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와 사면방위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 분석 및 비교

        양희문,김지홍,Yang, Hee-Moon,Kim, Ji-Hong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01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8 No.-

        강원도 가리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산림의 구조적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되는 지형적 위치와 사면방위에 따라 군집을 분류하고, 표본구 조사법에 의하여 군집 구조적 속성을 분석,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곡지역을 제외한 산복과 능선지역의 상층임관에서는 신갈나무의 세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계곡지역에서 가장 높은 상대우점도를 보이는 가래나무, 능선지역에서만 높은 세력을 보이는 소나무 등에 의해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간 수종구성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모든 사면방위 산림군집에서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은 상대우점도를 보이고 있으며, 공통적인 우점종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들에 비해 수종구성의 변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상층임관에서는 산복지역의 종다양도가 1.96으로 가장 높았으나, 중층과 하층임관에서는 계곡지역의 종다양도가 각각 2.66, 2.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능선지역은 낮은 종풍부성과 균재성에 의해 모든 수관층에서 종다양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면방위에 따라서는 북동지역이 모든 수관층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군집간 종다양도의 변이 역시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이 사면방위 군집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지형적 위치별 산림군집간 유사도는 산복과 능선지역이 가장 높게, 계독과 능선지역이 가장 낮게 산출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도 수치가 낮아 산림군집간에는 구조적 차이가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에, 사면방위별 산림군집들은 전체 산림지역과의 유사도 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군집간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Taking account of the structural variation on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topographic positions and aspects, the forest community attribute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coefficient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or the three topographic positions and the four aspect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Gari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overstory were Quercus mongolica in the mid-slope, the ridge, and all aspects areas, however, the stands of the topographic positions were less similar than the stands of the aspects in species composition,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 specific domonant species such as Juglans mandshurica in the valley area and Pinus densiflora in the ridge area. 2. Among the three topographic positions, the mid-slope area had greatest species diversity index in overstory, but the index of the valley had greater value than those of mid-slope and ridge in mid-story and understory. The north-east area among the aspects had greatest the index in all canopy layers. However, The stands of the aspects showed more smaller variation than the stands of the topographic positions. 3. The ridge area showed greatest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with the mid-slope area, but showed least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with the valley. However, similarity coefficient among the topographic positions had much smaller value than similarity coefficient among the aspects.

      • 천연활엽수림의 우세종 및 우점 가능 수종 평가에 의한 경영대상 수종 선정방안

        양희문(Hee-Moon Yang),김지홍(Ji-Ho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강원도 가리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수종구성과 천이경향 분석에 의해, 적지적수 개념에 입각하여 현재 산림에서 우세한 세력을 보이는 우세종과 미래에 산림을 우점할 것으로 예측되는 우점 가능 수종을 평가하고, 산림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활엽수 용재 생산 가치를 기대할 수 있는 경영대상 수종을 선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1. 우세종의 평가를 위해 고안된 '최대우점수준(MLD)'과 '최대 가능한 우세종의 수(MND)' 기준에 따라 연구대상 산림의 상층임관 수종구성을 대상으로 우세종을 평가한 결과, 전체 산림지역은 신갈나무, 소나무, 가래나무, 졸참나무, 층층나무 등 5개 수종이, 계곡지역은 가래나무, 층층나무, 신갈나무 등 3개 수종이, 산복지역은 신갈나무, 졸참나무, 찰피나무, 가래나무 등 4개 수종이, 그리고 능선지역은 신갈나무와 소나무 등 2개 수종이 우세종으로 평가되었다.<br/> 2. 추이행렬 모델에 따라 미래에 세력이 크게 증가하거나 현재의 우세력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는 수종을 파악한 결과, 전체 산림지역은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찰피나무 등이 우점 가능 수종으로 평가되었으며, 계곡지역에서는 가래나무,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찰피나무, 층층나무가, 산복지역에서는 고로쇠나무, 물푸레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찰피나무가 그리고 능선지역에서는 물푸레나무와 신갈나무가 우점 가능 수종으로 평가되었다.<br/> <br/> 이 연구에서 제시한 천연활엽수림의 경영대상 수종 선정 방안을 보다 객관적인 기준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찰과 적용이 요구되고 있으나, 개개목의 형질 평가와 수종의 가치평가에 대한 기준이 제시되어 이들 방법과 병행되는 보다 발전적인 방안이 모색된다면 복잡한 수종구성을 갖는 천연활엽수림의 생태적인 산림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br/> Based on the estimation of dominant species and potential dominant species using species composition and successional tendenc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Gari area, this study suggested desirable species to achieve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 in order to maintain forest stability and enhance hardwood timber val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br/> 1. Evaluating the suggested indicators for dominant species; ‘the minimum level of dominance(MLD)’ and ‘the maximum numbers of dominance(MND)’,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Juglans mandshurica, Quercus serrata, and Cornus controversa were selected for dominant species of the whole forest area in the study forest. Taking account of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pattern by topographic positions, we selected J. mandshurica, C. controversa, and Q. mongolica in the valley area, Q. mongolica, Q. serrata, Tilia mandshurica, and J. mandshurica in the mid-slope area, and Q. mongolica and P. densiflora in the ridge area.<br/> 2. Predicting the future species composition by transition matrix model, Acer mono, Fraxinus rhynchophylla, Q. mongolica, Q. serrata, and T. mandshurica were evaluated as potential dominant species in the study forest. J. mandshurica, A. mono, F. rhynchophylla, T. mandshurica, and C. controversa in the valley area, A. mono, F. rhynchophylla, Q. mongolica, Q. serrata, and T. mandshurica in the mid-slope area, and F. rhynchophylla and Q. mongolica were evaluated.<br/> The suggested indicators for selecting desirable species, with the indicators for evaluating tree quality and species valuation, would be used in practical application for ecological forest management. Many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required for more effective indicators to select desirable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br/>

