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reptomyces coelicolor의 RraA 동족체인 RraAS2에 의한 Escherichia coli RNase E 활성조절

        안상미,신은경,염지현,이강석,Ahn, Sang-Mi,Shin, Eun-Kyoung,Yeom, Ji-Hyun,Lee, Kang-Seok 한국미생물학회 2008 미생물학회지 Vol.44 No.2

        최근 Escherichia coli에서 RNA의 분해와 가공과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리보핵산 내부분해효소인 RNase E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 단백질 조절자인 RraA가 밝혀졌으며, 이 단백질은 E. coli RNase E의 효소활성 부위와 36%의 유사성을 가지는, Streptomyces coelicolor RNase ES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 coelicolor의 유전체에는 RraA와 아미노산 서열이 35.4% 이상 유사한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가 두 개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인 rraAS2를 클로닝하여 E. coli RNase E의 효소활성을 조절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세포내에서 RraAS2를 발현시키면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해 저해된 세포의 생장을 RraA와 같이 효과적으로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복원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raAS2가 발현됨으로서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해 증가된 ColE1-타입 플라스미드의 복제 수를 14%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raAS2가 RNase E의 RNA I분자에 대한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동일한 배양조건에서 E. coli 세포내에서의 RNase E에 대한 RraAS2의 상대적인 발현양이 RraA에 비해 6.2배 낮은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RraAS2가 RNase E의 과발현에 의한 세포 생장의 저해를 복원하는데 필요한 모든 RNA의 가공과 분해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하지는 못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RraA is a recently discovered protein inhibitor that regulates the enzymatic activity of RNase E, which plays a major role in the decay and processing of RNAs in Escherichia coli. It has also been shown to regulate the activity of RNase ES, a functional Streptomyces coelicolor ortholog of RNase E, which has 36% identity to the amino-terminal region of RNase E. There are two open reading frames in S. coelicolor genome that can potentially encode proteins having more than 35.4% similarity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RraA. DNA fragment encoding one of these RraA orthologs, designated as RraAS2 here, was amplified and cloned in to E. coli vector to test whether it has ability to regulate RNase E activity in E. coli cells. Co-expression of RraAS2 partially rescued E. coli cells over-producing RNase E from growth arrest, although not as efficiently as RraA, induced by the increased ribonucleolytic activity in the cells. The copy number of ColEl-type plasmid in these cells was also decreased by 14% compared to that in cells over-producing RNase E only, indicating the ability of RraAS2 to inhibit RNase E action on RNA I. We observe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RraAS2 was lower than that of RraA by 4.2 folds under the same culture condition, suggesting that because of inefficient expression of RraAS2 in E. coli cells, co-expression of RraAS2 was not efficiently able to inhibit RNase E activity to the level for proper processing and decay of all RNA species that is required to restore normal cellular growth to the cells over-producing RNase E.

      • 부분공기공동을 이용한 마찰저항감소에 관한 기초 연구

        안상미(Sang-Mi An),형택(Hyung-Teak Ahn) 대한조선학회 2011 대한조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1 No.11

        선박 저항을 줄이는 것은 선박 운용비와 CO2 발생량을 줄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선박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해 탄성 피막법, Riblet방법 등이 사용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기 윤활법을 사용하였다. 공기 윤활법은 선체 표면에 공기를 공급하여 침수 면적을 줄여 마찰 저항을 줄이는 방법이다. 울산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의 회류수조(Circulating Water Channel, CWC)에서 진행된 이번 실험은 유속을 달리하며 공기층의 형성 여부에 따라서 평판에 작용하는 마찰을 계측하는 것이다. 실험 모델은 길이 96cm, 폭 40cm, 두께 2cm인 아크릴 판을 사용하였다. Leading edge에는 반원 모형이고, 가운데 부분은 공기층이 형성 될 수 있도록 홈(70*34*1cm)이 파여 있다. 실험 값과 비교하기 위해 상용소프트웨어 Fluent12를 사용하여 수치계산 값과 비교해 보았다.

