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한 고등학교 교사의 과학적 모델링에 대한 이해 및 수업 실행 변화 탐색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심수연 ( Soo-yean Sh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E 교사)가 약 1년 3개월간 교사공동체 탐구에 참여하며 어떻게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을 변화시켜나갔는지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상황 학습 관점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E 교사의 사회적 상호작용들로부터 모델링에 관한 그녀의 프레임들을 탐색하였다. E 교사는 1년 3개월간 총6회의 “스튜디오”라는 교사 연수에 참여해 같은 학교의 과학 교사들과 연구자들, 코치들과 협력하였다. 매 스튜디오에서 참여자들은 함께 모델링 기반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고, 그에 관해 반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E 교사가 수업을 진행한 2회차, 6회차 스튜디오에 초점을 맞추어, E 교사의 교사공동체 및 교실 상호작용으로부터 드러난 모델링에 관한 그녀의 프레임들을 질적으로 탐색하고, 그로부터 E 교사의 이해와 실행에 변화가 있었는지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교사공동체 탐구가 E 교사의 이해와 실행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탐색하기 위하여, 1-6회차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교사공동체 탐구가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2회차 스튜디오에서 E 교사는 과학적 모델링을 학생들이 활동지에 정답을 채워 넣는 활동으로 보고 있었다. 반면 6회차 스튜디오에서 E 교사가 드러낸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프레임들은 그녀가 모델링을 학생들이 협력을 통해 증거를 사용하여 자연현상에 관한 설명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보고 있었음을 보여 주었다. E 교사가 속한 교사공동체는 모델링 기반 교수를 발전시키고자 하는 목표를 바탕으로, 매 스튜디오에서 학생들의 모델링을 돕고, 학생들의 설명과 추론을 분석하였다. 또한 그들은 여러 스튜디오들에 걸쳐 탐구 초점들과 교수 실행들을 구체화시키고 발전시켜나갔다. 이러한 공동체 탐구의 초점들은 E 교사의 과학적 모델링에 관한 이해와 실행 변화에 반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공동체 탐구나 교사 전문성 발달을 지원하고자 하는 연구자, 실행가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 high school science teacher (Teacher E) shifted her understanding and facilitation of scientific modeling through participation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for over a year. Based on socially situated theory of learning, I focused on examining Teacher E’s frames about scientific modeling from her social interactions. Teacher E participated in her school-based PLC over a year and collaborated with other science teachers, coaches, and researchers to improve science instruction. I qualitatively explored her participation in 6 full-day professional learning opportunities―Studios―where the PLC members collectively planned, implemented, and debriefed modeling-based lessons. Especially, I focused on two Studios (Studio 2, 6) where Teacher E became the host teacher and implemented the lessons. I also examined her classroom teaching in those Studios. To understand how the PLC inquiry affected the shifts observed in Teacher E’s understanding and practice, I explored how the inquiry evolved over the 6 Studios. Findings suggest that in Studio 2, Teacher E viewed students’ role in scientific modeling as to fill out the worksheet with “correct” answers. Meanwhile, in Studio 6, she focused on helping students collaborate to construct explanatory models of phenomena using evidence. The PLC inquiry, focused on supporting students’ construction of evidence-based explanations and collaboration in scientific modeling, seemed to promote the shifts observed in Teacher E’s understanding and facilitation of scientific modeling. These findings can inform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ho aim to promote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to support students’ epistemic practices.

      • KCI등재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가 낮은 초등 4학년 학생들의 과학 정체성 탐색

        강은희 ( Eunhee Kang ),김찬종 ( Chan Jong Kim ),최승언 ( Seung Urn Choe ),노태희 ( Tae Hee Noh ),유준희 ( June Hee Yoo ),심수연 ( Soo Yean Shim ),김희백 ( Heui 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4 No.7

        이 연구는 과학 정체성 개념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2013년 서울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의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과학 활동 경험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과학에 대한 흥미는 높으나 관련 진로 포부가 낮다고 보고한 학생들(N=45)을 선별하였다. 이 가운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9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정체성(흥미, 능력, 타인에 의한 인정) 및 과학 관련 활동의 경험과 인식에 대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제한적이거나 상황적으로 유발되는 과학에 대한 흥미를 보였으며, 자신의 과학 능력과 과학 진로를 위해 필요한 능력의 차이, 또는 긍정적이지 않은 타인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의 과학 정체성과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낮은 포부는 과학 관련 활동에 대한 그들의 관심과 참여를 제한하였다. 참여자들은 대부분 상황적인 흥미를 유발시키는 일회적인 활동에 관심을 보였고, 실제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자신들이 하는 활동이 과학 진로를 원하는 학생이 하는 활동과 다르다고 분명하게 구분하였고, 자신들의 능력이 부족하거나, 과학 관련 진로와 관련된다고 판단되는 활동들을 기피하였다. 참여자들의 부정적인 과학 정체성과 관련 진로에 대한 낮은 포부는 이들의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높은 기준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이들의 잘못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과 기대는 참여자들이 자신과 과학관련 진로 학생과의 차이를 갖게 하고,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기에 과학에 대한 흥미, 능력, 타인의 평가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도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과 관련하여 어린 학생들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포부를 높이기 위한 활동의 목표와 전략을 모색하는데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y Korean 4th graders’ interest in science was not connected to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using the perspective of science identity. Forty-five students with a highinterest in science but with low science-related aspirations have been chosen from 488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completed a questionnaire exploring students’ interest and career aspirations in science. Among them, 19 who have received parental permission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examining students’ science identities (interest, competence, and recognition by others in science) and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activ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ents have limited or situational interest in science, a ga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ir competence in science and their competence for a science-related career, and negative recognition by others in science. Also,participants’ science identities and low aspirations for a science-related career constrained their attention and participation in science-related activities. Students’ negative science identities and low aspirations for science-related careers were based on the high standards of science-related careers. It seems thatthese erroneous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led them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students pursuing science-related careers, as well as to perceive that their interest, competence, and recognition by others in science were not enough to pursue a science-related career.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the current condition of young students with low aspirations for science careers and exploring desirable objectives and strategies to promote activities to raise their aspirations for science-related car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