      • KCI등재
      • KCI등재

        천연활엽수림의 경영대상 수종 선정 및 구성비율 추정

        양희문(Hee Moon Yang),강성기(Sung Kee Kang),김지홍(Ji Hong Kim) 한국산림과학회 200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0 No.4

        Based on the community structural attribute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diameter and height distribution, topographic 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Gari area, this study suggested desirable species and composition ratio to achieve ecological management of forests so as to maintain forest stability and enhance economical valu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wenty-five tree species were growing in the study forest. Of these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Juglans mandshurica, Quercus serrata, Cornus controversa, Acer mono, Fraxinus rhynchophylla, and Tiha mandshurica were selected for desirable spec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dominant and dominant potential. Kalopanax pictus, considered to be highly valuable species, was also included. 2. Taking account of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pattern by topographic positions, we select as desirable species of J. mandshurica, C. controversa, Q. mongolica, A. mono, T. mandshurica, and F. rhynchophylla in the valley area, Q. mongolica, Q. serrata, A. mono, T. mandshurica, F. rhynchophylla, and K. pictus in the mid-slope area, and Q. mongolica, P. densiflora, Q. serrata, and Fraxinus rhynchophylla in the ridge area. 3. Based on the estimation of species diversity index for the overstory components, the reasonable forest stability levels of the indices were estimated at 1.96, 1.68, 1.94, and 1.27 for whole forest, valley, mid-slope, and ridge, respectively. 4. The recommended species composition ratios in the study forest were suggested Q. mongolica to be 30%, A. mono, F. rhynchophylla, Q. serrata, and T. mandshurica to be 10%∼15%, J. mandshurica, P. densiflora, and C. controversa to be 5%∼10% , and K. pictus to be 5%.

      • KCI등재

        잣나무림조림지에서 간벌이 절지동물 풍부도와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권태성,양희문,신준환,김석권,이훈복,Kwon, Tae-Sung,Yang, Hee-Moon,Shin, Joon-Hwan,Kim, Suk-Kuwon,Yi, Hoon-Bo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9 No.3