      • KCI우수등재

        원저 : 소아 청소년의 혈청 레지스틴과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의 관계

        김연경 ( Yeon Kyeong Kim ),안상미 ( Sang Mi Ahn ),조영은 ( Young Eun Jo ),최용준 ( Yong Jun Choi ),송경은 ( Kyoung Eun Song ),정선혜 ( Sun Hye Jung ),김혜진 ( Hae Jin Kim ),정윤석 ( Yoon Sok Chung ),이관우 ( Kwan Woo Lee ),김대중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3

        배경: 레지스틴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동물 모델에서는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물질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사람에서는 레지스틴과 비만,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가 뚜렷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에 비해 동반 질환이 거의 없는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레지스틴과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7세부터 17세까지 남자 69명, 여자 69명의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지방량은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복부의 피하지방 면적과 내장지방 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공복 시 채혈한 혈청에서 포도당, 인슐린, 레지스틴, 아디포넥틴, 렙틴, TNF-α, IL-6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레지스틴은 비만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6.02±2.83 vs 5.0±2.7 ng/mL, P<0.05). 레지스틴은 체질량지수 (r=0.225), 허리둘레 (r=0.273), WHR (r=0.228), 체지방량 (r=0.232), 체간부위 체지방백분율 (r=0.224), 피하지방 면적 (r=0.246), 내장지방 면적 (r=0.202), 렙틴 (r=0.251), TNF-α(r=0.27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레지스틴과 인슐린, 포도당, HOMA-IR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HOMA-IR은 체중 (B=0.283, P=0.003), 아디포넥틴 (B=-0.210, P=0.012), 성별(여성=1, B=0.295, P<0.001), 내장지방 면적(B=0.233, P=0.012), 중성지방(B=0.165, P=0.029) 등과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R2=0.369, P<0.001). 한편 다중회귀분석 결과 레지스틴은 허리둘레(B=0.264, P=0.002), TNF-α (B=0.220, P=0.009)와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R2=0.134, P<0.001). 결론: 레지스틴은 비만과 관련된 지표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인슐린 저항성과는 관련성이 없어, 레지스틴이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매개인자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Resistin is a novel adipocyte-derived hormone that has been proposed to Link obesity with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in mice models. However, many studies in humans have failed to reveal link between circulating resistin Levels and adiposity or insulin resistance. Therefore,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to evaluate whether resistin correlates with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ifty overweight and 88 normal children, aged 7~17 yr (mean 11.7±1.9 yr) were enrolled. Body composition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can, and CT scan at the umbilical Level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abdominal fat. Serum glucose, insulin and adipocytokines (resistin, adiponectin, Leptin,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terleukin(IL)-6 were measured. Serum resis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verweight than control group (6.02±2.83 vs 5.0±2.7 ng/mL, P<0.05). Serum resistin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aist to hip ratio (r=0.228), body mass index (r=0.255), total fat mass (r=0.232), trunk fat percent (r=0.224), abdominal subcutaneous area (r=0.246), visceral fat area (r=0.202), serum Leptin (r=0.251) and TNF-α (r=0.270) (P<0.05, respectively). No associations of serum resistin with serum fasting glucose, insulin Levels and HOMA-IR were detected. Using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models, body weight, adiponectin, sex, visceral fat area, and triglyceride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OMA-IR. Waist circumference and TNF-α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esistin Levels. Serum resistin Levels are associated with obesity but not with insulin resistance. Resistin is unlikely to be a major Link betwee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원저 : 한국인 비당뇨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 지표의 기준치

        권혁춘 ( Hyeok Choon Kwon ),우성일 ( Seong Ill Woo ),김연경 ( Yeon Kyeong Kim ),안상미 ( Sang Mi Ahn ),송경은 ( Kyoung Eun Song ),정선혜 ( Sun Hye Jung ),김대중 ( Dae Jung Kim ),정윤석 ( Yoon Sok Chung ),이관우 ( Kwan Woo Lee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2

