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93년 4월말 황해 남부 해역의 질소 신생산(新生産)과 재생산(再生産)

        양성렬,신경순,양동범,YANG, SUNG RYULL,SHIN, KYOUNG SOON,YANG, DONG-BEOM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94 韓國海洋學會誌 Vol.29 No.3

        Nitrogenous new production and regenerated production were measur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Yellow Sea (Hwanghae) using a stable isotope /SUP 15/N nitrate and ammonia between April 25∼30, 1993. Nitrogen production varied between 155 and 688 mg N m/SUP -2/ d/SUP -1/, which belongs to meso to eutrophic area values. This is equivalent to 881∼3909 mg C m/SUP -2/ d/SUP -1/, assuming the Redfield ratio for C:N of 5.7:1 (by weight). the f0ratio which is the fraction of new production from primary production, varied between 0.12 and 0.26, indicating that 74 to 88% of primary production was supported by the regeneration of nutrients within the euphoric zone. This low f0ratio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igo- to mesotrophic area. Contrary to the expected, the ambient nutrient concentration was not an important factor for controlling productivity in this area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ifference in productivity among stations was mainly due to the variations in phytoplankton biomass in different water masses.

      • Effects of Iron and chelators on Primary production and Nitrogen New Production in the Equatorial Pacific Upwelling System

        양성렬,YANG, SUNG RYULL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93 韓國海洋學會誌 Vol.28 No.1

        Effects of iron and/or chelator addition on primary production in the equatorial Upwelling system were studied during the TOGA(Tropical oceans and Global Atmosphere) and EPOCS (Equatorial Pacific ocean Climate Studies) cruises in June and November-December of 1989. Changes in the phytoplankton biomass and the degree of iron stress were estimated using the changes in vivo fluorescence before and after the addition of DCMU, which is an inhibitor of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poser system. Nitrate uptake was measured using /SUP 45/N labeled KNO$_3$ to estimate the new production. When samples were taken from the Upwelling area where nitrate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5 u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cheated iron treatments in vivo fluorescence and in nitrate uptake capacity. However, CFC (Cellular fluorescence capac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s until nutrient limitation becomes severse and cells become shifted-down. Outside of the Upwelling area where surface nitrate concentration was low (below 0.5 u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s in vivo fluorescence and CFC. It is evident that primary and new production in the equatorial Pacific Upwelling region are limited by the availability of iron. However, the physiology of phytoplankton indigenous to this region does not appear to be iron stressed judging from CFC values.

      • KCI등재후보

        황해의 무광대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질소 섭취율은 상당한가?

        양성렬,심재형,정창수,홍기훈,배세진,양동범,박명길,Yang, Sung-Ryull,Shim, Jae-Hyung,Chung, Chang-Soo,Hong, Gi-Hoon,Pae, Se-Jin,Yang, Dong-Beom,Park, Myung-Gil 한국해양학회 2002 바다 Vol.7 No.2

