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고인성 열가소성 복합재료 AS4/PEEK의 피로강도에 관한 기초적 검토

        송지호,강재윤,Song, Ji-Ho,Gang, Jae-Yun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4

        First, various specimen geometries, namely, coupon type, waisted type and dog-bone type, were examined to determine appropriate fatigue specimen of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AS4/PEEK and the n, fatigue strength of smooth and notched specimens of AS4/PEEK [-45/0/+45/90]2s was investigated. Fatigue tests were performed under load controlled condition at a stress ratio of 0. 1 at a frequency of 5Hz. Stiffness degradation of specimens with fatigue cycling was monitored using an automated unloading compliance technique. The waisted type specimen is found appropriate for smooth fatigue specimen geometry of AS4/PEEK. As for the effect of stress concentration, it is found that fatigue strength is higher for a 2mm-diameter hole notched specimen than a 5mm-diameter one. Fatigue notch factor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fatigue life. These results are far different from the trend of fatigue strength of metallic materials. The stiffness variation of smooth specimen was only 4% at maximum until final fracture. On the other hand, the stiffness of hole notched specimen was reduced by 45% at maximum. Notched fatigue strength was compared between thermoplastic composite AS4/PEEK and thermosetting composite Graphite/Epoxy. In long-life fatigue (>104), the AS4/PEEK composite shows superior fatigue strength, but in short-life fatigue, the fatigue strength of the Graphite/Epoxy composite is nearly equal or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the AS4/PEEK composite.

      • 세계화와 간호사의 해외취업

        송지호 ( Ji Ho Song )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2006 간호학탐구 Vol.15 No.2

        간호의 세계화 목표는 우선 세계인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많은 많은 국가의 간호사들 간에 간호지식과 경험을 공유하기 위함이며 간호과학을 향상시켜 지구촌 모든 사람들에게 그 혜택을 주기 위함이다.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간호사들은 경영마인드와 과학적 지식, 윤리적 관심, 정보기술혁명 등에 관한 지식과 기술을 겸비하고 사고와 언어에 있어 개방적이고 유연해야 하며 문화적 관심을 가짐으로서 세계화에 동참할 수 있다. 최근 전 세계적인 간호사의 부족현상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간호사의 국가 간 이동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의 심각한 간호사 부족현상은 한국간호사들의 해외취업 활성화를 시키는 동인이 되고 있다. 한국간호사가 해외취업을 원하는 국가는 미국을 비롯한 영어권 국가이다. 그러나 한국간호사들이 미국병원에서 적응하는 과정 중 가장 큰 장애는 언어장애와 실무능력차이, 문화적 차이, 그리고 인간관계 양상의 차이로 겪는 어려움이다. 우리 간호사들이 해외취업을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장애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대책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언어능력과 실무능력, 문화적 적응능력이 향상되고 영주권 취득에 필요한 비자스크린 등이 해결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서두르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International trade agreements are impacting on nursing. Nursing is becoming global profession, so nurses need to be responsive to practice globally. Goals for globalization of nursing are to improve the health of people in the world and to share nurs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among nurses across countries and to advance nursing science and art to benefit the people in the global village. A shortage of RNs exists in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The primary receiving countries are U.S, Australia, Canada and U.K. The effects of migration on donor countries include the loss of skilled personnel and economic investment, receiving countries receive skilled nurses to fill critical shortages with less economic investment But nurses migrates to seek better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than in their native countries. Most of Korean nurses want to work in the U.S. When Korean nurses work in the hospital setting in the U.S, the language barrier was a problem faced by them. They faced problems of a difference of nursing practice and cultural differ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stage of adjustment. This shows some kind of programme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and solve Korean Nurses` adjustment to USA hospital in the future.

      • KCI등재

        19세기 영국 디자인에 미친 중국 장식문양의 영향과 활용 – 오웬 존스의 『중국 장식의 예(Examples of Chinese Ornament)』(1867)를 중심으로

        송지호(Song, Ji Ho)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2 美術史學 Vol.- No.43