        Thinning treatment has a huge effect on understory and litter structures in forest ecosystem, and the resulting changes may impact some arthropod groups such as plant-feeders and detritivor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a change in arthropod abundance and their structures in relation to the thinning activity in a Pinus koraiensis plantation in Chuncheon, Korea, where thinning was conducted twice: in 1998-2000 (old-thinning) and 2007 (new-thinning). Arthropods were collected using pitfall traps in 2006 and 2008. Effects of old-thinning on change of abundance and community structure of arthropod were significant, but the effects of new-thinning were not significant. The most significant thinning effect was found in detritivores, followed by plant feeders, but the effect was hardly significant in predators. Among detritivores the changes in abundance was diverse. The abundance of orthopteran plant-feeder increased, but Curculionidae declined after thinning. There was not different in abundance of total arthropods between thinned and unthinned areas because the difference may have cancelled each other out by increased or decreased abundance of taxa. Community structures of arthropods were most greatly affected by years, followed by the old-thinning, but the new-thinning did not affect community structures. 간벌 후 하층식생과 낙엽층에 큰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식식성 절지동물이나 부식성 절지동물의 변화가 예상된다. 1998~2000년(과거 간벌)과 2007년(최근 간벌)에 간벌이 실시된 춘천의 30~50년생 잣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함정트랩법으로 2006년과 2008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절지동물의 밀도와 군집구조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과거 간벌의 영향은 나타났으나 최근 간벌의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간벌로 인한 영향이 부식성 절지동물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식식성 절지동물이 높았으며, 포식성 절지동물에서 가장 낮았다. 부식성 절지동물의 다양한 변화는 확인이 되었으나, 식식성 절지동물의 증가는 일부 분류군(식식성 메뚜기목)에서만 발견되었고, 감소한 식식성 절지동물(바구미과)도 있었다. 간벌로 인해 밀도가 증가하는 분류군과 감소하는 분류군의 상쇄효과로 인해 절지동물의 전체 밀도는 변화가 없었다. 군집구조의 경우 연도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았고, 과거 간벌의 영향이 다음으로 강했으나 최근 간벌의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천연활엽수림의 세가지 조림작업종에 따른 천연갱신 양상

        김지홍(Ji Hong Kim),양희문(Hee Moon Yang),김광택(Guang Ze Jin) 한국산림과학회 199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88 No.2

        The natural regeneration pattern was evaluated for 11 useful hardwood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where three different silvicultural practices (two-storied system, shelterwood system, and selection system) were applied and passed by three growing seasons. The study forest was presently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in the upper canopy. However, since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regenerated seedlings of Acer mono and Fraxinus rhynchophylla was fairly abundant enough, these two species were anticipated to have the possibility to be among dominant species along with Quercus mongolica. The results of seedling occurrence after regenerating cutting showed that the number of seedlings was estimated for 3,145/㏊(10 times of overstory) in the two-storied system, 6,885/㏊(9 times of overstory) in the shelterwood system, and 2,275/㏊(4 times of overstory) in the selection system. The estimation was varied by species, and the number of stump sprout was more abundant. The proportion of seedlings was high in 60∼80% of overstory density and 60∼70% of understory coverage, and high in the site of less than 25° of slope and from southwest to northwest of aspect. These results were still varied by species. Stump diameter and height had little influence on the occurrence of sprout.

      • 수목 존치 방목지와 주변 활엽수림의 임분 구조와 임목 생장 비교에 관한 연구

        강성기(Sung-Kee Kang),양희문(Hee-Moon Yang),김지홍(Ji-Hong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2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1 No.2

        이 연구는 산림확립 기원이 같지만, 수목 존치 후, 방목을 목적으로 목초지 조성을 위해 많은 임목을 벌채한 방목지와 산림이 조성된 후 자연적인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방목지 주변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수종 구성 및 임목 제원을 파악하고, 임목의 생육상태를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br/> <br/> 1. 임목 존치 방목지와 산림지역에서는 각각 9개의 교목수종이 출현하고 있으며, 이 중 7개 수종이 방목지와 산림지역 모두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밀도 및 출현빈도 등 수종구성의 차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br/> 2. ha당 임목수는 방목지역이 71본, 산림지역이 1,433본으로 큰 차이를 보였고, 임목들의 연륜폭과 생장상태를 고려할 때 1996년의 벌채당시 생장이 좋았던 우량목만을 잔존시켰던 것으로 예측되었다.<br/> 3. 방목지에서 임목의 평균직경과 평균수고 및 흉고단면적은 주변 활엽수림의 임목보다 높았으며, 재적 생장의 경우, 방목지는 높은 평균직경과 평균수고에도 불구하고, ha당 재적이 주변 활엽수림의 15%에도 미치지 못했다. <br/> 4. 방목지는 잔존목들에게 충분한 생육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을 양호하게 이끌었지만, 임목들의 계신(繼伸)에 의한 수관폭 확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향후의 연구에서는 ha당 적정 잔존 본 수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b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compare species composition, stand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for two different sites in which silvopastoral system has been taking place. One site was the pasture area where a number of trees were removed and grasses were planted for cattle grazing, and the other site was the deciduous forest that has been established by ecological succ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br/> 1. Nine tree species were present equally in the pasture area and the deciduous forest. Of these species, seven tree species were growing in common for two sites. However, the species composition, including density and frequency, was varied by sites.<br/> 2. The number of stems per hectare in the pasture area was 71, and that in the deciduous forest was 1,433, having shown the big difference. It is estimated that, considering the growth rate, better grown trees were remained at the time of harvesting in 1996. <br/> 3. The growth of diameter, height, and basal area in the pasture area was superior to that in the nearby deciduous forest. In spite of higher values of diameter and height, the timber volume of pasture area per unit area was less than 15% of that in the deciduous forest.<br/> 4. Providing sufficient growing space, the pasture area supported higher values of diameter and height. The wider growing space also had influence on the expansion of crown of trees by the result of deliquescent growth pattern. From this point of view, more research would be needed to establish appropriate number of trees for silvopastoral system.<br/>