        황해 대륙붕 해역의 전 수주(whole water column)의 질소 섭취율 중 무광대(aphotic zone)내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질소 섭취율의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부의 유광대(euphotic zone)와 하부의 무광대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질소 섭취율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1997년 5월과 11월에 유광대와 무광대에서 일정량의 해수를 채취하여 선상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질산염과 암모늄 섭취율 측정을 $^{15}N$으로 표지하여 추적하였다. 전 유광대내의 질산염 및 암모늄 섭취율은 각각 1.8${\sim}$15.3 mg N $m^{-2}$ $d^{-1}$과 5.0${\sim}$132.2 mg N $m^{-2}$ $d^{-1}$의 범위이며, 대체로 암모늄 섭취율이 질산염 섭취율보다 우세하였다(1.9${\sim}$19.4배). 전 수주내의 질산염 및 암모늄 섭취율은 각각 2.9${\sim}$22.0 mg N$m^{-2}$ $d^{-1}$과 15.7${\sim}$175.5 mg N$m^{-2}$ $d^{-1}$의 범위를 나타냈다. 전 수주내의 총 질소 섭취율 중 무광대의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질소 섭취율이 차지하는 비율은 질산염의 경우에 13.0${\sim}$86.2%, 암모늄의 경우에는 13.8${\sim}$67.8%로서, 무광대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질소 섭취가 상당함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광대내에서 상당한 양으로 활발하게 질소를 섭취하는 식물플랑크톤이 물리적 작용들(예를 들면, 와류 혼합, 수온약층의 수직이동 등)에 의해 유광대로 다시 편입(entrainment)될 경우 유광대의 물질 순환에 크게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는 황해에서 신생산(new production)의 크기가 질산염 섭취로만 추정될 경우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있으며, 암모늄 섭취에 기초한 재생산(regenerated production)의 일부가 신생산에 포함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To determine whether nitrogen (N) uptake by phytoplankton below the euphotic zone in the Yellow Sea is considerable, we measured the uptake rates of nitrate and ammonium using $^{15}N$-labeled stable isotope $K^{15}NO_{3}$ and $^{15}NH_{4}Cl$, in May and November 1997 at total 10 stations. Depth-integrated uptake rates of nitrate and ammonium over the euphotic zone during this study ranged from 1.8 to 15.3 mg N $m^{-2}$ $d^{-1}$ and from 5.0 to 132.2 mg N $m^{-2}$ $d^{-1}$, respectively, and ammonium uptake predominated at 9 of 10 stations (1.9-19.4 fold). Depth-integrated uptake rates of nitrate and ammonium over the whole water column ranged from 2.9 to 22.0 mg N $m^{-2}$ $d^{-1}$ and from 15.7 to 175.5 mg N $m^{-2}$ $d^{-1}$,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proportion of whole water column N uptake was attributed to uptake by phytoplankton below the euphotic zone, ranging from 13.0 to 86.2% for nitrate and from 13.8 to 67.8% for ammonium, indicating that phytoplankton N uptake below the euphotic zone is at times considerable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suggest that when phytoplankton below the euphotic zone in the Yellow Sea are again entrained into the euphotic zone by a certain physical forcing such as turbulent mixing and the vertical movement of thermocline, these episodic events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material fluxes within the euphotic zone.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a portion of regenerated production estimated from $^{15}N$-ammonium uptake should be included in new production estimates, which otherwise could be underestimated in the Yellow Sea.

      • KCI등재후보

        섬진강 하구역에서 환경요인 및 기초생산성의 변화

        양성렬,송환석,김관천,박철,문창호,YANG SUNG RYULL,SONG HWAN SEOK,KIM KWAN-CHUN,PARK CHUL,MOON CHANGHO 한국해양학회 2005 바다 Vol.10 No.3

        섬진강 하구역에서 일차생산을 조절하는 환경요인과 기작을 포악하기 위하여 엽록소 a, 영양염, pH, 부유물질, 용존산소, 염분과 일차생산을 2001년 2월, 4월, 8월, 10월 네 차례에 걸쳐서 측정하였다. 조사기간 중 일차생산의 범위는 50.7에서 14,203.3 mg C $m^{-3} day^{-1}$의 범위를 보여주었다. 다른 하구역과는 대조적으로 본 조사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시기에 높은 수층 투명도로 인하여 광 조건이 광합성의 제한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염분이 10에서 20 psu사이의 지역에서 가을철 대증식이 발생하였는데, 이 현상은 매년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그 기작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일차생산을 조절하는 주된 요인 중의 하나인 영양염의 거동은 염분에 의하여 지배되는 것으로 보인다. 질소계 영양염의 주된 공급원은 섬진강으로부터의 담수에 의한 것으로 보이는 반면, 인은 광양만 유역의 산업폐수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지역에서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일차생산은 시간적 공간적인 변화를 보이며, 수층의 투명도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고, 인접한 광양만 내의 연안역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o investigate the aquatic environmental factors and processes controlling primary produc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chlorophyll a, nutrients, pH, SS, DO, temperature, salinity and primary productivity were measured in February, April, August and October, 2001. Primary productivity values ranged between 50.7 and 14,120.3 mg C $m^{-3} day^{-1}$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contrast to other estuaries, light condition did not seem to be the important limiting factor far primary production due to high water-column transparency during most of the time. The autumn bloom occurred in regions where salinity values ranged between 10 and 20 psu. This phenomenon appeared to develop every year and deserves further investigation. The behavior of nutrients, which is one of the major factors controlling the primary productivity, appeared to be governed by salinity regimes. The main source of nitrogenous nutrients seemed to be the freshwater runoff from the Seomjin River. However, that of phosphorus seemed to be from the industrial wastewater in Gwangyang area. The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tudy area varied with space and time, showing a close correlation with water column transparency, and exhibited higher values compared to those of adjacent coastal regions in Gwangyang Bay.

