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가인(Shin, Ga-In),우예신(Woo, Ye-Shin),박혜연(Park, Hae Yean),김정란(Kim, Jung-Ra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을 확인하고, 장애인식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편의 표본 추출을 통해 총 1,998명의 대상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설문조사에 동의하지 않았거나 결측값이 있는 41명의 설문을 제외한 총 1,95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장애관련 경험, 장애인식에 대한 항목으로 구성 어 있으며 장애인식 항목은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적 통계분석, t-검정,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응답한 대학생들의 장애인식 총점은 평균 40.52로 긍정적인 점수에 가까웠다. 둘째, 여학생의 장애인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며, 4학년의 장애인식이 가장 긍정적이었다. 셋째, 학과에 따라서는 비 재활관련학과 학생의 장애인식이 재활관련학과 학생의 장애인식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인 중 장애인이 있거나 지인 중 보건계열 종사가 있는 대학생들의 장애인식이 유의 하게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인 관련기관에 봉사경험 유무를 기준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봉사경험이 있는 학생의 장애인식이 유의하게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의 장애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학과, 지인 중 장애인의 유무, 장애관련 기관 봉사경험의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학습보다 장애인과의 긍정적인 경험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wareness of disabled in undergraduate students. A sample of 1,998 respondents was surveyed. Of these, a total of 1,957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excluding the 41 questionnaires that did not agree with the survey or had a missing data.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experience related to disability and disability awareness and we used a 4-point Likert scal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sability awareness score of our respondents was average 40.52. Second, female students had more positive about disability awareness than male ones, and senior students had more positive awareness than other grade students. Third, non-rehabilitation department students disability awareness was more positive than rehabilitation students. Fourth, the disability awareness of people who have a acquaintance member with disability or health worker were significantly positive. Finally, the awareness of people who experienced at the disability related institu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 Therefore, to improve the awaren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about disabilities, it is required to activate positive contact experiences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rather than theoretical learning.

      • KCI등재

        국내 지역사회 거주 만성질환 노인 대상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및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

        신가인(Ga-In Shin),박혜연(Hae Yean Park)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및 사용하는 측정도구가 무엇인지 확인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문헌검색을 위해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Google Scholar, RISS, Dbpia였으며, PICO 기준틀을 기반으로 연구질문을 선정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검색하여 포함기준과 배재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6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선정된 문헌은 Level 1-2의 질적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간호사가 가장 많이 프로그램을 진행 하였으며, 프로그램은 노인 50명 이하를 대상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주로 보건소와 노인정, 경로당에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고혈압을 가진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한 문헌이 가장 많았으며, 프로그램의 종속변수는 모든 문헌에서 인지적 영역을 다루었고, 그 뒤로 신체적 영역을 종속변수로 측정한 문헌이 많았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에게 자기관리에 대한 중재의 효과성을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만성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노인의 다양한 인지적,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삶의 질의 영역에 관련된 측정도구를 제시하며 다학제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programs and the measurement used for elderly people with chronic illness living in the community. Databases used for study search were Google Scholar, RISS, and Dbpia. And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ICO framework. We searched the study published from January 2010 to September 2019 and selected the final six studies by applying inclus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As a result, the selected study had qualitative level of Level 1-2. I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nurses conducted the most programs, and the program was operated for 50 elderly people or less. In addition, the program was conducted mainly in public health centers, senior centers. The subjects were the most studies for chronic patients with hypertensi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program covered the cognitive domains in all the studies, and many of the studies measured the physical domains as the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highligh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chronic diseas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measuring tools related to various cognitive, physical, mental, social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후보

        모바일 운전 시뮬레이션 검사를 이용한 운전자의 집중력과 운전능력에 대한 상관연구

        신가인(Shin, Gain),우예신(Woo, Ye-Shin),박다솔(Park, Da-Sol),박혜연(Park, Hae Yean)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3 No.1

