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월봉과 당산봉의 식물상

        문성필(Sung-Pil Moon),이성권(Seong-Gwon Lee),김지현(Ji-Hyun Kim),임은정(Eun-Jung Lim),박지현(Ji-Hyun Park),서민희(Min-Hee Seo),송관필(Gwan-Pil Song) 제주학회 2023 濟州島硏究 Vol.59 No.-

        본 연구는 제주도 한경면에 위치한 수월봉과 당산봉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하여 지역 간 차이를 보기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식물상은 수월봉 58과 139속 178종 1변종 179분류군, 당산봉 79과 209속 274종 1아종 4변종 279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82과 219속 294종 1아종 4변종 299분류군이 나타났다. 멸종 위기 야생식물, 특산식물은 나타나지 않았고, 산림청 희귀식물은 위급종(CR) 1종, 위기종(EN) 1종, 취약종(VU) 1종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Ⅴ등급은 나타나지 않았고, Ⅳ등급 10분류군, Ⅲ등급 29분류군, Ⅱ등급 6분류군, Ⅰ등급 30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50분류군, 식재종 20분류군, 생태계교란종 3분류군이 나타났다. 출현한 식물의 생활형은 휴면형이 일년생초본(Th) 86분류군, 지하기관형은 단립형(R5형) 181분류군, 기관산포형은 중력산포형(D4) 147분류군, 생육형은 직립형(e형) 96분류군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살펴볼 때 경작지나 훼손지에 비하여 자생식물의 분포가 많은 만큼 오름은 지역간의 식물분포를 분석하는데 적절한 장소라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the two cinder cones, Suwolbong and Dangsanbong located in Hangyeong-myeon of the western coast of Jeju Island. As a result, we have listed 58 families, 139 genera, 178 species, 1 variant, and 179 at Suwolbong, and 79 families, 209 genera, 274 species, 1 subspecies, 4 varieties, and 279 at Dangsanbong, with a total of 82 families, 219 genera, 294 species, 1 subspecies, 4 varieties, and 299 classification groups.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endangered wild plants and special plants did not appear, and rare plants of the Korea Forest Service were found to be one emergency species (CR), one endangered species (EN), and one vulnerable species (BU).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ior plants did not appear in grade V, and IV grade 10 taxa, III grade 29 taxa, II grade 6 taxa, I grade 30 taxa appeared. There were 50 taxa of naturalized plants, 20 taxa of planted species, and three members of invasive species. As for the life types of the plants that appeared, dormant types were the most common with 86 taxa of annual herbs (Th), 181 taxa of single-grain (R5 type) for underground organs, 147 taxa of gravity dispersion (D4) for organ dispersion, and 96 taxa of upright (e) type for growth type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judged that Oreum is an appropriate place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lants among regions because the distribution of native plants is larger than that of cultivated land or damaged lan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주도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고정군(Koh, Jung-Gun),송관필(Song, Gwan-Pil),문명옥(Moon, Myong-Ok),김지은(Kim, Ji-Eun),이은주(Lee, Eun-Joo),황석인(Hwang, Seok-In),정진현(Jeong, Jin-Hyun),김찬수(Kim, Chan-Soo) 한국자원식물학회 2006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9 No.5

        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귀화식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고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주지역의 외래식물은 47 과 161 속 248 종 6 변종으로 총 254 분류군이었다. 생육특성에 따른 구성은 일년생 초본이 107 분류군(42.13%)으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생육형 구성은 직립형이 79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1.1%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번식형은 연결체가 없는 단위식물형이 203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79.9%를 차지하였다. 생활형 분석결과 휴면형 구성은 일년생식물이 150 분류군으로 전체의 59%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반지중식물이 53 분류군(20.9%), 지중식물이 26분류군(10.2%)의 순이었다. 원산지별 구성은 유럽이 115 분류군으로서 전체의 36.7%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아시아가 69 분류군(22.0%), 북아메리카가 59 분류군(18.8%)의 순이었다. 도입배경은 사료 또는 곡물혼입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results, the naturalized plants in Jeju Island were total of 254 taxa including 47 families, 161 genera, 248 species and 6 varieties. By the growth habits, annuals held the most percentage including 107 taxa (42.13%). Seventy nine taxa (31.1%) were appeared to have erect type in growth forms and 203 taxa (79.9%) are non-clonal growth form in disseminule forms by radicoid. The most of dormancy form in life form were therophytes as 150 taxa (59%), and following as 53 taxa (20.9%) for hemicryptophytes, and 26 taxa(10.2%) for geophytes. Among the naturalized plants, 115 taxa (36.7%) were originated from Europe, 69 taxa (22%) from Asia and 59 taxa (18.8%) from North America. Twenty eight percent of them were introduced as feeds or mixed seeds of imported cereals.

