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치골에 발생한 연골육종 - 증례 보고 -

        송원석,안준환,조완형,변우진,전대근,Song, Won-Seok,An, Joon-Hwan,Cho, Wan-Hyeong,Byun, Woo-Jin,Jeon, Dae-Ge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골반골은 악성 골종양의 원발 병소 중 예후가 가장 나쁜 위치이다. 그 중에서도 치골결합 주위에서 발생한 악성 골종양은 그 자체가 극히 드물며, 이곳에 발생한 연골육종은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해부학적인 위치 때문에 절제에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치골에 생긴 골반강내 연골육종을 양측 치골지의 절골술 후 도달법으로 전 절제가 가능하였으며, 술후 양호한 기능적 결과를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Pelvic bone is location with the worst prognosis in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Malignant bone tumor around symphysis pubis is extremely rare, and although small size, it is difficult to excise because of anatomical location.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intra-pelvic chondrosarcoma of the pubic bone with good functional result through resection by both superior & inferior pubic ramus osteotomy.

      • SCIESCOPUSKCI등재

        백서에서 $CO_2$ 레이저를 이용한 치은절제술후 Aloe vera가 치유과정에 미치는 영향

        송원석,채중규,조규성,김종관,Song, Won-Seok,Chai, Jung-Kiu,Cho, Kyoo-Sung,Kim, Chong-Kwan 대한치주과학회 1994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24 No.2

        Gingivectomy has been utilized as a therapeutic method to remove diseased periodontal pocket wall in order to aid in root planing. Although chemical agents and electrosurgery has been used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surgical blades, difficulties in controling the depth of chemical penetration and effectively regenerating the gingival tissue as well as the slow wound healing has been pointed out as shortcomings of these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 of Aloe vera on wound healing of gingivectomy sites created by $CO_2$ laser on palatal gingiva of maxillary molar region of white rats. Those sites treated by surgical blades were designated as control, by $CO_2$ laser as Experimental group I, by surgical blades in addition to topical application of Aloe vera as Experimental group II, and by $CO_2$ laser and Aloe vera application as Experimental group III. Animals were sacrificed at 2 days, 3 days, 1 week, 2 weeks and 3 weeks postoperatively, and the specimens were histolog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sorption of blood clot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at 3rd day, followed by the 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s at 1 week postoperatively. 2. Persistent inflammation was observed up to 1 week i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I and III, and until the 2nd week in Experimental group I. 3. Granulation tissue was observed up to 1 week in the control, and 2 weeks in the rest of the groups. 4. Epithelization started on the 2nd day. The control showed the most rapid epithelization, and the process was completed by the 2nd week in all groups. 5. Experimental group II and III, which were treated with Aloe vera, showed similar healing patterns to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I.

      • 탄력성 있는 골수강 내고정물과 회전경첩형 슬관절 전치환물을 조합한 종양인공관절로 자가골의 골 용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가?

        송원석,조완형,조상현,전대근,Song, Won-Seok,Cho, Wan-Hyeong,Cho, Sang-Hyun,Jeon, Dae-Geun The Korean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2007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3 No.2

        목적: 슬관절 주위에서 탄력성 있는 골수강 내고정물과 회전경첩 슬관절 전치환물을 이용한 재건술이 종양인공관절과 자가골 경계부위의 골 흡수를 억제할 수 있는지를 35례에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재건 술식은 다음과 같다. 1) 종양 절제, 2) 근위부나 원위부의 골수강에 다수의 Ender 정 삽입, 3) Ender 정과 Endo-Link 형 슬관절 전치환물을 강선 과 골 시멘트를 이용하여 결합 결과: 평균 추시기간은 53개월(30~79개월) 이었다. 최종 추시 상 29명의 환자가 가동관절을 유지하였다. 장관골 길이의 40% 이상을 절제한 군에서 종양인공관절과 자가골 경계부위 골질의 비후가 나타났다(p=0.028). 내고정 금속정의 파괴가 8례 있었으며, 조기 및 지연 감염으로 8례의 내고정물을 제거하였다. 본 재건술의 생존율은 6년에 33%였다.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 System 평가 법에 따른 기능적 결과는 26.8(89.3%)였다. 결론: 본 술식의 단-중기적 결과는 양호하였으며 합병증 발생시 재수술이 매우 용이하였다. 본 술식에서 관찰된 종양인공관절-자가골 이행 부위의 골 비후 소견은 추후 더 연구해 볼 문제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uthors investigated whether 35 flexible nail-rotating hinge composite reconstructions around knee joint minimize junctional osteolysis of host bone. Material and Method: The reconstructive technique was as follows: 1) en bloc tumor resection, 2) filling of the host bone marrow cavity with multiple Ender nails, 3) assembling the Ender nails and an Endo-Link type total knee component with wire and bone cement. Result: Mean follow-up was 53 months (ranged 30~79). At final follow-up, 29 patients retained a mobile joint. Resection of more than 40% of bon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unctional hypertrophy (p=0.028). Eight patients showed nail breakage and eight prostheses were removed due to early or late infection. The cumulative prosthetic survival rate was 33% at 6 year. Average functional score according to the MSTS criteria was 26.8. Conclusion: Mid-term evaluations showed that results were fair. The revision process was straightforward. Junctional hypertrophy observed appears to give some clues as to how to minimize osteolysis at the prosthesis-host junction after modular prosthesis fixation.

