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aunistic Investigation for Marine Mollusks In Jindo Island

        길현종,윤숙희,김원,최병래,손현준,박중기,Kil Hyun Jong,Yoon Sook Hee,Kim Won,Choe Byung Lae,Sohn Hyun Joon,Park Joong-Ki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2005 Korean Journal of Systematic Zoology Special Issue Vol.5 No.-

        한국동물분류학회 창립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진도의 무척추 동물상에 관한 공동조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산연체동물상을 연구하기 위해 2004년 6월 29일에서 6월 30일까지 3개 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모두 37과 77종의 연체동물 종이 채집, 동정되었다. 이들 중 18과 26종은 진도지역에서 처음으로 채집, 보고되는 종이었으며, 특히 Onchidella kurodai (Taki, 1935) 검은콩갯민숭이는 한국 미기록종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기재와 도판을 작성하였다. 과거의 문헌기록 등을 포함하여 본 연구로부터 새롭게 기록된 종들을 종합하면 진도 및 인근 지역에서 보고된 연체동물은 현재까치 총 43과 115종이 된다. 생물지리학적 특성의 관점에서 볼 때, 진도에서 발견된 일부 복족류 종들 (Bittium craticulatum, Macroschisma dilatatum, Cantharidus japonicus, C. callichroa, Homalopoma sangarense, Crepidula onyx)은 제주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남해 혹은 동해안 지역에서 이전의 연구를 통해 발견된 종들이었다. 진도지역에는 한반도 서해안 연안에 걸쳐 분포하는 연체동물의 많은 종이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본 연구로부터 새롭게 얻어진 발견은 진도가 한반도의 남부 해안과 서부 해안 생물상이 중첩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라는 이전의 Kim and Kwon (1983)의 의견을 지지하는 또 하나의 증거가 된다. 향후 종합적인 생물상 연구가 수행될 경우 진도지역의 생물지리학적 특성에 관련된 새로운 정보는 물론. 보다 다양한 동물상이 추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As a commemorative joint survey for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molluscan fauna of Jindo Island was investigated from the materials collected from 3 localities of Jindo Island from 29th to 30th of June, 2004. A total of 77 species of 37 families were identified. Among them, 26 species of 18 famili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area, including Onchidella kurodai (Taki, 1935) that is new to Korean fauna. For O. kurodai, external morphologies were described in detail with illustrations. Combining the present data with those of the previous works revealed that a total of 115 species from 43 families have been recorded in Jindo Island and its adjacent areas thus far. From a biogeographic point of view, some gastropod species (Bittium craticulatum, Mocroschisma dilatatum, Cantharidus japonicus, C. callichroa, Homalopoma sangarense, and Crepidula onyx) encountered from Jindo Island were the species previously recorded in the southern and/or eastern offshores of Korean peninsula, including Jeju Island (Choe, 1992). Along with the fact that Jindo Island contains a large number of molluscan species ranging over the Yellow Sea coast, this finding is another line of evidence supporting the Kim and Kwon (1983)'s idea that this area is an overtopping zone of marine organisms which dwell in both the Yellow sea and southern part of Korean sea waters. No comprehensive faunistic survey was not made in the present study. We expect that further supplementary study would generate more biogeographic and faunistic knowledges than what we understand through the present study.

      • KCI등재

        닭 배아 망막에서 단일가닥 DNA 탐색자를 이용한 αB-crystallin mRNA 검출을 통한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의 표지

        김지영(Ji Young Kim),손현준(Hyun Joon Sohn),서제훈(Je Hoon Seo)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23 No.2

