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봄배추의 시비반응(施肥反應)에 미치는 토양수분(土壤水分) Potential의 영향(影響)

        엄기철,손응용,유순호,Eom, Ki-Cheol,Son, Eung-Ryong,Yoo, Sun-Ho 한국토양비료학회 198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6 No.2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시비반응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량(本良) 사양토(砂壤土)에서 토양수분처리($M_0$무관수, $M_1$-0.1~-1.0bar, $M_2$-0.1bar~-0.5bar, $M_3$-0.1~-0.2bar)와 시비수준(施肥水準)(N-P-Kkg/10a, 0-0-0, 11.5-10-12.5, 23-20-25, 34.5-30-37.5)을 달리하여 봄배추의 생육상태(生育狀態), 물소모량(消耗量), 양분흡수량, 비료이용율(肥料利用率), 수량 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20cm 깊이에서 토양수분 Potential이 -2.0bar 이하(以下)일 때 물소모량은 감소(減少)하였고 비료(肥料)에 의(依)한 생장량(生長量)의 증가는 없었다. 2) 배추의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은 시비량(施肥量)의 증가에 따라 토양수분 Potential이 낮을 때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고, 토양수분 Potential이 높을 때는 증가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이용율(利用率)은 토양수분 Potential과 시비수준(施肥水準)이 정비례관계(正比例關係)에 있어야 이용율(利用率)이 증대되었다. 4) 봄배추의 수량(收量)은 토양수분 Potential이 낮을 때에는 시비량(施肥量)을 증가시켜도 증수가 없었으며, 토양수분 Potential이 높을 때에는 각(各) 시비수준(施肥水準) 공(共)히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고 그 효과(效果)는 다비수준(多肥水準)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5) 토양수분 Potential을 높게 유지(維持)시킬 경우(境遇)에는, 시비량(施肥量)을 증가시킴에 따라 봄배추 수량(收量)이 거의 직선적(直線的)인 증가경향을 보여, 최대수량을 낼 수 있는 비료요구량(肥料要求量)이 크게 증가되었다. Differences in fertilizer responses of Chinese cabbage to soil water status were investigated in a field experiment. The growth pattern, water use, nutrient uptake, apparent efficiency of fertilizer and yield were analyzed under the 4-different fertilizer levels (N-P-K rate, kg/10a: 0-0-0 Fo, 11.5-10-12.5 Fo.5, 23-30-25 F1.0, 34.5-30-37.5 F1.5 and under the 4-different soil water status levels (non irrigated plot Mo, -0.1 to -1.0 bars M1, -0.1 to -0.5 bars M2, -0.1 to -0.2 bars M3). The soil was Bonryang sandy loam in the experimental farm of the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Suweon. The growth and yield responses to the fertilizer levels showed a large difference between F0 and F0.5 but little differences were recognized between F0.5, F1.0 and F1.5 when the soil water potentials at 20-cm soil depth were lower than -2.0 bar. Under the well irrigated soil conditions, M2, and M3, the growth and yield responses to the fertilizer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nutrient requirements were increased as well. The total uptake of nutrients decreased as the fertilizer amounts increased when the soil water potentials were low, while the total uptake of nutrients increased when the soil water potentials were high. Therefore, in considering nutrient availability of the applied fertilizers, the soil water statu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 KCI등재
      • KCI등재

