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흰쥐 대뇌피질에서 A<sub>1</sub> 아데노신 수용체의 탈감작

        경선(Kyung Sun Park),완숙(Wan Suk Yang),김경환(Kyung Hwan Kim) 대한약리학회 1996 대한약리학잡지 Vol.32 No.2

        Following the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R(-)N<sup>6</sup>-(2-phenylisopropyl)adenosine(600 nmol/kg/hr) to rats for 1 week using tAlzet<sup>??</sup> mini-osmotic pumps, A<sub>1</sub> adenosine receptor functions were determined using [<sup>3</sup>H]DPCPX binding,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 and adenylyl cyclase assays. A<sub>1</sub> adenosine receptor binding and the inhibition of adenylyl cyclase activity by PIA was not altered in cerebrocortical membranes prepared from PIA-treated ra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sub>1</sub> adenosine receptor-mediated stimulation of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 to cerebrocortical membranes prepared from PIA-treated rats(22.0% decrease in basal activity; 19.7% decrease in maximal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ensitization of A<sub>1</sub> adenosine receptors following chronic administration involves agonist-induced uncoupling of the receptors from G proteins rather than alteration of A<sub>1</sub> adenosine receptor molecule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determination of stimulation of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 to G proteins is a suitable tool in studying the receptor regulation including desensitization

      • 흰쥐의 뇌의A<sub>1</sub>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역효현제에 관한 연구

        경선(Kyung Sun Park),완숙(Wan Suk Yang),김경환(Kyung Hwan Kim) 대한약리학회 1996 대한약리학잡지 Vol.32 No.1

        전통적인 수용체 이론에 따르면 상경적 길항제는 효현제와 수용체의 같은 부위에 작용하지만, 효능(efficacy)이 없기 때문에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되는 자료들에 따르면 모든 길항체의 효능(efficacy)이 0가 아니라 음수도 될 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음수의 효능을 갖는 약물을 역효현제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는 쥐의 cerebral cortex에서 얻은 membranes을 사용하여, A<sub>1</sub>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역효현제를 인구하였다. 8개의 길항제로 알려진 약물들이 G단백에 대한 [<sup>35</sup>S]GTP<sub>γ</sub>S 결합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역효현제의 특성을 검색하였다. 효현제에 의한 [<sup>35</sup>S]GTP<sub>γ</sub>S 결합의 증가는 이틀 길항제틀에 의해 완전히 억제되었지만, 검색한 8개의 길항제는 두 군으로 구분되었다. DPCPX를 포함한 7개 길항제는 효현제 부재시의 basal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을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감소시켜 역효현제의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CCS-15943은 basal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NEM을 membranes에 처치하면 PIA에 의한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이나 basal binding 둘다 감소하는데 이는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의 상당부분이 G단백의 activated state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sup>3</sup>H]DPCPX를 이용한 competitive binding assay에서 0.1 mM GTP는 효현제인 PIA의 apparent affinity를 감소시켰으며, DPCPX의 apparent affinity는 증가시키고, CGS-15943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상기의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의 결과를 뒤받침해 주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receptor model, competitive antagonists share with agonists the ability to bind to a common site on receptors, but they are different from agonist in that they cannot trigger the biological response-i.e., they lack intrinsic efficacy. Recent findings extend the model by indicating that not all antagonists display an intrinsic efficacy of zero but that some display inverse agonism .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the inverse agonism at A<sub>1</sub> adenosine receptors in membranes prepared from rat cerebral cortex. Eight commercially available A<sub>1</sub>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CGS-15943, ADPX, CPT, DPCPX, DPX, N-0840, PACPX and 8-PT) were screened for inverse agonism by measuring the extent of [<sup>35</sup>S]guanosine-5 -(γ-thio) triphosphate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 to G proteins. The agonist-induced stimulation of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s was completely blocked in the presence of A<sub>1</sub>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Under optimal conditions, two types of antagonists could be distinguished. Seven antagonists including DPCPX decreased the basal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 in the absence of agonist, displaying inverse agonist activity. One (CGS-15943) had no effect on the basal bindings. N-ethylmaleimide treatment reduced the basal bindings as well as agonist-mediated stimulation of [<sup>35</sup>S]GTP<sub>γ</sub>S bindings, indicating that a substantial amount of this binding reflects an activated state of the C proteins. In good agreement with these findings, 0.1 mM GTP decreased the apparent affinity of the receptors for the agonist PIA, increased that for DPCPX, and had no effect on that for CGS-15943.