        목적 :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모바일 운전 시뮬레이션 평가를 이용하여 운전 시 반응 속도와 분리 집중력의 점수와 선로 잇기 검사(TMT)의 집중력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개발된 모바일 운전 시뮬레이션 평가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성별, 나이, 우세손과 우세발 및 운전경력에 대한 일반적 정보를 설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모바일 운전 시뮬레이션 평가를 이용하여 운전시 반응 속도와 분리 집중력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 선로 잇기 검사를 통해 지속적 집중력, 변화적 집중력의 결과를 도출하였고, 운전 시 반응 속도와 분리 집중력에 대한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지속적 집중력과 운전 시 반응 속도 간에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추후 연구를 통해 모바일 운전 시뮬레이션 검사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입증하여 노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보완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ttention and mobile driving evaluation programs for healthy adults under the age of 65, and to present the basis for a mobile driving evaluation program. Methods : General information on gender, age, dominant hand, dominant foot, and driving experience was collected using a survey, and reaction time and divided attention were derived using a mobile driving evaluation program. In addition, sustained attention and alternating attention were derived through the Trail Making Test test. Results : Average values for reaction time and divided attention when driving using the mobile driving evaluation program were derived. A correlation analysis, fou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stained attention and reaction time during driving. Conclusion : This study should be supplemented with a program that can demonstr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bile driving evaluation program and that is applicable to the elderly.

      • KCI등재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SOC전략 수준과 성공적 노화의 차이 및 지역사회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신가인(Shin, Ga-In),우예신(Woo, Ye-Shin),박다솔(Park, Dasol),박혜연(Park, Hae Yean)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 수준과 SOC전략을 사용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지역사회에서 SOC전략을 기반으로 한 노인의 성공적 노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응답자들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고 68명의 응답을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SOC전략과 성공적 노화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SOC전략 사용수준은 여행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성공적 노화 수준은 학력, 경제수준, 65세 이후에 운동참여를 하는 응답자, 봉사활동 경험 변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응답자의 94.1%가 SOC전략을 사용한 성공적 노화에 관련된 지역사회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91.2%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제시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SOC전략과 성공적 노화 수준을 근거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ccessful aging level and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by using SOC strategy and to find out the necessity of successful aging program of the elderly based on SOC strategy in the communi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64 individuals who was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the community. 68 surveys were analyzed in the final analysis. In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OC strateg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ravel experience. Also,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economic condition and participated in exercise or volunteer activities than those aged 65 years or older. 94.1%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need a community program related to successful aging using SOC strategy, and 91.2% said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develop a systematic and practical community program based on the SOC strategy and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 KCI등재

        노년기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 및 여가만족도의 차이분석: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교

        우예신(Woo, Ye-Shin),박다솔(Park, Da-Sol ),신가인(Shin, Ga-In),박혜연(Park, Hae-Yeon)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2

        본 연구는 노인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고 선호하는 여가의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여가수행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의 제 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부가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자는 전기노인 2,212명, 후기노인 1,985명으로 총 4,19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전기노인(6.83시간/7.39시간)에 비해 후기노인(7.64시간/7.81시간)의 주중 및 주말 여가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유형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요일에 관계없이 휴식활동이 80%이상(TV 시청 및 라디오듣기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와 여가만족도 결과, 주중의 경우 선호하는 여가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더 높았고, 주말의 경우에는 선호여가 수행여부와 관계없이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높았다. 여가수행도의 경우에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수행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만족도의 경우,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모두 보통으로 응답하였고 전기노인의 여가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가변화요구도의 경우 선호여가 수행여부나 요일에 관계없이 전기노인의 여가변화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의 응답 점수는 변화하고 싶지 않음에 가까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만족을 향상시키고 여가수행을 지속하기 위한 여가제약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건강관리제도 도입과 같은 실천적인 움직임이 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활동 현황이나 유형분석에서 더 나아가 여가참여에 영향을 주는 주관적 요소 등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체계적인 조사척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performance according to whether elderly people are performing their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For the analysis, we used sample from the 6th (2015) panal data a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data of 4,197 elderly (2,212 young-old and 1,985 old-old) were analyzed. As a result, weekday and weekend leisure time of the old-old (7.64 hours / 7.81 hours) than the young-old (6.83 hour / 7.39 hour) was increased and resting activites (over 70% of watching TV and listening to the radio)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the both elderly leisure activities. Leisure performance were higher in old-old who did not perform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during weekdays. Leisure performance on weekends was higher in old-old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preferred leisure time. Average of leisure performance was high in both groups and they responded leisure satisfaction was moderate. In the case of need for leisure change, young-old was higher than oid-old regardless of preference leisure performance and day of the week. However, the responses of the both groups are closed to those that do not want to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uld be practiced such as develomenting program and introduction of health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leisure constraints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of leisure activities for young-old and old-old. We also emphasize the need for a systematic survey scal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qualitative aspects of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he subjective factors influencing leisure participation.