        19세기 영국은 산업화와 제국주의라는 국내외적 과제를 안고 급속한 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었다. 산업화 과정에서 기계화를 통한 대량생산품이 수공예품을 대체하는 과정에서 조잡한 기성품의 양산으로 공예품의 미적, 질적 저하가 이루어졌고 산업과 예술을 접목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자국의 제조업의 수준을 자각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1851년 런던 만국박람회(Great Exhibition)였다. 이에 디자인 개혁(Design Reform)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디자인 교육 정책을 개편하고, 박람회의 대중적인 성공으로 조성된 기금으로 박람회에 출품된 각 국의 우수한 산업미술품과 공예품을 사들여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의 초기 소장품을 마련하였다.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의 건립 목적 중 하나가 시민들의 ‘예술에 대한 올바른 취향 제고’라는 점은 영국 내 다른 박물관과는 차별되는 지점이었다.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이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 실질적인 디자인 교육의 선두에 선 것도 이와 같은 이유였다. 오웬 존스와 같은 예술 교육 행정가들은 디자인 개혁의 사령관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사우스 켄싱턴 박물관의 건립을 주도하고 소장품과 전시를 통해 디자이너, 제조업자, 시민에게 좋은 제품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구체적인 노력으로는 박물관의 소장품에서 자신들이 제시하는 기준에 부합하는 문양을 추출해 도안을 제작하거나 교육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장식미술과 디자인에 관한 이론서의 발간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도 이러한 모색의 일환이었다. 존스의 『중국 장식의 예(Examples of Chinese Ornament)』(1867)는 19세기 후반 영국의 예술 행정가들이 좋은 디자인의 예시를 찾고자 고대 미술에서 문양을 추출해 도안화하고 이를 활용하여 디자이너와 제조사에서 어떻게 새로운 제품을 생산해내는지 일련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예로서 주목할 만하다. 아편전쟁 이후 재개되는 중국의 고급 공예품의 유입으로 인해 중국 미술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있어 영국의 도자사업을 육성하기 위한 문양의 원천으로 삼았던 것이다. 한편, 1851년 만국박람회를 시작으로 19세기 후반 연속적으로 개최되는 국제적인 전시를 통해 각국의 공예품을 접하면서 도자 제조에 있어 기술적인 면에서도 발전이 있었다. 이는 19세기 후반 민튼사에서 제작한 중국 법랑 디자인의 요소를 차용한 〈클루아조네(Cloisonné)〉 시리즈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 영국의 디자인 개혁 과정에서 아시아의 고대 공예품이 어떻게 인식되어 디자인 교육에 활용되고 산업미술품으로 제작되는지 그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In the 19th century, England was undergoing rapid social changes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allenges of industrialization and imperialism.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mass products through mechanization replaced handicrafts, and the aesthetic and quality of crafts deteriorated due to the mass production of crude ready-made products, and efforts to solve these problems by combining industry and art began to be made in various ways. The decisive opportunity to become aware of the level of its manufacturing industry was the Great Exhibition in London in 1851. As a result, the need for design reform emerged, reorganizing design education policies, and buying excellent industrial art and crafts from each country submitted to the fair with the fund created by the popular success of the fair to prepare the initial collection of the South Kensington Museum. One of the purposes of the South Kensington Museum was to "improve the right taste for art" of citizens,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museums in the UK. For this reason, the South Kensington Museum was at the forefront of practical design education as an institu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rt education administrators such as Owen Jones tried to serve as commander of design reform, lead the construction of the South Kensington Museum, and present standards for good products to designers, manufacturers, and citizens through collections and exhibitions. Specific efforts were to extract patterns that met the standards they presented from the museum’s collections and produce designs or use them as educational materials. It was also part of this search that the publication of theoretical books on decorative art and design was actively carried out. 『Examples of Chinese Ornament』(1867) noteworthy as an example of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British art administrators in the late 19th century extract patterns from ancient art and use them to produce new products in designers and manufacturers. Due to the influx of high-quality Chinese crafts that resumed after the Opium War, the perception of Chinese art also changed, making it a source of patterns to foster British ceramic business. Meanwhile, starting with the Universal Expo in 1851, international exhibitions held continuously in the late 19th century have also developed in terms of technology in ceramic manufacturing. This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the "Cloisonné" series, which borrowed elements of the Chinese enamel design produced by Minton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in detail how ancient Asian crafts were recognized, used in design education, and produced as industrial art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British design reform process.

      • 鮟鱇網 漁具 漁法의 改良에 관한 硏究-오똑이錨 1號의 性能

        송지호(Song Ji-ho)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86 水産科學硏究 Vol.- No.2

        A large stocked anchor is used for the stow net fishery. Since one side fluke of this anchor directs upward on the sea floor, It is reasonable to get rid of this unnecessary and obstructive fluke. The absolutely-roll-stable single fluke anchor (ARS anchor) which is able to orient and penetrate on the sea floor irrespective of drop attitude was tentatively manufactured. We took applicable results in some degree resulting from the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pertinent to the primary function of anchor. ARS anchor takes right stand and operates normal function at 10L of the dragging distance from the upset state, the coefficient of holding power is 10 at about 15L. The stability of ARS anchor is normal state, its veering capability also shows good result compared with the ordinary anchor. But its holding power is inferior to some extent to the ordinary anchor.