      • Inverse Agonists at $A_1$ Adenosine Receptors in Rat Cerebral Cortex

        경선,완숙,김경환,Park, Kyung-Sun,Yang, Wan-Suk,Kim, Kyung-Hwan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logy 1996 대한약리학잡지 Vol.32 No.1

        전통적인 수용체 이론에 따르면 상경적 길항제는 효현제와 수용체의 같은 부위에 작용하지만, 효능(efficacy)이 없기 때문에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되는 자료들에 따르면 모든 길항체의 효능(efficacy)이 0가 아니라 음수도 될 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음수의 효능을 갖는 약물을 역효현제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는 쥐의 cerebral cortex에서 얻은 membranes을 사용하여, $A_1$ 아데노신 수용체에 작용하는 역효현제를 인구하였다. 8개의 길항제로 알려진 약물들이 G단백에 대한 $[^{35}S]GTP_{\gamma}S$ 결합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역효현제의 특성을 검색하였다. 효현제에 의한 $[^{35}S]GTP_{\gamma}S$ 결합의 증가는 이틀 길항제틀에 의해 완전히 억제되었지만, 검색한 8개의 길항제는 두 군으로 구분되었다. DPCPX를 포함한 7개 길항제는 효현제 부재시의 basal $[^{35}S]GTP_{\gamma}S$ binding을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감소시켜 역효현제의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CCS-15943은 basal $[^{35}S]GTP_{\gamma}S$ binding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NEM을 membranes에 처치하면 PIA에 의한 $[^{35}S]GTP_{\gamma}S$ binding이나 basal binding 둘다 감소하는데 이는 $[^{35}S]GTP_{\gamma}S$ binding의 상당부분이 G단백의 activated state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3H]DPCPX$를 이용한 competitive binding assay에서 0.1 mM GTP는 효현제인 PIA의 apparent affinity를 감소시켰으며, DPCPX의 apparent affinity는 증가시키고, CGS-15943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것은 상기의 $[^{35}S]GTP_{\gamma}S$ binding의 결과를 뒤받침해 주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receptor model, competitive antagonists share with agonists the ability to bind to a common site on receptors, but they are different from agonist in that they cannot trigger the biological response-i.e., they lack intrinsic efficacy. Recent findings extend the model by indicating that not all antagonists display an intrinsic efficacy of zero but that some display 'inverse agonism'.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the inverse agonism at $A_1$ adenosine receptors in membranes prepared from rat cerebral cortex. Eight commercially available $A_1$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CGS-15943, ADPX, CPT, DPCPX, DPX, N-0840, PACPX and 8-PT) were screened for inverse agonism by measuring the extent of $[^{35}S]guanosine-5'-({\gamma}-thio)$ triphosphate $([^{35}S]GTP_{\gamma}S)$ binding to G proteins. The agonist-induced stimulation of $[^{35}S]GTP_{\gamma}S$ bindings was completely blocked in the presence of $A_1$ adenosine receptor antagonists. Under optimal conditions, two types of antagonists could be distinguished. Seven antagonists including DPCPX decreased the basal $[^{35}S]GTP_{\gamma}S$ binding in the absence of agonist, displaying inverse agonist activity. One (CGS-15943) had no effect on the basal bindings. N-ethylmaleimide treatment reduced the basal bindings as well as agonist-mediated stimulation of $[^{35}S]GTP_{\gamma}S$ bindings, indicating that a substantial amount of this binding reflects an activated state of the C proteins. In good agreement with these findings, 0.1 mM GTP decreased the apparent affinity of the receptors for the agonist PIA, increased that for DPCPX, and had no effect on that for CGS-15943.

