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녹피율 훼손추세 평가를 통한 총량규제 근거자료 학보방안

        엄정섭,Um, Jung-Sup 한국공간정보학회 2006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4 No.3

        This research is primaril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estimating green space threshold in terms of total volume control using degradation trends of green space derived from remote sensing and GIS. An empirical study for a case study site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a standard remote sensing and GIS technology can be used to assist in estimating the total control volume for green space in terms of area-wide information, spatial resolution and change detection etc. Guidelines for a replicable methodology are presented to provide a strong theoretical basis for the standardization of factors involved in the estimation of the green space threshold; the meaningful definition of land mosaic, redefinition of degradation trends for green spac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degradation trends of green space could be used effectively as an indicator to restrict further development of the sites since the visual maps generated from remote sensing and GIS can present area-wide visual evidences by permanent record.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to support more scientific and objective decision-making in introducing aggregate control of green space. 본 연구는 위성 영상을 이용한 녹지 조사의 결과를 지도화하고 다양한 시기의 녹지변화 실태를 통합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GIS의 공간 객체 재정의 기법을 이용하여 녹지의 총량규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지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사례 연구지역의 녹지 변화 추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고 규제 총량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활용 방안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공간 객체 재정의를 통한 총량 규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기술적인 문제들과 더불어 실무에 도입시 고려하여야 할 핵심 사안(토지 모자이크의 분류, 녹피을 훼손 추세의 평가 등)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조사지점에만 국한된 통계 수치정보가 광역적인 녹지 공간 변화 추이를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었으나 공간 객체 재정의 기법의 활용을 통해 녹지의 규제 총량 결정과정의 설득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가 녹지 보전에 있어 객관적인 데이터에 의거한 정책결정이 아닌 직관에 의존하여 왔던 관행을 개선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녹지보전관련 기술적인 측면이나 정책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인터넷 영상지도를 활용한 축척별 도시경관 정보시스템

        엄정섭 ( Jung Sup Um ),최자현 ( Ja Hyun Choi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02 환경영향평가 Vol.11 No.4

        Solutions of many landscape problems depend on area-wide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ver the study area. The authors argue that the public awareness for an area-wide urban landscape appears to be very low due to limited chance to the information. Acknowledging these constraints, an operational, user-friendly inform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by combining internet technology with GIS. In particular, integration among satellite data and digital maps takes advantage of each component, and enable the landscape structure to be visualized, interacted with and deployed all on the Web. The lm resolution IKONOS data realistically identified the major type of landscape by large scale spatial precision while TM data revealed successfully the major parameters that influence an area-wide spatial structure in the study area. This system would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the public awareness for area-wide landscape information if is operationally introduced into the Govement since the highly user-friendly interface based on image maps provides a completely new means for disseminating information for area-wide landscape in a visual and interactive manner to the general public.

      • KCI등재

        SAR/VIR FCC에서 삼각 트레이닝 도구에 의한 분류정확도 분포추세 평가: 태국의 송클라 호수 유역을 사례로

        엄정섭(Jung-Sup Um) 대한지리학회 2003 대한지리학회지 Vol.38 No.3

        SAR와 VIR 영상을 디지털 환경에서 통합하여 상승효과를 도출하려는 응용은 아직까지도 탐색적인 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SAR와 VIR을 통합한 영상에서 삼각 트레이닝 도구가 개별 클라스의 분류 정확<br/> 도의 분포추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SAR 데이터와 VIR 데이터가 단일 시너지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통합되었다. 분류정확도의 향상과정이 SAR, VIR, SAR/VIR 통합영상에서 단계적으로 확실하게 도출되었다. 아울러 개별 클라스의 분류정확도가 FCC에 의거한 트레이닝 샘플의 신호(signature)값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분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 예로 FCC에서 SAR 영상 신호(signature)의 기여 때문에 구름으로 덮힌 지역과 굴곡을 지닌 지상물체가 (VIR에서는 사실상 분류가 불가능하였던) 상당한 공간 정확도를 가지고 분류되었다. 본 연구가 SAR/VIR을 통합한 응용분야에서 분류정확도의 분포추세에 대한 정량화되고 객관적인 근거가 부재하여 직면하였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 향후 SAR/VIR 원격탐사에서 개별 클라스에 대해 확보할 수 있는 분류 정확도에 대한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evaluating how the triangular training operator could improve classification accuracy in SAR(Synthetic Aperture Radar) and VIR FCC(Visible Infra-red, False Colour Composite). The techniques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most informative SAR/VIR combinations in the triangular space diagram, as developed by the author of the paper, are given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presented. The SAR alone, VIR alone and SAR/VIR FCC classification showed trends for gradual improvement of accuracy. Accuracy distribution pattern for individual classes could be explained closely related to SAR/VIR signature components in<br/> the process of the triangular synergistic training. Due to contribution of SAR signature in training samples, it was<br/> possible to isolate major terrain features such as cloud cover area and roughness target with acceptable spatial precision.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for distribution trends of classification accuracy obtained by triangular channel space based training in synergistic application.