      • KCI등재후보

        소아 신경질환에서의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검사의 임상적 유용성

        송지호(Ji Ho Song),오가영(Ka Young Oh),양재혁(Jae Hyuk Yang),김영옥(Young Ok Kim),남태승(Tae Seung Nam),우영종(Young Jong Woo)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2

        목적: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는 신경세포막 사이에 존재하는 강글리오사이드 세포를 공격하는 기전으로 여러 신경학적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길랑바레증후군 등의 면역매개 신경질환에서의 연관성이 커 이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소아영역에서의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 패널 검사를 통해 소아영역에서의 본 검사의 진단학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6년 4월까지 5년7개월 동안 의식변화, 운동실조, 근력저하, 복시, 마비의 중추신경계 이상 증상을 주소로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 검사를 시행 받은 18세 미만 소아환자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수집, 검토하였다. 결과: 총 42명의 환자들 중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 양성군으로 분류된 것은 11명이었고, 대상들은 GBS, 뇌간뇌염, 급성 파종성 뇌염, 운동실조가 없는 급성안근마비, Tolosa-Hunt 증후군 등으로 각각 진단 할 수 있었다. 진단명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강글리오사이드항체 양성율을 보인 질환은 뇌간뇌염으로, 총 5명의 뇌간뇌염 환자 검체 전부에서 항체가 검출되어 매우 높은 양성율을 보였고,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와의 연관성이 알려진 대표적인 질환인 GBS에서는 오히려 낮은 양성율을 보였다. 결론: 항강글리오사이드 항체검사는 뇌간뇌염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와 실조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소아환자에서 진단시에 매우 유용한 검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인과는 달리 GBS 환자에서는 그리 높지 않은 양성률(20%)을 보였고, 이에 반해 여러가지 질환군들에서 뇌간침범을 보이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 더 높은 양성율을 보였다. 그러나 검토한 숫자가 많지 않아, 보다 더 많은 수의 증례가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Ganglioside antibodies are known to be related to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such as Gullain-Barre syndrome, and Miller-Fisher syndrome or other illnesses with neurologic symptoms like motor weakness, ataxia, changed mental status, diplopia, and dizziness. In this study the utility of anti-ganglioside antibody titer as a diagnostic marker and its correlation with clinical course in pediatric patients were investigated. Methods: From October 2010 to Apirl 2016, anti-ganglioside antibody panel was performed in 42 patients with one of these symptoms: ataxia, motor weakness, changed mental status, diplopia. The panel was composed of 6 subtypes of anti-ganglioside antibodies: Anti-GM1 IgG/IgM, Anti-GD1b IgG/IgM, Anti-GQ1b IgG/IgM.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aspects of clinical diagnostic studies including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electroencephalogram(EEG), cerebrospinal fluid examination and routine laboratory work-up Results: Among 42 patients, total 11 patients showed positivity on antiganglioside antibody. Among anti-ganglioside antibody positive patients, brainstem encephaliti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Gullain-Barre syndrome, acute opthalmoplegia without ataxia, acute disseminated encephalitis, encephalitis and Tolosa-Hunt syndrome. Subtypes of ganglioside antibodies are investigated in each diseases, but not like previous datas, subtypes were varied case by case in same disease, showing lack of correlation. Conclusion: Anti-ganglioside antibody panel exam was useful in diagnosing brainstem encephalitis and several other neurologic illnesses with cerebellar symptoms. Also, unlike previously known adult data, positivity of anti-ganglioside antibodies in GBS was relatively low in children (20%). However, further study might be done to clarify connections between antiganglioside antibodies titer and the clinical course of the diseases.