      • 흰쥐 대뇌피질에서 $A_1$ 아데노신 수용체의 탈감작

        경선,완숙,김경환,Park, Kyung-Sun,Yang, Wan-Suk,Kim, Kyung-Hwan 대한약리학회 1996 대한약리학잡지 Vol.32 No.2

        Following the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R(-)N^6-(2-phenylisopropyl)adenosine(600\;nmol/kg/hr)$ to rats for 1 week using t$Alzet^{\circledR}$ mini-osmotic pumps, $A_1$ adenosine receptor functions were determined using $[^3H]DPCPX$ binding, $[^{35}S]GTP_{\gamma}S$ binding, and adenylyl cyclase assays. $A_1$ adenosine receptor binding and the inhibition of adenylyl cyclase activity by PIA was not altered in cerebrocortical membranes prepared from PIA-treated rat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_1$ adenosine receptor-mediated stimulation of $[^{35}S]GTP_{\gamma}S$ binding to cerebrocortical membranes prepared from PIA-treated rats(22.0% decrease in basal activity; 19.7% decrease in maximal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sensitization of $A_1$ adenosine receptors following chronic administration involves agonist-induced uncoupling of the receptors from G proteins rather than alteration of $A_1$ adenosine receptor molecule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determination of stimulation of $[^{35}S]GTP_{\gamma}S$ binding to G proteins is a suitable tool in studying the receptor regulation including desensitization

      • 생체 모방 로봇 물고기의 설계와 제어에 관한 연구

        김영진(Young Jin Kim),이정민(Jeong Min Lee),김승재(Seung Jae Kim),양경선(Kyung Sun Yang),임충혁(Chung Hyuk Yim),김동환(Dong Hwan Kim)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6

        이 논문에서는 생체 모방(biomimetic) 물고기의 설계, 제작, 제어에 관하여 제안 하였다. 두 개 모터를 적용하여 물고기와 같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중성 부력을 유지하는 방법과 빠르게 장영하고, 방향을 전환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 하였다. 로봇 물고기의 꼬리는 유연한 움직임을 만들기 위하여 polymer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꼬리 내부는 관절과 강선으로 구성된다. 꼬리에 정현파 명령을 주어 물고기와 비슷한 유영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paper introduced a mechanical design, fabrication, control of a biomimetic fish robot. This robot adapts two 모터 s which make flexibly movement like a fish. Several schemes such as neutral buoyancy, fast underwater swimming and direction change were introduced. The Tail of fish robot is made from polymer material for flexible movement. Interior of tail comprises with a joint and wire. The tail of the sin wave command was applied to the tail to resemble real fish swimming.

      • KCI등재

        생체 모방 로봇 물고기의 설계와 제어에 관한 연구

        김영진(Young Jin Kim),김승재(Seung Jae Kim),양경선(Kyung Sun Yang),이정민(Jeong Min Lee),임충혁(Chung Hyuk Yim),김동환(Dong Hwan Kim) 대한기계학회 2012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6 No.1

        이 논문에서는 최소의 배터리를 소비하여 물고기 로봇을 구동하고, 물고기와 같은 유연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생체 모방(biomimetic) 물고기 로봇의 설계, 제작, 제어에 관하여 제안 하였다. 두 개 모터를 적용하여 물고기와 같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 하였다. 중성 부력을 유지하는 방법과 빠르게 잠영하고, 방향을 전환 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 하였다. 로봇 물고기의 꼬리는 유연한 움직임을 만들기 위하여 폴리머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꼬리 내부는 관절과 강선으로 구성된다. 로봇 물고기에 척추에 해당하는 우레탄 골격과 관절을 이루는 핀에 연결된 강선을 당겨 꼬리에 정현파 명령을 주어 물고기와 비슷한 유영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부력 조절 장치를 설치하였으며, 이 부력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물고기 로봇이 상승, 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mechanical design, fabrication, and control of a biomimetic fish robot whose driving motions resemble a real fish’s flexibility and movement. This robot uses two motors create flexible movement like that of a fish. Several schemes, such as neutral buoyancy, fast underwater swimming, and direction changes, are introduced. The tail of the fish robot is made of a polymer material for flexible movement. The interior of the tail contains a joint and a wire. A sine wave command was applied to the tail to produce motion resembling a real fish swimming, and a buoy control device was installed. The up and down motion of the robot fish was controlled using this device.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의 골다공증 유무에 따른 제지방의 중요성

