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인 백내장수술 중 시행한 계획적 후낭원형절개술의 임상결과

        신우범(Woo Beom Shin),이승현(Seung Hyun Lee),김지현(Ji Hyun Kim),주영광(Young Kwang Chu)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0

        목적: 성인에서의 백내장수술 시, 계획적 후낭원형절개술을 시행하고 시력 변화, 후낭 혼탁의 예방 등의 임상 효과를 보았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수술 시 후낭원형절개술을 받은 실험군 43명 43안과 시행 받지 않은 대조군 31명 46안을 조사하였다. 술 전, 술후 2개월, 실험군에서 평균 14.6개월, 대조군에서 평균 15.7개월 시의 최대교정시력과 혼탁 여부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백내장수술시 일체형 판형 인공수정체가 사용되었다. 결과: 술 전 최대교정시력은 대조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술 후 2개월의 최대교정시력은 두 군 모두 뚜렷한 시력의 호전을 보였고 두 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최종 내원 시 최대교정시력은 두 군 모두 술 후 2개월보다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며, 두 군 간의 차이도 없었다. 실험군 43안 중 13안(30.2%)에서 앞유리체 혼탁이 관찰되었고 최종 내원 시 최대 교정시력은 술 후 2달째보다 유의하게 저하되었다(p<0.05). 이 중, 후낭 절개창의 완전 폐쇄를 보인 3안에서 neodymium-doped yttrium aluminium garnet (Nd:YAG) 레이저 후낭 절개술이 시행되었다. 결론: 후낭원형절개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과 임상 효과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고난이도 수술임을 고려 시, 백내장수술에서 후낭 원형절개술의 유용성은 앞유리체의 혼탁으로 인한 시력저하까지 발생하기에 시행함에 주의가 요구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10):1563-1569> Purpose: Following planned posterior continuous curvilinear capsulorrhexis (PCCC) during cataract surgery in adults, we evaluated the clinical effects of visual acuity and prevention of posterior capsule opacity. Methods: The clinical results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by comparing 43 eyes of 43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ith PCCC (the experimental group) and 46 eyes of 31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ithout PCCC (the control group).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best corrected visual acuities (BCVAs) of patients were measured. BCVA (using log MAR) and the occurrence of posterior capsule opacity were closely monitored in both groups preoperatively, two months postoperatively, and at each group’s final visit (14.6 months postoperatively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7 months for the control group). One-piece plate intraocular lens was used in cataract surgery. Results: Preoperative BCVA was lower in the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ly. The 2-month mean postoperative BCVA showed improvement in vision in both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n both groups, the BCVA was decreased at the final examination compared with the 2-month postoperative BCVA, a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observed. Under slit lamp examination, anterior hyaloid opacity was observed in 13 of 43 eyes that underwent PCCC. The decrease in BCVA in 13 eyes with anterior hyaloid opac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compared with the 2-month postoperative BCVA. Conclusions: Considering the effort and operation skills required for PCCC, the clinical benefits are negligible. Since cataract surgery with PCCC can cause reduced vision due to anterior hyaloid opacity, side effects should be disclosed before PCCC is performed.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0):1563-1569

      • KCI등재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계와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를 이용해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의 비교

        신우범(Woo Beom Shin),정현교(Hyun Kyo Jeong),김민교(Min Kyo Kim),김홍석(Hong Seok Kim),이준모(Jun Mo Lee),김찬윤(Chan Yun Kim),김지현(Ji Hyun Kim) 대한안과학회 2017 대한안과학회지 Vol.58 No.3

