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링크 교환을 이용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용 체인 토폴로지 : LECSEN

        신지수,서창진,Shin, Ji-Soo,Suh, Chang-Ji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5 No.4

        In WSN(Wireless Sensor Network) many routing algorithms such as LEACH, PEGASIS and PEDEP consisting of sensor nodes with limited energy have been proposed to extend WSN lifetime. Under the assumption of perfect fusion, these algorithms used convergecast that periodically collects sensed data from all sensor nodes to a base station. But because these schemes studied less energy consumption for a convergecast as well as fairly energy consumption altogether, the minimum energy consumption for a convergecast was not focused enough nor how topology influences to energy consumption. This paper deals with routing topology and energy consumption for a single convergecast in the following ways. We chose major WSN topology as MSC(Minimum Spanning Chain)s, MSTs, PEGASIS chains and proposed LECSEN chains. We solved the MSC length by Linear Programming(LP) and propose the LECSEN chain to compete with MST and MSC. As a result of simulation by Monte Carlo method for calculation of the topology length and standard deviation of link length, we learned that LECSEN is competitive with MST in terms of total energy consumption and shows the best with the view of even energy consumption at the sensor nodes. Thus, we concluded LECSEN is a very useful routing topology in WSN.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 WSN)에서 한정된 에너지를 가진 센서 노드의 동작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서 LEACH와 PEGASIS, PEDAP 등의 대표적인 라우팅 방식이 제안되었다. 이들은 데이터가 완전 퓨전(perfect fusion)되는 환경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한 노드로 전송하는 convergecast 라우팅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convergecast와 에너지 분배를 동시에 다루는 과정에서 토폴로지에 관한 특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한 번의 convergecast에 소비되는 총에너지의 관점에서 토폴로지를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우리는 주요 라우팅 토폴로지로 최소 스패닝 체인(Minimum Spanning Chain : MSC)과 최소 스패닝 트리(Minimum Spanning Tree : MST), PEGASIS 체인, 제안하는 LECSEN체인을 소개하거나 정의하였다. 우리는 MSC를 선형 프로그래밍(LP) 방식으로 풀었으며, MSC나 MST에 준하는 토폴로지를 만들기 위해서 LECSEN 체인을 제안하였다. Monte Carlo 방식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토폴로지의 전체 길이와 각 링크 길이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WSN 환경에서 LECSEN은 MST에 필적할 만큼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고, 각 센서 노드의 에너지 소비가 매우 균등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는 LECSEN 체인이 WSN 라우팅에서 매우 유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당뇨망막병증 수술 중 과도한 레이저술 후 발생한 장액망막박리에서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 2예

        신지수(Ji Soo Shin),김청환(Chung Hwan Kim),장영석(Young Suk Chang),이영훈(Young Hoon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6

        목적: 당뇨병성 유리체출혈 환자에서 수술 중 과도한 안내레이저술 후 발생한 황반부 장액망막박리를 경험하였고, 전신 스테로이드치료로 호전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당뇨병성 유리체출혈로 유리체절제술 및 안내레이저술(증례1 3,184회, 증례2 1,734회)을 시행 받은 64세 남자 환자(증례1)와 67세 여자 환자(증례2)가 수술 후 시력저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당시 증례1의 교정시력은 안전수동, 증례2의 교정시력은 0.03이었으며, 안저검사 및 빛간섭단층촬영에서 후극부의 광범위한 망막하액이 관찰되었다. 수술 시 시행한 과도한 안내레이저술로 인한 황반부 장액망막박리로 판단하여 증례1에서는 경구 스테로이드(40 mg/qd, 5 days) 투여 후 감량하였고, 증례2에서는 정맥내 고용량 스테로이드 요법(250 mg/qid, 3 days)을 시행하였다. 치료 후 교정시력은 증례1은 20/30, 증례2는 20/40으로 호전되었으며,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망막하액은 모두 소실되었다. 결론: 당뇨망막병증 수술 중 과도한 안내레이저술은 황반부 장액망막박리를 유발하여 당뇨환자에게서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유의하여야 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6):1004-1011〉 grant a,b*/ used by excessive intraoperative endolaser in patients with diabetic vitreous hemorrhage. Macular serous retinal detachment was improved by systemic steroid therapy. Case summary: A 64-year-old male (case 1) and a 67-year-old female (case 2) treated with vitrectomy and endolaser (case 1, 3,184 shots; case 2, 1,734 shots) because of diabetic vitreous hemorrhage visited our out-patient clinic with blurred vision.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in case 1 was hand motion and 0.03 in case 2. Fundus examination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revealed extensive subretinal fluid accumulation of the posterior pole. With the diagnosis of macular serous retinal detachment caused by excessive intraoperative endoaser, oral steroid (40 mg/qd, 5 days) was administered and then later reduced in case 1. In case 2, we administered intravenous high-dose steroid (250 mg/qid, 3 days). After systemic steroid therapy, BCVA was improved to 20/30 in case 1 and 20/40 in case 2 and OCT showed the subretinal fluid was resolved. Conclusions: During diabetic retinopathy surgery, excessive endolaser induced macular serous retinal detachment and systemic steroid therapy was necessary in diabetic patients. Thus, physicians should be well acquainted with this complic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6):1004-1011