        윤정은(Jeong Eun Yun),이승혜(Seung Hye Lee),최윤선(Youn Seon Choi),양경선(Kyung Sun Yang),엄현덕(Hyunduck Um),김선미(Seon Mee Kim),이준용(Joon Yong Lee) 이승환(Seung Hwa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1

        연구배경: 폐경 후 여성에서 체지방량과 제지방량 중에 어느 체성분이 더 골다공증과 연관성이 높은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여성을 골다공증 유무에 따라 구분한 뒤 제지방과 골밀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서울의 한 대학병원을 건강검진 목적으로 방문한 만 50세에서 만80세 사이의 폐경 후 1년이 경과한 100명의 건강한 환자를 대상으로 DEXA를 이용한 요추와 대퇴골부위의 골밀도와 생체 전기저항분석법을 사용하여 체지방량 및 제지방량을 측정한다. 요추와 대퇴골 부위 골밀도의 T score 값이 2.5 표준편차 이상 감소한 군을 골다공증군으로, 모든 골밀도 값이 1.0 표준편차 이하로 감소한 군을 정상군으로 그 외를 골감소증으로 분류하였다. 체지방량과 제지방량을 독립변수로 한 골다공증유무에 따른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100명의 환자 중에 골다공증군이 28명(28%)이었으며 대상자들의 평균 연령은 56.97±5.76세 였다. 체중과 체질량 지수는 요추 및 대퇴골의 골밀도(경부 및 전체)와 양의 관련성을 보였고 요추의 골밀도는 연령, 허리 둘레와 체지방량, 제지방량 및 상지, 하지, 몸통의 근육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는 연령, 제지방량 및 상지와 하지, 몸통의 근육량과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퇴골 전체의 골밀도는 허리둘레 체지방량 및 체지방율과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전체 환자군을 대상으로 요추의 골밀도 및 대퇴골 경부와 전체 골밀도 각각을 종속변수로 회귀분석 결과 제지방량은 골밀도 부위와 상관없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P<0.05). 골다공증의 유병위험은 제지방량이 1 kg 증가할수록 골다공증의 위험은 0.6배 감소하였으나 (95% CI: 0.384~0.934) 체지방량은 골다공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값은 체지방 값보다는 제지방량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lean mass and fat mass to the determination of bone mineral density(BMD) in postmenopausal women is a controversy. In this study, the impact of lean mass on BMD was examined, after the postmenopausal women were grouped by BMD level. Methods: The subjects were 100 postmenopausal women aged older than 50 and below 80 years old who visited a general hospital for medical check-up from July 2008 to November 2010. The lumbar spines and femur BMD T score were assessed with DEXA. And body fat mass and lean body mass were assessed with Inbody 720. Osteoporosis was defined as T score of any BMD lower than −2.5 SD. Normal group was defined as T score greater than −1 SD. They didn’t any disease and didn’t received hormone therapy or other medication that influence the bone density. Result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was 28% of this study. The mean age was 56.97±5.76. The results show that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eight, BMI and The lumbar spines and femur BM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ith all subjects show that lean body mass, as independent variable, has significant determinants of BMD.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osteoporosis prevalence decreased 0.6 fold with 1kg increase in lean body mass (95% CI: 0.384~0.934).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ean body mass rather than fat mass may be associated with BMD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집속 전자 빔 장치에서 스캔 주파수에 따른 실시간 디지털 필터 설계에 관한 연구

        김승재(Seung Jae Kim),오세규(Se Kyu Oh),양경선(Kyung Sun Yang),정광오(Kwang Oh Jung),김동환(Dong Hwan Kim)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5 No.5