        연구배경: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에서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 지표의 기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 대사증후군 연구(Korean Metabolic Syndrome Study)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30세에서 79세까지 976명(남자 484명과 여자 492명)의 비당뇨 성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 독립변수로서 공복 인슐린,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QUICKI)의 사분위에 따라 대사증후군 이환에 대한 교차비를 조사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이환율이 증가하는 공복 인슐린, HOMA-IP, QUICKI의 기준치를 알기 위해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분석을 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상위 사분위에 해당하는 값을 인슐린 저항성으로 볼 때 공복 인슐린이 12.94 μU/mL, HOMA-IP 이 3.04, QUICKI의 하위 사분위에 해당하는 기준치는 0.32였다. 최하위 사분위와 비교하였을 때, 공복 인슐린, HOMA-IR, QUICKI의 최상위 사분위에서 대사증후군의 이환율에 대한 보정 교차비는 각각 1.95(1.26~3.01), 2.27(1.45~3.56), 2.27(1.45~3.56)이었다. ROC 분석에 의하면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 지표로서 공복 인슐린의 기준치는 10.57 μU/mL (민감도 58.5%, 특이도 66.8%), HOMA-IR의 2.34(민감도 62.8%, 특이도 65.7%), QUICKI의 기준치는 0.33 (민감도 61.2%, 특이도 66.8%)였다 (P<0.001). 결론: 공복 인슐린, HOMA-IP, QUICKI는 한국인 비당뇨 성인에서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좋은 지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연구를 통해 만들어진 기준치를 한국인 비당뇨 성인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조사하고 대사증후군을, 예측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cutoff values of surrogate measures of insulin resistance for diagnosing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Research Design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the Korean Metabolic Syndrome (KMS) Study. The data from 976 non-diabetic individuals (484 men and 492 women) aged 30~79 years were analyzed. We determined the odds ratios for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quartiles of fasting insulin,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 (HOMA-IR), and quantitative insulin sensitivity check index (QUICKI)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adjusting for age, sex, and body mass index. The areas under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for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for increased metabolic syndrome were compared, and the cutoff values of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were estimated. Results: The cutoff points for defining insulin resistance are a fasting insulin level of 12.94 μU/mL, HOMA-IR=3.04 as the 75th percentile value, and QUICKI = 0.32 as the 25th percentile value. Compared with the lowest quartile, the adjusted odds ratios for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highest quartiles of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were 1.95(1.26~3.01), 2.27(1.45~3.56), and 2.27(1.45~3.56), respectively. The respective cutoff values for fasting serum insulin, HOMA-IR, and QUICKI by ROC analysis were 10.57μU/mL (sensitivity 58.5%, specificity 66.8%), 2.34(sensitivity 62.8%, specificity 65.7%), and 0.33(sensitivity 61.2%, specificity 66.8%). Conclusions: Fasting insulin, HOMA-IR, and QUICKI are good surrogate measures of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non-diabetic adults. We suggest that the cutoff values using these simple methods could be applied to evaluate insulin resistance and predict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non-diabetic adults.

      • KCI등재

        증례 : 후복강 기관지원성 낭종 1예와 후복강 종양의 임상 경험

        임남규 ( Nam Kyu Lim ),김연경 ( Yun Kyung Kim ),안상미 ( Sang Mi Ahn ),김대중 ( Dae Jung Kim ),정윤석 ( Yoon Sok Chung ),이관우 ( Kwan Woo Lee ),소의영 ( Euy Young Soh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1

        후복강 종양은 비교적 드문 질환이며, 대부분 증상 발현이 없다가 전산화 단층 촬영 등을 통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우연히 발견된 후복강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여 외과적 절제술 후 매우 희귀한 질환인 기관지원성 낭종을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하였기에 최근 5년간 본원에서 진단받은 연부조직 후복강 종양들의 비교 및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 하는 바이다. Retroperitoneal tumors are rare. They are asymptomatic, and are often found incidentally on abdominal computed tomograms (CTs). The patient reported here visited our hospital complaining of right flank pain. On abdominal CTs, a left-side retroperitoneal mass and a right ureteral stone were found. The hormonal study was normal. After surgical excision, the tumor was confirmed to be a bronchogenic cyst histologically, a very rare cause of retroperitoneal tumor. Our medical center has seen 15 cases with a soft tissue mass in retroperitoneal space over the past 5 years. Benign tumors were incidentally, while malignant tumors were often diagnosed after the patient complained of a palpable mass. In many of these cases, the radiologic impressions and pathologic diagnosis were inconsistent.(Korean J Med 71:97-102, 2006)