      • KCI등재

        후천 마비사시의 임상양상

        신지수(Ji Soo Shin),김정태(Jung Tae Kim),염혜리(Hae Ri Yum)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5

        목적: 후천 3, 4, 6번 뇌신경마비의 원인별 분포와 발병양상을 조사하고, 각 뇌신경마비의 회복률, 회복기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양안 복시를 주소로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외래에 내원하여 후천성 3, 4, 6번 뇌신경마비로 진단된 환자 중 2회 이상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92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증상 발생 2주 내에 진료를 본 후 6개월 이상 경과관찰이 가능했던 66명을 대상으로 회복률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하였다. 또한 경과 관찰 중에 모든 방향의 안구운동 제한이 완전히 회복되어 일차 및 이차 안위의 사시각과 복시가 완전히 호전된 경우를 완전 회복으로 보았 다. 안구운동제한의 정도는 중간선을 넘지 못하는 경우를 -4, 정상의 50%의 제한을 보이는 경우를 -2로 하여 -1/2부터 -4까지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총 92명의 환자 중 4번 뇌신경마비가 37명(40.2%)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6번 뇌신경마비 33명(35.9%), 3번 뇌신경마비 18명(19.6%), 복합 뇌신경마비 4명(4.3%) 순이었다. 원인별로는 혈관성 원인이 44명(47.8%)으로 가장 많았고, 외상성 원인이 14명 (15.2%), 특발성 13명(14.1%), 염증성 원인 10명(10.9%), 종양성 원인 9명(9.8%), 동맥류 2명(2.2%) 순이었다. 완전회복은 44명(66.7%) 에서 관찰되었고, 완전회복과 부분회복을 합친 전체회복은 57명(86.3%)에서 관찰되었다. 초진 시 사시각도가 적은 경우, 초진 시 안구 운동제한 정도가 적은 경우 완전회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p=0.005, respectively, 단변수분석). 결론: 본 연구에서 혈관성 원인으로 인한 마비사시의 발생이 가장 높았고, 초진 시 마비의 정도가 경할수록 완전회복률이 높았다. 또한 뇌신경 마비에 대한 빠른 진단 및 신속한 치료를 통해 높은 전체회복률을 보였다. <대한안과학회지 2017;58(5):572-578> Purpose: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cause of acquired third, fourth, and sixth nerve palsy while also establishing recovery rates and important factors for recovery.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for 92 patients who visited the ophthalmologic department of Konyang University Hospital with acquired third, fourth, and sixth nerve palsy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Recovery rates and factors for recovery were evaluated in only 66 patients who received first ocular exam within 2 weeks of onset and who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6 months. Complete recovery was defined as both complete recovery of the angle of deviation and the restoration of eye movement in all directions. For the degree of ocular motor restriction, -4 was defined as not crossing the midline and -2 was defined as 50% eye movement. The degree of ocular motor restriction was analyzed from -1/2 to 4. Results: The fourth nerve was affected most frequently (n = 37, 40.2%), followed by the sixth cranial nerve (n = 33, 35.9%), the third cranial nerve (n = 18, 19.6%), and a combination of 2 or more cranial nerves (n = 4, 4.3%). Vasculopathy (n = 44, 47.8%) was the most common etiology, followed by trauma (n = 14, 15.2%), idiopathic (n = 13, 14.1%), inflammation(n = 10, 10.9%), neoplasm (n = 9, 9.8%), and aneurysm (n = 2, 2.2%). Complete recovery rate occurred for 66.7% (n = 44) of patients, and the overall recovery rate (i.e., at least partial recovery) was 86.3% (n = 57). Significant factors for complete recovery were the initial deviation angle and the limitation of extraocular movement (p < 0.001, p = 0.005, respectively, according to univariate analysis). Conclusions: In this study, paralytic strabismus due to vasculopathy was the most common etiology, and a lower degree of initial deviation resulted in an improved complete recovery rate. In addition, a high overall recovery rate was possible through quick diagnosis and early treatment of cranial nerve palsy.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5):572-578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양의 수직코마를 가진 환자에서 상측절개 백내장수술 전후의 고위수차 변화

