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비외상성 급성 복부 통증 환자에게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 영과 복부 단순 촬영의 적정성 비교

        송정흡,염헌규,Song, Jung-Hup,Ryeom, Hun-Kyu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8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24 No.2

        Purpose: To compare the Appropriateness of abdominal CT to abdominal radiography as an imaging modality in terms of the diagnostic value, medical costs and decision making times for patients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nontraumatic abdominal pain. Methods: This study used the records of 530 cases presen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ED) with nontraumatic abdominal pain from February to March 2012. Imaging modalities were categorized into abdominal radiography and CT (radiography first or CT first) or radiography alone or CT alone. The diagnostic value, total medical costs and effect on decision making time of the each imaging modalities were compared. Especially, in retrospective review, to evaluate the predictability of the abdominal radiography, alit was assumed that all the 530 cases performed that exam as initial imaging. Results: Among 530 cases, 255 cases underwent abdominal radiography only, 28 cases underwent abdominal CT only and the remnant 247 cases underwent abdominal CT with plain abdominal radiography. The diagnostic value was higher in the cases with abdominal CT (268/275, 97.5%) than in the cases with plain abdominal radiography (19/255, 7.5%).The number of cases predicted by abdominal radiography only as initial imaging were 39/530 (7.4%). In cases where the patients performed the abdominal CT as the first imaging modality thereby omitting the abdominal radiography, the total diagnostic imaging fee was lower than in cases with plain abdominal radiography first followed by the abdominal CT (277,140 vs. 284,226(mean, Korean Won)). Although diagnostic value of the plain abdominal radiography as first imaging modality was lower than the abdominal CT, Decision making time, average duration of hospital stay was longer and the total medical costs was higher than abdominal CT. Conclusion: As an imaging modality in the ED for patients with acute nontraumatic abdominal pain, plain abdominal radiography is an avoidable procedure when viewed in terms of the diagnostic value and total medical costs and decision making times comparing with abdominal CT.

      • 조기 위암에서 CT Gastrography를 이용한 위점막 표면 거리 측정

        최향희,유완식,염헌규,이재혁,최재정,김희수,정호영,Choi, Hyang-Hee,Yu, Wan-Sik,Ryeom, Hun-Kyu,Lee, Jae-Hyuk,Choi, Jae-Jeong,Kim, Hee-Su,Cleary, Kevin,Mun, Seong-Ki,Chung, Ho-You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위암의 조기발견이 갈수록 많아져서 근래에는 수술 환자에서 조기위암의 비율이 50%를 넘고 있다. 그런데 조기위암은 수술 중 촉각이나 시각에 의해 인지되지 않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으며 수술 전 위 내시경조차도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술 중에 절제범위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이 연구를 통하여 1) CT gastrography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경계지점에서부터 조기 위암 병변까지의 생체내 실제의 표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2)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술 후 병리 표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비교하여 수술에서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술 전 복부 3차원 CT gastrography를 촬영하고 위 절제술을 시행한 60명의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남자 45명, 여자 15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7.8세였다.