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별고사의 과학과 논술 문항 출제 영역 분석 : 2016~2018학년도 문항을 중심으로

        안유민(Ahn Yumin),김현정(Kim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공교육 정상화법 시행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은 대학별고사 과학과 논술 문항에 대한 교육과정 측면의 분석을 통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평가 도구로서의 논술 문항 및 교육과정 개선에의 시사점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논술 문항을 해결하기 위해 요구되는 과학과 성취기준을 코딩하고 적용된 성취기준의 수와 내용 영역의 관점에서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별고사의 과학과 문항은 대체로 복수의 성취기준을 적용하여 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빈번하게 출제되는 내용 영역과 출제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내용 영역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시행 목적에 부합하고 다양한 영역이 고르게 출제될 수 있도록 하는 과학과 논술 문항의 개발 및 관련 연구의 필요성과 과목별 성취기준의 개수와 같은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 하나의 성취기준에서 실제적인 수준과 범위가 과목 간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 개발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spects of the science essay questions for college entrance exam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alled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essay questions and curriculum improvement. For this, th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required for solving the essay questions were coded and the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number and content area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cience essay questions were generally solved by applying a plurality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re were frequently content areas for each subject.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cience essay question that meets the objectives of the implementation and to make the various fields evenly distributed. The necessity of preparing curriculum development guidelines to distribute the level and scope evenly among the subjects was discuss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수업 사례 연구: 교사들의 인식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중심으로

        안유민(Ahn, Yumin),김현정(Kim, Hy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도입되는 통합과학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과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전공의 과학 교사 4인의 수업 8차시를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과학과 수업평가매뉴얼을 바탕으로 수업을 분석하여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도출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수업의 주요한 변화는 ‘학생 중심 참여 수업’의 증가였다. 둘째, 실제 수업에서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 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탐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과학 교사들은 수시로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과정 중심 평가를 실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으나 일련의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교사 연구 모임 등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해결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과학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class in implementing the course of Integrated Science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eight classes of four teachers with a different sub-major were analyzed and then the four teachers were interviewed, and analyzed the class based on the science assessment manual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As a result, the major change of the class perceived by the teachers was the increase of the ‘Student-Centered Engagement Class.’ In the course based on various exploratory activities, lessons were implemented to improve scientific thinking ability, scientific inquiry ability, scientific communication ability, etc., and various methods as a process-oriented assessment were appropriately adopted by using formative and summative tests. However, it was found that science teachers, in fact, felt burdened with the determination and evaluation of the level and scope of Integrated Science to teach in the classroom, and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his were solved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such as ‘Teacher Research Group’.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과학 수업의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시계열적 특징 및 주제 분석

        변태진(Byun Taejin),안유민(Ahn Yu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공통 과목으로 신설된 통합과학 수업을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통합과학의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2차시에 걸쳐 통합과학 수업을 관찰하고 시계열 분석과 개방적 코딩 방법에 의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여 통합과학 수업의 주요 양상을 개략적으로 파악하고 통합과학 수업의 특징을 드러내는 주제를 도출하였다. 시계열 분석 결과에 따르면 통합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모둠 활동과 교사의 활동 안내가 우세한 양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통합과학 수업의 주제로는 ‘나눔과 소통을 강조하는 협동학습’, ‘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새로운 매체 도입’, ‘교사가 제공하는 피드백 양상’, ‘ 과학 지식 구조화는 선생님의 몫’의 4가지가 도출되었다. 이와 관련한 주요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에서 통합과학 담당 교사 간 협의의 중요성 및 통합과학 운영과 관련한 다양한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둘째, 학생 중심의 조사 활동에서 양질의 자료 획득을 위한 교사의 안내 및 교수학습 과정에서 피드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하는 통합과학 내용의 수준과 범위 및 교육과정 내에서의 연계가 더욱 명확하게 안내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넷째, 통합과학 실행에서 교사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이해하여 합리적이고 점진적인 절충을 통해 통합과학의 신설 취지에 부합하여 안착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of integrated science by gaining in a diverse and in-depth understanding the integrated science class newly established as a common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do this, the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was observed over 12 lessons, and the in-depth analysis by time series analysis and open coding method was conducted to grasp the main aspects of the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and to derive the topic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According to the time series analysis, the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was found to have the advantage of group activities and guidance of teachers. In addition, the four subjects of integrated science classroom were cooperative learning that emphasizes sharing and communication , introducing a new medium that is naturally accepted , some aspects of feedback provided by teachers , and structuring of science knowledge by teachers. respectively. The main discussion in this regard is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consultation between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science and the possibility of various mode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integrated science in the unit school were explored. Second, w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feedback in the process of teacher guidance and teaching and learning to obtain quality data in student-centered research activities. Third, it was proposed that the level and scope of the contents of integrated science to be dealt with in the curriculum and the linkage within the curriculum should be more clearly guided. Fourth, it was discussed that the difficulties faced by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cience should be settl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establishing integrated science through rational and gradual compromises.