      • 鮟鱇網 漁具 漁法의 改良에 관한 硏究

        송지호(Song Ji-ho) 군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1985 水産科學硏究 Vol.- No.1

        A stocked type anchor is used in the stow net. Since one side fluke of this anchor is projected into the upward in the sea bottom, the fishing gears including net and rope are snagged by this fluke, and sometimes a big accident happens. If we could get rid of this unnecessary fluke, it will be the best way in the stow net anchor. The attaching position and shape of stock can be changed in the ideal anchor with only one side fluke. Unde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most effective stock with only one fluke, the model anchor tests were carried out with the changes of size, shape and attaching position of stock, and examined the intrusive quality, stability and holding power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reliability of anchor. In case that the conventional stock is used, acceptable attaching position of stock judged from the initial and secondary holding is position B. In the position A. the right stand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holding is difficult, on the occasion that the stock length is quite short. The secondary holding gets worse with decreasing of the stock lenth in the position C, but in case that the stock is sufficiently long the secondary holding is rather better than any other position. Therefore, we may admit the possibility to change the present attaching position of stock. The qualities of the transformed stocks are generally interior to the conventional type. But the application possibility can be seen in some model types. We think especially the bent shape round rod type, plate and V-angle types seem to be worthy of study in the future.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제주도 교래곶자왈 낙엽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 연구