        노지재배 옥수수의 생육시기별 물 요구량 구명

        엄기철(Ki-Cheol Eom),박소현(So-Hyun Park),유성녕(Sung-Yung Yo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79년∼2008년까지의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45개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옥수수의 물 요구량을 산정함으로서 기존의 연구결과를 수정보완하고 옥수수의 생산성 증대와 아울러 금후 국가 물수급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하였다. 옥수수 생육기간 동안의 PET는 최소 인천의 2.56 mm day<sup>-1</sup>로부터 최대 대구의 3.38 mm day<sup>-1</sup> 범위를 보였으며, 45개 지역에 대한 평균은 2.85 mm day<sup>-1</sup>이었다. 옥수수 전 생육기간의 45지역 평균 일 물 요구량 (MWR)은 3.27 mm day<sup>-1</sup>이었으며, G-1, G-2, G-3, G-4 및 G-5 생육단계별 각각 1.74∼2.42 (평균 2.02), 2.99∼4.21 (평균 3.41), 3.82∼5.25 (평균 4.41), 3.05∼4.31 (평균 3.48) 및 2.62∼3.49 (평균 3.01) mm day<sup>-1</sup>이었다. 옥수수 전 생육기간의 45지역 평균 총 물 요구량 (TWR)은 377.0 mm 이었으며, G-1, G-2, G-3, G-4 및 G-5 생육단계별 각각 45.37∼63.04 (평균 52.56), 92.54∼130.59 (평균 105.77), 76.46∼105.09 (평균 88.14), 45.73∼64.67 (평균 52.20) 및 68.25∼90.75 (평균 78.33) mm 이었다. 또한 MWR은 G-3 생육단계에서 가장 많으며, 이는 G-3 생육단계의 작물계수 (Kc)가 타 생육기간 보다 높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Water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or the maximum water use efficiency and yield of maize. Water has to be applied moderately based on the water requirement of maize. Crop water requirement (WR) is a function of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PET) and crop coefficient (Kc). PET can be estimated by the climate data measured at the weather station in the production region. Kc was measured by the NIAST (RDA) through lysimeter experiments. In this study, the growth stage of maize was divided into five ones (G-1: Apr. 25 ~ May 20, G-2: May 21 ~ Jun. 20, G-3: Jun. 21 ~ Jul. 20, G4: Jul. 11 ~ Jul. 25, G5: Jul. 26 ~ Aug. 20). The average PET during maize growing season of the 45 areas was 2.85 mm day<sup>-1</sup>. The highest water requirement was at the G-3 stage among the maize growth stages. The mean water requirement (MWR) according to growth stage was 1.74 ∼ 2.42 (average 2.02), 2.99 ∼ 4.21 (average 3.41), 3.82 ∼ 5.25 (average 4.41), 3.05 ∼ 4.31 (average 3.48), and 2.62 ∼ 3.49 (average 3.01) mm day<sup>-1</sup> in the G-1, G-2, G-3, G-4 and G-5 stage, respectively. The total water requirement (TWR) according to growth stage was 45.37 ∼ 63.04 (average 52.56), 92.54 ∼ 130.59 (average 105.77), 76.46 ∼ 105.09 (average 88.14), 45.73 ∼ 64.67 (average 52.20), and 68.25 ∼ 90.75 (average 78.33) mm in the G-1, G-2, G-3, G-4 and G-5 stage, respectively.

      • KCI등재

        노지재배 감자의 생육시기별 물 요구량 구명

        엄기철(Ki-Cheol Eom),박소현(So-Hyun Park),유성녕(Sung-Yung Yo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79년~2008년까지의 기후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45개 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감자의 물 요구량을 산정함으로서 기존의 연구결과를 수정보완하고 아울러 금후 국가 물 수급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수행하였다. 노지 감자 생육기간 동안의 PET는 최소 부산의 2.60 mm day<sup>-1</sup>로부터 최대 대구의 3.52 mm day<sup>-1</sup> 범위를 보였으며, 45개 지역에 대한 평균은 2.95 mm day<sup>-1</sup>이었다. 노지 감자의 생육기간 전체에 대한 평균 일 물 요구량(MWR : mm day<sup>-1</sup>)은, 45지역의 전 생육기간 평균 1.6 mm day<sup>-1</sup>이었으며, 생육단계별 평균 일 물 요구량 (MWR)은 G-1, G-2, G-3 및 G-4 각각 1.0~1.2 (평균 1.1), 1.5~1.8(평균 1.6), 1.9~2.2 및 1.7~2.1 (평균 1.8) mm day<sup>-1</sup>이었다. 노지 감자의 생육기간 전체에 대한 평균 총 물 요구량(TWR : mm day<sup>-1</sup>)은, 45지역 평균 446.2 mm 이었으며, 생육단계별 평균 총 물 요구량 (TWR : mm day<sup>-1</sup>)은 G-1, G-2, G-3 및 G-4 각각 18.0~22.1 (평균 19.3), 50.6~66.6(평균 56.3), 63.5~88.2 (평균 72.4) 및 38.3~54.5 (평균 44.0) mm 이었다. 또한 MWR 과 TWR은 45지역 모두 G-3 생육단계에서 가장 많으며, 이는 G-3 생육단계의 대기증발요구량 (PET)과 작물계수 (Kc)가 타 생육기간 보다 높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Water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or the potato cultivation, especially to get the maximum water use efficiency and yield of potato, Water has to be applied moderately based on the water requirement of the potato. Crop water requirement (WR) is a function of the Potential evapo-transpiration(PET) and Crop coefficient (Kc). PET can be estimated by the climate data measured at the weather station in the production region. Kc was measured by the NIAST (RDA) through Lysimeter experiments. In this study, the growth stage of potato was divided as four (G-1 : Apr. 1~Apr. 15, G-2 : Apr. 16~May. 10, G-3 : May. 11~May. 31, G4 : Jun. 1~Jun. 15). The average PET during potato growing season of the 45 areas was 2.95 mm day<sup>-1</sup>. The most water requirement was the G-3 stage among the potato growth stage. The MWR (Mean water requirement) according to growth stage was 1.0∼1.2 (average 1.1), 1.5∼1.8 (average 1.6), 1.9∼2.2 (average 2.0) and 1.7∼2.1 (average 1.8) mm day<sup>-1</sup>, in the G-1, G-2, G-3 and G-4 stage, respectively. The TWR (Total water requirement) according to growth stage was 18.0∼22.1 (average 19.3), 50.6∼66.6 (average 56.3), 63.5∼88.2 (average 72.4) and 38.3∼54.5 (average 44) mm, in the G-1, G-2, G-3 and G-4 stage, respectively.