      • KCI등재

        고령자 연령별 반응속도 및 분리집중력 차이에 대한 비교분석

        우예신(Woo, Ye Shin),신가인(Shin, Ga-In),박혜연(Park, Hae Ye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3

        목적 : 본 연구는 운전능력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운전과 관련된 반응속도와 분리집중력을 평가하여, 고령자의 연령대에 따른 평균점수의 차이 분석으로 추후 고령자의 운전위험여부 진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2019년 8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W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복지관이용 노인 70명을 대상으로 운전 평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1차적으로 운전관련 설문지를 작성한후, 운전평가도구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반응속도와 분리집중력과제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유의수준은 0.1로 설정하였다. 결과 : 전기노인의 반응속도 과제에 대한 반응시간 평균은 0.717초, 후기노인은 0.843초로 유의수준 0.1에서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84). 분리집중력 과제에 대한 반응시간은 0.669, 후기노인은 0.695로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901). 결론 : 운전능력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고령운전자의 운전 시 반응속도와 분리집중력을 평가할 수 있었고, 향후 운전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action time and divided attention related to driving in elderly subjects using the driving ability assessment tool. By analyzing differences in average score according to age group, we also aim to, provide data for identifying the risk of driving in elderly people. Methods : A total of 70 elderly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a driving evaluation program for people over 65 years of aged and who live in W city, Gangwon-do from August to December 2019, were included in the study. After the driving questionnaire was completed, the mobile driving assessment tool was explained, and then the patients carried out the reaction time and the divided attention task.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1. Results : The reaction time of the younger-old was 0.717 s, while that of the older-old was 0.843 s,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84). The response time for the task of divided attention was 0.669 s in the younger-old and 0.695 s for the older-old. In this cas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901). Conclusion : Using the mobile driving ability assessment tool, it was possible to evaluate the reaction rate and divided attention of elderly while driving.

      • KCI등재

        Effectiveness of Senior Center Programs in South Korea: A Meta-analysis

        박다솔(Da Sol Park),신가인(Ga-In Shin),우예신(Ye Shin Woo),박혜연(Hae Yean Park)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4

        노인들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경로당 프로그램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증진에효과적이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를 비교하는 연구가 없었으며국내에서 관련 프로그램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의 경로당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헌검색에는 RISS, Google Scholar, Pubmed, EBSCOhost 를 사용하였으며 2009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Old people” AND “Program” AND “Effect” 였다. 선정된 연구들은 총 14편이었으며 메타분석이 시행되었다. 경로당프로그램은 4-36세션으로 진행됐으며, 1회당 평균 17.8세션, 68.6분이 소요됐다. 중재 특성에 따라 메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지, 정신, 혼합 프로그램은 효과 크기가 큰 반면, 신체적프로그램은 중간 크기를 가졌다. 프로그램 효과성에 따라 메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지적, 정신적 측면과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큰 효과 크기를 가졌다. 경로당 프로그램은 노인들의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효과를확인함으로써 경로당 프로그램 최적화와 다각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기반을 제시한다는점에 그 의의가 있다. Community-based senior center programs for the elderly are affect various aspects, such as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etc.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udies comparing the effect sizes of the objective effects of existing studies, and there are no studies that can identify the related trend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effects of senior center programs in small and medium cities. The RISS, Google Scholar, Pubmed, and EBSCOhost databases were used to collect literature published in local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09 to June 2019. The main search terms were “Old people” AND “Program” AND “Effect”. The selected studies were classified and Meta-analysis was used. Fourteen papers underwent analysis. Programs lasted 4-36 sessions, with an average of 17.8 sessions and 68.6 minutes per session. By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cognitive, mental, and mixed programs had large effect sizes, while physical programs had medium. According to effectiveness, cognitive, mental, and QOL aspects were all close to large. Senior center programs are useful for improving the physical, mental, and cognitive ability of the elder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foundation for optimizing senior centers and multifaceted health promotion by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ormer.

