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장기간(長期間)의 비료연용(肥料連用)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양의석,안수봉,Yang, Euy Seog,Ahn, Su Bong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6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13 No.1

        다년간(多年間) 동일(同一) 비료(肥料)를 시용(施用)한 논에서 시비조건(施肥條件)의 차이(差異)가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함과 아울러 수도(水稻)의 반응(反應)올 형태(形態), 생리(生理), 생육면(生育面)으로 분석검토(分析檢討)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무비구(無肥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는 엽면적(葉面積)과 평균(平均) 생장속도(生長速度)의 감소(減少), 출수지연(出穗遲延), 수수(穗數)와 단위영화수(單位潁花數)의 감소(減少)로 3 요소구(要素區)에 비(比)하여 수량(收量)이 각각(各各) 43%와 53%정도(程度) 감소(減少)되었다. 2. 무인산구(無燐酸區)에서는 토양(土壤) 및 도체(稻體)의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낮았으나 그 결핍증상(缺乏症狀)이 나타날 정도(程度)는 아니었으며 수량(收量) 감수(減收)도 적었다. 3. 무가리구(無加里區)에서는 토양(土壤) 및 도체(稻體)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이 크게 떨어졌으며 1 수영화수(穗潁花數)의 감소(減少)로 삼요소구(三要素區)에 비(比)하여 약(約) 9%의 수량(收量) 감수(減收)가 있었다. 4. 삼요소(三要素)+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는 토양중(土樓中)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및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높았으며 도체내질소(稻體內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이 증대(增大)되고 단위영화수(單位潁花數)와 수수(穗數) 증가(增加)로 삼요소(三要素) 시용구(施用區)보다 6~9% 증수(增收)되었다. 5.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는 질소(窒素), 인산(燐酸)의 흡수량(吸收量) 감소(減少)와 영양생장부진(營養生長不振), 수수(穗數) 및 영화수(潁花數) 감소(減少)로 과실(結實)의 양호(良好)에도 불구(不拘)하고 삼요소구(三要素區)보다 수량(收量)이 약(約) 30% 감소(減少)되었으나 무비료(無肥料)보다는 28%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Long-term fertilizer application have been carried out at experimental farm of the Yeongnam Crop Experiment Station from 1967 to 1983 to obtain basic informations about longterm effect of fertilizer regime, especially, compost and chemical fertilizer o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the rice growth. 1. Rice yields obtained from the non-fertilized plot and PK applied plot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NPK applied plot by 43% and 53%, respectively, primarily due to decrease of leaf area, crop growth rate, number of panicles and number of spikelets and delayed flowering. 2. No visible phosphorus-symptom and yield loss were obserbed at the plot that phosphorus was not included even though phosphorus content in the soil and rice plant were lowered. 3. The plot that was not received potassium resulted in yield loss by 9% compared to NPK applied plot due to decrease in potassium content in soil and rice plant, and spikelt number. 4. Available phosphorus, silica, and exchangeable potassium in soil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ng compost to NPK applied plot and hence, increased grin yield by 6 to 9% compared to applied plot through improvement of nutrient uptake efficiency. 5. Grain yield of compost applied plot lowered by 30% than NPK applied plot due to decreased nutrient uptake efficiency and delayed rice growth while this yield was higher than Non-fertilized plot.

      • KCI등재

        우리나라 답토양(畓土?)의 실용적분류(?用的分類)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사질답(砂質畓) 분류(分類)에 관(?)하여

        정연태,양의석,박래경,Jung, Yeun-Tae,Yang, Euy-Seog,Park, Rae-Kyung 한국토양비료학회 198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5 No.2

