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품첨가물(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초등학생용 교육정보 매체 개발 및 평가

        양상희(Sang-Hee Yang),김정원(Jeong-Weon Kim)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어린이 기호가공식품인 햄, 소시지, 말린 과일 등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 및 정보 요구를 파악하여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해 정보 전달 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09년 3월부터 아황산․아질산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 요구를 분석하였다. 가공식품 섭취빈도조사 결과 설문대상자들의 아황산․아질산 섭취수준은 1일허용섭취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정보 전달 매체인 ‘GO! 애디스쿨! 말린과일․소시지 등에 들어있는 아황산․아질산 바로 알기’ 책자를 과학잡지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책자에서 제공한 내용은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만화의 형태로 흥미있게 구성하였으며, 1일섭취허용량의 개념과 계산, 이야기식 설명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한 어린이 식생활 실천 지침과 식품구성탑에 대한 정보를 실어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안내를 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춘퀴즈, 인터넷을 이용하여 유용하게 학습할 수 있는 사이트 소개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개발된 매체를 시범 적용하여 설문을 통해 평가해 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 식품 안전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시키기 위한 연구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매체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식품첨가물과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식생활 교육에 효과적인 식품 안전 정보 전달 매체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식품첨가물 위해 정보 전달 매체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sulfur dioxide․ nitrite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perception and the intake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food additives. From March 2009,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current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f elementary students on food additives including sulfur dioxide․nitrite from 341 student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Unlike the fear against food additives, the elementary students intake level of sulfur dioxide․nitrite was very lower than ADI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s on sulfur dioxide․nitrite were developed as a science magazine form by brainstorming and consultation by experts. The material developed was titled as Go! Addy school! Understanding rightly of sulfur dioxide․nitrite and contained the comics of basic information, definition and calculation of ADI, scientific stories on food additives, usage of sulfur dioxide․nitrite, quizzes, introducing useful web sites, etc. When the material developed was evaluated by elementary students, very positive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including understanding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raising good attitude to food additives were observed. Therefore, the material developed could achieve its purpose to assi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ing proper perception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be widely used as effective materials in dietary education. Also it could facilitate the risk communication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elementary dietary education, and further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on other food additives.

      • KCI우수등재

        정보저장매체 반출 및 디지털 증거탐색 과정에서의 참여권 보장 환경에 대한 중요도-이행도 분석

        양상희(Sang Hee Yang),이중정(Choong C. Lee),윤혜정(Haejung Yu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8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23 No.3

        최근 컴퓨터, 스마트 기기 등 디지털 매체의 사용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이들 기기에 저장되는 정보 또한 방대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저장되고 있다. 이들 정보는 수사기관의 영장에 기재된 범죄와 무관한 정보, 즉 별건 정보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압수수색 할 경우 피압수자의 기본권과 방어권, 사생활 침해가 우려된다. 최근 들어 정보저장매체 등의 압수수색 절차에서 피압수자 참여권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참여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각 수사 기관은 참여권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태로 상황과 환경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피압수자 측의 참여권 보장 악용으로 수사의 신속성․보안성이 저하되거나, 참여 시 원격초기화 등을 통한 증거인멸까지 시도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저장매체의 현장 외 반출 및 디지털 증거탐색 과정에서의 참여권 보장 환경에 대하여 4개 상위 영역과 30개 하위 측정 항목으로 전국의 디지털 증거분석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요도 수준과 이행도 수준의 차이를 IPA 매트릭스 분석기법을 통해 절차, 장소, 사람, 기술요인 평가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중점개선영역에 속한 7개 항목은 절차 항목 1개, 장소 항목 3개, 사람 항목 3개로 나타났다. 우선적인 지원 및 개선 사항이 요구되는 항목에 대한 피압수자의 기본권, 방어권, 사생활 침해에 대한 권리 보장과 부작용 사례를 최소화하고, 디지털 증거분석관의 신속도, 효율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참여권 보장 환경을 만들기 위한 유용한 근거로 활용 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use of digital media such as computers and smart devic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e vast and divers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warrant of the investigating agency also includes the one irrelevant to the crime. Therefore, when confiscating the information, the basic rights, defense rights and privacy invasion of the person to be seized have been the center of criticism. Although the investigation agency guarantees the right to participate, it does not have specific guidelines, so they are various by the contexts and environments. In this process, the abuse of the participation right is detrimental to the speed and integrity of the investigation, and there is a side effect that the digital evidence might be destroyed by remote initialization. In this study, we conducted surveys of digital evidence analysts across the country based on four domains and thirty measurement items for enabling environment for participation in information storage media export and digital evidence search proc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was analyzed by the IPA matrix based on process, location, people, and technology dimensions. Seven items belonging to “concentrate here” area are one process-related, three location-related, and three people-related item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be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proper policies and strategies for ensuring participation right, as well as for minimizing the side effects.

