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종분류체계를 활용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현지훈,양병수,문성우,Hyun, Ji-Hun,Yang, Byong-Soo,Moon, Sung-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4

        건설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생성부터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사업관리정보시스템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은 설계를 포함하여 시공단계에서 사업관리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서 유지관리와의 연계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분류와 도시철도시설물 공종분류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유지관리 활동에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유지관리분류와 공종분류를 연계함으로써 시공정보와 유지관리정보를 일괄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시 필요한 시공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과 유지관리정보시스템(MMIS, Mainten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연동할 수 있으며, 시공정보를 건설사업의 라이프싸이클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생애비용을 추적관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정보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했으며, 업무적용 시 타당성이 있음을 보여줬다. The construction data should be controlled from the life-cycle perspective. The current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usually focuses on the construction operation stage. The PMIS does consider the utilization of the construction in the maintenance of constructed facilities. This paper tries to interface the construction data with the maintenance data for effective use of construction data in the life-cycle perspectiv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 maintenance breakdown structure is established and connected to the work breakdown structures. The connection of the two breakdown structures provide a structured utilization of construction data for efficient maintenance work activities. A prototype suggests that the interface of maintenance and work breakdown structures can help provide a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data in a more efficient way for maintenance activities.

      • KCI등재후보

        지역특성 기반의 강풍피해 예측함수 개발 : 전라지역을 중심으로

        송창영,양병수,Song, Chang Young,Yang, Byong Soo 한국방재안전학회 2020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 Vol.13 No.4

        최근 급속한 경제발전과 온난화로 인해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자연재난의 유형 중 풍수해에 해당되는 호우, 태풍, 강풍, 풍랑, 대설 등은 대규모 인적·물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재난발생 전 피해규모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풍수해의 재난유형 중 강풍피해를 중심으로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강풍피해예측함수를 개발한다. 본 함수는 재해 연보의 강풍피해이력을 기반으로 기상요소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였으며, 기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시스템에 탑재할 경우 단시간에 피해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함수는 국가 혹은 지자체에서 수립하는 재난관리정책에 근거자료로 활용하여 강풍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Abnormal weather conditions have lately been occurring frequently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and global warming. Natural disasters classified as storm and flood damages such as heavy rain, typhoon, strong wind, high seas and heavy snow arouse large-scale human and material damages. To minimize damages,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scale of damage before disasters occur.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strong wind damage estimation function to prepare for strong wind damage among various storm and flood disasters. The developed function reflects weather factor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rong wind damage history found in the Natural Disaster Yearbook. When the function is applied to a system that collects real-time weather information, it can estimate the scale of damage in a short time. In addition, this function can be used as the grounds for disaster control policies of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o minimize damages from strong wind.

      • 도시철도 설계의 가치향상을 위한 설계VE 기법 적용사례 연구

        현지훈(Ji-Hoon Hyun),양병수(Byong-Soo Yang),최은기(Eun-gi Choi),하치덕(Chi-Duck Ha),문성우(Sung-Woo Moon) 한국철도학회 2012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2 No.5

        최근 건설산업에서는 건설프로젝트의 대형화, 첨단화, 고층화로 인해 새로운 가치창출과 기능 및 품질향상, 그리고 사업비 절감방안이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프로젝트의 예산절감 및 품질확보, 새로운 기능 창출을 위한 가치공학(VE, Value Engineering)이 필요하다. 건설공사에 대한 VE수행은 기본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실시하여 상당한 경제적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최근 늘어나고 있는 해외공사의 경우에서도 건설사업의 비용절감을 위한 설계VE 적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를 본 연구는 도시철도 건설사업에 대한 효율적 제고와 설계 VE 적용사례 분석을 통해서 설계 VE 프로세스와 다양한 가치평가 방법을 통한 최종성과물의 가치향상도를 검증하여 도시철도 건설사업의 VE적용을 확대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Recently Construction projects in enlarge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at is caused by the creation of new value, functionality, quality improvement, and project cost saving measures are required. The Urban Railway construction is connected with a variety of engineering fields, longterm construction and periodical maintenance are necessary for the project. Value Engineering(VE) operation related to construction project is progressed in stage of planing or design phase. VE process especially in planning and design phase is essentia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describes VE performing example in Urban Railway construction-work phase, and propose the methodology of VE performance in the phase of construction.