      • 원위 경골 골육종의 역행적 골수내 정과 저온 열처리 골을 이용한 재건 - 증례 보고 -

        송원석,안준환,이수용,박종훈,조완형,고한상,전대근,Song, Won-Seok,An, Joon-Hwan,Lee, Soo-Yong,Park, Jong-Hoon,Cho, Wan-Hyung,Ko, Han-Sang,Jeon, Dae-Ge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6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2 No.2

        원위 경골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은 드물고 치료에 있어서도 절단술이 많이 시행되어왔다. 최근 사지 구제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지만 발목 관절이 포함 되는 경우 재건 방법이 용이치 않다. 저자들은 원위 경골에 발생한 골육종 1례에 대해서 역행성 골수내 정과 저온 열처리 자가골을 이용하여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Malignant bone tumor in distal tibia is a rare condition which has been treated by amputation. Although widely accepted, limb salvage surgery in this area poses difficulties with respect to reconstruction. We present one patient with distal tibial osteosarcoma treated by performing limb salvage and reconstructing with retrograde IM nail and pasteurized bone.

      •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의 진단, 치료 및 예후

        송원석,조완형,이광열,공창배,고재수,전대근,이수용,Song, Won Seok,Cho, Wan Hyeong,Lee, Kwang-Youl,Kong, Chang-Bae,Koh, Jae-Soo,Jeon, Dae-Geun,Lee, Soo-Y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14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20 No.2

        Purpose: We analyzed the diagnosis and the treatment outcomes of patients with central low grade osteosarco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6 patients with central low grade osteosarcoma were treated at out institution between 1994 and 2011. Results: There were 4 men and 12 women with mean age of 26 years. Eleven patients were correctly diagnosed but 5 patients were misdiagnosed as osteoid osteoma, non ossifying fibroma, aneurysmal bone cyst, desmoplastic fibroma. 15 patients finally received wide margin en bloc excision and one of them treated under neoadjuvant chemotherapy. Final survival status was continuous disease free in 14 and 1 patient died of renal cell cancer. Remaining 1 with multifocal lesions is alive with disease for 7 years only treated radiation therapy on residual tumors. Nine (56%) of 16 tumors showed extra-osseous extension of tumor (56%) and 1 of them showed extra-compartmental tumors. Conclusion: The diagnosis of central low grade osteosarcoma is challenging, however, considering of the clinical suspicion, the typical findings of radiologic and pathologic features, proper diagnosis is needed. This tumor should be treated with wide excision, even after an intralesional excision, to avoid local recurrence or transformation to higher histologic grade. 목적: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 환자의 진단, 치료 및 예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부터 2011년까지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으로 진단받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환자 분포는 남자가 4명 여자가 12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26세였다. 초기 진단은 11명의 환자가 중심부 저등급 골육종으로 맞게 진단되었으나 나머지 5명의 환자는 각각 유골 골종, 비골화성 섬유종, 골모세포종, 동맥류성 골낭종, 결합조직형성 섬유종 등으로 오진되었다. 15명의 환자가 최종적으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그 중 한 명은 수술 전 항암치료를 시행하였다. 그 중 14명의 환자가 치료 후 재발 없이 추시중이며, 한 명은 기존에 앓던 신세포암의 악화로 수술 후 21개월 후 사망하였다. 나머지 한 명은 다발성 종양 환자로, 부분적으로만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잔존 종양에 방사선 치료만을 시행한 후 7년째 생존 중이다. 9명(56%)의 환자가 종양이 피질골 밖까지 파급되어 있는 소견을 보였으며 그 중 한 명은 구획 외로까지의 파급을 보였다. 결론: 저등급 중심부 골육종은 진단이 어려우나 임상적 의심과 함께 조직병리학적, 영상학적인 특징을 고려하여 주의 깊은 감별이 요구된다. 치료에 있어서는 광범위 종양 절제술이 권장되며, 양성 종양으로 오진하여 병소내 절제술만 시행한 경우라도 국소 재발이나 고등급으로의 악성 전환 가능성이 있으므로 광범위 재절제술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비구를 포함한 절제를 시행한 골반골 종양의 재건 방법에 따른 결과

        송원석(Won Seok Song),조완형(Wan Hyung Cho),박종훈(Jong Hoon Park),이수용(Soo Yong Lee),이승준(Sung Jun Lee),전대근(Dae Geun Je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3