        저위(低位) 생산답중(生産畓中)에서 분포면적(分布面積)이 가장 넓고 개량(改良)의 효과(?果)가 큰 사질답(砂質畓)의 분포상태(分布?態) 및 실용적(?用的) 분류(分類)와 더불어 현재(現在) 널리 쓰이고 있는 답류형별(畓類型別) 분류체계(分類?系)의 개선(改善)을 위한 사질답(砂質畓) 유형분류(類型分類) 시안(試案)을 시도(試圖)하여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현재(現在) 이용(利用)되고 있는 기준(基準)에 의(依)한 사질답(砂質畓)의 잠재생산력(?在生産力)은 보통답(普通畓)의 86%이었고 생산력(生産力)의 변이정도(?異程度)가 커서 유형재분류(類型再分類)의 필요성(必要性)이 있었다. 2. 현재(現在) 이용(利用)되고 있는 답유형(畓類型) 구분기준중(?分基準中) "사질답(砂質畓)"은 토성(土性)이 사질(砂質)이더라도 습답(?畓)인 경우(境遇)와 염농도(?濃度)가 높은 경우(境遇)에는 제외(除外)되고 있으므로 "객토대상지(客土?象地)" 추천(推薦)이 복잡(複雜)하고 제염(除?)되거나 배수조건(排水條件) 변화시(?化時)에 유형(類型)을 변경분류(?更分類)해야 하였다. 3.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안(提案)한 사질답분류(砂質畓分類) 시안(試案)에서는 토성(土性)이 사질(砂質)인 모든 답토양(畓土?)을 포함(包含)시켰으며 수량(收量)에 영향(影響)이 큰 특성(特性)을 기준(基準)하여 개(個)의 아형(?型)(산화용탈형(酸化溶脫型) 사질답(砂質畓); 건답형(乾畓型), 산화환원중간형(酸化還元中間型) 사질답(砂質畓); 반습답형(半?畓型), 환원집적형(還元集積型) 사질답(砂質畓); 습답형(?畓型), 환원염해형(還元?害型), 사질답(砂質畓), 염해형(?害型))으로 재분(再分)하였고 각아형(各?型)은 토성계별(土性系別)로 토양통(土?統)과 연결(連結)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시안(試案)의 분류단계(分類段階)는 형(型)(사질답(砂質畓))-아형(?型)(4개(個))-토성계(土性系)(5등급(等級))-토양통(土壤?)(48개통(個統))으로 되었다. 4. 시안(試案)과 같이 사질습답(砂質?畓)과 사질염해답(砂質?害畓)을 사질답(砂質畓)의 일부(一部)에 포함(包含)시켜 생산력(生産力)의 변이정도(?異程度)를 검정(?定)해 본 결과(結果)는 현행(現行) 체계(?系)에 의(依)한 것보다 개선(改善)되엇다. 5. 전국(全?)의 사질답(砂質畓) 면적(面積)은 409,902ha로서 총(?) 답면적(畓面積)의 32.3%에 해당(該?)되며 시안(試案)대로 분류(分類)하면 38.9%(492,982ha)에 달(達)하였고 절대면적(絶?面積)이 많은 지역(地域)은 경기(京畿)(88,923ha), 전북(全北)(69,717ha), 경북(慶北)(55,390ha) 순(順)이었고 답면적(畓面積) 전체(全?)에 대(?)한 상대적(相?的) 비율(比率)이 높은 지역(地域)은 강원(江原)(58.9%), 경기(京畿)(50.5%), 충북(忠北)(48.5%), 전북(全北)(41.0%)의 순(順)이며 시안(試案)에 의(依)하면 사질답(砂質畓) 면적(面積)은 더욱 높아져서 강원도(江原道)의 경우(境遇)에는 71.4%가 사질질답(砂質質畓)에 해당(該?)되었다. 6. 사질답(砂質畓)은 답토양(畓土?) 적성등급(適性等級)의 3급지(級地)(69.1%)와 4급지(級地)(29.2%)에 대부분(大部分)이 해당(該?)되었으며 3급지중(級地中)에서는 "3사질(砂質)"(53.3%), 4급지중(級地中)에서는 "4경사(傾斜)"(16.0%)에 해당(該?)하는 토양(土?)이 가장 많았다. 토성계(土性系)(Texture family)별(別)로는 사양질계(砂?質系)(Coarse loamy family)가 59.2%로 대부분(大部分)이었고 징사(徵砂) 사양질계(砂?質系)(Coarse silty)인 것도 전체(全?)의 16.1%에 달( The distribution and practical classification of sandy paddy soils, which have the most extensive acreage among low productive paddy soils in Korea and have distinctive improvement effects, were studied to propose a tentative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sandy textured paddy soils as a means of improving the "Paddy Soil Type Classification" scheme us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otential productivity of sandy textured paddy soils was about 86% of normal paddy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relatively high indicating that the properties of soils included were not sufficiently homogeneous. 2. As the poorly drained and halomorphic (> 16 mmhos/cm of E.C. at $25^{\circ}C$) sandy soils are not included in the "Sandy Soil" type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oil Type Classification", the recommendation of "adding clay earth" become complicated, and the soil type have to change when the salts washed away or due to ground water table fluctuations. 3. Coarse textured soils were entirely included in the "Sandy Soils" in the tentative criteria of sandy soil classification proposed, and the sandy soils were subdivided into 4 subtypes that is "Oxidized leaching sandy paddy", Red-ox. intergrading sandy paddy", "Reduced accumulating sandy paddy" and "Reduced halomorphic sandy paddy". The system of sandy soil classification proposed were consisted of following categories; Type (Sandy paddy)-Sub-type (4)-Texture family (5)-Soil series (48). 4. The variation of productivities according to the proposed scheme was more homogenized than that of the present device. 5. The total extent of sandy paddy soils was 409, 902 ha (32.3% of total paddy) according to the present classification system, but the extent reached 492,983 ha (38.9%) by the proposed system. The provinces of Gyeong-gi (88.923ha), Jeon-bug (69.717 ha), Gyeong-bug (55.390 ha) have extensive acreage of sandy paddy soils, and the provinces that had high ratio of sandy paddy soils were Gang-weon (58.9%), Gyeong-gi (50.5%), Chung-bug (48.5%), Jeon-bug (41.0%) etc. The ratio was increased by the proposed scheme, e.g. 71.4% in the case of Gang-weon prov. 6.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group of paddy soils, the sandy soils mostly belong to 3 class (69.1%) and 4 class (29.2%). Coarse loamy textural family (59.2%) and coarse silty (16.1 %) soils were dominantly distributed. 7. The "Red-ox. intergrading subtype" of sandy paddy pertinent to 49.6% (245,012 ha) while the "Oxidized leaching sub-type" reaches to 33.5% (64,890 ha) and the remained 16.9% (83,081ha) belong to "Reduced accumulating sub-type (14.0%) and "Reduced halomorphic sub-type (2.9%)" according to the proposed scheme.