      • SCOPUSKCI등재

        자연발생 당뇨쥐의 신장에서 섬유화 초래인자인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의 발현

        김형엽 ( Hyung Yup Kim ),장재휘 ( Jae Hwi Jang ),상미 ( Sang Mi Han ),기성 ( Ki Sung Ahn ),박성배 ( Sung Bae Park ),김현철 ( Hyun Chul Kim ),박관규 ( Kwan Kyu Park )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2

        목적 : 당뇨병성 신질환은 당뇨병중에서 나타나는 합병증의 하나로서 사구체경화에 의한 신장의 기능상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당뇨병적 사구체경화와 과혈당증은 세포외기질의 증가로 인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중에 하나로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의 과발현에 기인한다고 알려져 있다. 당뇨병에 의해 사구체의 경화가 일어나면 그 회복이 불가능하며 근본적인 치료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TGF-β1의 발현시기와 위치를 찾는 것은 이를 바탕으로한 치료 시기 및 방법 결정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방법 : 자연발생적인 제 2형 당뇨병 모델인 OLETF 쥐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유전적으로 유사하나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는 LETO 쥐를 사용하여, 당뇨에 의한 사구체 섬유화와 TGF-β1의 발현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당뇨병적인 증상이 관찰된 쥐를 30주부터 60주까지 혈당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희생 후 신장을 적출하여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고, TGF-β1에 대한 면역조직화적 염색 및 RT-PCR을 실시하여 TGF-β1의 발현 양과 발현 부위를 조사하였다. 결과 : 37주째의 혈당은 OLETF 쥐와 LETO 쥐에서 각각 237 mg/dL와 131 mg/dL이었으며, 체중에 있어서는 OLETF쥐가 LETO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HE염색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에서는 60주까지도 사구체경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TGF-β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30주에서 40주까지의 OLETF 쥐에서 사구체 내피세포에서 TGF-β1이 발현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37주부터는 세뇨관 상피세포에서도 TGF-β1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60주 OLETF 쥐의 사구체 내피세포에서는 TGF-β1의 발현은 없었으나, 세뇨관 상피세포에서는 많은 양의 TGF-β1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다. 30주째의 OLETF 쥐와 LETO 쥐로부터 RNA를 분리하여 TGF-β1 mRNA에 대한 RT-PCR 결과, LETO 쥐에 비하여 OLETF 쥐에서 TGF-β1 mRNA의 발현이 의의있게 많았다. 대조군인 LETO 쥐는 유의할 만한 TGF-β1의 발현이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OLETF 쥐의 사구체 섬유화는 60주까지도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으나, 30주 이후에 혈당과 TGF-β1의 발현은 크게 증가하였다. OLETF 쥐 37주째부터는 TGF-β1의 발현이 사구체 내피세포에서 뿐만 아니라 세뇨관 상피세포에서도 과다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 Diabetic nephropathy is a common cause of end-stage renal disease by means of glomerular and interstitial fibrosis. Increases in extracellular matrix (ECM) and changes in its components have been documented in the glomeruli of diabetic nephropath. Fibrogenic cytokines, particularly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β1, play a central role in progressive renal fibrosis. Activated TGF-β1 is known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ECM as collagen and fibronect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 is an inbred strain that spontaneously develops non-insulin-depentent diabets mellitus which progresses to diabetic glomerulosclerosis. This study is examined the time points and localization of TGF-β1 in diabetic glomerulosclerosis of OLETF rats. Methods : OLETF rats, a chronic model for human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age-matched control (LETO) rats were used. Blood was assayed for glouse and body weight were measured. From rats aged 30 to 60 weeks, animals were sacrificed under ether anesthesia, and both kidneys were removed. Portions of these tissues were processed for light microscopy and immunohistochemistry of TGF-β1. TGF-β1 mRNA levels were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 The body weights of OLETF ra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of LETO rats from the age of 30 to 40 weeks, but those of OLETF rats gradually decreased after 40 weeks of ag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s between these two strains at 50 weeks of age. Blood glucose levels of OLETF ra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ing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LETO rats after 32 weeks of age. There was no significant fibrosis in kidney of OLETF and LETO rats at all ages examined. The TGF-β1 protein was detected in the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and tubular epithelial cells of OLETF rats at 35 to 38 weeks of age. The TGF-β1 protein in tubular epithelial cells of OLETF rats was strongly expressed at 60 weeks of age, whereas the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scarcely detected the expression of TGF-β1 protein. In LETO rat kidneys, the TGF-β1 protein is detected in the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at 35 weeks of ages, but is not detected in any other cells. The TGF-β1 mRNA of OLETF rats were increased at 32 weeks of ag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LETO rats. Conclusion : Until 60 weeks of age, glomerular sclerosis became very weakly in OLETF rats. However, in 30-week-old OLETF rats, the blood gloucose levels and TGF-β1 protei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TGF-β1 protein was detected in the glomerular endothelial cells and tubular epithelial cells of OLETF rats at 37 weeks of age.