      • KCI등재

        도시농업의 도시열섬현상 저감효과에 대한 계량화 평가연구

        엄기철(Ki-Cheol Eom),정필균(Pil-Kyun Jung),박소현(So-Hyun Park),유성녕(Sung-Yung Yoo),김태완(Tae-Wan Kim)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5

        도시지역의 식물에 의한 도시열섬 현상 저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수원 등 6개 도시지역의 근래 30년간 (1979-2008) 폭염기의 최고온도, 식물에 의한 온도 하강, 작물 증발산량, 대기오염 방지 기능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울, 수원 등 6개 도시의 30년간 (1979-2008) 년 중 폭염기인 7월 하순과 8월 상순의 순 평균최고기온의 평균값은 35.03℃ 이었다. 2. 6개 도시의 폭염기 (7월하순 - 8월상순) 동안 벼와 콩의 최대 일평균증발산량은 각각 6.86 ton 10a<SUP>-1</SUP> day<SUP>-1</SUP> 및 6.00 ton 10a<SUP>-1</SUP> day<SUP>-1</SUP> 이었다. 3. 수원시 중심지에 위치한 도시 농경지의 도시열섬 저감 효과의 지표로 볼 수 있는, 벼 및 콩 군락의 온도와 기온과의 차이는 각각 10.5℃ 및 3.0℃ 이었다. 4. 안성시 외각에 위치한 도시농경지에서 폭염기간 동안 벼 및 콩 군락과 대기의 온도 차이는 각각 평균 2.6℃ 및 2.2℃ 이었다. 5. 2012년 년 중 최고 폭염일 (8월 5일)의 수원시 중심지에 위치한 도시 정원 식물 체 잎 표면온도는 대기온도 대비 2.0℃, 도시건물 외벽 대비 14.5℃ 더 낮았다. 6. 수원시 중심지의 식물에 의한 도시열섬 저감효과를 전력량으로 비교하면 벼 5,250. 콩 2,200, 도시정원 식물 1,000 MW day<SUP>-1</SUP> 이었다. 7.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 증발산량과 잠열에 의한 도시 열섬 현상 저감 효과를 원유의 양으로 비교하면, 벼 462.9, 콩 401.4 L원유 10a<SUP>-1</SUP> day<SUP>-1</SUP> 이었다. 8.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CO₂ 흡수량은, 벼 20.27, 콩 15.54 kg CO₂ 10a<SUP>-1</SUP> day<SUP>-1</SUP> 이었다. 9.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O₂ 발생량은 벼 14.74, 콩 11.30 kg O₂ 10a<SUP>-1</SUP> day<SUP>-1</SUP> 이었다. 10.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오존 농도 저감 효과는 벼 21.0, 콩 8.8 및 도시정원 식물 4.0 ppb 이었다. Vegetation can make not only to lower the urban ambient air temperature (UAAT) by crop evapotranspiration (ET) and increasing solar radiation albedo, but also to reduce the urban air pollution by CO₂ uptake and O₂ emission in addition to the reducing ozone concentrations by aid of lower the UAAT. To evaluate the effect of vegetation on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UHIM), the climate change of 6 cities during 30 years are analysed, and the amount of ET, CO₂ uptake, O₂ emission and ozone concentrations are estimated in Korea. The most hot season is the last part of July and the first part of August, and the highest average UAAT of a period of ten days was 35.03℃ during 30 years (1979 - 2008). The mean values of maximum ET of rice and soybean in urban area during urban heat island phenomena were 6.86 and 6.00 mm day<SUP>-1</SUP>, respectively. The effect of rice and soybean cultivation on lowering the UAAT was assessed to be 10.5 and 3.0 ℃ in Suwon, respectively, where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AAT and canopy temperature at urban paddy and upland in Ansung were 2.6 and 2.2℃. On the other hand, the urban-garden in Suwon city had resulted in lowering the UAAT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buildings to 2.0 and 14.5℃,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amounts of CO₂ uptake by rice and soybean were estimated to be 20.27 and 15.54 kg CO₂ 10a<SUP>-1</SUP> day<SUP>-1</SUP>, respectively. The amounts of O₂ emission by rice and soybean were also assessed to be 14.74 and 11.30 kg O₂ 10 a<SUP>-1</SUP> day<SUP>-1</SUP>, respectively. As other cleaning effect of air pollution, the ozone concentrations could be also estimated to reduce 21.0, 8.8, and 4.0 ppb through rice-, soybean cultivation, and urban gardening during most highest temperature period in summer, respectiv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