      • KCI등재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글과 그림에서 드러나는 설명 유형을 중심으로

        신윤주 ( Yoonjoo Shin ),안유민 ( Yumin Ah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科學敎育硏究誌 Vol.44 No.1

        이 연구에서는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생 30명이 글과 그림으로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글 설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용어는 남중고도, 자전축, 공전 순으로 나타났으며, 글 설명보다 그림 설명에서 오개념이 많이 드러났다. 둘째, 글과 그림 설명을 종합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공전과 관련하여 자전축이 기울어져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거나, 지구의 공전 궤도 반지름 변화에 의해 계절 변화가 생긴다는 등 과학적 오류를 포함하는 설명 유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구의 자전과 관련하여 계절별 남중고도는 변화하나 태양이 뜨고 지는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는 등의 설명 유형도 나타났으며, 지구의 공전과 자전 모두와 관련하여 과학적 오류를 포함하는 사례도 일부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지식을 활용하여 특정 현상의 설명 체계를 구성해 보는 경험의 부족, 자연 현상에 대한 관찰 및 관측 경험의 부족,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는 다른 설명 체계에의 노출 부족 등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초등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과학 영역에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제고할 수 있는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written and drawn explanations of thirt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n the seasonal length of day and nigh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used the most common term in the description of the texts, such as meridian altitude, axis of rotation, and revolution, and there were more misconceptions in the drawn explanation than in the written explanation. Second, by analyzing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by combining written and drawn explanations, it is possible to detect scientific error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is closer when the axis of rotation is tilted in relation to the revolution and seasonal changes due to changes in the orbital radius of the Earth. In addition, there have been types of explanations such as seasonally changing meridian altitudes related to the rotation of the Earth but no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Su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discussed the lack of experience in constructing an explanatory system of specific phenomena using scientific knowledge, lack of observational experiences about natural phenomena, and lack of exposure to other explanatory systems that cause cognitive conflicts. We hope that it will be concrete and practical help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in the science domain of primary teacher training program.

      • KCI등재

        미래 학교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 모델링

        홍선주 ( Hong Sunjoo ),안유민 ( Ahn Yumin ),최영인 ( Choi Young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미래 사회에는 첨단 지능형 정보기술이 학교교육에 도입됨에 따라 미래 학교 및 교사의 역할에는 현재와 다른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연구에서는 미래 교육에서 변화한 교수학습 전문가로서의 교사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역량 모델링을 실시하여 미래 교사에게 요구되는 교수학습 역량의 층위 모형 및 교수학습 역량과 정의, 행동지표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분석을 통한 미래 학교 및 교사의 역할 변화에 대한 전망을 바탕으로 교수학습 역량의 기초 내용을 탐색하였다. 또한 역량의 개발 과정에서 미래 학교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 모델링 전문가인 대학 교수 또는 박사 학위를 가진 연구원 13명을 대상으로 3회, 미래 학교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사가 수행할 행동 및 행동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미래 교육 및 역량 중심의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교직 경력 10년 이상인 초·중등학교 교사 8명을 선정하여 2회에 걸쳐 전문가 초점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도출된 역량 모델링 결과에 대해 2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과 상관없이 동일하게 성공을 예측하는 ‘지속 역량’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환경이 변화하고 그러한 변화에 따라 새롭게 성공을 예측하는 정도가 높아지는 ‘강조 역량’으로 구분되는 역량의 층위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교수학습 기반 역량군, 교수학습 설계 역량군, 교수학습 실행 역량군, 교수학습 평가 역량군의 4개 역량군에 대하여 총 14개 역량과 32개 행동지표를 도출하였으며, 내용 타당도 비율(CVR)은 모든 항목에 대해 0.9 또는 1.0으로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개발 연구 및 미래 사회대비 교사의 역량 제고와 관련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upcoming future, it is expected that roles of schools and teachers will change significantly from the present. In this research, competency modeling i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competences to execute the role of teacher as experts of teaching skills changed in the future education, and teaching competences and its behavioral indicators for future teachers were derived. For this reas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we referred to the foundation of teaching competence based on the prospects for future school and teacher's role change. We also organized 13 processors and doctors and 8 teachers into two expert groups and interviewed focus groups all five tim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competences and behavioral indicators, conducted delphi surveys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competency modeling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 competence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onstant competences’ and ‘accentuated competences’, one of which carries the essence of teacher competence that would not change over time and the other which is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change of certain social conditions. Secondly, 14 competences and 32 behavioral indicators are derived for the four competence groups based on foundation of teaching skills, designing skills, practicing skills and evaluating skills for the teaching. A Content Validity Ration(CVR) was found to be very good at 0.9 to 1.0 for all ite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suggestions related to competence development research and improvement of competence of teachers in the future school.