      • 집단지성을 활용한 유해화학물질사고 대응체계 개선

        송창영 ( Song Chang Yung ),양병수 ( Yang Byong Soo ),최은기 ( Choi Eun Gi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existing case studies on the harmful chemical accident response system and analyzes the factors for decision - making and decision - making in the hazardous chemical accident site.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collective intelligence as a new decision - making method, we will build a decision - making model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that can be applied in the hazardous chemical accident site. The collective intelligenc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designed around hazardous chemical accidents,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empirical studies through the composition of more specific expert groups.

      • KCI등재

        VE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설계VE 시스템 개발

        송창영 ( Song¸ Chang-young ),양병수 ( Yang¸ Byong-soo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1 No.5

        설계VE는 정확한 기능분석 및 대안창출을 통해 최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적 노력으로써, 설계VE 수행절차에 따라 해당분야 전문가집단이 모여 VE워크샵을 반드시 특정 장소에서 일정기간 내에 수행해야 한다. 설계 VE는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로 구성하고, 각 단계별로 다양한 운용기법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기능평가, 성능평가, 아이디어평가 등을 정량적인 협의를 통해 이끌어낸다. VE팀원들은 약 3일~5일간 실시되는 워크샵 기간을 정하고 특정 장소를 지정하여 VE검토 대상에 대한 가치창출의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VE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최상의 가치를 창출해야 하는 모든 과정을 특정한 일정 이내에 한정된 장소에서 해결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VE 워크샵의 경우 설계VE 필요성을 간과하여 워크샵을 단기간 내에 진행하고 있어서, VE팀원은 제한된 시간 내에 모든 설계VE 프로세스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설계VE 지원시스템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VE팀원의 효율적인 설계VE 업무를 지원하도록 모바일 환경기반의 설계VE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설계VE 지원 체계는 VE 워크샵 이전부터 설계도서 및 VE관련 자료를 선검토 하고, 설계VE 워크샵 일정에서 결정한 기능평가 또는 아이디어 평가결과를 워크샵 이후에도 편리하게 재수정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Value Engineering(VE) is an organized effort to create the most value through a functional analysis and creation of alternatives. Depending on the VE job plan, a VE Workshop must be performed in a certain plac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A VE Workshop, which is an organized activity that aims to create the best value through functional analysis and creation of alternatives, should be held in a certain place and at a scheduled time according to the VE job plan. In the Pre-Study, VE Study and Post-Study phases of VE, functional assessments, performance evaluations and idea evaluations are driven by variable management techniques and analysis methods, respectively. Generally, VE is executed for about 3 to 5 days in a particular place to create value.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associated with limiting all VE processes to a specific place and schedule. Moreover, in Korea, VE teams are required to finish all VE processes in a limited time because of the short duration of VE workshops, the necessity of which has been overlooked. Therefore, an efficient VE support system is required to resolve the problem of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this study, a VE support system based on the Mobile environment was developed to support the VE Workshop process. This VE support system enables participants to review design documents, drawing sheets and all VE-related documents using mobile devices. After the Workshop, participants can conveniently rearrange the result(evaluation of function and ideas) at the workshop. Not only can the members of VE team can review the design documents, drawing sheet and all VE-related documents in the step before the workshop, but also the result(evaluation of function and ideas) of the workshop can be easily rearranged in the phase after the workshop under the developed supporting system using mobile devices.

      • 여수국가산업단지 재난관리를 위한 방재플랫폼 구축

        송창영 ( Song Chang Yung ),양병수 ( Yang Byong Soo ),최은기 ( Choi Eun Gi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Since there is no computer system for general management of dangerous and disaster prone facilities that handle dangerous substances and data for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in Industrial Complex of Korea, much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to discover risk factors and identify spreading of dangerous. This paper proposes an disaster prevention platform system based on sensor, scenarios for disaster response, collective Intelligence for detection of chemical disaster signs and effective initial response to disasters on Yeosu Industrial Complex.

      • 국가기반시설 재난안전성 평가기법 연구

        송창영 ( Song Chang Young ),양병수 ( Yang Byong So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2

        A national infrastructure is a physical and human system tha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ife, property, and the national economy if its function is paralyzed. It is also used for energy, telecommunications, transportation, finance, healthcare, nuclear energy, environment, important government facilities, etc. In this paper, we present a disaster risk assessment method and alternative method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infrastructure through the evaluation of disaster risk.