      • KCI등재

        남극 연안생태계에서 일차생산력의 계절변화

        김해철,양성렬,배세진,심재형,Kim, Hae-Cheol,Yang, Sung-Ryull,Pae, Se-Jin,Shim, Jae-Hyung 한국해양학회 1998 바다 Vol.3 No.2

        To understand the tempor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Antarctic coastal ecosystem, physicochemical parameters, chlorophyll a, and primary productivity were measured as a component of the 7th KARP (Korea Antarctic Research Program) in 1994. Data were collected every month between February and December except four months (June-September) when the study area was frozen.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ranged from negligible to 3.03 ${\mu}g/l$, averaging 0.63 ${\mu}g/l$. The primary productivity ranged 0.53-18.95 mg C/$m^3{\cdot}day$, and the depth-integrated primary productivity ranged 41.28-560.20 mg C/$m^3{\cdot}day$. A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phytoplankton biomass and irradiance ($r^2$=0.29, p < 0.01).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e primary productivity and irradiance ($r^2$=0.85, p < 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etween the phytoplankton biomass and irradiance. However, neither temperature nor inorganic nutrients seem to affect the tempor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남극 내만 생태계에 서식하는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에 따른 분포 및 생리상태, 그리고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남극에 위치한 Maxwell 만과 Marian 소만에서 1994년 2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물리, 화학적 환경요인과 식물플랑크톤의 색소량, 일차생산력을 조사하였다. 조사시기 동안 관측한 chlorophyll a의 농도는 미검출 수준(not detected)~3.03 ${\mu}g/l$ (평균 0.63 ${\mu}g/l$)의 비교적 큰 변화를 보였고, 일차생산력은 0.53~18.95 mg C/$m^3{\cdot}day$를 기록하였으며, 수층적분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은 41.28~560.20 mg C/$m^3{\cdot}day$의 범위를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은 일사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2$=0.29, p < 0.01), 일차생산력은 일사량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나($r^2$=0.85, P < 0.001), 온도와 영양염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절하는데 기여하지 않았다.