        단일가닥 DNA 탐색자(single-stranded DNA probe)를 이용한 제자리부합법(in situ hybridization)은 탐색자 제작에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고 염색의 특이성과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특정세포의 전사물(transcript)을 관찰하는데 좋은 실험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αB-crystallin (aBC) mRNA에 대한 단일가닥 DNA 탐색자를 제작하여 닭 배아의 발생 중인 망막에서 aBC mRNA 발현세포를 시공간적으로 관찰하였다. 역전사연쇄중합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과 두 번의 연쇄중합반응을 통해 aBC mRNA에 대한 단일가닥 탐색자를 제작하여 제자리부합법으로 염색을 시행하였고 음성 대조를 위해 제작한 센스탐색자(sense probe)와의 비교 염색 및 aBC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과의 비교를 통하여 단일가닥 DNA 탐색자의 높은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제자리부합법으로 염색한 발생 12일과 14일의 닭 배아 망막에서는 시각신경과 인접한 부위에 존재하는 유두주위아교세포(peripapillary glial cell)에서 aBC mRNA 발현이 관찰되었고, 다른 부위에서는 양성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발생 16일에는 망막의 신경섬유층(nerve fiber layer)에서 적은 수의 aBC mRNA 발현세포가 관찰되었다. 발생 18일에는 망막의 신경섬유층과 신경절세포층(ganglion cell layer)에서 aBC mRNA 발현세포가 관찰되었고 발생 20일에는 동일한 부위에서 aBC mRNA 발현세포의 수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생 20일의 망막을 대상으로 aBC mRNA와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의 표지자인 nkx2.2의 발현 부위를 비교해 본 결과 분포 부위가 완전히 일치하였지만 신경세포의 표지자인 NeuN, 별아교세포의 표지자인 GFAP, 망막부챗살아교세포의 표지자인 vimentin 및 미세아교세포의 표지자인 RCA I과는 분포 형태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aBC mRNA의 발현 시기와 세포 표지자와의 비교 염색을 통해 aBC mRNA 발현 세포는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닭 배아의 발생 중인 망막에서 aBC mRNA 발현세포를 시공간적으로 관찰한 최초의 보고이며, 향후 aBC mRNA에 대한 탐색자를 이용한 제자리부합법은 중추신경계통에서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분포와 분화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situ hybridization (ISH) using single-stranded DNA probe (ssDNA probe) is a useful method for observing the specific transcripts in cells, since it is convenient to prepare probe which is specific and sensitive. In this study, ssDNA probe for detection of αB-crystallin (aBC) mRNA, transcript of a heat shock protein, was prepared and aBC mRNA-expressed cells were spatiotemporally observed in the retina of the developing chick embryos. Single-stranded antisense probe produced by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was identified as a specific probe for aBC mRNA in comparison to negative control using sense probe and immunohistochemistry for aBC protein. In the ISH experiment, aBC mRNA was expressed only in the peripapillary glial cells which are a specific cell type located in the avian retina adjacent to the optic nerve at E12 and E14 retinas. At E16, a small number of aBC mRNA-expressed cells were identified in the nerve fiber layer (NFL) of the retina. At E18, aBC mRNA-expressed cells were observed in the ganglion cell layer (GCL) as well as the NFL. At E20, the number of aBC mRNA-expressed cells was increased in the GCL and the NFL. Based on the same localization of nkx2.2 immunoreactive cells and aBC mRNA-expressed cells, aBC mRNA-expressed cells were identified as oligodendrocyt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sDNA probe for aBC mRNA detection is very useful tool for oligodendrocyte research such as distribution, mig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cells.

      • KCI등재

        CD44 Expression in Microglia of the Retina and Cerebellum of Developing and Adult Chicken

        Ji Young Kim(김지영),Hyun Joon Sohn(손현준),Je Hoon Seo(서제훈),Eun Young Lee(이은영) 대한체질인류학회 201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30 No.1