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은 5 Fr 비위장관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킨 후 시행되었고 이 영상은 절편 두께 0.625 mm의 thin section과 kVp:120, mAs:200의 low dose radiation의 Protoco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표면거리 측정 소프트웨어를 Rapidia 2.8 CT 3차원 재구성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3차원 볼륨 렌더링 및 조기 위암 병변에서 유문, 또는 분문까지의 표면 거리를 측정하였고, 술 후 병리 표본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술 전 생체 내에서 측정된 거리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 병소와 유문, 또는 분문 사이의 거리에 대한 병리 표본과 CT gastrography로부터 측정된 거리간의 차이는 $5.04{\pm}2.97\;mm(range,\;0{\sim}11\;mm)$였으며 CT gastrography에 기초한 거리측정은 병리표본에 비하여 18명의 환자에서는 더 길었고 3명의 환자에서는 더 짧았다. CT gastrography로 측정된 술 전 생체 내 표면거리와 술 후 병리 표본에서 측정된 거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995, P<0.01).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해부학적 경계지점으로부터 조기위암 병변까지의 표면 거리가 CT gastrography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기법은 수술적 절제의 적절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조기 위암의 술 전 위치 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Recently, the incidence of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is rapidly increased in Korea. However, they're often not perceptible by surgical palpation or inspe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e a software that can locate the tumor and measure the mucosal distance from an anatomic landmark to the tumor using CT gastrography and 2) to compare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eveloped software with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September 2005, sixty patients (male=45, female=15, mean 57.8 years old) estimated for EGC with preoperative CT scans and undergone gastrectomie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reoperative CT scans were performed after insufflations of room air via 5 Fr NG tube. The scans included the following parameters: (slice thickness/reconstruction interval: 0.625 mm, kVp: 120, mAs: 200). 3D volume rendering and measurement of the surface distance from the pylorus to the EGC were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software. Results: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lesion to pylorus distances measured from pathologic specimens and CT gastrography was $5.3{\pm}2.9\;mm(range,\;0{\sim}23\;mm)$. The lesion to pylorus distance measured from CT gastrography was well correlated with that measured from the pathologic specimens (r=0.9843, 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rface distance from an anatomic landmark to the EGC can be measured accurately by CT gastrography. This technique could be used for preoperative localization of early gastric carcinomas to determine the optimal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 KCI등재