      • KCI등재

        계절과 염분 변화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 변화

        박철,이평강,양성렬,Park, Chul,Lee, Pyung-Gang,Yang, Sung-Ryull 한국해양학회 2002 바다 Vol.7 No.2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 경사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종 조성과 양적 분포를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하구역이라 하나 전 계절 연안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종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전 계절 담수 유래종은 매우 미약하였다. 평균 총량으로 봄에 3,000 개체/m$^3 $이상의 많은 개체수가분포하며 여름에 다소 감소하나 여전히 많은 개체수 분포를보이고 가을에 약 500 개체/m$^3$수준으로 감소하였다가 겨울부터 증가하는 계절적 변동을 보였다. 염분 범위에 따라 저염분역(염분 5 psu이하), 중염분역(5~18 psu), 고염분역(18 psu 이상)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계절의 진행에 따라 가장 많은 양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는 염분역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있으며, 종 조성에서도 계절별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가을철에는 요각류가 저염분역에서 우세하나 고염분역으로 가면서 갑각류 이외의 종들이 우세하였고, 겨울철에는 전 지역에서 요각류가 우세하였다. 봄철에는 대상 해역이 중염분역과 고염분역으로만 구분되었는데, 중염분역에서는 요각류, 고염분역에서는 야광충이 우점하였다. 여름철에는 저염분역에서는 요각류가, 중염분역과 고염분역에서는 야광충이 더 많았다. 요각류 군집만을 대상으로 염분 구역별 주요 우점 종을 열거하였고, 이들의 출현수온, 염분 범위와 가장 많은 출현량을 보인 지역의 수온 염분을 제시하였다. 이들 요각류의 염분 내성 범위는 매우광범위하게 나타나 지시종의 개념이 요각류에 있어서는 출현 유무라는 정성적인 개념보다는 양의 많고 적음이라는 정량적인 개념에서 사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이 맞닿는 지역으로 Sternaspis scutata가 가장 우점하였다. 과거의 연구와 비교해 보면, 저서다모류군집은 출현종수, 서식밀도와 우점종에 있어서 큰 변화를 보였다. 과거의 조사결과에서는 우점종이 Sternaspis scutata와 Eteone longa이었으나, 본 조사에서는 이 종들의 서식밀도가 감소하였다. 반면에 잠재적 유기물 오염 지시종으로 알려진 Lumbrineris longifolia와 Heteromastus filiformis가 서식밀도는 낮지만 새롭게 우점종으로 대두하였다. 이러한 사실들로 볼 때, 득량만은 한국의 다른 만들과는 달리 아직까지 오염이 덜한 해역인 것으로 사료되나, 환경관리에 주의를 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분포는 다양한 무기 환경 요소들 가운데 일차적으로 저층수의 염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차적으로 퇴적상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한 결과, $CH_4$ 농도의 증가율이 무안과 태안 지역에서 각각 연간 16.5, 14.8 ppb로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관측점 주변에 복잡한 배출원의 작용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하여, 무안지역의 $CH_4$ 농도변화와 풍향과의 연계성을 비교해 보았다. 이 결과에 의하면, 동풍계열의 풍계가 나타날 때 고농도의 값이 나타났으며, 청정한 공기가 유입되는 남서풍의 풍계시에는 비교적 낮은 $CH_4$ 농도가 유지되었다. 이처럼 $CH_4$의 장주기적 분포특성은 연구대상지역의 복잡한 배출${\cdot}$소별작용과 연계되어 매우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음을 The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distribution of zooplankton was studi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is estuary, marine taxa predominated in all seasons and very limited number of freshwater species appeared. The total abundances showed a seasonal fluctuation. The highest total abundance appeared in spring with over 3,000 individuals/m$^3$. In summer, the high abundance was sustained although it decreased a little. The abundance was minimal in fall with about 500 individuals/m$^3$. When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three salinity regimes, oligohaline (salinity less than 5 psu), mesohaline (5${\sim}$18 psu), and polyhaline zone (over 18 psu), the zone of high abundance as well as the composi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each salinity regime changed seasonally. In fall, marine copepods predominated in oligohaline zone while marine species other than crustaceans dominated in polyhaline zone. However, in winter copepods predominated in all area. In spring and summer, holozoic dinoflagellate Noctiluca scintillans dominated in higher salinity regimes. We listed major copepod species of each salinity regime for each season with the ranges of water temperatures (T) and salinities (S) of their occurrence. T, S's of maximum abundances of those major copepod species were also reported. The observed very wide tolerance ranges of major copepod species for salinit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indicator species' should be used in quantitative context rather than qualitative.

      • KCI등재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월 변동

        정병관,신용식,양성렬,박철,Jeong, Byung-Kwan,Sin, Yong-Sik,Yang, Sung-Ryull,Park, Chul 한국해양학회 2011 바다 Vol.16 No.4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5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8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두 번에 걸쳐(2월, 8월) 식물플랑크톤 대발생이 발생하였고, 시기에 따라 발생 위치가 다르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총 7개 분류군(Bacillariophyceae, Chlorophyceae, Chrysophyceae, Cryptophyceae, Cyanophyceae, Dinophyceae, Euglenophyceae) 134종이 출현하였다. 대체로 규조류(Bacillariophyceae)가 우세한 분포를 보였으나 하계에는 와편모조류가 증가하였고 내측해역보다는 외측해역에서 개체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과 차우점종 역시 규조류인 경우가 많았으나 6월부터 7월에는 와편모조류가 우점 및 차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생태지수 분석결과 종다양성지수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았으며 우점도지수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 was investigated in the Asan Bay (South) Korea.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five stations during January to December 2008. Phytoplankton blooms were observed in February and in August but the location of the bloom varied with the sampling time. A total of 134 phytoplankton species from seven classes (Bacillariophyceae, Chlorophyceae, Chrysophyceae, Cryptophyceae, Cyanophyceae, Dinophyceae, Euglenophyceae) were observed. Diatoms were dominant in all stations through-out the year except in summer when dinoflagellates were numerous and highly distributed within the outer bay rather than in the river mouth. Dominant and subdominant species were composed mostly of diatoms but were replaced by dinoflagellates in June and July. Results of ecological index showed that the diversity indices were increasing toward outer bay but the dominance indices showed a reverse trend.