      • KCI등재

        제주마(濟州馬) 씨수말의 방목지(放牧地) 행동(行動) Pattern에 관한 조사(調査) 연구(硏究)(1)

        권태준(Tae Jun Kwon),정진우(Jin Woo Jung),강옥득(Ok Duk Kang),김경균(Gyung Gyun Kim),강동근(Dong Gun Kang),김정희(Jung Hee Kim),박준형(Jun Hyung Park),김동우(Dong Woo Kim),안상미(Sang Mi Ahn),강민수(Min Soo Kang) 제주학회 2007 濟州島硏究 Vol.30 No.-

        This study was made for helping to understand of the behaviour of the horse from Jeju by fundamental research of the horse of Jeju and its behaviors because domestic leisure businesses and the horse affair business which is one of the tourism business of Jeju will be developed, hence we concluded that the study of the horse of Jeju, one of the domestic pure breeds, will be focused. We divided the well known behaviors of it into 4 groups that are maintenance acts such as eating, drinking, urination and excretion, relaxation acts while it is standing and sitting and moving acts. The duration of the study was from April to December in 2006 and January to July in 2007. And the research of behaviors was done in a pen in (Provincial Livestock Institute) from April to November in 2006 and another research was made in a grazing land governed by Provincial Livestock Institute in a grazing land from April to July in 2007. In using SPSS 12.0, a statistic program, We made data on the time of each type of behaviours of IN(Individual Number) 1-23 in 2006, IN 1-30 in 2007 based on the behavior style. To compare them and see whether there s any differences between them, we tried technical statistics and t-test. Considering the eating act among the maintenance acts, we can see that frequency of IN 1-23 s eating act had been decreased about 29 to 8 from April to July which is a breeding season and same in August. The average time of it was shorten 234 to 142 seconds. From September to November that is after the breeding season, the frequency was increased to 45 and the average time was also increased from 200 to 413 seconds. The two horses drank water twice a day and for IN 1-30, the average time of drinking in January to March when before being in a grazing land was longer than it in April to July when it was in a grazing land. While for IN 1-23, it was decreased from 150 seconds in April to 8 seconds in June and in July it was increased again to 54 seconds then, it was changed to 13 and 40 seconds. The excretion act among the maintenance acts was done twice a day for 10 seconds same as the urination act. In relaxation acts during standing, IN 1-23 showed fairly even frequency, 55 times through out the whole year and the average time of it in April to July, the breeding season, was decreased to about 70 seconds compared to it in August to in November that is 120 seconds, For IN 1-30, the frequency from January to March was 27 times and it was increased from April to July to 73 times. And the average time of it was decreased from 250 seconds, that was from January to March to 130 seconds, that was from April to July. The relaxation acts during sitting were happened 2 or 3 times to both 2 horses and it had a big difference between them. For moving acts, IN 1-23 showed over 40 times of it from April to July. And it became decreased in August to about 40 times and from September to November to about 30 times. The average time of it were about 200 seconds from April to August but from September to November, it moved about 55 seconds, For IN 1-30, moving acts were increased from 25 times that was from January to March to 40 times that was from April to July. 