        목적: 중심각막두께(central corneal thickness, CCT)의 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초음파 각막두께측정계(ultrasound pachymetry [USP])와 최근 사용되고 있는 IOL master 700을 이용하여 그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녹내장으로 경과관찰 중인 환자 12명 24안과 정상 환자 42명 83안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동일한 환자에서 IOL master 700으로 CCT를 측정 후 다시 USP로 CCT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검사기기로 측정된 중심각막두께 측정치를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Bland-Altman plots를 이용하여 검사기기 간의 일치도를 분석하였고, Pearson correlation test를 통해 검사기기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정상환자 일부를 대상으로 간격을 두고 IOL master 700으로 2번 측정하여 재현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IOL master 700으로 두 번 측정한 중심각막두께의 분석 결과 ICC 값은 0.997, 변동계수는 6.78%, test-retest variability는 2.7 ± 1.7 μm로 높은 재현성과 반복성을 보였다. USP와 IOL master 700으로 측정한 CCT는 각각 554.4 ± 37.4 μm, 551.1 ± 37.1 μm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IOL master 700으로 측정한 CCT가 얇게 나타났다(p<0.001). Bland-Altman plots에서 95% 신뢰구간 내에 산점도가 분포함을 확인하였으나 일치도가 높지 않음을 보였다. Pearson correlation test를 통해 두 검사기기의 측정값이 통계적으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Pearson correlation, r=0.977, p<0.0001). 결론: 본 연구 결과 IOL master 700으로 측정한 CCT는 높은 재현성을 보였으며 USP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얇게 측정되었다. 두 검사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Purpose: To analyze and compare ultrasound pachymetry (USP) with a more recently adopted device, the intra ocular lens (IOL) master 700, which are both used to measure central corneal thickness. Methods: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measured in 24 eyes of 12 glaucoma patients and in 83 eyes of 42 normal patients. First, the IOL master 700 was used to measure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followed by measurements taken using USP later.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paired t-test. We analyzed the agreement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two test devices by using Bland-Altman plots and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measurements with the IOL master 700 were taken twice for a few normal patients within a small time interval. Results: Via the IOL master 700,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cornea showed a high reproducibility and repeatability, demonstrating 2.7 ± 1.7 μm for the test-retest variability, 6.78% for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0.997 for the intraclass correlation value. The mean measurements using USP and the IOL master 700 are 554.4 ± 37.4 μm and 551.1 ± 37.1 μm, respectively, showing that the IOL master 700 measured significantly smaller values than USP with a p-value < 0.001. The deviations between the two methods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95% confidence interval. According to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the measured values of the two test devices were found to have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r = 0.977, p < 0.0001).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measured via the IOL master was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at of USP, and the two test devices had a high correlation and good agreement. The CCT value measured via the IOL master 700 also exhibited high reproducibility.

      • KCI등재

        백내장 수술 후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나타나는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변화

        신우범(Woo Beom Shin),정현교(Hyun Kyo Jeong),김지현(Ji Hyun Kim),이준모(Jun Mo Lee),홍사민(Sa Min Hong),김찬윤(Chan Yun Kim),성공제(Gong Je Seong),박경수(Kyoung Soo Park) 대한안과학회 2015 대한안과학회지 Vol.56 No.11

        목적: 백내장 수술 전후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나타나는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은 33명, 43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백내장 수술 전후로 스펙트럼영역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 시신경유 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를 측정하였다. 신호강도, 사분면, 시구역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구획별 신경 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등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백내장 수술 후 신호강도, 망막신경섬유층,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 <0.05). 다중회귀분 석상 수술 후 신호강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망막신경섬유층의 경우 술 전 내피세포 수, 술 전 신호강도였고, 신경절세포-내망 상층의 경우 술 전 신호강도였다. 단변량회귀분석상 수술 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나이였고, 신경절세포-내망상층 두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p <0.05). 결론: 백내장이 있는 경우 빛간섭단층촬영에 나타나는 수술 전 시신경유두 주위 망막신경섬유층뿐만 아니라 신경절세포-내망상층도 두께와 신호강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어서 결과해석 시 백내장 정도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o assess changes in ganglion cell-inner plexiform layer (GCIPL) thickness after cataract surgery using spectral-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Methods: Forty-three eyes of 33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ere imaged with spectral-domain OCT before and after surgery to measure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and GCIPL thickness, signal strength (SS), quadrant, 12 clock-hour RNFL thickness and sectoral GCIPL thickness. Results: The postoperative SS, RNFL and GCIPL thickness were higher than before surgery (p < 0.05).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endothelial cell count and preoperative S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S changes in RNFL parameters and preoperative S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S changes in GCIPL parameters. Un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ag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NFL thickness changes in RNFL parameters and no factor was correlated with GCIPL thickness in GCIPL parameters (p < 0.05). Conclusions: Cataracts may decrease peripapillary RNFL and GCIPL thickness measurements and SS on OCT scans. Peripapillary RNFL and GCIPL thickness measurement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in eyes with significant cataracts.