      • KCI등재

        아산만 해역에서 장마기 전후 중형동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

        이두별,박철,양성렬,신용식,Lee, Doo-Byoul,Park, Chul,Yang, Sung-Ryull,Shin, Yong-Sik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4

        아산만에서 장마기 전 후 수온, 염분, 영양염, chlorophyll ${\alpha}$ 농도와 중형동물플랑크톤 등에 대해 분포의 특성과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해 보았다. 장마기에 담수 유입에 의한 환경 변화는 동물플랑크톤과 식물플랑크톤(chlorophyll ${\alpha}$) 분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장마기에 유입된 담수로 인해 영양염 농도는 높아졌고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식물플랑크톤(chlorophyll ${\alpha}$)은 장마기 종료 시점에 생체량이 증가하였다. 이는 방조제로부터 유출수 증가에 따른 동물플랑크톤 감소와 영양염 유입의 증가가 나타난 후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이 증가하는 생물학적 과정이 연결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는 수온 변화에 따라 종별로 다른 양상을 보여 봄철 우점종과 여름철 우점종으로 구분 지을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수온이 역시 중요한 분포요인이 됨을 보여준다. 그러나 장마로 인한 염분 변화는 전체 동물플랑크톤의 분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Noctiluca scintillans, Acartia pacifica, Sagitta crassa에게는 수온보다 장마로 인한 염분 변화가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Characteristics in distributions of T, S, nutrients,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s and meso-zooplankton abundances and the relations among these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data collected in Asan Bay around the rainy season from May 24 till August 25, 2006 at about 10 days interval. Freshwater input during the rainy season clearly affected the distributions of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chlorophyll ${\alpha}$). Freshwater discharge resulted in high nutrients decreased zooplankton abundances. On the contrary,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s increased at the end of the rainy season. It seemed that the increase of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s was the result of the decreased zooplankton and enriched nutrients caused by freshwater discharges. Seawater temperatures were certainly the reason for the zooplankton succession. However, overall abundance of zooplankton and abundances of some zooplankton such as Noctiluca scintillans, Acartia pacifica, and Sagitta crassa seemed to be influenced by lowered salinity caused by heavy rain rather than seawater temperatures.

      • KCI등재후보

        Box model을 이용한 서해 곰소만 하전 갯벌의 질소 수지

        유재원,홍재상,양성렬,박경,Yoo, Jae-Won,Hong, Jae-Sang,Yang, Sung-Ryull,Park, Kyeong 한국해양학회 2002 바다 Vol.7 No.4