      • KCI등재

        충남지역 시설 딸기재배 토양 비옥도 특성

        최문태(Moon-Tae Choi),이진일(Jin-Il Lee),윤여욱(Yeo-Uk Yun),이종은(Jong-Eun Lee),이봉춘(Bong-Chun Lee),양의석(Euy-Seog Yang),이영한(Young-Han Lee)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2

        시설 딸기의 지속적인 생산을 위해서는 적정시비가 매우 중요하다. 시설 딸기 특화작목 재배지 토양진단을 통한 친환경농업 실현을 위해 2008년부터 2009년 까지 충남지역 435개소 농가의 토양 화학성을 조사하였다. 시설 재배지의 평균 화학성은 pH 6.5, EC 2.28 dS m?¹, 유기물 함량 26 g ㎏?¹, 유효인산 함량 910 ㎎ ㎏?¹, 교환성 K? 1.09, Ca²? 8.3, Mg²? 2.5 및 Na? 0.58 cmolc ㎏?¹을 나타냈다. 유효인산 함량은 사양토가 양토와 미사질양토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게 높은 반면, 그 외의 토양 화학성은 토성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품종이 달라짐에 따른 토양 화학성 차이는 통계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토양 화학성분의 적정수준 비율은 pH 30.6%, EC 35.4%, 유기물 37.0%, 유효인산 5.3%, 교환성 K? 8.5%, Ca²? 8.5% 및 Mg²? 17.9%를 나타냈다. 유효인산과 교환성 Ca²? 함량의 초과비율은 각각 86.9%와 86.0%로 양분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EC 값은 pH를 제외한 유기물, 유효인산, 교환성 K?, Ca²?, Mg²? 및 Na?과 고도의 정의상관을 보였다. 화학성분의 주성분 분석결과 PC 1은 38.8%, PC 2는 17.8%를 보여 합계 56.6%로서 토성과 품종별 차이를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었다. To reduce the dose of fertilizers is very important to sustainable production of many horticultural crops, including strawberry. In order to practice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of strawberry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435 soil samples (232 for loam, 83 for sandy loam, and 120 for silt loam) in Chungnam Province from 2008 to 2009 were determined. The average of pH, EC, OM, Av. P₂O5, Ex. K?, Ex. Ca²?, Ex. Mg²?, and Ex. Na? was 6.5, 2.28 dS m?¹, 26 g ㎏?¹, 910 ㎎ ㎏?¹, 1.09 cmolc ㎏?¹, 8.3 cmolc ㎏?¹, 2.5 cmolc ㎏?¹, and 0.58 cmolc ㎏?¹, respectively. The content of Av. P₂OSUB>5 in sandy loam soi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ilt loam soil, whereas other propertie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soil texture. The kinds of strawberry cultivars showed no difference in soil chemical properti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within optimum range of soil chemical properties was 30.6%, 35.4%, 37.0%, 5.3%, 8.5%, 8.5%, and 17.9% for pH, EC, OM, Av. P₂OSUB>5, Ex. K?, Ex. Ca²?, and Ex. Mg²?, respectively. Especially, excessive portion of Av. P₂OSUB>5, and Ex. Ca²? were high 86.9%, and 86.0%, respectively. EC values of soil sample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oin with all chemical properties except soil pH. I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chemical properties in soil samples, the percentage of variance explained by PC 1 was 38.8%, while PC 2 explained 17.8% of the variance, for a cumulative total of 56.6%. These results wer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soil textures and strawberry cultivars. Also, these results considered that understanding of soil chemical properties under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e able to improve amounts of fertilizer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plastic film 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