      • KCI등재

        2015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권영락(Youngrak Kwon),이재영(Jaeyoung Lee),김찬국(Chankook Kim),재정(JaeJung Ahn),서은정(EunJung Seo),남윤희(Yunhee Nam),박은화(Eunwha Park),최소영(Soyoung Choi),안유민(Yumin Ah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이 연구는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방향과 주요 내용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은 기존의 환경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추구한 통합성의 강화와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실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과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을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이 결합된 형태로 진술하였다. 또한 학습량의 감축을 위해 학교급간 내용중복을 최소화하였으며, 학교급간 연계성과 위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접근 방법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이를 위해 중 · 고등학교 내용 체계 간의 동일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한편, 학생의 흥미를 유도하고 재미있는 학습을 위해 이전 교육과정 문서 체제와 달리 영역별로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가 신설되었는데, 이는 환경 과목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에 적용되었다. 앞으로 개정 환경 교육과정이 의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의 사례개발 및 보급과 지역적 여건이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마련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major changes in development of the 2015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inforcement of integrative approaches and the highlights of substantiality have been pursued in this curriculum revision. A set of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Environment subject has been proposed in connection between key concepts and core subject competencies. To minimize duplication of content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it was attempted in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differentiate the approaches based on school levels while maintaining the linkage, hierarchy, and framework of contents as a subject. In middle school level, exploring local environment in schools or communities is highlighted as a meaningful teaching-learning approach. In high school level, constructive approaches such as project-based and issue-based inquiries and newly introduced event-based inquiry are incorporated for higher level competencies.

      • KCI등재

        과학 교육과정의 탐구 내용 및 요소 국제 비교 :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유은정(Yu, Eun-Jeong),김현정(Kim, Hyunjung),이동욱(Lee, Dongwook),정은영(Jeong, Eunyoung),안유민(Ahn, Yu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4

        본 연구는 싱가포르, 에스토니아, 캐나다, 호주를 중심으로 과학과 교육과정의 문서를 분석하여 국가별 탐구 내용 및 요소를 살펴보고,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 있어 과학적 탐구를 국가수준의 과학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반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별 과학 교육과정 문서에 포함된 과학적 탐구의 의미와 역할을 중심으로 탐구 내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과학 교육과정 문서에 포함된 과학 탐구 내용에 대해 학년군별로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과학 탐구의 중요성은 과학 교육과정 문서에 모두 명확히 강조하고 있었지만, 국가별 과학 교육과정의 시작 시기와 과학 교육과정에서 과학 탐구 내용의 상세화 정도는 국가마다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둘째, 성취기준에 제시된 과학 탐구내용에 대하여 과학 탐구 요소를 살펴본 결과, 초등에서는 탐구 수행의 비율이 높은 반면 중등으로 갈수록 탐구 수행의 비율은 줄고 결론 도출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향후 이루어질 교육과정 개정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ocuments of science curriculum of Singapore, Estonia, Canada, and Australia to explore the country s inquiry contents and elements, and to derive insights into the design of competency-oriented curriculum to capture scientific inquiry into national science curriculum programming and operations.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curriculum by country, focusing on the meaning and role of the scientific inquiry included in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documen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inquiry for each grade by country in the scientific curriculum docu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nquiry was clearly emphasized in all scientific curriculum documents of the four countries, but the degree of elaboration of learning content per element in scientific curriculum and the beginning grade of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was somewhat different in each countr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cientific inquiry element shown in the scientific exploration activity, while the proportion of the implementing inquiry in elementary was high, the proportion of the implementing inquiry in the middle is de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the making conclusion was found to be higher.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as a significant basis data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