        만성 간질환에서 식도 정맥류 존재의 비침습 예측 인자로서 도플러 초음파와 혈액검사의 가치

        전성우 ( Seong Woo Jeon ),조창민 ( Chang Min Cho ),탁원영 ( Won Young Tak ),염헌규 ( Hun Kyu Ryeom ),권영오 ( Young Oh Kweon ),김성국 ( Sung Kook Kim ),최용환 ( Yong Hwan Choi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3

        목적: 식도 정맥류 출혈은 간경변으로 인한 문맥압 항진증의 주요한 합병증으로, 간경변 환자의 25-35%에서 발생한다. 식도 정맥류 출혈은 첫 발생 시 치명적일 수 있고 생존자의 대부분에서 재출혈을 경험한다. 이런 이유로 대부분의 만성 간질환 환자들에서 조기 예방 치료를 위해 식도 정맥류에 대한 선별검사로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지만, 상당수에서 내시경 검사에서 정맥류가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의료비 상승과 검사에 따른 불편을 초래한다. 저자들은 현재까지 이루어진 정맥류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정맥류를 예측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전향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만성 간질환이 의심되는 환자 138명을 대상으로 복부 초음파, 도플러 초음파, 생화학 검사 및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들 중 복부 초음파에서 단순 지방간, 문맥을 침범한 간암, 측부 순환이 존재하는 환자와 에코 창(echo window)이 좋지 않은 환자를 제외한 52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식도 정맥류가 존재하는 군(25명)과 아닌 군(27명)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 양 군 간에 인구 특성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혈청 생화학 검사에서 혈소판, 알부민, 총 빌리루빈 및 프로트롬빈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정맥류가 존재하는 군에서 Child-Pugh score가 높았으며, 복수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았다(p<0.001). 초음파와 도플러 초음파 검사에서 시행한 변수들(비장직경, 상장간동맥 저항지수, 간동맥 저항지수, 간문맥 최대 유속, 혈류량과 직경) 중 식도정맥류가 있는 군에서 비장의 크기가 증가하였고 (13.04±2.1 ㎝ vs. 10.39±1.6 ㎝, p<0.001), 간문맥 최대 유속의 감소(30.2±7.5 ㎝/sec vs. 36.1±8.0 ㎎/sec, p<0.01), 간문맥 직경의 증가(1.26±0.28 ㎎ vs. 1.13±0.18 ㎎, p<0.05)를 보였다. 이런 변수들을 이용한 회귀분석에서 정맥류의 존재와 관련된 예측치는 혈소판 수(odds ratio (OR) 0.922; 95% CI, 0.86-0.99), 비장 직경(OR 5.4; 95% CI, 1.63-17.88) 및 혈소판 수/비장 직경 비(OR 1.007; 95% CI, 1.01-1.02)였다. 비장 직경의 값을 11㎝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양성 예측치는 66%, 음성 예측치는 80%였다. 결론: 간문맥, 상장간동맥, 간동맥에서 측정한 도플러 초음파 검사 지표들은 식도정맥류의 예측에 유효하지 못하지만, 초음파 검사를 통해 비장종대, 혈액검사로 혈소판수치를 확인함으로써 식도 정맥류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식도정맥류의 확인을 위하여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비장 비대가 있는 환자는 반드시 시행하는 것을 제안한다. Background/Aims: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is usually recommended for the evaluation of esophageal varices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However, the prevalence of varices is extremely variable. We perform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predictive values for esophageal varices and to select eligible patients for screening endoscopy. Methods: Fifty-two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Laboratory tests including liver biochemistry and complete blood count along with ultrasonography with Doppler measurements and endoscopy were performed. Results: Esophageal varices were present in 25 patients (48%).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f esophageal varices on univariate analysis were serum albumin, total bilirubin, prothrombin time and platelet count (p<0.05). Significant variables in ultrasonography with Doppler measurement were diameter of spleen (13.04±2.1 ㎝ vs. 10.39±1.6 ㎝, p<0.001), peak velocity of portal vein (30.2±7.5 ㎝/sec vs. 36.1±8.0 ㎝/sec, p<0.01) and portal vein diameter (1.26±0.28 ㎝ vs. 1.13±0.18 ㎝, p<0.05). On multivariate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were platelet count (odds ratio (OR) 0.922; 95% confidence interval (CI), 0.86-0.99), diameter of spleen (OR 5.4; 95% CI, 1.63-17.88) and platelet count/spleen diameter ratio (OR 1.007; 95% CI, 1.01-1.02). The optimal critical value for the diameter of spleen was 11 ㎝.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ith this value were 84% and 63%, respectively. Conclusions: Doppler measurement was not helpful in distinguishing the presence of varices. However, clinical tests including biochemistry and ultrasonography would be useful in selecting eligible patients for screening endoscopy. Endoscopic screening for esophageal varices is recommended in cirrhotic patients with splenomegaly.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180-187)

      • KCI등재

        복강 내 결핵성 농양의 CT 소견과 임상경과

        하창윤 ( Chang Yoon Ha ),김종열 ( Jong Yeol Kim ),김갑철 ( Gab Chul Kim ),염헌규 ( Hun Kyu Ryeom ),김혜정 ( Hye Jung Kim ),이희중 ( Hui Joong Lee ),강덕식 ( Duk Sik Kang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3