        CD44는 막관통단백질로서 히알루론산에 대한 막 표면 수용체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CD44가 발현되는 세포 종류 및 세포 내에서의 역할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나 모든 결과들이 일치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발생 중 및 성체 조류의 망막과 소뇌에서 CD44가 발현되는지 확인하고 CD44가 발현되는 세포의 종류와 그 분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생 14일과 부화 후 90일 (성체) 된 닭의 망막과 소뇌를 사용하였다. 면역화학염색을 위해 CD44, RCA-1 그리고 GFAP 항체를 사용하였다. CD44 면역반응 세포들은 모든 시기의 망막과 소뇌에서 관찰되었다. 발생 14일 망막에서 CD44 면역반응 세포들은 주로 신경섬유층에서 관찰되었다. 성체에서도 대부분의 CD44 면역반응 세포들이 신경섬유층에서 관찰되었고 몇몇은 망막의 다른 층에 흩어져서 보였다. 발생 14일 소뇌의 CD44 면역반응 세포들은 바깥 및 속과립층을 포함한 소뇌 겉질에서 관찰되었다. 성체 소뇌의 CD44 면역반응 세포들은 소뇌 전체 층에 흩어져 존재하였으며, 발생 14일 때보다 더 많은 세포들이 관찰되었다. 고배율에서 관찰한 결과, CD44 면역반응 세포들은 세포체로부터 분지한 세포질돌기를 나타내었다. 미세아교세포 표지자인 RCA-1과 이중형광 염색을 한 결과, 발생 중과 성체의 망막과 소뇌에서, 대부분의 CD44 면역반응물은 RCA-1에 면역 염색성을 보이는 세포에 함께 존재하였다. 그러나 GFAP와 CD44 면역반응은 동일한 세포 내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성체 망막에 LPS로 자극을 주었을 때 CD44 면역반응은 증가하였으며, 이 세포는 RCA-1에도 면역염색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결과를 종합하면, 정상 환경에서도 CD44는 발생 중 및 성체 조류의 망막과 소뇌의 미세아교세포에서 발현되었으며, 이는 LPS 자극에 의해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줌으로써, 미세아교세포의 역할에 CD44가 중요하리라는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CD44 is a transmembrane protein that acts as a receptor for an adhesion molecule, hyaluronic acid. The type of cells expressing CD44 and roles of CD44 are still controversial and need to be elucidate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 of cells expressing CD44 and the changes in their distribution in the retina and the cerebellum of the developing and adult chicken. Embryonic day 14 (E14) and post-hatch day 90 (P90) chickens were used in this study. CD44-immunoreactive (ir) cells were observed both in the retina and the cerebellum of the two developmental stages examined. In the retina of E14, CD44-ir cells were mainly located in the nerve fiber layer. In adults, most of the CD44-ir cells were in the nerve fiber layer and some were dispersed in other layers of the retina. In the cerebellum of E14, CD44-ir cell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erebellar cortex, includ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granular layers. CD44-ir cell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cerebellum of P90 adult chickens than in that of E14 embryos. At higher magnification, CD44-ir cells showed ramified cytoplasmic processes irradiating from their cell bodies. In the retina and in the cerebellum of all ages examined, double staining showed that most of the CD44-ir cells also expressed RCA-1, a marker of microglia. In contrast to that, at the same locations, GFAP and CD44 were not co-expressed in cells. When the adult retina was stimulated by LPS, CD44 immunoreactivity increased, and CD44-ir cells were also RCA-1-positive.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CD44 was expressed in microglia of the retina and the cerebellum of the developing and adult chicken even in normal conditions, and microglial CD44 expression was increased upon LPS stimulation.

      • KCI등재

        한국인 새끼 발가락의 두마디뼈에 대한 연구

        박형빈(Hyung Bin Park),손현준(Hyun Joon Sohn)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1 No.1

        엄지발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발가락에서 보이는 발가락뼈의 수는 각각 3 개 ( 첫마디뼈, 중간마디뼈, 끝마디뼈)씩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하지만 한국인에서 마디뼈가 두 개인 새끼발가락이 상당히 많음을 알게되어 조사를 시행하였다. 두마디뼈는 왼쪽발가락뼈사이관절이 유합되어 나타냐는 것으로 마디유합이라 고도 불리운다. 방사 선 사진을 촬영하여 조사한 20세 이상 1,150 명의 한국인에서 74% 가 엄지발가락처럼 2개의 발가락을 가진 새끼발가락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디유합은 양쪽 동반경향이 99%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끼발가락 뼈는 안쪽으로 휘어져 있고 안쪽으로 회전되어 있어 새끼발가락의 변형이 매우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러한 두마디 뼈로의 변화는 유전적 적응(genetic adaptation) 과 관련한 인류에서의 작은 진화의 근거로 정상적인 변화라는 생각을 가지고 유전적 근거를 밝히기 위하여 가족조사를 시행하였다. 마디유합을 멘델 우성 형질로 가정하고 세마디뼈를 가진 대상자를 중심으로 가족을 추적하였다. 부모가 모두 세마디뼈 새끼발가락을 가진 4 가족 에서 조사해본 바 그 자녀는 모두 세마디뼈 새끼발가락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기증된 시신기증자의 특성: 14년간의 인구학적 분석