      • KCI등재

        건물에너지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공공기관 업무용건물 에너지효율등급 개선에 관한 사례연구

        송수원(Song, Su-Won),양희문(Yang, Hee-Moon),이진호(Lee, Jin-Ho),문유정(Mun, Yu-Jung)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7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ECMs) and potential annual energy savings for improving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rating of a public office building, using a dynamic energy simulation program such as eQUEST 3.64 (DOE-2.2 ver.). The ECMs proposed in this study includes super insulation, high-performance window, daylighting with dimming control,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s, a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DOAS), enthalpy heat recovery systems, water circulation pumps for ground-source heat pump (GSHP) systems, air-side economizer control for a communication room, and so on.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primary annual energy savings of the proposed design with the ECMs can be achieved by 45.3% and 39.6 % when compared to the actual baseline design that doesn’t include the ECMs and the 1st building energy performance rating (300 kWh/m2-yr) regulated by Korean government, respectively.

      • KCI등재

        환경요인의 다계층성을 고려한 생태지역 분류

        정관용(Gwan Yong Jeong),양희문(Hee Moon Yang),김석권(Suk Kuwon Kim),박수진(Soo Jin Park)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5

        본 연구는 산지 생태계의 능력과 잠재성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다계층성을 고려한 생태지역 분류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 일대를 대상으로 각 환경요인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고, 지리통계(geostatistics)기법을 이용하여 각 환경변수의 계층성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적절한 생태지역 분류를 제시하기 위해서 임상도와 입지도를 이용하여 분류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은 1,168km2 면적의 강원도 가리왕산 일대이다. 이 지역은 퇴적암 비율이 높게 나타나며, 그중에서 석회암과 관련된 지층이 가장 넓은 면적(36.6%)을 차지한다. 북쪽과 중앙을 중심으로 고도가 높은 산지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오대천과 평창강을 따라 평탄한 지역이 나타난다. 환경요인의 계층성을 살펴보면 지질과 고도가 상위계층을 차지하고, 지형분류(사면곡면률, 사면유역지수)가 하위 계층으로 나타났다. 생태지역분류 평가에서 ‘지질+고도+지형분류’가 고르게 높은 χ2의 통계값을 보이고 있어 이에 근거하여 생태지역 분류를 실시하였다. 제시된 생태지역분류는 넓은 퇴적암면적, 높은 산지비율, 큰 고도차이 등과 같은 연구지역의 독특한 환경특징이 반영된 결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생태관련 주제를 통합하여 전체적인 산지 생태계 관리 및 이용 방안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coregion classification using a multi-hierarchy of environmental factors for spatial patterns in the capacities and potentials of ecological systems in mountain regions. To achieve the objectives , we describ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identify the multi-hierarchy of these factors using spatial statistics. Lastly, we assess ecosystem-units using both a forest type map (yung & kung) and a forest soil map in order to present a ecoregion classific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at a 1,168km2 area in Gangwon-do, Korea. Sedimentary rocks, particularly limestone (36.6%) exist in high proportions in the research area. While higher mountains are present in the north and central Korean peninsula, plain areas show large proportions along Odae and Pyeongchang river. In a multi-hierarchy, geology and elevation are identified as upper levels and landform classification (surface curvature, upslope area) is considered as a lower level. ‘Geology+elevation+landform’ shows equally higher χ2 values than that of other classifications and we map ecoregions based on this result. Uniquenes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research area such as high proportions of sedimentary rocks and higher elevations influences our ecoregion classification. We are looking forward to considering this study as an effective approach to integrating various ecological themes for mountain ecosystem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