      • KCI등재

        큰비쑥(Artemisia fukudo)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김길남,이정아,윤원종,김지영,송관필,박수영,Kim, Kil-Nam,Lee, Jung-A,Yoon, Weon-Jong,Kim, Ji-Young,Song, Gwan-Pil,Park, Soo-Y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본 연구는 큰비쑥를 80% EtOH로 추출하고 극성에 따른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혈핵암 세포주를 대상으로 분획별에 따른 암세포 증식억제(cytotoxicity) 효과와 이러한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세포자연사(apoptosis)에 의해 일어나는 것인지, 몇 가지 apoptosis 유도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HL-60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는 전반적으로 모든 처리구에서 농도의존적인 세포증식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가장 강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apoptosis 유도에 의한 세포사멸의 특징인 DNA 단편화 현상을 비롯하여 세포형태학적 변화 및 유동세포분석기를 통한 DNA content를 측정한 결과, 큰비쑥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는 apoptosis를 유도하여 세포자연사를 통해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cytotoxic effect of Artemisia fukudo extracts. The extract from A. fukudo by 80% ethanol was fractionated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in serial. The cytotoxicity of A. fukudo extracts was examined for its effect on the growth of HL-60 cells by the colorimetric 3-(4,5-di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In addition, we used the HL-60 cells to see what effects the A. fukudo extracts will have on apoptosis of cancer cells. We checked the cell activity, cell morphologic changes, DNA fragmentation, and DNA content after 24 hr incubation with administering 25 ${\mu}g/mL$ of the A. fukudo extracts. In the treatment of the low concentration of n-hexane and dichloromethane fractions, the survival rate of HL-60 cells i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laddering-pattern DNA fragmentation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 with n-hexane and dichloromethane fractions. The DNA content of the cells apoptosis measured as the density of sub-$G_{1}$ hypodiploid cells by flow cytometric analysis. The number of sub-$G_{1}$ hypodiploid cells increased in the treatment with n-hexane and dichloromethane fractions. These fractions obstructed the cell cohesion and caused the blebbing of the cell membrane and fragmentation of the nucleus, both of which are symptoms of apopto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fukudo has a great potential value as food additives, medicinal supplements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nd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ancer.

      • KCI등재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김지영,이정아,김길남,송관필,박수영,Kim, Ji-Young,Lee, Jung-A,Kim, Kil-Nam,Song, Gwan-Pil,Park, Soo-Y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9

        본 연구는 대극과 식물인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 및 용매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변화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활성도 비례해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은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본 실험에 사용된 7종의 균주 모두에서 가장 효율적인 항균활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등대풀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별 항산화 및 항균활성 결과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의 비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한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부탄올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탄올 추출물>수용성 분획물>헥산 분획물 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탄올 추출물>헥산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수용성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The solvent extracts of Euphorbia helioscopia, which were extracted by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prepared for utility as natural preservatives. The E. helioscopia extract by 80% ethanol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In order to effectively screen for a natural preservatives agent, we first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 helioscopia extracts. By the screening system, we found that ethylacetate fraction ha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on were investigated for each strain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 helioscopia extract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shown in ethylacetate fraction of E. helioscopia; however, 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showed weak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microorganisms. Among the five fractions,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microorganisms tested, such as Bacillus subliti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 polyphenol content from ethanol,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s were 207.46 mg/g, 45.45 mg/g, 138.23 mg/g, 678.02 mg/g, 278.91 mg/g, and 63.76 mg/g, respectively. There seems to b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polyphenol content in natural plant.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E. helioscopia could be used for the ethylacetate fraction and could b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a food preservative.

