross-modal integration. Then the cross-modal patterns of auditory and visual senses were analyzed by the cross-case analysis methodology. And the properties of cross-modality of auditory and visual senses was derived. Also, data applied with properties of audio-visual cross-modal integration was used to illustrate matching framework in variety of ways. Result Consistent association between pitch and brightness was found in all studies. Chroma had the biggest relevance to overtone and was also related to pitch, volume, and tempo. We could not define exact match of color sets for synesthesia and cross-modal integration. However, there was a tendency of showing similar color responses through shared emotional experiences from musical and tactile experiences. Conclusion Until now, most of the researches for audio-visual synesthesia were conducted with limited conditions and too small number of samples to generalize the result. In this study, however, we were able to derive the pattern of synesthesia and cross-modal integration by combining studies performed under variety of conditions and methods. These studi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cultural areas and times. Also, based on gathered data, we could study the way to visualize sound from media. Various frameworks for mapping auditory data with visual data were used.

      • 사용자와 공감하기 : 서비스/제품 개발을 위한 Empathy 방법론 연구

        주재우(Jaewoo Joo),오동우(Dongwoo Oh)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최근 서비스/제품 개발과정에서 사용자 경험 (UX) 을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 방법론 적용 과정에서 본 목적과는 달리 사용자에 대한 정형화된 (Stereotypical) 데이터를 모으는 현상이 나타남에 따라, 이를 해결할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 조사 방법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연구되어 온 휴리스틱 의사결정 연구와 본인-타인 귀인 차에 관한 연구를 통해, UX 디자이너가 찾고자 하는 사용자 니즈가 사용자 본인이나 디자이너에 의해 충분히 발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방법론적 대안으로서 공감하기 (Empathy) 의 한 방법인 관점 바꾸기 (Perspective-taking) 를 제안한다. 두 가지 비교실험을 통해, 관점 바꾸기를 시도한 실험 참가자들이 그렇지 않은 실험 참가자들에 비해, 타인의 (1) 상황 (context) 과 (2) 행동 (activity) 을 더 많이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관점 바꾸기가 사용자 경험을 깊이 이해하고 숨겨진 사용자 니즈를 찾을 가능성을 높인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조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그 대안으로서 공감하기의 한 방법인 관점 바꾸기를 제안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User Experience research often collects stereotypical user data. We draw on the findings from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on two topics, decision heuristics and self-other attribution gaps, and conclude that user needs are neither fully articulated by users themselves nor identified by researchers. We propose that perspective-taking, as a method of empathy, enables user researchers to understand user experience deeply, which enhances a chance to identify inarticulate user needs. Two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when subjects were asked to take the perspective of a user, they reported more information about (1) the context and (2) the activity of the users than when they were not. This work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user research by identifying its problem and solving it.

      • 디자인 정보 관점에서의 서비스 분류체계 연구

        최진영(Jinyoung Choi),이혜진(Hyejin Lee),조영호(Youngho Cho),오동우(Dongwoo Oh)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서비스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는 서비스를 통한 혁신이나 비지니스 효율 증진 등의 목적으로 서비스마케팅, 서비스사이언스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연구되어 왔지만, 디자인 관점에서의 서비스 분류 및 활용 방안에 대한 체계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 환경을 구조적 측면과 개념적 측면으로 나누어 정의하고, 그 중 서비스 구조를 디자인 관점에서 4가지 타입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디자인 정보 프레임워크(DIF)의 정보 개념을 바탕으로, 서비스의 개념적 측면에 해당하는 상호작용 및 사용자경험의 속성들을 활용하여 각 서비스 유형별 서비스 디자인 원칙과 속성들을 도출해 내기 위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유형별 디자인 원칙과 3가지 속성 - 모든 서비스에 포함되는 공통속성, 각 원칙을 구성하는 서비스 유형별 핵심속성 및 원칙에는 포함되지 못했지만 중요성을 가지는 부가속성 - 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1) 디자인 관점에서의 서비스 분류체계 연구에 관한 가시적 결과 도출 및 2) 서비스 컨셉 개발 또는 서비스 디자인 정보체계 개발의 학술적 기초 연구로써 그 의의가 있다. Service typology has been explored in theoretical study such as service engineering and service marketing on a variety of perspectives aims to build effective service system and develop service innovation, ie. From a design research perspective, However, there is no well established service typology and its application relatively. In this paper, we define service nature with the aspects of structural and conceptual and classify the structural of service into four types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And based on the concept of Design Information Framework, By utilizing the interaction gestalt attributes and properties of user experience, we analysis to derive the properties and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for each service type. As a result we derive the service design principles and three properties-the common properties included all service type, the key properties and additional properties within service design principle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1) service typ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research deriving visualization results 2) to develop service concept and service design information frame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