      • KCI등재

        중소도시 지역 거주 고령자의 경로당 프로그램 이용 실태 및 활용 전망

        박다솔(Park, Da Sol),신가인(Shin, Ga-In),우예신(Woo, Ye Shin),이혜식(Lee, Hey Sig),박혜연(Park, Hae Yean)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1

        목적 : 본 연구는 중소도시 지역 특성에 맞는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국내 경로당 프로그램의 현황과 경로당 프로그램의 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19년 7월에서 9월까지 전국 5개 지역(경기, 경상, 충청, 전라, 강원)의 읍, 면, 리에 개설된 소규모의 경로당을 연구자가 방문하여 대인면접 설문조사 형태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 경로당 이용자가 경로당을 이용하는 주요 이유는 ‘친구들이 있어서’이며 55.0%의 이용자가 일주일에 4-5회 경로당을 이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용자들의 45.9%가 경로당 이용에 만족하고 있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20.2%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비이용자의 43.5%가 ‘마땅히 즐길만한 활동이 없어서’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경로당 활성화 방안으로 46.5%의 응답자가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경로당 이용자와 비이용자 모두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운동, 취미와 오락, 건강 프로그램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국내 중소도시 지역 거주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 여부, 이용 목적, 프로그램 만족도, 프로그램 개선점과 제한점 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경로당 프로그램의 제한점을 파악하고 추후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경로당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wanted to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senior center programs to collect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enter programs for small and medium cities. Methods :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s visited small and medium cities (Gyeonggi, Gyeongsang, Chungcheong, Jeolla and Gangwon)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19 and conducted interpersonal surveys. The study involved 183 people. Results : The users mainly used senior centers‘because they of their friends’ 55% indicated that they used centers four to five times a week. 45.9% were satisfied with their center, and 20.2% indicated that‘various programs’were needed to make the centers attractive. Of the non-users, 43.5% indicated that they did not use the centers for their lack of‘enjoyable’activities, and 46.5% indicated that‘various programs’should be developed to make the centers attractive. Programs favored by both users and non-users included exercise, hobbies and entertainment and health programs. Conclusion : The study show that the general factors influencing the use of senior centers by senior citizens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include the purpose of us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improvement points and limitations. Accordingly,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enter programs will be identified, and the findings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rograms.

      • KCI등재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 연구 : 체계적 고찰

        박다솔(Park Da Sol),신가인(Shin Ga In),우예신(Woo Ye Shin),박혜연(Park Hae Yea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8 재활복지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about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therapy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omestic clinical fiel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types and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using the virtual reality program. Research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7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Google Scholar, and Pubmed database. The main search terms were ‘Virtual Reality AND Rehabilit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Effect’. Finally, 10 foreign stud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Selected studies were organized using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forma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types, stroke, brain tumor, Parkinson s disease, and kidney disease. The tools used for arbitration were three IREX (30 %), two X-box Kinect (20 %), two Nintendo Wii (20 %), one [Existing tool + VR] (10 %), one [Mobile application + VR] (10 %).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improvement of function was observed in all 10 studies from overseas, and physical function was 24 times (66 %), mental function 6 times (17 %), cognitive function 5 times (14 %), Activity of daily living 1 time (10 %).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expand the scope by organizing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and its effects.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임상현장에서 재활치료에 종사하는 의료인, 의료기사 및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가상현실 기반의 재활치료와 효과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재활치료가 임상에서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Google Scholar,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7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Virtual Reality AND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AND Effect’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해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형식을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10개의 논문에서 참여한 대상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는 총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그 종류는 뇌졸중, 뇌종양, 파킨슨병, 신장질환이었다. 중재에 사용한 가상현실 기반 도구들은 IREX 3건(30%), X-box Kinect 2건(20%), Nintendo Wii 2건(20%), [Existing tool + VR]이 1건(10%), [Mobile application + VR]이 1건(10%)이었다. 중재 결과 10개의 논문 모두 기능향상이 나타났으며 신체기능이 24회(66%), 정신기능 6회(17%), 인지기능 5회(14%), 일상생활활동이 1회(3%)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와 그 효과를 정리하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시키고, 영역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