      • KCI등재

        콘크리트 거푸집 가설구조물 공사 안전관리를 위한 USN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문성우(Moon Sung-Woo),양병수(Yang Byong Soo)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2 No.2D

        건설기공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과 동바리 등의 가설 구조물만으로 유동상태의 콘크리트 자중 및 각종 시공하중을 지지한다. 그러나 타설 중 복잡한 동선과 타설 충격, 지반 침하 등으로 가설구조물에 하중집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집중하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가설구조물의 불안정은 안전사고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기존의 건설시공 안전관리방법으로 건설시공 안전관리를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시공 중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과정에서 가설구조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콘크리트 타설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시공 안전관리를 위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한다. USN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처짐, 동바리의 하중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시공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가시설 구조물 모형에 대한 실험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허용기준치와 비교한 결과 하중초과 및 거푸집의 이상변형 발생 시 경고초치를 통해 작업자의 작업 중단 및 즉각적인 대피, 신속한 사후 대처 등을 알림으로써 시공현장에서 발생 가능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 During concrete placement, the formwork structure supports the weight of concrete mass. The complexity of the operation can cause concentrated workloads, which in turn brings about a collapse of the temporary structure. As a countermeasure, the operation needs to be constantly monitored to maintain safety and prevent accidents. This paper presents a USN(Ubiquitous Sensor Network)-based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formwork construction. The system takes advantage of ubiquitous technology in monitoring the behavior of the formwork structure such as deflection, load weight, and tilting. The collected data are sent to the host computer wirelessly for real time monitoring. The data can be then compared with the allowed limits on guidelines. The comparison can indicate whether the concrete placement operation is executed in a safe condition.

      • KCI등재

        유해화학사고의 효과적 대응을 위한 방재플랫폼 구축 연구

        송창영(Song Chang young),양병수(Yang Byong soo)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2

        국내의 국가산업단지는 위험물질을 취급하는 위험설비나 재난취약 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및 방재설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체계적으로 전산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위험요인을 발견하고 위험물질의 확산을 파악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사고의 위험요인을 제거 및 개선, 확산방지, 그리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는데도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수국가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화학물질 유출사고의 재난징후 감지 및 재난 발생 시 효과적인 초기대응을 위한 센서, 재난대응 시나리오, 집단지성의 개념을 적용한 방재플랫폼 체계를 제안한다. 이러한 대응체계는 재난발생 시 재난의 징후인지, 발생, 진행 상황을 위치기반의 방재 센서 네트워크에서 감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을 통해 재난 정보를 양방향으로 송수신 함으로써 관련 지역 주민, 유관기관, 입주기업이 재난정보를 공유하여 능동적이고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응할 수 있다. Since there is no computer system for general management of dangerous and disaster prone facilities that handle dangerous substances and data for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in Industrial Complex of Korea, much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to discover risk factors and identify spreading of dangerous. In additi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moving or reduce risks of accident, preventing spreading of risks, and developing activities to minimize damages. This paper proposes an disaster prevention platform system based on sensor, scenarios for disaster response, collective Intelligence for detection of chemical disaster signs and effective initial response to disasters on Yeosu Industrial Complex. The system sends disaster information through smart phone and offers intelligent and effective disaster response by sharing of disaster information with inhabitant, related organization and local industrial complex.

      • KCI등재

        풍속과 피해액 간 상관관계분석에 따른 강풍재해피해조사 프로세스 개선방안 -재해연보를 중심으로-

        송창영 ( Chang Young Song ),양병수 ( Byong Soo Yang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6 한국안전학회지 Vol.31 No.2

        Across the world, the industrialization has increased the frequency of climate anomaly. The size of damage due to recent natural disasters is growing large and fast, and the human damage and economic loss due to disasters are consistently increasing. Urbanization has a structure vulnerable to natural disaster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both hardware and software approaches should be utilized. Currently, however, the development of a statistical access process for ‘analysis of disaster occurrence factor’ and ‘prediction of damage costs’ for disaster prevention and overall disaster management is inadequate. In case of local governments, overal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s not established, or even if it is established, unscientific classif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lead to low utility of natural statistics of disaster year book.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disaster damage and for rational disaster management, the disaster damage survey process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selected gale as the focused analysis target among natural disasters recorded in disaster year book such as storm, torrential rain, gale, high seas, and heavy snow, and analyzed disaster survey process. Based on disaster year book, the gale damage size was analyzed and the issues occurring from the correlation of gale and damage amount were examined, so as to suggest an improvement plan for reliable natural disaster information collection and systematic natural disaster damage surv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