본 연구는 앞으로 우리 제주특별자치도의 마산업이 크게 발전함에 따라 말의 활용과 밀접히 관련있는 여가산업과 관광산업 또한 동반하여 발전하게 될 것으로 여겨지며, 이에 따라 매우 소중한 순수 동물유전자원중의 하나인 제주마에 대한 연구는 매우 큰 관심을 끌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제주마의 기초적인 연구이면서 점차 폭넓게 활용이 될 씨수말의 행동 연구를 통하여 제주마의 번식률 향상 및 말 사육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말의 행동양식에 대해 유지행동(채식, 음수, 배설행동)과 휴식행동(서서, 앉아서), 이동행동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연구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2월까지. 그리고 2007년 1월부터 7월까지 수행되었으며. 2006년 12월부터 2007년 3월까지는 축산진흥원내의 마사 내에서 조사가 진행되었고, 2006년 4월부터 11월까지, 그리고 2007년 4월부터 7월까지는 축산진흥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견월악 방목지에서 조사가 진행되었다. 2006년에는 씨수말 No.1-23번이, 2007년에는 씨수말 No.1-30변을 대상으로 여러 행동양식에 따라 행동유형별 빈도와 지속시간을 정밀 측정 기록하였다. 수집된 조사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Chicago University, 196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두 씨수말의 방목지 행동을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씨수말의 행동에는 과연 변이가 인정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지행동 중 채식행동의 경우를 보면 씨수말 1-23번의 경우에는 번식기인 4월의 채식빈도는 1일 약 29회에서 7월에는 약 8회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8월의 경우에도 전월과 통일하게 약 8회를 나타냈다. 또 채식 평균 지속시간의 경우 4월 약 234초에서 7월 약 142초 정도로 감소했다. 비번식기인 9월부터 11월까지는 채식빈도가 각각 약 45회 정도로 번식기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채식 명균 지속시간의 경우에도 번식 기에는 약 200초 비번식기에는 약 413초로 크게 증가하였다. 다음 음수행동의 빈도는 씨수말 두 개체 모두 1일 평균 약 2회 정도 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음수 지속시간은 씨수말 1-30번의 경우에 방목되기 전인 1월부터 3월까지 방목이 이루어진 4월부터 7월에 비하여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씨수말 1-23번의 경우 4월에는 약 150초에서 6월에는 약 8초, 7월에는 약 54초로 증가하는 등 다양한 변이를 나타냈다. 배설행동 중 배분행동은 씨수말 두 개체 모두 1일 약 2회, 평균 지속시간은 약 10초 내외로 행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뇨행동 또한 배분행동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났다. 휴식행동 중 서서행동의 경우 씨수말 1-23번은 1일 약 55회 정도로서 연중 고른 빈도를 나타내나, 평균 휴식 지속시간은 번식기인 4월부터 7월에는 약 70초 내외, 8월부터 11월에는 약 120초 정도와 비교하였을 때 비번식기는 번식기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씨수말 1-30번의 경우는 서서행동 빈도는 1월에서 3월까지가 1일 약 27회, 4월에서 7월까지는 약 73회로 증가하였고, 평균 지속시간은 1월부터 3월까지는 약 250초, 4월부터 7월까지는 약 130초 정도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씨수말 앉아서 휴식행동의 경우는 두 개체 모두 1일 약 2-3회 정도로 나타났으나 별 차이가 없었다. 이동행동은 씨수말 1-23번의 경우, 4월부터 7월까지는 1일 약 40회 이상의 빈도를 나타냈고, 8월에도 약 40회, 그리고 9월부터 11월까지는 약 30회 정도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1회 평균 이동 지속시간은 4월부터 8월까지는 약 200촉 정도였으나 9월부터 11월까지는 약 55초 내외로 감소했다. 씨수말 1-30번의 경우에는 1월부터 3월까지는 1일 이동 빈도가 약 25회 정도로, 4월부터 7월까지 약 40회 정도로 1~3월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