      • KCI등재

        음의 도수 인공수정체 백내장 수술을 받은 고도근시 환자의 임상양상

        김민교(Min Kyo Kim),신우범(Woo Beom Shin),정현교(Hyun Kyo Jeong),최정범(Jung Bum Choi)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6

        목적: 고도근시안에서 음의 도수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 후 임상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음의 도수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14명 18안과 낮은 도수의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9명 10안을 대상으로 안축장 길이, 삽입한 인공수정체의 도수, 수술 전후의 최대교정시력 및 수술 전후 구면대응치 등에 대해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두 군 모두 수술 후 유의한 최대교정시력의 호전을 보였으며(p=0.01, 0.01), 각 군의 평균 안축장 길이는 32.17 ± 2.20 mm, 29.49 ± 1.44 mm였다. 음의 도수 군에서 술 후 구면대응치 측정이 가능했던 17안의 수술 전 목표 굴절력과 술 후 구면대응치의 차이는 +1.59 ± 1.34D로 나타났다. 낮은 도수 군의 수술 전 목표 굴절력과 수술 후 구면대응치의 차이값은 +0.31 ± 0.50D였다. 고찰: 대부분의 환자에서 근시성 망막변성 또는 후포도종에도 불구하고 수술 전후 최대교정시력의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다. 그러나 술 후 굴절력은 술 전 목표 굴절력과 비교해 더 원시성 오차를 보였는데, 낮은 도수 군보다 음의 도수 군에서 더욱 원시성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고도근시안 환자에서 마이너스 디옵터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 수술 시 이 점을 고려해야 하겠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6):898-904>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of high myopic eyes with cataracts implanted with negative power intraocular lenses (IOLs) at the time of cataract surgery.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conducted of 18 eyes of 14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ith negative power IOLs and 10 eyes in 9 patients with low power IOLs. We investigated axial length, IOL power,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an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SE) refractive errors. Results: Mean BCVA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th groups. We measured postoperative SE refra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intended and the mean achieved SE refractive errors in the negative power group (17 eyes) was +1.59 ± 1.34 D and +0.31 ± 0.50 D in the low power group. Conclusions: BCVA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majority of eyes, although they had myopic macular degeneration or posterior staphyloma. However, the mean achieved postoperative SE refraction was more hyperopic than the predicted postoperative SE error. Additionally, hyperopic refractive error was greater in the negative power group than the low power group.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ostoperative hyperopic refractive error should be considered when performing cataract surgery in high myopic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6):898-904

      • KCI등재

        1% 프레드니솔론과 0.1% 브롬페낙 점안액의 백내장 수술 후 낭포황반부종 예방 효과 비교

        정현교(Hyun Kyo Jeong),신우범(Woo Beom Shin),서경률(Kyoung Yul Seo),이제훈(Jei hoon Lee)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12

        목적: 백내장 수술 후 염증 조절을 위해 사용한 1% Prednisolone 점안약과 0.1% Bromfenac 점안약의 낭포황반부종 예방 효과를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2013년 7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단일 술자에게 백내장 수술을 받은 349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술 후 1일, 1주, 1달째 시력, 안압 측정 및 굴절검사, 세극등 현미경검사를 시행하였다. 술 후 1달의 최대교정시력이 0.5 이하(logMAR ≥ 0.3)로 측정되는 환자에서 빛간섭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낭포황반부종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349안 중 192안에서 1% Prednisolone 점안약을, 157안에서 0.1% Bromfenac 점안약을 사용하였다. 두 군 사이에 환자들의 평균 연령(p=0.708), 성비(p=0.977), 수술 받은 눈의 방향(p=0.443)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술 1달 후 최대교정시력은 각각 0.04 ± 0.09, 0.03 ± 0.07로 두 그룹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p=0.947) 두 그룹 모두 수술 후 시력 호전을 보였다(p<0.001, p<0.001). 스테로이드 군 1안에서 수술 후 낭포황반부종이 발생하였고, 3안에서 30 mmHg 이상의 안압 상승이 관찰되었다.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군에서는 안압 상승이나 낭포황반부종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백내장 수술 후 낭포황반부종의 발생률은 1% Prednisolone 점안약을 사용한 군과 0.1% Bromfenac 점안약을 사용한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을 고려해 볼 때, 백내장 수술 후 염증 조절 및 낭포황반부종을 예방하기 위한 약제로 NSAID의 단독 사용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1% Prednisolone acetate ophthalmic solution and 0.1% Bromfenac sodium hydrate ophthalmic solution on prevention of cystoid macular edema after cataract surgery.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349 patients who received phacoemulsification with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in Severance Hospital from July 2013 to January 2016 was performed. In these patients, 192 eyes received 1% Prednisolone acetate ophthalmic solution, and 157 eyes were treated with topical 0.1% Bromfenac sodium hydrate ophthalmic solution.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cystoid macular edema (CME) were evaluated by retinal foveal thickness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patients who showed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BCVA) less than 0.5 (log MAR ≥ 0.3).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age (p = 0.708), sex (p = 0.977), or the side of operated eye (p = 0.443). The two groups showed BCVA 0.04 ± 0.09 (Steroid group) and 0.03 ± 0.07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group) at 1 month after the surgery and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 = 0.947). One eye in the topical steroid group had cystoid macular edema, and 3 eyes in the steroid group showed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IOP) over 30 mm Hg. There were no IOP elevations or macular edema in the NSAID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0.1% Bromfenac sodium hydrate ophthalmic solution had a similar effect to 1% Prednisolone acetate ophthalmic solution on preventing CME after cataract surgery. This indicates that topical NSAID can be considered along with topical steroids in order to prevent CME after cataract surgery.