      • KCI등재

        소아천식 유병율 분포의 분석변수로서 불투수면

        엄정섭(Jung Sup U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6 No.6

        불투수면은 물, 공기, 자연 생태계 등 전체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도시의 총체적인 환경 질을 대표하는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도시를 대표하는 토지이용으로서 불투수면이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되었으며 국민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아천식의 유병률에 대한 GIS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되었다. 불투수 환경에 거주하는 아동들이 26.58%의 천식 유병률을 보여주어 투수환경 거주 아동의15.82%에 비해 거의 2배에 가까운 천식환자가 확인되었다. 3년 동안 계속해서 천식을 치료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한 환자수가 특별히 높은 위험지역은 불투수 환경에 노출된 행정동에서만 관찰되었다. 투수환경에 위치한 지역의 연도별 천식환자수의 변동폭에 대한 상관계수가 0.371이지만, 불투수면에 위치한 지역은 0.937로 나타나 불투수면에 위치한 지역은 지속적으로 많은 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즉 불투수면에 노출된 환경에 위치한 지역은 투수환경에 입지한 지역보다 장기간에 걸쳐 만성 천식 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불투수면이 소아천식의 발생이나 만성소아천식의 유병률의 분석단위지역으로 결정적으로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The impervious surface was frequently employed as a proxy of the total environmental burden in the urban area. The impervious surface was extracted from a satellite image and the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database for childhood asthma hospitalizations was generated for a total of 62,136 children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of South Korea. Children living in an impervious environment do result in almost twice as many hospitalizations (26.58%) for asthma, as compared to the sub-urban pervious living (15.82%). Furthermore, the risk zones with persistently high hospitalizations for three years were specifically identified over the impervious sub-district alone. The impervious zone showed a small inter-year variation of hospitalizations (r: 0.937) while the sub-urban pervious fringe was found to display a yearly variation(r: 0.371). The strong temporal autocorrelation means that the impervious areas have frequent long-lived hospitalizations for asthma, thus children living in impervious areas were likely to have had more chronic asthma attacks than those living in pervious areas. Thes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an impervious surface as thematic parameter of analysis is a crucial explanatory variable for asthma hospitalizations and its longer persistence among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1:1000 수치지도와 연계된 Google Earth 영상 지도

        엄정섭(Jung-Sup Um)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 No.-

        본 논문에서는 Google Earth와 1:1000 수치지도를 연계한 영상지도를 활용하여 대학 캠퍼스의 투수면을 감시할 수 있는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캠퍼스에서 건물, 도로 등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한 자연경관의 훼손 등 각종 현안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하는 데 있어 대상지역의 공간적인 특성과 자연환경에 대한 거시적인 평가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Google Earth 영상과 수치지도를 결합함으로서 거시적인 차원에서 캠퍼스의 투수경관을 감시할 수 있는 영상지도가 제작되었다. 61cm 공간해상도의 Google Earth 영상은 화단, 침엽수, 활엽수, 잔디 등 세부적인 투수면의 유형을 보여주었으며 수치지도는 도로, 건물, 주차장 등 캠퍼스 전체의 불투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 캠퍼스에서 투수면을 감시하기 위해 Google Earth 영상지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중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primarily intended to propose a new concept for image map of pervious coverage using Google Earth and 1:1000 scale digital map. Solutions of many landscape problems depend on area-wide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 of spati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ver the study area. An operational, user-friendly image map system has been produced by combining Google Earth with digital map. In particular, integration among satellite data and digital maps takes advantage of each component, and enables the pervious landscape structure to be visualized, interacted with and deployed simultaneously. The 61cm resolution of Quickbird data realistically identified the major type of pervious surface by large scale spatial precision while the digital map revealed successfully the area-wide impervious parameters such as road, building and parking lots in the study area.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to confirm the potential of Google Earth image map in monitoring the pervious coverage in university campus.