        목적: 복강 내 결핵성 농양은 매우 드물지만 다양한 양상으로 발병하기 때문에 암성 복막염과의 감별이 쉽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복강 내 결핵성 농양의 CT 소견과 임상경과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수술 혹은 조직 생검을 통해 병리학적으로 복강 내 결핵성 농양으로 확진되고 CT를 시행한 11명의 환자(남자 3명, 여자 8명, 평균 34.8세, 21~66세)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5 CT와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추적기간은 15개월(12~32개월)이었다. 결과: 11명의 환자에서 16개의 농양이 발견되었고, 이들 중 4개(25%)의 농양은 우측 간주위 공간, 4개(25%)는 좌측 간주위 공간, 3개(19%)는 비장주위 공간, 2개(13%)는 좌측 횡경막하 공간에 있었으며 우측 횡경막하 공간과 우하복부공간, 좌하복부 공간에 각각 1개씩 있었다. 농양의 크기는 1~8 cm(평균, 4 cm)이었으며, 농양의 모양은 12개가 난원형이었고, 4개는 구형이었다. 농양벽의 두께는 1~5 mm(평균, 3 mm)이었다. 16개의 농양 모두에서 농양벽이 얇고, 조영증강되었으며 농양벽 석회화는 보이지 않았으며 12개에서 내부의 격벽이 보였다. 림프절 종대가 2명, 복막의 비후와 대망 혼탁의 소견이 3명에서 있었으며 액체 저류의 소견은 모두 없었다. 복막의 조영증강 소견은 6개의 농양에서 보였다. 동반된 다른 장기의 결핵 이환은 4명에서 발견되었는데, 결핵성 흉막염 2명, 폐결핵과 장염 1명, 폐결핵과 경부 림프절 결핵 1명이었다. 11명 중 5명은 결핵의 병력이 없었으며 농양이 결핵의 일차 병변이었으며 6명은 결핵성 복막염으로 치료 중인 환자로 농양이 역설반응으로 생긴 새로운 병변이었다. 역설반응으로 진단된 6명의 농양 발현 시기는 치료 후 66~116일(평균, 88일)이었다. 모든 환자는 6~12개월동안 항결핵제 치료를 하였으며, 5명은 수술을 하였고, 모두 완치되었다. 추적기간은 12~32개월(평균, 15개월)이었다. 결론: 복강 내 결핵성 농양은 복부 결핵의 일차 병변 또는 결핵성 복막염의 역설반응으로 생길 수 있으며, 상복부 공간에 위치하는 다양한 크기의 조영증강되는 얇은 벽을 가진 낭성 병변의 소견을 보인다. Background/Aims: Intraperitoneal tuberculous abscesses develop infrequently. Because of overlapping features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a tuberculous abscess from carcinomatosis peritonei.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and clinical course of the intraperitoneal tuberculous abscess. Methods: The study included 11 patients (3 males, 8 females, mean age 34.8 years) with a pathologically proven intraperitoneal tuberculous abscess. We analyzed the CT findings and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Results: Sixteen abscesses were found in 11 patients. The locations of the abscesses were in the right subphrenic space (n=1), right perihepatic space (n=4), left perihepatic space (n=4), left subphrenic space (n=2), perisplenic space (n=3), right lower abdominal space (n=1), and left lower abdominal space (n=1). Five patients were proven to have abdominal tuberculosis while six patients had paradoxical responses to antituberculosis therapy for tuberculous peritonitis. The abscess lesions presented on the CT scan as thin walled cystic enhancing lesions without calcification (n=16), a septated mass (n=12), with enlargement of lymph nodes (n=2), and peritoneal and omental haziness (n=3). The mean duration from commencement of treatment to onset of a paradoxical response was 88 days. All patients had antituberculosis therapy for 6 to 12 months and five patients underwent surgery. The mean follow-up was 15 months. Conclusions: The intraperitoneal tuberculous abscess appeared as an ovoid cystic lesion with a slightly enhanced thin wall in the upper abdomen, in the perihepatic space on the CT scan; such as lesion can be the primary lesion of abdominal tuberculosis or associated with the paradoxical response of tuberculous peritonitis. (Korean J Med 74:243-249, 2008)

      • 전신-폐동맥을 연결을 보인 기관지폐전장기형 : 증례보고 A Case report

        염헌규,김태헌,김용주,강덕식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2

        Systemic-pulmonary artery anastomoses commonly occur in lung diseases characterized by inflammation and decreased pulmomnary arterial perfusion. Rarely, anastomotic systemic arteries arises within abdomen. We report a case of bronchopulmonary foregut malformation in which anastomotic branches arose within abdomen, inferior phrenic and left gastric arteries, and cress the pleural space, dilatation of lower intercostal arteries were also noted. differenriation between systemic arterial supply in intralobar pulmonary sequestration and chronic lung disease with transpleural abdominal syquestrarion and chronic lung disease with transpleural abdominal sustemic-pulmonary artery anastomosis was possible using arteriography. Upon review of literature, systemic-pulmonary artery anastomosis in bronchpulmonary foregut malformation has never been re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