      • KCI등재

        편측 상사근마비에서 상사시 각도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치료 효과 및 유용성

        이수경(Sukyung Lee),한진우(Jinu Han)한승한(Seung-han Han),신우범(Woo Beom Shin)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1

        목적: 편측 상사근마비 환자에서 수술 전 상사시각에 따른 단일 하사근절제술의 유용성을 살펴본다. 대상과 방법: 편측 상사근마비 진단 하 일차적으로 단일 하사근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99명을 수술 전 상사시각에 따라 15 prism diopters (PD) 이하(그룹 1), 16 PD 이상 20 PD 이하(그룹 2), 20 PD 초과(그룹 3)로 분류하여 수술 전후 상사시각 및 머리기울임 호전 여부를 분석하였다. 수술 성공은 잔여 상사시각이 5 PD 이하이고 과교정되지 않았을 때로 정의하였으며, 수술 전 상사시각이 5 PD 이하였을 경우 수술 후 잔여 상사시각과 머리기울임 호전이 있으며 과교정되지 않았을 때로 정의하였다. 결과: 전체 99명 중 그룹 1, 2, 3은 각각 65명, 22명, 12명이었으며, 모든 그룹에서 수술 후 상사시각의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그룹 1에서 그룹 3으로 갈수록 상사시 교정 효과가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머리기울임은 각 그룹의 80.3%, 95.0%, 90.9%에서 호전되었다. 각 그룹의 수술 성공률은 각각 87.7%, 77.3%, 50.0%였고, 그룹 1과 2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그룹 1과 3 사이에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수술 성공률과 머리기울임 호전, 과교정 등을 고려하였을 때, 수술 전 상사시각이 20 PD 이하인 편측 상사근마비 환자에서 단일 하사근절제술이 1차 수술로서 유용하다. 반면 수술 전 상사시각이 20 PD보다 큰 환자에서는 50%의 성공률을 보였으므로, 두 외안근의 동시 수술 혹은 단일 하사근절제술 시행 후 2차 수술의 필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Purpose: To evaluate surgical outcome and effectiveness of inferior oblique (IO) myectomy on unilateral superior oblique palsy (SOP) as a primary treatment.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99 patients who had undergone IO myectomy due to SOP as a first-line treatment. Sixty-five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of 15 prism diopters (PD) or less were categorized into group 1, 22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between 16 PD to 20 PD into group 2, and 12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higher than 20 PD into group 3. Preoperative hyperdeviation, postoperative hyperdeviation, and improvement of head tilting were then compared between the 3 groups. Surgery was determined to be successful when the post-op residual hyperdeviation is less than 5 PD, or when the improvement of hyperdeviation and head tilting was noted, for the patients who had preoperative deviation less than 5 PD, and without hypercorrection. Results: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hyperdeviation, and the amount of correction was larger in group with larger preoperative hyperdeviation. 80.3%, 95.0%, and 90.9% of patients showed improvement of head tiling and success rate was 87.7%, 77.3%, and 50.0% in group 1, 2, and 3 respectively. Group 1 and 2, group 2 and 3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ccess rate but only group 1 and 3 had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Considering success rate with improvement of head position, self-titrating and possibility of overcorrection, IO myectomy could be an effective option as a first-line surgical treatment for unilateral SOP with hyperdeviation of 20 PD or less. However, due to a 50% success rate in patients with hyperdeviation larger than 20 PD, a secondary operation must be considered following IO myectomy, or a two-muscle procedure must be considered as a primary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