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의 잔디 생산 현황

        양근모(Geun-Mo Yang),최준수(Joon-Soo Choi)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6 Weed & Turfgrass Science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잔디생산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배면적, 재배초종, 경영농가 현황, 잔디유통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각 시도별로 잔디재배를 많이 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15개 항목을 설문조사 하였다. 재배면적은 설문조사와 지역 재배농민의 추정치, 그리고 방문에서 제외된 지역은 2005년 산림청 조사 자료를 종합하여 결정하였다. 기타 조사 항목은 항목별 응답 인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국내 총 잔디 재배면적은 2,947㏊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 1,417㏊(48%), 전북 442㏊(14.9%), 경기 344㏊(11.6%), 경남 248㏊(8.4%), 충남 240㏊(8.1%) 순으로 나타났다. 잔디 주 생산 단지는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사천시, 익산시, 여주시, 연천군 등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주 나이는 51세 이상이 72.4%로 노령화 되어 있었으며, 재배경력은 10년 이상이 84.4%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의 형태를 보였다. 잔디재배 초종은 중지계통의 들잔디가 55.5%, 일반 들잔디가 37.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3.8%, 한국잔디 신품종이 0.1%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잔디의 출하 규격은 다양했으며 18×18cm 규격으로 출하하는 경우가 43.5%로 가장 많았다. 출하 형태는 위탁판매가 4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지역의 생산단가는 2,160~2,730원/㎡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data on current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Fifteen items were surveyed including production acreage, species and cultivars, experience on farming, production cost and the others during April to October in 2006. To estimate production acreage, 73 turfgrass growers were interviewed. Estimated acreage for turfgrass production was 2,947 ㏊. Acreages by province were 1,417 ㏊ in Jeollanam-do(48%), 442 ha in Jeollabuk-do(14.9%), 344 ha in Gyeonggi-do(11.6%), 248 ㏊ in Gyeongsangnam-do(8.4%), and 240 ㏊ in Chungcheongnam-do(8.1%), respectively. The major sod producing regions were Jangseong-gun, Hampyeong-gun, Yeonggwang-gun, Gochang-gun, Sacheon city, Iksan city, Yeoju city, Yeoncheon-gun. Percentage of turf growers over 50 years old was 72.4 percent, which means production was carried out mainly by old farmers. Grower's career over 10 years was 84.8%. Cultivated species and varieties were 'Junggi'(55.5%) of fine-textured Korean lawngrass, common Korean lawngrass(37.4%), Kentucky bluegrass(3.8%), and new zoysiagrass cultivars(0.1%), respectively. Sod size were variable. Sod size of 18x18cm was 43.5 percent. Sales route was mainly through sod distributor(40.5%). Sod producing cost was 2,160 ~ 2,730 won per square meter at Jeolla-do areas.