      • KCI등재후보

        제주도 범섬의 식물상

        김찬수(Chan-Soo Kim),송관필(Gwan-Pil Song),문명옥(Myong-Ok Moon),송국만(Kuk-Man Song),김진(Jin Kim),이은주(Eun-Ju Lee) 한국자원식물학회 200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18 No.2

        본 조사는 식물상을 밝힘으로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보존관리대책을 마련하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나라 최남단에 속하는 도서에 있어서 식물자원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관속식물은 65과 140속 162종 2변종으로 총 164분류군이었는데 그 중 양치식물은 6과 13속 15종, 나자식물은 1과 1속 1종, 피자식물에 있어서는 쌍자엽식물이 49과 97속 114종 1변종으로 115분류군, 단자엽식물은 10과 29속 32종 1변종으로 33분류군이 출현하여 계 59과 126속 146종 2변종으로 계 148종이었다. 미기록 종은 양치식물 중 점고사리, 쇠고비, 큰족제비고사리, 사다리고사리 등 4종, 단자엽식물 중 강아지풀, 줄, 송이고랭이, 꽃토란, 개구리밥, 부채마 등 6종, 쌍자엽식물 중 큰사방오리, 개모시풀, 애기싱아, 미국자리공, 갯장구채, 새머루, 누리장나무, 보리장나무. 진득찰 등 9종 총 16과 19속 19종이었다. 희귀식물로서는 국내 거문도와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박달목서가 자생하고 있으며, 바위연꽃의 자생지도 확인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총 20과 33속 34종 1변종으로 총 35분류군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systematic and efficient measures for natur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Beomseom Island, and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f plant resources in southernmost islands of Korean peninsul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164 taxa included 6 families, 13 genera, and 15 species in pteridophyta, 1 family, 1 genus, and 1 species in coniferophyta, and 59 families, 126 genera, 146 species, and 2 varieties in endospermae composed of 49 families, 97 genera, 114 species, and 1 variety in dicotyledonae and 10 families, 29 genera, 32 species, and 1 variety monocotyledonae. Unrecorded taxa of the flora of Beomseom Island were 19 taxa included 4 taxa of pteridophyta, i.e. Hypolepis punctata, Cyrtomium fortunei, Dryopteris pacifica, and Thelypteris granduligera, 6 taxa of monocotyledonae, i.e. Setaria viridis, Zizania latifolia, Scirpus triangulatus, Zantedeschia aethiopica, Spirodela polyrhiza, and Dioscorea nipponica, and 9 taxa of dicotyledonae, i.e. Alnus firma, Boehmeria Platanifolia, Aconogonum ajanense, Phytolacca americana, Melandryum oldhamianum var. roseum, Vitis flexuosa, Clerodendron trichotomum, Elaeagnus glabra, and Siegesbeckia glabrescens. The two rare species, Osmanthus insularis that distributed only Jeju-do and Geomoondo Island and Orostachys iwarenge that distributed only southern parts of Jeju-do in Korea were investigated.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were 20 families, 33 genera, 34 species, and 1 variety.

      • KCI등재후보

        제주도산 목련강의 목련아강, 조록나무아강, 석죽아강, 딜레니아아강의 목록

        김경희(Kim, Kyeong-Hee),서연옥(Seo, Yeon-Ok),송관필(Song, Gwan-Pil) 제주학회 2021 濟州島硏究 Vol.55 No.-