        1999년 4월 17-18일 양일 간 전라북도 부안, 변산반도 남단에 위치한 곰소만의 하전 갯벌에서 3.0$\times$4.5 ㎦의 연구 지역을 설정 , box model을 이용한 물질(Chl-a, DIN, DON, TN) 수지 계산과 자정 기능의 추정을 위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의 Chl-a 소실률(-0.05mg Chl/$m^2$/hr)은 일본 아이치현 미카와만 이시키 갯벌의 7%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낮은 소실률은 낮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조사 시기의 낮은 온도에 따른 대사율 감소 그리고 조사 지역의 낮은 대형저서동물량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질소의 측면에서 물질 수지의 계산 결과, 13.5 $\textrm{km}^2$ 면적의 하전 갯벌에서는 하루 동안 TN및 PON의 소실률이 각각 8.36$\times$$10^{2}$, 5.36$\times$$10^{3}$kgN/day로 그리고 식물플랑크톤 소실에 따른 PON 소실률이 1.62$\times$$10^{2}$kg N/day로 추정되어 갯벌이 연안해역에서 질소 제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곰소만 하전 갯벌에서의 PON 소실률을 기존의 1개 하수처리장 평균 처리비용과 비교 할 때 13.5$\textrm{km}^2$ 면적의 하전 갯벌의 수질 정화기능은 대규모 하수처리장 2개 이상에 상당하는 경제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estimate the nitrogen budget and assess the purification function of a tidal flat ecosystem, a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at Hajeon tidal flat in Gomso Bay, the southern part of Byeonsan Peninsula, Chollabuk-do, Korea. A study area of 3.0$\times$4.5 ㎢ was established on the tidal flat and the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DIN, DON, and TN were measured in the water column during the period of April 17-18, 1999: From the budget analysis, the loss rate of Chl-a was estimated to be -0.05 mg Chl/㎡/hr, which is approximately 7% of that at Issiki tidal flat in Aichi Prefecture, Japan. The lower loss rate of Chl-a in the study area was attributable to the lower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the lower temperature that may reduce metabolic rates of biotic components and the lower biomass of macrobenthos in the study area. Over the 13.5 ㎢ of study area, Hajeon tidal flat removed 8.36$\times$10$\^$2/ kg N/day of TN, 5.36$\times$10$\^$3/ kg N/day of PON and 1.62$\times$10$\^$2/ kg N/day of phytoplankton-related PON, showing that the tidal flat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moving nitrogen in coastal waters. The removal rate of PON, compared to the removal cost of the existing waste water treatment facilities, indicates that the economic value of the purification function of Hajeon tidal flat (13.5㎢) may be more than that of two large facilities.

      • KCI등재

        아산만 연안하구 식물플랑크톤의 2006년 하계 종조성 변화

        이향화,신용식,양성렬,박철,Yi, Hyang-Hwa,Shin, Yong-Sik,Yang, Sung-Ryull,Park, Chul 한국해양학회 2007 바다 Vol.12 No.3

        Phytoplankton community was investigated in Asan Bay, South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at 5 stations along Asan Bay axis during wet season from June to August, 2006. In June and July, salinity decreased especially at inside stations. Nutrients were high in June and July, however, decreased in August. We observed the community of phytoplankton including diatoms(62.8%), dinoflagellates(17.3%), cryptophytes(14.8%), euglenophytes(1.0%), cyanophytes (0.9%), chlorophytes(0.4%), and some of unidentified taxa(2.8%) during summer 2006 in Asan Bay. In June, dinoflagellates (mainly Prorocentrum sp.(29.6%)) were dominated, accounting for about 43.5% of total cell number, whereas in July and August diatoms (mainly Leptocylindrus sp.(21.4%), Chaetoceros sp.(27.6%)) were dominated occupying 69.1% and 89.9%,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freshwater inputs affecte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Asan Bay ecosystem.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하계 종조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7월, 8월에 매달 두 번씩 실시하였으며 조사 정점은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는 5개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6월과 7월에 염분은 내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염은 6월과 7월에 높았으나 8월에 낮은 경향을 보였다. 2006년 여름철 아산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62.8%), 와편모조류(17.3%), 은편모조류(14.8%), 유글레나류(1.0%), 남조류(0.9%), 녹조류(0.4%) 등 6종과 확인되지 않은 종(2.8%)이 포함되었다. 6월에는 와편모조류(주요하게 Prorocentrum sp.(29.6%))가 우점 하였고 총 현존량의 43.5%를 차지하였지만 7월과 8월에는 규조류(주요하게 Leptocylindrus sp.(21.4%), Chaetoceros sp.(27.6%))가 우점 하였으며 각각 총 현존량의 69.1%, 89.9%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하계에도 강우에 따라 아산만 각 정점에서의 우점속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강우에 따른 담수유입이 하계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종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암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