      • 한국의 잔디 생산 현황

        최준수,양근모,Choi, Joon-Soo,Yang, Geun-Mo 한국잔디학회 2006 한국잔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잔디생산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배면적, 재배초종, 경영농가 현황,잔디유통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각시도별로 잔디재배를 많이 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15개 항목을 설문조사 하였다. 재배면적은 설문조사와 지역 재배농민의 추정치, 그리고 방문에서 제외된 지역은 2006년 산림청조사 자료를 종합하여 결정하였다. 기타 조사항목은 항목별 응답 인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국내 총 잔디 재배면적은 2,947ha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 1,417ha(48%), 전북 442ha(14.9%), 경기 344ha(11.6%), 경남 248ha(8.4%), 충남 240ha(8.1%) 순으로 나타났다. 잔디 주 생산단지는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사천시, 익산시, 여주시, 연천군 등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주 나이는 51세 이상이 72.4%로 노령화되어 있었으며, 재배경력은 10년 이상이 84.4%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의 형태를 보였다. 잔디재배 초종은 중지계통의 들잔디가 55.5%, 일반 들잔디가 37.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3.8%, 한국잔디 신품종이 0.1%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잔디의 출하 규격은 다양했으며 $18{\times}18cm$ 규격으로 출하하는 경우가 43.6%로 가장 많았다. 출하형태는 위탁판매가 4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지역의 생산단가는 $2,160{\sim}2,730$원$/m^2$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data on current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Fifteen items were surveyed including production acreage, species and cultivars, experience on farming, production cost and the others during April to October in 2006. To estimate production acreage, 73 turfgrass growers were interviewed. Estimated acreage for turfgrass production was 2,947 ha. Acreages by province were 1,417 ha in Jeollanam-do(48%), 442 ha in Jeollabuk-do(14.9%), 344 ha in Gyeonggi-do(11.6%), 248 ha in Gyeongsangnam-do(8.4%), and 240 ha in Chungcheongnam-do(8.1%), respectively. The major sod producing regions were Jangseong-gun, Hampyeong-gun, Yeonggwang-gun, Gochang-gun, Sacheon city, Iksan city, Yeoju city, Yeoncheon-gun. Percentage of turf growers over 50 years old was 72.4 percent, which means production was carried out mainly by old farmers. Grower's career over 10 years was 84.8%. Cultivated species and varieties were 'Junggi'(55.5%) of fine-textured Korean lawngrass, common Korean lawngrass(37.4%), Kentucky bluegrass(3.8%), and new zoysiagrass cultivars(0.1%), respectively. Sod size were variable. Sod size of $18{\times}18cm $ was 43.5 percent. Sales route was mainly through sod distributor(40.5%). Sod producing cost was $2,160{\sim}2,730$ won per square meter at Jeolla-do areas.

      • Effects of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on Salt Accumulation and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Growth in Sand Growing Media over the Reclaimed Saline Soil

        라하유,양근모,최준수,Rahayu, Rahayu,Yang, Geun-Mo,Choi, Joon-Soo Turfgrass Society of Korea 2010 한국잔디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임해 간척지와 염분의 농도가 높은 관수조건에서 모세관수의 차단층이 염류집적과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생육지반으로는 표토 30 cm, 차단층 20 cm가 10 cm 두께의 간척지 토양위에 조성되었다. 표토로는 태안군 부남 호에서 준설된 모래가 사용되었으며 유기물은 부피비 5%로 혼합되었다. 30 cm직경의 PVC 주름관을 절단하여 지반구조 용기가 제작되었고 바닥은 PVC망사를 이용하여 토양의 이동을 차단하였다. 용기는 5 cm깊이의 저수조에 설치되었으며 저수조에는 $3-5\;dsm^{-1}$ 염도의 희석 바닷물이 채워졌다. 켄터키블루그래스는 뗏장을 사용하여 조성되었으며 $2\;Sm^{-1}$로 희석된 바닷물이 관수원으로 사용 되었고 일평균 5.7mm의 관수가 3일 간격으로 수행되었다. 차단층을 생략한 지반은 봄철에 염분의 집적이 최대를 보여 토양전기전도도가 $5.4\;dSm^{-1}$에 달하였으며 SAR은 34.0을 보였고 차단층설치구의 토양전기전도도 인 $4.6\;dSm^{-1}$과 SAR 8.24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염의 집적을 보였다. 차단층의 소재별 차이를 볼 때 콩자갈과 조사의 사용 시 토양중 Na농도가 가각 16%와 25% 감소하였고 토양전도도는 7%와 13%감소하였다. 차단층 처리구의 켄터키부루그래스 품질은 평균 가시적 평가 8.3을 보여 차단층을 생략한 처리구의 평균 가시적 평가 7.9 보다 높았다. 콩자갈과 조사 차단층 소재는 차단층을 생략한 경우에 비해 켄터키부루그래스의 가시적 품질을 각각 4.1%, 4.0% 증가 시켰으며, 뿌리의 길이를 50%와 38%, 뿌리의 건중을 35%와 17% 증가 시켰다. 상토층의 Na 함량도 콩자갈과 조사 차단층에 의해 각각 16%와 25% 감소하였으며 토양 전기전도도도 7%와 13% 감소하였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on the sand based growing media when growing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on soil reclamation and saline water irrigation. Growing media profile consists of three layers as top soil of 30 cm, 20 cm of the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and 10 cm of reclaimed paddy soil. Growing media profile was packed in 30 cm diameter column pots. The top soil was a mixture of sand dredged up from Lake Bhunam Tae Ahn, Korea and peat at the ratio of 95:5 by volume. Bottom part of column was covered with plastic net and the pots were soaked into 5 cm depth saline water reservoir with salinity $3-5\;dS\;m^{-1}$. Kentucky bluegrass was established by sod and irrigated using $2\;dS\;m^{-1}$ saline water ($5.7\;mm\;day^{-1}$) in 3 days interv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rgest accumulation of salt in the spring with electrical conductivity in saturated extract (ECe) of $5.4\;dS\;m^{-1}$ and sodium absorption ratio (SAR) 34.0 in growing media without the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and ECe of $4.6\;dS\;m^{-1}$ and SAR 8.24 at growing media using gravel as the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material. The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of gravel and coarse sand reduced the accumulation of Na by 16% and 25%, ECe by 7% and 13% in the growing media. Visual quality of Kentucky bluegrass was higher in growing media with the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of gravel than no interruption layer by 8.3 compared to 7.9 in rates. The interruption layer for capillary rise of gravel and coarse sand enhanced the visual quality by 4.1 and 4.0%, root length by 50 and 38%, and root dry weight by 35 and 17% of Kentucky bluegrass, and reduced the accumulation of Na by 16% and 25%, ECe by 7% and 13% in the growing media.