        제주도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의 종합적인 목록을 구축하기 위해 국내 주요 표본관 소장 표본 및 관련 문헌들을 조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피자식물문 목련강(Magnoliopsida)에 속하는 목련아강(subclass Magnoliidae), 조록나무아강(subclass Hamamelidae), 석죽아강(subclass Caryophyllidae) 및 딜레니아아강(subclass Dilleniidae) 식물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에는 목련강 식물이 63과 164속 410종 14변종 등 총 424 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딜레니아아강 식물은 143종 6변종 (149 분류군)으로, 전체 목련강 식물 중 35.2%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석죽아강 101종 5변종(106 분류군)으로 전체의 25.0%, 목련아강 식물이 103종 1변종(104 분류군)으로 전체의 24.5%로서 석죽아강과 분류군수가 비슷하였으며, 조록나무아강 식물은 63종 2변종(65 분류군)으로 전체의 15.3%를 차지하여 그 수가 가장 적었다. 제주도에 자생하는 목련강 식물 중 한국 고유종은 11과 19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제주도 고유종은 한라투구꽃과 바위미나리아재비, 큰개구리발톱, 섬매자나무, 탐라현호색, 섬거북꼬리, 한라장구채, 제주고추나물, 가지제비꽃, 제주산버들, 벌깨냉이, 탐라까치수염 등 10과 12 분류군이었다. 또한, 제주도에 자생하며 국내 다른 지역에는 생육하지 않는 식물은 27과 47종 1아종 7변종 등 총 53분류군으로,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련강 식물의 12.5%로 조사되었다. To compile a comprehensive list of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Jeju-do Province, specimens stored in major herbaria including WTFRC (Warm Temperat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Jeju-do Province) were examined and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Especially, the plant list of Magnoliopsida which is composed of subclass Magnoliidae, subclass Hamamelidae, subclass Caryophyllidae and subclass Dilleniidae in Jeju-do Province was completed in this study. A total of 424 taxa of Magnoliopsida belonging to 63 families and 164 genera were listed. Within Magnoliopsida in Jeju-do Province, subclass Dileniidae comprised the largest proportion (35.2%) with 149 taxa (143 species and 6 varieties), followed by subclass Caryophyllidae with 106 taxa (25.0%, 101 species and 5 varieties) and subclass Magnoliidae with 104 taxa (24.5%, 103 species and 1 variety). Only 15.3 % was referred to subclass Hamamelidae, comprised of 65 taxa (63 species and 2 varieties). From among Magnolipsida in Jeju-do Province, 19 species in 11 families were endemic to Korea. Out of these, 12 taxa belonging to 10 families were endemic to Jeju-do Province. Addition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53 taxa of Magnoliopsida belonging to 27 families (12.5%) cannot be found from Korea except Jeju-do Province.

      • KCI등재후보

        보문 :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 지역에서의 야생버섯에 대한 전통지식

        고평열 ( Pyung Yeol Ko ),강신호 ( Sin Ho Kang ),송관필 ( Gwan Pil Song ),전용철 ( Yong Chull Jeun ) 한국균학회 2013 韓國菌學會誌 Vol.41 No.2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인근의 경남지역의 야생버 섯에 대한 전통지식을 조사하였다. 자료는 총 53개 마을에 서 50~90대까지 145명 주민들의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총 19개 야생버섯이 식용버섯으로 사용되었는데 싸리버섯 이 식용버섯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었고, 큰갓버섯과 표고 순위로 식용하였다. 표고는 식·약용버섯으로 유일하게 사 용되었다. 독흰갈대버섯은 독버섯인데 곤충퇴치용 버섯으 로 사용하고 있었다. 가장 다양한 버섯이 증언된 지역은 거 제시 일운면으로 10종에 이르는 버섯의 전통지식이 확인되 었고, 하동군의 진교면에서 8종이 출현하였다. 전통 지식에 대해 조사에 응한 여성이 남성에 비해 2배 이상 많이 증언 하였고 연령층은 70~80대가 가장 많았다. Traditional knowledge on wild mushrooms in Gyeongnam province near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as investigated. It was interviewed from 145 of people in age of 50th`s to 90th`s living in 53 villages. Total 19 mushrooms were used for food in which Ramaria botryti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followed Macrolepiota procera and Lentinula edodes. L. edodes was uniquely both medicinal and edible. Chlorophyllum neomastoidea, poisonous mushroom, was used as an insect repellent. The most various mushrooms were found in Irun, Geoje where 10 species of mushrooms were used and followed Jingyo, Hadong where 8 species were used. Among the interviewed people, the number of female was more than double compared to that of male and most of the interviewed people were 70th`s and 80th`s in age.

      • KCI등재

        제주도 자생 왕벚나무의 연륜생장 특성 분석

        서연옥 ( Yeon Ok Seo ),김찬수 ( Chan-soo Kim ),송관필 ( Gwan Pil Song ),정성철 ( Sung Cheol Jung ) 한국환경과학회 2018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7 No.7

        This study conducted to analyz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old Prunus yedoensis on Jeju island. The diameter growth per year was measured using a DTRS-2000 instrument. The DBH, ground DBH and height of the investigated P. yedoensis were 137 cm, 143 cm, and 15.5 m, respectively. Our analysis showed that the age of the old P. yedoensis was 93 years. An annual diameter growth of 2.85 mm±0.96 was observed. The result of age estimation, about 265±64 years in P. yedoensis on Jeju island. This information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the annual diameter growth characteristics the P. yedoensis distributed on Jeju isla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