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관 규칙과 시간 간격을 함께 탐색하는 알고리즘

        신윤재 ( Yoonjae Shin ),이기용 ( Ki Yong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2

        로그 데이터 속에서 시간차를 두고 발생하는 트랜잭션 혹은 이벤트를 감지하는 일은 유통, 마케팅,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분야에서 반복되는 패턴을 감지하는 알고리즘은 종종 소개되었지만, 데이터의 특성과 트랜잭션 간의 시간 간격을 고려한 연관 규칙 탐색 알고리즘 연구는 빈약했다. 본 논문에서는 정해진 구간에서 반복되는 패턴을 찾거나 주어진 아이템에 대한 주기를 찾는 등의 기존연구와 달리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스캔하여 찾을 수 있는 연관 규칙과 그 연관 규칙이 반복되는 시간 간격을 함께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처리시간에 대한 실험을 통해 성능을 확인한다

      • KCI등재

        국내외 도시재생 사업의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신윤재 ( Yoonjae Shin ),이소연 ( Soyeo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현재 전 세계적으로 도시계획의 주제는 `도시재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계획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도시재생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들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에 있어서, 특히 거버넌스에 집중하여 국내외 주요 정책 및 사례를 살펴보는데 있다. 도시재생 관련 사업이 어떠한 의사결정 과정을 거쳐 집행되는지, 국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민관협력에 의한 파트너십의 차원에서 해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연구의 범위는, 시간적으로는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도시재생 거버넌스에 관한 최근 5년간의 동향변화를 파악하여 변화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며, 공간적으로는 한국,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 각 국가의 거버넌스 측면과 런던, 파리, 뉴욕, 시애틀, 도쿄 등각 도시의 도시재생 사례를 조사하여 거버넌스와 연계한 도시재생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국내외의 구체적인 사례조사를 하는 것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도시재생 및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서울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4장에서는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조사ㆍ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전체 내용에 대한 결론을 맺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흐름을 거쳐, 파트너십에 근거한 국내외 도시재생 사업의 거버넌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로 도시재생과 거버넌스는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미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서 작용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파트너십에 의한 민간 커뮤니티의 역할과 시민참여 프로세스의 중요성은 앞으로 더욱 더 중요한 비중을 갖게 될 것으로 본다. 또한 도시재생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공공의 예산이 투입되는 경우, 정책 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불이익을 받거나 소외되는 계층에 대한 면밀한 사전분석을 통해, 정책의 영향이 시민들에게 골고루 향유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마려하는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사업의 집행 후에는 객관적 평가를 통해 다음 정책에 적절히 환류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대한 구축도 필요하다. (결론) 본 연구는 도시재생 거버넌스의 의사결정 과정과 사례를 통해, 미래 도시의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론으로, 시민 삶의 개선을 위한 보다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기 위하여, 도시재생의 정책결정ㆍ집행ㆍ평가의 각 단계에서 거버넌스의 역할이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It can be said that urban regeneration has become a buzzword of urban planning carried out worldwide. In the midst of such a change in urban planning paradigm, the Korean government is also formulating a variety of policies associated with urban regeneration. Under su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major policies and case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with a focus on governance. This study intends to check relevant case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to identify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interpret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partnership via cooperation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Method) This study aims to check the factors of change made over the past five years in urban regeneration-related governance through a survey of foregoing studies. Spatial scope-wise, this study inten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and urban regeneration by checking the governance in countries like Korea, the United Kingdom, France, the United States, Japan and survey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major cities like London, Paris, New York, Seattle and Tokyo. Methodologically, this study was theoretically considered based on theoretical surveys and preceding studies and then engaged in a survey of case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Chapter 2 focuses on a survey of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about urban regeneration and governance. Chapters 3 and 4 contain surveys and analyses of cases within SMG and abroad, respectively. Chapter 5 states the conclusion. Through such a flow, this study deals with governance cases on partnership-bas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oth in and out of the country. (Results) This study concluded that urban regeneration and governance ar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that they are working as an irreversible trend. It appears that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artnership-based private communities and people-participating process will become larger. Also, in spending public budget for fostering the urban regeneration ecological system, measures should be taken to ensure that the effects of relevant policies are evenly distributed to people through meticulous pre-analysis of less-privileged people in the policy-making and execution processes.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ensures relevant feedback to other policies based on objective appraisal of the projects carried out.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existing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relevant cases to ponder possible directions that should be adopted by cities in the future. As 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e proper working of the role of governance in each stage of policy decision, execution, and appraisal with the aim of making better residential cities.