        열 전자 방출 형 전자 빔 장치에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텅스텐 필라멘트에서 발생한 전자빔을 스캔 할 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스캔 되는 주파수에 따라서 시료 표면에서 튀어 나오는 2차 전자신호에 대하여 잡음 성분의 발생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잡음 성분 제거를 위한 필터설계를 위해서 2 차 전자신호에 대한 실시간 주파수 분석을 통해 신호와 잡음 성분을 구분했다. 그리고 부동 소수점 연산이 가능한 DSP 에서 디지털 필터 설계를 통하여 신호대비 잡음 성분 제거를 통하여 고배율로 획득한 전자현미경의 영상의 질을 향상 시켰다. To acquire images in a thermionic-scanning electron-beam system, a scanning unit is needed to control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tungsten filament source. In scanning the electron beam on the solid surface, the signalto-noise ratio depends on the scanning frequency. We used a digital filter to reduce noise by analyzing the real-time frequency of a secondary electron signal. The noise and the true image signal were well separated. We designed the digital filter via a DSP floating-point operation, and the noise elimination resulted in enhanced image quality in a highresolution mode.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의 대퇴부와 요추부 골밀도에 의한 골다공증 진단의 일치도

        이승혜(Seung-Hye Lee),윤정은(Jeong Eun Yun),최윤선(Youn Seon Choi),양경선(Kyung-Sun Yang),엄현덕(Hyunduck Um),김선미(Seon Mee Kim),이준용(Joon Yong Lee),이승환(Seung Hwan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3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4 No.2

        Background: Lumbar spine and total hip are widely used to measure bone mineral density (BMD) for diagnosis of osteoporosis. We want to evaluate relationship and concordance of the osteoporotic diagnosis between lumbar spine and total hip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BMD on both hips and lumbar spine of 100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were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The BMDs of total hip and lumbar 1~4 were classified into normal (T-score>−1.0), osteopenia (−1.0≥T-score>−2.5), osteoporosis (T-score≤−2.5) using WHO definitions. Results: Based on L1~4 T-score there were 15 osteoporotic, 35 ostepenic, 50 normal persons, and based on total hip T-score there were 1 osteoporotic, 20 ostepenic, 79 normal persons.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BMDs (r=0.695). For all age groups, lumbar BMDs are lower than hip BMDs and the gaps are severe in older group. The discordance rate was 43% for all cases, and this was 36% in their 50’s, 65% in 60’s, and 60% in 70’s with the highest rate in 60’s (P<0.05). The discordance rates of the normal, osteopenic and osteoporotic groups were 39, 60 and 0% respectively, with the highest rate in osteopenic group (P<0.05). Conclusion: The discordance rate between total hip and lumbar spine was as high as 43%, and was the highest in the osteopenic group in their 60’s. Therefore in post-menopausal women, the BMD of both sites should be checked together, but if not, the lumbar BMD should be checked first. 연구배경: 현재 골밀도 측정은 요추와 대퇴골 부위에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상태로, 저자들은 만 50세 이상 폐경 후 여성에서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각 부위의 골밀도의 상관관계 및 골다공증 진단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한 폐경 후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DEX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퇴 총골밀도와 제 1~4요추 골밀도를 WHO 정의에 의하여 각각 정상(T-score>−1.0), 골감소증(−1.0≥T-score>−2.5), 골다공증(T-score≤−2.5)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진단 일치도 및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제 1~4요추 T-score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5명, 골감소는 35명, 정상은 50명이었으며,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한 골다공증은 1명, 골감소는 20명, 정상은 79명이었다. 제1~4요추 평균 T-score와 총대퇴 T-score의 상관계수는 0.695로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밀도는 전 연령대에서 요추부가 총대퇴부 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심하였다. 제1~4요추 골밀도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도는 100예중 43예에서 불일치를 보여 43.0%였다. 연령대별 불일치율은 50대, 60대, 70대가 각각 36%, 65%, 60%로 50대에 비해 60, 70대에서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대퇴 총골밀도를 기준으로 분류한 각 군에 따른 불일치율은 정상인군, 골감소군, 골다공증 군에서 각각 39%, 60%, 0%로 골감소 군에서 가장 높은 불일치율을 보였다(P<0.05). 결론: 요추와 대퇴 총골밀도의 진단 불일치율은 43.0%로 높았으며, 특히 60세 이상과 골감소 군에서 높았다. 따라서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측정시 가능하면 대퇴부와 요추부의 골밀도를 함께 측정해야 하며, 부득이하게 한 곳만의 골밀도를 측정한다면 요추부 골밀도를 우선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