      • KCI등재

        공간데이타 통합 기능을 활용한 국가자연환경 종합 GIS 구축

        엄정섭(Jung Sup Um),김윤정(Yeun Jung Kim) 한국지리정보학회 200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4 No.1

        This research is primarily intended to develop a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about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country by integrating various formats of spatial data into a comprehensive GIS database.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is to design GIS database as a means of combining thematic cartographic data with field survey records. Ecosystem records acquired by a field sampling have been reproduced as digital thematic maps. The database also included various natural environment related data (map for forestry, soil, national park etc.) collected from many other agencies. The second part of the research is devoted to the design of efficient man-machine interfaces. A key concern in the GUI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process was to address the need to handle and to manage large databases by non-GIS experts. The system has been checked experimentally, enabled the users to quarry the data required simply and execute spatial analysis accommodating versatile alternatives in decision-making process. Detailed visual maps can be generated over large areas quickly and easily. The system will serve to increase the scientific and objective decision-making by overcoming serious constraints suffered from the past non-GIS-based approach.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output could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in building a nationwide natural environment GIS-DB (database) i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선형지상물체에 대한 원격센서로서의 항공비디오: 연구추세 및 실무에서 사용현황

        엄정섭 ( Jung Sup Um ) 大韓遠隔探査學會 199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5 No.2

        원격탐사관련 학문적인 연구에서 중시해야 할 측면은 실제 현장에서 고객들이 직접 그 연구결과를 어느 정도 활용할 수 있는 지에 있다. 전통적인 원격탐사센서가 선형지상물체를 감지하는 능력에서 근본적인 한계점을 감안한다면 이와 같은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어느 정도 현장의 고객들이 원격탐사를 도입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었는지가 상당히 의문시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원인규명의 차원에서, 정통적인 원격탐사가 선형목적물을 감지하는 과정에서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비디오의 정점을 구체적으로 강조한다. 선형센서로서 많은 장점을 지지고 있는 비디오에 대한 과거의 연구가 어느 정도 현장의 수요에 부응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문헌에 대한 심도있는 조사가 수행되었다. 비디오가 선형센서로서 실무에서는 확실하게 자리잡고 이용되고 있지만, 비디오에 대한 학문적인 연구가 주로 area target위주로 수행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동향에 대한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향후 비디오센서에 대한 연구방향을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별히 본 논문은 비디오센서의 장단점을 확실히 규명하고 미래의 연구방향에 있어 비디오 선형모니터링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가치를 지닌다고 하겠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이 비디오 선형모니터링의 가능성에 대해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n important aspect of remote sensing research would be ultimately the production of research output so that operational people can directly use it. However, for the strip target, it is not certain how the research output in remote sensing helps the field user in adopting and utilizing the technology successfully. The relative limitation of traditional remote sensing systems for such a linear application is briefly discussed and the strength of videography are highlighted. Based on the postulated advantages of video as corridor sensor, a careful and extensive investigation has been made of research trends for airborne videography to identify how past research matches to demand of field clients. It is found that while video has been operationally used for strip target in field client communities, much research effort has been directed to area target, and relatively little towards the classification and monitoring of linear target. From this critical review, a very important step has been made concerning the practicality of airborne videography. The value of this paper is warranted in proposing a new concept of video strip monitoring(VSM) as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recognition of sensor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Ultimately, the suggestion in this paper will greatly contribute to opening new possibilities for implementing VSM, proposed as an initial aim of this paper.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