      • KCI등재

        통계적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예측 시스템 개발

        이기용 ( Ki Yong Lee ),신윤재 ( Yoonjae Shin ),최연정 ( Yeonjeong Choe ),김선정 ( Seonjeong Kim ),서영균 ( Young-kyoon Suh ),사정환 ( Jeong Hwan Sa ),이종숙 ( Jongsuk Luth Lee ),조금원 ( Kum Won Ch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5 No.11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전산유쳬역학, 나노 물리, 계산화학, 구조 동역학, 전산설계 등 여러 계산과학공학 분야에서 시스템의 움직임을 예측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의 정밀도와 복잡도가 점점 증가함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비용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뮬레이션의 수행비용을 줄이는 것은 특히 입력 변수들의 값을 변화시켜가며 시뮬레이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시뮬레이션수행 시간 단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어떤 시뮬레이션의 수행이 요청되었을 때, 해당 시뮬레이션을 실제로 수행하지 않고도 기존에 수행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저장하여 이전에 획득되거나 혹은 예측된 결과를 반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크게 다음 2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1) 수행이 완료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2) 사용자가 요청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통계적 기계학습 기술을 사용하여 예측하는 기능. 본 논문에서 개발한 예측 시스템의 예측 성능을 실제 유체역학 시뮬레이션데이터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과, 출력변수에 따라 0.9%의 매우 낮은 평균 예측 오차율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통하여 사용자들은 계산 및 저장 자원에 큰 부하를 주는 시뮬레이션을 실제 수행하지 않고도, 수행을 원하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빠르게 예측해 볼 수 있다. Computer simulation is widely used in a variety of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includ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nano physics, computational chemistry, structural dynamics, and computer-aided optimal design, to simulate the behavior of a system. As the demand for the accuracy and complexity of the simulation grows, however, the cost of executing the sim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It, therefore, is very important to lower the total execution time of the simulation especially when that simulation makes a huge number of repetitions with varying values of input parameters. In this paper we develop a simulation service system that provides the ability to predict the result of the requested simulation without actual execution for that simulation: by recording and then returning previously obtained or predicted results of that simulation. To achieve the goal of avoiding repetitive simulation, the system provides two main functionalities: (1) storing simulation-result records into database and (2) predicting from the database the result of a requested simulation using statistical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our experiments we evaluate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the system using real airfoil simulation result data. Our system on average showed a very low error rate at a minimum of 0.9% for a certain output variable. Using the system any user can receive the predicted outcome of her simulation promptly without actually running it, which would otherwise impose a heavy burden on computing and storage resources.

      • 계산과학공학 시뮬레이션의 효율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데이터 관리 시스템 설계

        이기용 ( Ki Yong Lee ),신윤재 ( Yoonjae Shin ),최연정 ( Yeonjung Choi ),서영균 ( Young-kyoon Suh ),사정환 ( Jeonghwan Sa ),조금원 ( Kum W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계산과학공학 및 여러 과학분야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정확도 및 복잡도가 높아짐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비용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러 입력 변수를 변화시켜가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시뮬레이션 수행 비용은 더욱 커진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이전에 수행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재활용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고, 기존 시뮬레이션 결과를 사용하여 반복 요청된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를 즉시 반환하거나 유사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지 않고도 반복 또는 유사 시뮬레이션에 대한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서울공예문화박물관의 프로그램 및 공간 구성 방안 연구

        최정심 ( Jeongsim Choi ),강병길 ( Byungkil Kang ),신윤재 ( Yoonjae Shin ),김아인 ( Ai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한국의 공예는 한국인의 의·식·주를 바탕으로 생활소품에서부터 건축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와 종류가 다양하게 세분화되어 있으며, 지역의 환경·문화적 특성이 반영되어왔다. 그러나 근대화 과정에서 한국공예는 발전적인 계승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소멸되거나 생활 속에서 쓰임의 가치를 갖지 못하고 문화재 또는 관광기념품, 미술품으로만 여겨지는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예문화·산업의 현황을 인식하고 서울시는 공예문화 확산과 공예가치 제고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플랫폼으로서, 서울공예문화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종로구 안국동 풍문여고 부지를 활용하여 건립예정인 서울공예문화박물관에 대한 건립 타당성 조사는 완료되었으며, 본 연구는 그 후속 연구로서 박물관의 기능 및 프로그램 구성방향, 부지 내 건축물을 활용한 공간별 구성계획과 운영방향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한국공예의 개념 및 범위, 한국의 공예문화·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한 국내 연구자료 분석을 토대로, 박물관의 정체성 및 역할을 포지셔닝 하였다. 타당성연구보고서에 제시된 박물관 내의 시설 및 기능에 대한 검토와 국외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 최초의 공예전문박물관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기능을 구체화하고, 시설과 운영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전시, 연구, 교육, 유통 기능의 독립적인 시설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생활문화적 공예개념과 지역생산시스템을 접목한 공예문화마을 개념의 박물관으로 탄생될 수 있는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본 연구에서는 서울공예문화박물관이 공예재료의 물성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공예연구소, 누구나 스스로 만들 수 있는 생활 공예를 위한 평생학습의 공예교실, 우수한 공예품을 감상하고 영감을 받을 수 있는 공예전시실, 모든 작가에게 열려있는 공예장터, 각 지역의 공방을 연결하는 친절한 공예공방네트워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인접한 북촌공예마을과 지역의 공예가들과 연계하여 공예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예문화마당으로 조성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주변 지역과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각각의 기능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하나의 ‘모둠체’로서, 보다 창조적인 연구와 창작을 견인하고, 공예문화의 생활화, 세계화, 미래화를 위한 자료실로서의 살아있는 박물관으로 구상하였다. (결론)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조성된 서울공예문화박물관이 전국은 물론 유라시아까지 연결되는 공예문화마을플랫폼의 역할을 수행하여, 향후 공예도시 서울추진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져 건강한 공예문화생태계가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 variety of crafts, ranging from household goods to building materials, can be found in Korea. Crafts have long reflected the lo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s in which they are made. In the country’s progress toward modernization, however, Korean crafts failed to undergo developmental succession. Thus, most Koreans view them as little more than cultural heritages or souvenirs for tourists. In recognition of the diminished status of the craft culture and industr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ims to establish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as a platform for disseminating a craft culture and enhancing its value. The anticipated museum site was formerly that of the Pungmoon Girls’ High School in Anguk-dong. Consequently, a relevant feasibility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troduce the museum with a focus on its functions, program composition, spatial composition, and basic direction for its operation.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ary identity and role of the Seoul Crafts Culture Museum based on an analysis of research materials concerning the scope of locally made crafts and status of the country’s craft culture/industry; further, it provides direction for future development. Functions and facilities with which the museum should be equipped as well as programs it should provide as the country’s first crafts museum have been identifi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feasibility report and case analys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The museum is expected to be a craft-centered cultural facility that links new cultural concepts with everyday culture of the local production system through programs designed to ensure collaboration and efficiency in exhibitions, research, education, and distribution functions.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museum is envisioned as a global exhibition and promotional facility for locally made crafts that will secure their place in people’s lives. Finally, it is an organized body with functions that are closely interwoven for the promotion of creative research and creative activitie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useum will serve as a venue for diverse areas of research includ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of crafts. Further, the museum is viewed as a classroom for lifelong learning, an exhibition space offering inspiration to patrons, a marketplace open to all artists, and a composite cultural arena where craft workshop networks are interconnected and craft-related cultural activities are invigorated in linkage with the neighboring Bukchon Craft Village and local artisans..

