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절초 에탄올 추출물의 FcεRI α chain 발현 저해효과

        심선엽(Sun-Yup Shim),변대석(Dae-Seok Byu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2

        KU812F 세포는 세포표면에 FcεRI을 발현하고 있어, IgE를 매개로 한 알러지 반응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U812F 세포를 이용하여, FcεRI α chain 발현에 있어 구절초 에탄올 추출물의 저해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FcεRI α chain의 세포표면 발현량 및 mRNA수준을 구절초 추출물이 감소시키는 것을 flow cytometry 및 RT-PCR로 각각 확인하였다. 또한, 구절초 추출물은 CRA-1 자극에 의한 히스타민 유리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구절초 추출물이 FcεRI α chain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히스타민 유리가 억제되고, 이를 통해 항알러지 활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Human basophilic KU812F cells express a high affinity for IgE receptor, FcεRI,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munoglobulin E (IgE)-mediated allergic reactions. Using the human basophilic KU812F cells, we asses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ethanolic extract from Chrysanthemum zawadsaki(CZ) on FcεRI α chain expression. Flow cytometric analysis showed that cell surface FcεRI α chain expression was suppressed when the cells were cultured with CZ extract. RT-PCR analysis showed that the mRNAs for FcεRI α chain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CZ extract. Moreover, CZ extract was also observed to result in a reduction in the release of histamine from anti-FcεRI antibody (CRA-1)-stimulated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Z extract may exert anti-allergic activity through down-regulation of FcεRI α chain expression and a subsequent decrease in histamine release.

      • KCI등재

        Induction of Rice Allergen-Specific IgE Synthesis by KU812 Cells

        Sun-Yup Shim(심선엽),Yoshinori Katakura(요시노리 카타쿠라),Sanetaka Shirahata(시라하타 사네타카)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1

        CD40L를 발현하는 KU812세포와 CD40를 발현하는 항원 특이적 B 세포의 배양을 통해 IgE 클라스 스위치가 유도된다. 본 연구자는 체외면역법에 의해 건강인의 말초혈액을 이용하여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M 항체를 생성하는 B 세포주를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U812세포에 의한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항체의 유도를 시도하였다. 배양 전, 쌀 알레르겐 특이적 B 세포주, RA9G11과 PMA와 ionomycin을 6시간 처리하여 활성화된 KU812세포에서 CD40와 CD40L 발현량을 flow cytomerty를 통화여 각각 확인하였다. RA9G11세포와 활성화된 KU812세포는 높은 수준의 CD40와 CD40L를 각각 발현하였다.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항체 합성 유도를 위해, 여러 가지 농도의 IL-4 존재하에, RA9G11세포와 활성화된 KU812세포를 12일 동안 배양하였다. IgE 정상영역의 mRNA 발현량과,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항체 생성 세포가 모든 조건에서 확인되었으며, 특히 50U의 L-4 농도 하에서 같은 비율의 RA9G11과 활성화된 KU812세포를 배양했을 때, IgE 합성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활성화된 KU812세포에 의한 쌀 알레르겐 특이적 IgE 합성은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관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vitro IgE class switching could be induced through co-culture of CD40L-expressing KU812 cells and CD40-expressing B cells in the presence of IL-4 or IL-13. It has been generated several B cell lines, which produce rice allergen (RA)-specific IgM antibody by in vitro immunization (IVI) using peripheral blood lymphocyte (PBL). In this study, induction of RA-specific IgE antibody by KU812 cells was attempted. Before co-culture, we determined the CD40 expression in RA-specific B cell lines, RA9G11 and the CD40 ligand (CD40L) expression in activated KU812 cells by treatments with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and ionomycin for 6 hrs. Flow cytometric analysis shown that RA9G11 and activated KU812 cells expressed high level of CD40 and CD40L, respectively. RA9G11 cells were cultured with activated KU812 cells for 12 days in the presence of IL-4 for IgE class switching. Mature Cε mRNA level and RA-specific IgE spot forming cells (SFC) were observed in all culture condition, and especially, high level of RA-specific IgE synthesis was determined the same ratio of RA9G11 and activated KU812 cells in the presence of 50U IL-4. Therefore, induction of RA-specific IgE synthesis by activated KU812 cells can be contributed in the application for allergic therapy and prevention.

      • KCI등재

        Inhibitory Effect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Ethanolic Extracts on FcεRI α Chain Expression

        Sun-Yup Shim(심선엽),Chan-Ki Sung(성찬기),Sang-Won Lee(이상원),Young-Ju Choi(최영주),Hyeung-Rak Kim(김형락),Dae-Seok Byun(변대석)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11

        호염기구와 비만세포는 FcεRI을 매개로 한 알러지 반응에 있어 효과세포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인간 유래 호염기구성 세포주 KU812F 세포의 FcεRI α chain 발현에 있어 지리 오갈피의 저해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지리 오갈피의 뿌리 및 줄기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FcεRI α chain 저해 활성 실험에 이용하였다. 세포 표면의 FcεRI α chain 발현량을 flow cytometry로 분석한 결과, 지리 오갈피 뿌리 및 줄기 추출물에서 세포표면의 FcεRI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지리 오갈피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은 FcεRI α chain mRNA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FcεRI을 매개로 한 히스타민 유리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지리 오갈피의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이 FcεRI α chain 발현의 저하 조절 및 히스타민과 같은 염증매개인자의 분비를 저하시킴으로서 항 알러지 활성을 갖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Basophils and mast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FcεRI-mediated allergic reaction as effector cells. We studied the effects of Acanthopanax chiisanensis on FcεRI α chain expression in human basophilic KU812F cells. Ethanol extracts from root and stem of A. chiisanensis were tested for inhibitory effects of FcεRI α chain expression. The cell surface FcεRI α chain expression was examin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All of the extracts of A. chiisanensis reduced the cell surface FcεRI α chain expression. Furthermore, A. chiisanensis extracts caused a decrease in the level of FcεRI α chain mRNA level and FcεRI-mediated histamine rele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ot and stem extracts of A. chiisanensis play an important role in anti-allergic activity via down-regulation of FcεRI α chain expression and decrease in release of inflammatory mediator such as histamine.