      • KCI등재

        정부의 코로나19 사태 대처에 대한 평가기준 연구: 「국제보건규칙」(2005)과 메르스 사태 분석을 비교하여

        양상희 ( Sanghee Y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이 논문의 목적은 2015년 메르스 사태에 대한 분석에 국제보건법적 시각을 더하여 새로운 평가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제1장은 코로나19 사태의 현황을 소개하고, 문재인 정부의 대처방법에 대한 정부와 학계의 연구 결과에 앞서 국제적 기준 검토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제2장은 국제공조를 강조한 「국제보건규칙」(2005)의 기본규정과 원리 그리고 국내 조건을 고찰하고, 제3장은 그 내용을 요약한 다음 2015년 메르스 사태 감사결과와 백서 그리고 전문의료인들의 토론회 결과와 비교한다. 그리고 결론에서 코로나19 사태의 후속연구에 적용할 수 있도록 그동안 선행연구가 사용했던 평가 기준에 간과되거나 덜 강조되었던 국제적인 시각을 추가한다. 2020년 코로나19 사태를 바라보는 시각과 강조하는 바에 따라 그것을 서로 다르게 평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기준을 최대한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new valuation criteria by adding the aspect of the international medical law to some analyses of MERS-CoV in 2015.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the current condition of COVID-19 an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review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prior to the research from the Government and the academic field about the coping methods of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second observes the domestic conditions as well as the primary regulations and principles of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s(2005), and the third, after summarizing the contents, compares them with the inspection results, the Government White Paper, and the products of medical experts' discussion of the 2015 MERS-CoV.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er adds the international aspects ignored or de-emphasized to the evaluation standards that the preceding research have used up to now to apply them to the following study on COVID-19. The researcher suggests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as much as possible in that there are highly likely to be different evaluations of it according to people’s views and emphase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의도적 간호순회가 환자의 간호요구와 간호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양상희 ( Sang Hee Yang ),장금성 ( Keum Seong Jang ),박현영 ( Hyun Young Park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5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0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ntional nursing rounds on patients’ needs and satisfac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dult in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wo medical/surgical units at a general hospital in Korea. While the control group (n=37) received standard care, the experimental group (n=39) received structured nursing rounds every two hours during the day and every four hours at night. For data collection, observation logs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d ANOVA. Results: As time passed, the frequency of patients’ needs for nursing care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began to emerge from post-intervention day 4. Patient satisfaction on nursing servic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Systematic and purposeful nursing rounds were effective in addressing patients’ basic needs and in improv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tal nursing services.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intentional nursing rounds on patient safety and nurse satisfaction.

      • KCI등재

        대학생 대상 인권감수성 척도 타당화 및 관련 변인 분석

        박혜숙(Park, Hye-sook),양상희(Yang, Sang-he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6 No.-

        이 연구는 문용린 외(2002)가 개발한 인권감수성 척도를 대한민국의 지방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대학생의 인권감수성 수준을 살피고, 인권감수성 수준에 관련되는 성별, 학년, 인권관련 교육경험, 지각된 대한민국 사회의 인권의식수준, 세계시민정체성, 공동체의식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인권감수성 척도점수 사용의 타당성을 점검하고자 탐색적 요인분석, 다특성다중방법, Rasch 척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권감수성 관련 문항만으 로 구성된 척도가 인권감수성과 비인권감수성 차이점수를 이용하여 개발한 척도보다 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학년, 인권교육경험, 세계시민정체성, 지각된 한국인의 인권수준, 및 공동체 의식은 인권감수성 요소와 독특한 관련성을 보였다. 세계시민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높은 경우, 외국인 노동자의 노동권과 환경권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다. 해당 정보는 인권교육 및 인권감수성제고를 위한 프로그램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 학년과 인권감수성 관계를 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사용된 다른 변수를 공변인으로 한 MANCOVA결과에서도 공동체의식은 유의미한 공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런 이유로 공동체의식 제고는 다문화 및 세계화시대에 인권감수성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validated a human rights sensitivity scale developed in 2002 by Mun Young-Rin et al. Using a local university student sample in the Republic of Korea, it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level of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analyzed possible correlates such as gender, year-in-school experience, human rights-related education experience, perceived level of Korean society’s human rights consciousness, identification with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sense of community. Results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trait–multimethods, and a Rasch measurement model indicate that using the sum of human rights-sensitive individual item mean scores for each individual episode in the survey is more valid than using difference scores obtained by deducting human rights-irrelevant item scores from human rights-sensitive items for each individual episode as suggested by Mun et al. The study found that elements of individual scale scores were distinctively associated with gender, year-in school, experi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identification with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perceived level of Korean society’s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sense of community. The information obtained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In particular, based on MANCOVA results emphasizing sense of community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variate of human rights sensitivity, the analysis indicates that enhancing sense of community is crucial for enhancing human rights sensitivity in a multicultural and globalized societ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