      • KCI등재후보

        동대문 활성화를 위한 지역 역사문화 답사 콘텐츠 개발 연구

        강지혜(Kang, Jihye),서혜영(Suh, Hyeyoung),노다운(Roh, Daun),임덕환(Im, Deokhwan),신윤재(Shin, Yoonjae)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4

        본 연구는 2014년 3월 개관한 동대문과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중심으로 패션 쇼핑 뿐 아니라 문화 역사 콘텐츠의 중심지로서의 지역 동반 상생 및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문화에 대한 방문객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지역문화 조사 발굴과 답사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동대문 지역은 서울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60%가 방문하고 있으며 한국여행의 주요 방문지 중 2위이자, 좋았던 관광지 2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동대문 지역이 가진 많은 역사유적과 전통시장, 먹거리, 골목 등의 독특한 지역문화의 경험보다는 패션관련 쇼핑 목적에 한정된 방문이 대다수였고, 동대문 지역을 소개하는 대부분의 관광안내서와 지도는 현대적 패션상가 소개 위주로 구성되었다. 지역문화는 동대문으로 통칭되는 흥인지문 인근의 역사와 발달사, 현황을 살펴보고 현장 방문을 실시하여 발굴하였다. 이를 통해 분류체계를 마련해 분석하고, 관광 및 방문정보와 각각에 얽힌 이야기를 확인하였다. 동대문 지역문화를 5개 분류체계로 역사/유적, 전통시장/골목, 문화예술, 쇼핑, 경관의 위계를 구분하였다. 또한 답사 콘텐츠 개발에 앞서, 지역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기 보다는 역사 문화 중심의 지역적인 테마에 부합하는 정보를 역사/유적, 시장/골목, 예술/문화, 쇼핑으로 체계화하였다. 동대문 주변 지역이 가진 역사와 문화 이야기를 볼 수 있는 전통시장과 골목 중심으로 지역문화 답사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동대문과 DDP를 찾는 시민과 관광객에게 이 지역만의 지역문화 답사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적 가치를 경험케 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자료가 되길 바라며, 나아가 지역문화를 보존, 발전시키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는 간접효과에 이르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local culture and create cultural and tourism content in the Dongdaemun area, including the DDP(Dongdaemun Design Plaza). Among tourists to Korea, the Dongdaemun area is ranked as the second best tourist spot with the second most popular attractions, and roughly 60 percent of visitors to Seoul flock to this commercial district. However, the majority of them come here to shop for clothes rather than experience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the area"s traditional markets and food and historical alleys and relics. Most tour guide books and maps that introduce Dongdaemun focus heavily on the modern fashion malls in the area. I conduct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Heunginjimun, which is commonly referred to as Dongdaemun,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paid a visit in person to discover the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 then developed a classification system to analyze and classify the tourism-related data I had collected. I organized the local culture of the Dongdaemun area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history/relics, traditional markets/alleys, culture and art, shopping, and landscape, and created diverse content, including a three-hour tour route and various itineraries based on traditional markets and alley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visitors to the Dongdaemun area, including the DDP, with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the area so that they may experience the cultural value that Dongdaemun possesses, as well as contribute to preserving and developing the local culture and vitalizing local busin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