      • KCI등재

        고등어 아가미에서 추출한 Lipoxygenase 의 특성

        홍정화,심선엽,변대석 ( Jeong Hwa Hong,Sun Yup Shim,Dae Seok Byun ) 한국수산과학회 1994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7 No.6

        Lipoxygenase of mackerel gill exhibited the highest reactivity toward eicosapentaenoic acid (EPA) followed by arachidonic acid, linoleic acid. The optimum pH were pH 4.5, 5.0 and 4.8 for EPA, arachidonic acid and linoleic acid, respectively. The enzyme was the most stable at pH 5.5. Optimum temperature was 25℃ for all substrate fatty acids. For linoleic and arachidonic acids the highest thermal stability was observed at 8℃; whereas, for (EPA) at 20℃. Optimum ionic strength was 0.22M. Sn^(2+), vitamin E and catechin completely inhibited the enzyme at the concentration of 1.0mM. Molecular weight of the enzyme was 42,000 dalton.

      • SCOPUSKCI등재

        석류 추출물에 의한 인간호염구(KU812F 세포)의 탈과립 억제효과

        박경태(Kyong-Tae Park),심선엽(Sun-Yup Shim),전순실(Soon-Sil Chun) 한국식품과학회 2008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0 No.6

        석류는 항당뇨, 항암, 항산화, 항미생물 및 항염증 효과와 같은 다양한 생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석류의 씨, 껍질 및 즙의 메탄올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인간 호염구인 KU812F 세포에 있어, A23187로 유도된 탈과립에 있어 저해효과를 검토하였다. 세포를 각각의 추출물로 처리하여, A23187로 자극한 후, 세포 내 칼슘농도, β-hexosaminidase 및 히스타민 함량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석류 추출물은 A23187에 의해 유도된 세포 내 칼슘 농도, 히스타민 및 β-hexosaminidase 유리를 농도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석류 추출물은 알레르기반응에 있어 칼슘 유입의 억제를 통한 탈과립의 강력한 저해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Punica granatum (PG) evidences a variety of phys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diabetic, anti-cancer,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Using the human basophilic KU812F cells,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PG seed, shell, and juice on calcium ionophore, A23187-induced degranulation were assessed. All of the PG extracts inhibited A23187-induced intracellular Ca²? levels, β-hexosaminidase, and histamine releas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PG extracts are potent inhibitors of degranulation in allergic reactions, via the suppression of Ca²? influx.

      • KCI등재
      • KCI등재

        오미자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이영주(Young-Ju Lee),이현주(Hyun-Ju Lee),김영숙(Young-Suk Kim),안창범(Chang-Bum Ahn),심선엽(Sun-Yup Shim),전순실(Soon-Sil Ch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인 오미자의 이용 확대를 위해 오미자 분말 1.5, 3, 4.5, 6%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여 반죽의 비중, 점도, 스펀지케이크의 수분함량, 일반성분, 색도, 부피지수, 무게, texture, 관능검사 결과를 실시하였다. 스펀지케이크 반죽 점도는 대조군과 1.5% 첨가군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첨가군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중은 대조군이 0.41이었고 오미자 분말 첨가군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케이크의 수분함량과 무게는 대조군과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케이크의 외부와 내부 색도를 측정한 결과 외부의 L(명도), 녹색도, 황색도는 오미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내부 L(명도)과 황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녹색도는 오미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직감 측정 시 hardness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비자 검사에서 부드러움은 4.5% 첨가군까지는 5점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Fracturability는 대조군과 오미자 분말 첨가군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resilience는 오미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는 케이크의 색과 부드러움, 향미, 전체적인 기호도는 오미자 분말 3% 첨가군까지 보통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고려하여 오미자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 제조 시 오미자 분말을 1.5~3% 첨가 하는 것이 적절한 배합비로 사료된다. We prepared sponge cakes consisting of 1.5%, 3%, 4.5%, or 6% Omija powder. The specific gravity and viscosity of sponge cake batter were measured. Also, the moisture content, color, volume index, weight and texture of the sponge cake were determined. Consumer preference tests of the sponge cakes were also conducted. The viscosity of cake batter tended to decrease as the ratio of Omija powder increas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control batter was 0.4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cakes baked with 1.5%, 3%, 4.5%, and 6% Omija powder. The moisture content and weight of the c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those made with Omija powder. Hunter ‘L,’, ‘a,’ and ‘b’ values of the crust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amount of Omija powder in the cake increased. Hunter ‘L’ and ‘b’ values of the crumbs were low in the cakes with Omija powder, while ‘a’ values were high. Hardness and fracturability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between the cakes. Adhesiveness and resilience of the control were high. The control sample showed the highest sensory score in overall preference. However, cakes made with 1.5% Omija powder obtained the highest values in color, softness, and flavor scores. Omija powder flavor and astringency scores increased as the amount of Omija powder increased, and sweetnes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cakes. Intensity scores of egg flavors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amount of Omija powder increased. Sensory scores of off-flavor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mount of Omija powder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1.5~3% should be recommended as the optimum level of Omija powder to be added for the preparation of sponge c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