        송지호 ( Ji Ho Song ),한봉호 ( Bong Ho Han ),이경재 ( Kyong Jae Lee ),곽정인 ( Jung In Kwark ),김홍순 ( Hong So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곶자왈은 제주도 내 한라산을 제외한 가장 넓은 규모의 숲이라고 할 수 있다. 곶자왈은 화산활동으로 형성된 토양이 크고 작은 암괴로 이루어진 숲으로 최근 ‘제주 허파’ 또는 ‘자연 허파’와 같이 비유되고 ‘제주 생태계 생명선’, ‘살아 숨쉬는 땅’이라 불러지며 그 가치를 재조명 받고 있다. 곶자왈은 “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엉클어져 수풀같이 어수선하게 된 곳”이나 “가시덤불과 나무들이 혼재한 곳이라는 ‘고지’와 토심이 얕은 황무지인 ‘자왈’이 결합된 의미”로정의되었다. 과거부터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쓸모없는 땅이라 여겨졌으나 최근 그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은 세계적으로 희귀한 형태 자연자원이자 원경관적 요소이다. 곶자왈은 화산섬인 제주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화산활동이 만들어 낸 독특한 자연환경이다. 과거 심하게 훼손되었었으나 1970년대 이후 수렵 및 벌채가 금지되고 목축산업이 축소되면서 자연림으로 회복되고 있다. 지형 및 지질적 특성 때문에 곶자왈만의 독특한 기후가 나타나는데 토양은 빈약한 반면 보온 효과가 크고 습도가 높아 열대북방한 계식물과 한대남방한계식물이 혼재한다. 그리고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제주고사리삼을 비롯한 다양한 양치식물과 선태식물이 생육하는 곳으로 제주도 중산간 지대에 주로 분포함으로써 한라산과 해안지대를 잇는 중요 생태축을 이루고 있으며 노루를 비롯한 희귀동물 서식처 역할을 하는 생태적 중요지역이다. 연구대상지인 교래곶자왈은 약 30년전 축산업을 위해 대규모 초지로 개간하였고, 이후 2002년 리조트 사업으로 재차 개발된 지역이었다. 아직 제대로 된 생태계 가치 규명이 미흡한 상태이며 특히 온대남부 기후대, 난대 기후대의 기후특성이 혼재되어 다양한 양치식물과 선태식물이 생육하고 있고 팽나무와 때죽나무, 예덕나무가 우점하는 독특한숲 구조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초 환경이 되는 자연환경, 식생구조와 형성과정을 밝힌 논문은 전무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화산활동으로 인해 생성된 곶자왈 지형에 독특한 식생구조가 형성되어 보전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교래곶자왈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특성을 연구함으로서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교래곶자왈 보전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비교연구대상지는 교래곶자왈 식생구조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교래곶자왈과 같은 기후대인 온대남부 낙엽활엽수림으로서 성판악 낙엽활엽수림과 어리목 낙엽활엽수림을 선정하였다. 교래곶자왈의 자연환경 특성으로 기후 특성과 지형 및 지질특성을 분석하였고 식생구조 특성으로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토양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성판악지역과 어리목지역의 낙엽활엽수 식생구조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을 종합하여 교래곶자왈 식생구조 특성을 종합하였고 식물생태 매커니즘을 도출하였다. 식생조사는 2011년 10월에 실시하였다. 교래곶자왈은 1980년대 목장을 만들기 위해 1차적으로 훼손되었고 2002년부터 다시 테마파크와 골프장으로 개발되었다. 위치는 제주특별자치도 조천읍 대흘리 1221-1번지일대이었고 개발사업 총 면적은 3, 345, 610㎡ 이었는데 연구대상지는 곶자왈 숲이 보전되고 있는 테마파크 지역인 1, 216, 150㎡로 설정하였다. 테마파크 조성기간은 2006년8월∼2015년 12월이었고 현재 개발진행중인 지역이었다. 어리목 낙엽활엽수림은 온량지수(75. 4℃·월)로 보면 온대북부림, 한랭지수(19. 6℃·월)로 보면 난대림이었으나 연평균기온(9. 7℃)과 우점종이 졸참나무와 개서어나무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온대남부림으로 판단되었다. 성판악 낙엽활엽수림은 온량지수(82. 6℃·월)로 보면 온대북부림, 한랭지수(12. 8℃·월)로 보면 난대림이었으나 연평균기온(10. 6℃)과 군집의 우점종이 서어나무와 졸참나무이면서 다양한 온대남부수종이 출현하고 있어 온대남부림으로 판단되었다. 자연환경특성 분석결과 교래곶자왈은 온량지수와 월평균기온 의해 온대남부 기후대에 해당하였으나 지리적 위치가 온대남부 기후대와 난대 기후대의 접점에 위치하였고, 곶자왈의 보온·보습이 잘 되는 특성상 난대 기후대의 특성도 혼재되어 있다고 판단되었다. 표고와 경사는 대부분 400∼430m의 평지이었고, 향은 세부적으로 굴곡이 심했으나 식생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대상지에서는 지형적 특성보다는 지질적 특성의 영향이 클것이라 판단되었다. 지질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지는 잔적층(61%)과 충적층(39%)으로 형성되었고 잔적층을 중심으로 유효토심이 깊었지만 암괴상 지형으로 인하여 식생이 근계를 형성하기 어려웠었고 대부분 용암류대지로 배수가양호하였다. 교래곶자왈의 식생특성 분석결과, 현존식생 유형은 크게시가화지역, 조경수식재지, 초지 및 수역, 산림지역으로 구분이 되었고, 산림지역 중 예덕나무와 팽나무가 가장 넓었으며 온대남부 및 난대 기후대의 다양한 수종이 출현하였다. 식생구조조사는 35개 조사구를 Cluster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을 통해 비목나무-때죽나무-합다리나무군집, 때죽나무-센달나무-팽나무군집, 팽나무-때죽나무-단풍나무군집, 예덕나무-때죽나무-개서어나무군집, 곰의말채나무-개서어나무-때죽나무군집, 개서어나무군집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비목나무, 곰의말채나무, 개서어나무 등온대남부 수종의 우점도가 높았으며, 예덕나무, 종가시나무, 참식나무 등 난대 수종도 다수 출현하였다. 참나무류는 출현하지 않았고 개서어나무가 출현해 과거 개서어나무림이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때죽나무, 쪽동백나무 등 일부 아교목성상의 수종이 교목층을 형성하여 독특한 층위구조를이루었다. 종수 및 개체수와 종다양도지수를 살펴보면, 난대 기후대인 선흘곶자왈이 온대 남부 기후대인 내장산국립공원보다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성이 높은 숲으로 판단되 었는데 이는 온대남부, 난대 기후대의 다양한 수종 출현과곶자왈 특유의 뛰어난 보온·보습력, 지형적 특성이 나타난점, 훼손 이후 변화 중인 점으로 인해 많은 종수와 개체수, 높은 균재도가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토양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유효인산을 제외한 pH, 유기물, CEC 등 전반적으로 식물생장에 양호한 특성이었으나 실제대상지는 암괴상의 지형으로 인해 식물이 근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제주도 내 다른 온대남부 낙엽활엽수림인 성판악과 어리목지역과 비교분석한 결과, 상대우점치는 비슷한 기후대의 성판악과 어리목지역에서 졸참나무와 서어나무류가 우점한 반면 교래곶자왈은 참나무류는 출현하지 않고 다양한 수종이 함께 생육하고 있었다. 종수 및 개체수에서는 교래곶자왈이 약 2. 5배 정도 많은 종수 및 개체수가 출현하였고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 또한 교래곶자왈이 다른 지역보다 높았는데 이는 교래곶자왈이 난대 기후대와 온대남부기후대의 사이에 있고, 보온·보습력이 높아 식물생육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어 하층에 다양한 종이 많은 개체수로 출현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주요 수종에 대한 표본목 수령 및 생장상태 분석결과, 교래곶자왈은 다른 식생군집에 비해 15∼20년 정도 젊은 숲이었다. 흉고단면적 합계는 다른 지역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고, 유사도지수 분석결과 모든 식생유형은 서로 상이하다고 분석되었다. 교래곶자왈은 기존 연구되었던 온대남부림의 천이경향을 보이지도 않고 어리목, 성판악지역 식생구조와도 다른 식생구조이었다.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지수가 높았고, 비교적 젊은 숲이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교래곶자왈 식물생태 매커니즘을 도출하였다. 교래곶자왈은 화산폭발로 인해 생성된 암괴들로 독특한 환경이 형성되었다. 이후 자연적으로 식생들이 생육하고 있었으나 1950년 전후로 4·3사건과 한국전쟁을 거치고크게 훼손되었다가 복원되어 예덕나무, 팽나무가 우점하는 2차림을 형성하였다. 인접한 곶자왈인 선흘곶자왈 동백동산과 비교해 보았을 때, 동백동산은 과거 숲이 훼손된 후기존에 숲을 이루고 있던 참나무류인 종가시나무가 맹아로 자라나 숲을 이루는 우점종이 된 반면 교래곶자왈은 참나무류가 없었고 현재 일부 군집에 출현하는 개서어나무군집이었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나머지 예덕나무, 때죽나무, 팽나무 등의 군집은 과거 훼손이후 숲을 이룬 수종으로서 향후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출현할지, 군집의 우점종의 변화나 생태적 천이가 일어날지 등에 관하여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교래곶자왈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특성과 형성과정을 밝히고 향후 생태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곶자왈 과거 연구자료가 많지 않아 교래곶자왈의 정확한 과거 모습과 향후 변화과정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자료를 구축하여 생태계 변화에 대해진단·예측하고, 관리계획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곶자왈의 중요성이 새로이 인식되고 있는 지금 자연환경을 이용해 개발만할 것이 아니라 관련된 수자원, 지질학적인 연구, 생태학적연구, 특히 식생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를 빨리 수행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국어 읽기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의 유효성 및 정상인의 읽기 속도에 대한 사전 연구