      •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최준수,양근모,오찬진,배은지,Choi, Joon-Soo,Yang, Geun-Mo,Oh, Chan-Jin,Bea, Eun-Ji 한국잔디학회 2012 한국잔디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 평가 및 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101개 개체를 수집하였다. 수집개체를 온실에 포트 상태로 생육시킨 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엽폭, 초장, 잎각도, 잎집 길이, 털 유무, 포복경 길이, 엽색 등의 변이를 비교하였으며, 특이성 개체 7개를 선발하였다. 생육속도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잔디 기존 대조품종 8개와 국내 주 생산단지에서 수집된 계통 7개 그리고 육종계통 3개를 비교하였다. 장성징역 수집 잔디 101개체의 평균 엽폭은 3.4 mm로 나타났으며, 잎각도는 45.8도, 초장은 21.6 cm, 최하위 엽의 높이는 5.0 cm 그리고 엽장은 14.1 cm의 특성을 보였다. 피복속도 조사결과 CY6097, CY6069 등이 스프리그 식재 5개월 후 각각 70%, 68.3%의 피복률을 나타내었다. 가장 느린 생육속도를 보인 금잔디의 31.7% 대비 약 2배 빠른 피복속도였다. CY6069의 경우는 피복속도가 안양중지 60.0% 보다 빠르면서도 마디간 길이가 5.1 cm로 짧게 나타나 고품질 계통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특성 평가를 통해 잔디재배 주 생산단지인 장성 지역에서 생육속도가 빠르며, 고품질의 계통의 대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s of 101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Zoysia spp.) collected at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South Korea. Collected lines with distinctive morphology and visual growth rate were planted in plastic pots and measur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plastic house conditions. Variation of leaf width, plant height, leaf angle, length of leaf sheath, trichome, stolon length, and color were measured. Six lines were selected by evaluating growth rates from one hundred one collected lines. Eight standard cultivars and three other superior lines previously collected were compared to 7 selected lines form Jang seong area by checking growth rat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verage leaf blade width was 3.4 mm, leaf angle was 45.8 degree, plant height was 21.6 cm, height of lowest leaf was 5.0 cm, and length of leaf blade was 14.1 cm. Ground cover rates of selected lines 'CY6097' and 'CY6069' were 70% and 68.3%, respectively. These are believed to be faster than 60% ground cover rate of zoysiagrass 'Anyang', and also, twice as faster than the 31.7% ground cover rate of Z. matrella. Selected line 'CY6069' showed fast growth rate with shorter internode length (5.1 cm) compared to zoysiagrass 'Anya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select useful fast growing zoysiagrass breeding lines from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Korea.