        신지수(Ji Soo Shin),황규연(Kyu Yeon Hwang)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3

        목적: 양의 수직코마를 가진 환자에서 직난시 및 도난시에 따른 상측절개 백내장수술 전후의 고위수차 변화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양의 수직코마를 가진 환자에서 2.5 mm 상측 투명각막절개 백내장수술을 시행한 직난시군 37안과 도난시군 33안을 대상으로 수술 전 및 수술 후 1달 뒤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각막난시를 측정하였고, 각막 전면, 후면 및 총 수차(사축트레포일, 수평 트레포일, 수직코마, 수평코마, 구면수차, 총 고위수차)를 Pentacam으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직난시군에서는 수술 후 각막 전면, 후면 및 총 수직코마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도난시군에서는 후면 수직코마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p=0.008), 총 수직코마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사축트레포일은 두 군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수평트레포일은 도난시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respectively). 구면수차는 도난시군의 전면 각막수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p<0.001), 총 고위수차는 직난시군의 전면과 후면, 도난시군의 후면수차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p=0.001). 수평코마와 각막난시는 두 군에서 수술 전후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상측절개 백내장수술에서 수직코마는 난시축에 영향을 받아 직난시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각막 난시는 수술 전후로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in higher-order aberrations after superior-incision cataract surgery between eyes with a within-the-rule (WTR) astigmatism and an against-the-rule (ATR) astigmatism in patients with positive vertical coma.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ho presented with positive vertical coma and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through a 2.5 mm superior clear corneal incision. The eye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7 eyes with WTR astigmatism and 33 eyes with ATR astigmatism), and uncorrected visual acuity,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corneal astigmatism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surgery. In addition, anterior, posterior, and total aberrations (i.e., oblique trefoil, horizontal trefoil, vertical coma, horizontal coma, spherical aberration, and total higher-order aberrations) were measured using a Pentacam. Results: In the WTR astigmatism group, anterior/posterior corneal aberrations and total aberratio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urgery (p < 0.05). However, in the ATR astigmatism group,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osterior vertical coma (p = 0.008) was observed, although there was no change in total vertical coma. A significant increase in oblique trefoil was observed in both groups, while a significant decrease in horizontal trefoil was found in the ATR astigmatism group (all p < 0.05). For spherical aberration, the ATR astigmatism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nterior cornea aberrations (p < 0.001). For total higher- order aberrations, the WTR astigmatism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nterior and posterior aberrations, while the ATR astigmatism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osterior aberrations (p < 0.05, p = 0.001, respectively). In the case of horizontal coma and corneal astigmatism, both groups exhibited no significant changes after surgery. Conclusions: When superior-incision cataract surgery was performed, vertical coma was affected by the axis of astigmatism, resulting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WTR astigmatism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corneal astigmatism were observed before and after surgery.

      • 강우시 철도사면의 안정성 지표 변화

        신민호(Shin Min-Ho),이성혁(Lee sung-hyuk),김현기(Kim Hyun-Ki),신지수(Shin Ji soo),황성욱(Hwang sung-wook)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Additional index is proposed to support present safety standards based on unsaturated soil mechanic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re are Factor of safety, Reliability of Index, Failure probability and Velocity of failure probability of a slope and case study of the slope. By rainfall intensity and rainfall duration time are investigated for setting up the specification of safety management of slopes. Velocity of failure probability has an apparent reflection point near present safety standards. It is possible to modify the standards for safety management of slopes by using this ind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