        송지호(Ji ho Song),김재형(Jae hyung Kim),형성민(Sung min Hyung)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4

        목적: 노안 및 다초점 인공수정체에 대한 관심과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근거리 시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로 근거리 시력표를 사용하고 있다. 읽기 속도 측정은 근거리 시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이지만 아직까지 한국어 읽기 속도 차트가 없었다. 그래서 최근 개발된 한국어 읽기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정상인의 한국어 읽기 속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애플리케이션은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에서 63개의 문장을 선정하여 매 검사마다 무작위 선택 방식으로 문장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개발되었다. 최대 밝기의 아이패드 화면의 문장을 40 cm 거리에서 읽으며 검사하도록 하였다. 근거리 교정시력 0.8 이상인 정상인을 대상으로 눈으로만 읽는 속도와 소리 내어 읽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 문장들은 평균 18.9 ± 2.6 음절, 6.5 ± 0.7 어절이었다. 읽기 속도는 남자 25명, 여자 1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0포인트 글자 크기에서의 평균 읽기 속도는 202.3 ± 88.4 words per minute (WPM)이며, 평균 읽기-말하기 속도는 129.7 ± 25.9 WPM으로 이 두 값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한국어 읽기 속도 측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근거리 시기능을 더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노안 및 여러 노안교정수술 후 근거리 시기능의 변화 측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안과적 질환에서 읽기 속도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Reading speed is one of the methods used to measure near visual function. Although several versions of reading charts in different languages have been introduced, there is no Korean version of the reading chart yet.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reading speed of normal-sighted Korean people using a recently developed reading speed application for the iPad tablet in Korea. Methods: Normal-sighted participants without presbyopia were included and a third generation retina display iPad was used to measure reading speed. The iPad screen was set to maximum brightness and the examination was performed at a distance of 40 cm. Reading speeds were recorded twice: one for reading the sentence silently (reading only) and one for reading the sentence out loud (reading & speaking). Results: The test sentences used in the application had 18.9 ± 2.6 letters and 6.5 ± 0.7 words on average. Twenty-five males and seventeen females were included. The average of the reading only speed was 202.3 ± 88.4 words per minute (WPM), and that of the reading & speaking speed was 129.7 ± 25.9 WPM,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1). Conclusions: This Korean reading chart application is the first self-reporting reading chart in Korean. This chart could present a new standard for measuring both reading only and reading & speaking sp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