      • 한국잔디(Zoysia japonica)의 깎기주기 결정을 위한 지상부 생육 조사

        이효순,양근모,최준수,Lee, Hyo-Soon,Yang, Geun-Mo,Choi, Joon-Soo 한국잔디학회 2010 한국잔디학회지 Vol.24 No.1

        잔디 깎기는 골프장에서 중요한 관리 작업의 한가지이다. 잔디깎기 주기와 높이는 잔디의 광합성 능력, 밀도, 뿌리생장 등에 영향을 미친다. 본 실험은 한국잔디의 잔디깎기 높이별 지상부 생장량을 조사하여 적절한 잔디깎기 주기를 결정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들잔디를 10mm 높이로 관리시 줄기의 일 생장량은 2.1-4.7mm(7월), 1.9-2.9 mm(8월), 0.9-1.5 mm(9월), 0.6 mm(10월)로 조사되었다. 상기 자료는 잔디깎기를 초장의 33% 이내로 깎는다는 개념으로 볼 때 7월에는 1.1~2.3일, 8월에는 1.7~2.4일, 9월에는 3.5~5.4일, 그리고 10월에는 8.5일 간격으로 깎기를 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들잔디를 15 mm 및 17 mm 높이로 관리시 깎은 후의 지상부 생장량은 7월 4.0-5.3 mm, 8월 2.9-4.5 mm. 9월 1.4-3.7 mm 그리고 10월 13 mm로 나타나 7, 8, 9, 10월의 적정 깎기 주기는 각각 1.4~1.9일, 1.7~2.5일, 2.3~6.3일, 6.8일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들잔디를 18 mm 및 21 mm 높이로 깎은 후의 생장량은 7월 3.5-4.7 mm, 8월 2.9-4.9 mm, 9월 1.5-1.8 mm로 나타났으며, 7, 8, 9월의 적정 깎기 주기는 각각 1.9~2.6일, 1.8~3.1일, 5.9~7.0일의 범위로 나타났다. 그리고 50 mm 높이 깎은 경우는 지상부 생장량이 7월 4.6-4.9 mm, 8월 5.0-6.5 mm, 9월 2.5-4.7 mm로 나타나 7, 8, 9월의 적정 깎기 주기는 각각 5.1~5.4일, 3.9~5.0일, 5.3~9.8일의 범위로 계산되었다. 상기 조사 결과 깎기 높이에 따라 재생장 길이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짧게 깎을수록 재생장 길이가 짧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Mowing is an important practice in golf course management. Mowing interval and height can affect net photosynthesis of turfgrass and finally shoot density, tillering, rooting and regrowth of turfgras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growth rate of zoysiagrass shoot under different mowing height for determination of proper mowing frequency. Recommended mowing interval were calculated by a rule that no more than 33% of the above ground height be removed in a single mowing. Daily shoot growth of zoysiagrass at 10 mm mowing height were 2.1~4.7 mm (July), 1.9~2.9 mm (August), 0.9~1.5 mm (September), and 0.6 mm (Octob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ommended mowing interval were 1.1~2.3 day for July, 1.7~2.4 day for August, 3.5~5.4 day for September, and 8.5 day for October, respectively. Daily shoot growth of zoysiagrass at 15 to 17 mm mowing height were 4.0~5.3 mm (July), 2.9~4.5 mm (August), 1.4~3.7 mm (September), and 1.3 mm (Octob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ommended mowing interval were 1.4~1.9 day for July, 1.7~2.5 day for August, 2.3~6.3 day for September, and 6.8 day for October, respectively. Daily shoot growth of zoysiagrass at 18 to 21 mm mowing height were 3.5~4.7 mm (July), 2.9~4.9 mm (August), and 1.5~1.8 mm (Septemb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ommended mowing interval were 1.9~2.6 day for July, 1.8~3.1 day for August, and 5.9~7.0 day for September, respectively. Daily shoot growth of zoysiagrass at 50 mm mowing height were 4.6~4.9 mm (July), 5.0~6.5 mm (August), and 2.5~4.7 mm (Septemb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commended mowing interval were 5.1~5.4 day for July, 3.9~5.0 day for August, and 5.3~9.8 day for September,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