        목적: 골반골 종양 환자에서 비구를 포함한 절제 후 재건 방법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비구를 포함한 골반골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윈발성 악성 골종양이 20예, 양성 침윤성 질환이 3예, 전이성 종양이 3예, 악성 연부조직 종양이 1예 이었다. Enneking의 분류에 따른 절제 범위는 Ⅰ+Ⅱ가 7예, Ⅱ+Ⅲ가 17예, Ⅰ+Ⅱ+Ⅲ가 3예였다. 절제 후 열처리 한 자가골과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것이 15예, 말안장형 종양 인공관절이 6예, 관절 고정술이 2예 가관절 형성술이 4예였다. 재건 방법에 따른 기능적 평가와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27명의 환자 중에 11명(46%)이 지속적 무병 상태였으며, 7명(26%)에서 국소 재발이 있었다. 열처리 자가골과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15명 중 11명(73%) 및 말안장형 종양 인공관절을 시행한 6명 중 2명(33%)에서 감염, 탄구, 해리 등의 합병증이 있었다. 최종추시 시 평균 기능점수는 19.6점(65%)이었으며, 각 재건 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론: 비구를 포함한 절제 후 내고정물을 이용하여 고관절을 재건하는 술식은 합병증의 빈도가 높았다. 가관절 형성술은 바구주위 절제 후 일차적인 술식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results of periacetabular resections in patients with pelvic tumors according to the reconstructive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even patients, who underwent a periacetabular resection with a minimum one year follow up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There were 20 primary malignant bone tumors, three benign aggressive tumors, three metastatic tumors and one soft tissue sarcoma. According to Enneking’s criteria, a type Ⅰ+Ⅱ resection was performed in seven patients, type Ⅱ+Ⅲ in 17, and type Ⅰ+Ⅱ+Ⅲ in three. The type of reconstructions used were heat treated autogenous bone-THA composite (APC) in 15, a saddle prosthesis in 6, arthrodesis in 2, and a flail hip in 4 patients. The MSTS functional scores and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reconstruction were evaluated. Results: Eleven (46%) of the 27 patients were in the disease free state and 7 (26%) patients showed local recurrences. Eleven (73%) out of 15 patients with APC and 2 (33%) out of 6 patients with a saddle prosthesis had complications including infections, dislocations and loosening. The final average IMSTS score was 19.6 (65%) and all reconstructive methods produced similar functional results. Conclusion: Reconstructions of the acetabulum with a prosthesis after a periacetabular resection had a relatively high rate of complications. A flail hip might be one suitable reconstructive options after a periacetabular resec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퇴 골두 연골하 스트레스 골절

        송원석(Won Seok Song),김종원(Jong Won Kim),유정준(Jeong Joon Yoo),구경회(Kyung-Hoi Koo),윤강섭(Kang Sup Yoon),김상림(Sang Rim Kim),김영민(Young-Min Kim),김희중(Hee Joong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7

        목적: 대퇴 골두 연골하 스트레스 골절(subchondral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head)은 드문 질환으로서 최근에 주로 부전 골절(insufficiency fracture)의 형태로 발생한 예들에 대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전 골절 및 피로 골절(fatigue fracture) 형태로 발생한 스트레스 골절 환자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정을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3년 4월 사이에 대퇴 골두 연골하 스트레스 골절로 진단 및 치료 받은 8명 10예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소견에 대해 평균 33개월 추시 결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피로 골절의 양상으로는 6명의 젊고 건강한 군인에게서 입대 후 5개월 이내에 발생하였고, 부전 골절의 양상으로는 1명의 노인과 1명의 골형성 부전증 환자에게 발생하였다. 1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의 위험 요소 및 뚜렷한 선행 외상의 과거력은 있지 않았다. 최초의 단순 방사선 사진상 6명 7예에서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이 중 4예에서 대퇴 골두의 함몰 소견이 관찰되었다. 골 주사 검사상 대퇴 골두에 증가된 흡수 음영 소견이 관찰되었다. 자기 공명 촬영에서 대퇴 골두 연골하 이상 신호 선(MR crescent sign)과 전반적인 골수의 부종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론: 대퇴 골두 연골하 스트레스 골절은 부전 골절 및 피로 골절의 양상으로 모두 나타날 수 있으며, 의심되는 환자의 경우 골 주사 검사 등을 통하여 조기 진단함으로써 대퇴 골두의 함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Subchondral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head is a rare condition that usually occurs as an insufficiency fracture in people with poor bone quality.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aspects of the subchondral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head that occurred in the form of an insufficiency or a fatigue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April 2003, 10 cases of the subchondral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head in 8 patients were tre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condition were determined by assessing the clinical course and findings of the radiographs, bone scintigram and MR images. Results: A fatigue fracture developed in 6 young healthy conscripts within 5 months after recruitment. An insufficiency fracture developed in one senile patient and in one known osteogenesis imperfecta patient. All patients except for one did not have any predisposing factors for osteonecrosis and antecedent trauma. On the initial radiographs, femoral head collapse was observed in 4 hips. Bone scintigraphs showed increased radionuclide uptake in the femoral head. The MR images demonstrated an subchondral abnormal signal intensity line (MR crescent sign) and a bone marrow edema pattern. Conclusion: A subchondral stress fracture of the femoral head can occur as a fatigue fracture as well as an insufficiency fracture. Bone scintigraphy is a valuable tool for screening patients suspected of having a subchondral stress fra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