        권찬양(Chan-Yang Kwon),손현준(Hyun-Joon Sohn),길영천(Young-Chun Gil)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2

        시신기증을 통한 해부학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신기증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 연구는 충청북도 내 사망자와 기증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충북대학교 시신기증자 151명, 충청북도 사망자 149,48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항목은 총 수, 연령, 성별, 사망원인, 사망장소 등이었다. 기증자의 수는, 2008년 13명에서 2021년 22명으로 1.7배 증가하였다. 기증자 중 남성 63.6%, 여성은 36.4%였고, 나이는 70대 30.5%, 80대 29.8%, 60대 18.5% 순이었다. 기증자의 거주지역은 청주시 76.2%, 증평군과 진천군이 각각 4.6%였고, 사망원인은 신생물 23.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21.2%, 호흡계통의 질환 19.2% 순이었다. 사망장소는 병•의원이 70.2%로 가장 많았다. 이 결과는 의학교육과 연구에 필수적인 시신기증에 대한 긍정적 효과와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홍보 및 국내 시신기증 활성화를 위한 일원화된 관리 체계가 마련되는 데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pite the significant importance of anatomy education facilitated by anatomical gifts, there remains death of data concern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omestic body donor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emographic features, including death count, age, gender, causes of death, and location, by analyzing a database comprising 149,487 deceased individuals from Chungcheongbuk-do and 151 anatomical gift donors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spanning the years 2008 to 2021. Notably, the number of donated cadavers has seen a 1.7% increase, rising from 13 in 2008 to 22 in 2021. Among the donors, males accounted for 63.6%, while females constituted 36.4%. In terms of age distribution, the 70s represented 30.5%, followed by the 80s at 29.8%, and the 60s at 18.5%. Notably, the region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donors was Chungju city among the six analyzed regions. Leading causes of death among donors included neoplasms (23.2%), unspecified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21.2%), and respiratory system diseases (19.2%). Hospitals were the predominant location of death for donors, accounting for 70.2%.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education and research endeavors pertaining to anatomical gifts in Korea. Moreover, it is our hope that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will be established to further foster anatomical gift donation in the country.

      • KCI등재

        한국인 여자의 나이에 따른 볼기의 크기변화: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계측

        송우철(Wu-Chol Song),신현준(Hyun-Joon Shin),손현준(Hyun-joon sohn),백두진(Doo-Jin Park),고기석(Ki-Seok Koh) 대한체질인류학회 2001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4 No.4

        골반에 대한 연구는 산과적, 체질인류학적 중요성 때문에 오래 전부터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외형상의 볼기와 실제 뼈대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골반자체에 대한 연구를 위하여 마른뼈를 이용할 수 있으나 골반뼈와 연결되어있는 다른 뼈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마른뼈나 생체를 계측하는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방사선사진을 이용한다면 골반 뿐 아니라 다른 뼈와의 관계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볼기의 크기를 결정하는 여러 요소와 산과적 의미가 있는 요소들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연구에서는 임신상태가 아니며 뼈대에 이상이 없는20세 이상 여자의 방사선사진 중 골반뼈 전체와 양쪽 넙다리뼈큰돌기가 모두 보이는 바른 자세로 찍힌 방사선사진 (KUB, IVP, Pelvis AP) 506 개를 선택하여 볼기의 크기를 결정하는 항목과 산과적 의미가 있는 항목 6 가지를 계측하였다. 계측결과 위골반문가로지름과는 모든 항목이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그 외에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와 넙다리뼈큰돌기사이거리,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와 궁둥뼈가시사이거리가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나이에 따른 평균값을 비교한 경과 나이가 많은 사람일수록 최대골반너비는 컸고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와 넙다리 뼈큰돌기사이거리는 작았다 이것을 과거의 자료와 비교한 결과 역시 나이에 따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이러한 현상이 노화의 과정 중 나타나는 변화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배기형 해부테이블과 급배기 장치를 설치한 해부실습실의 포름알데히드 농도 평가

        서제훈(Je Hoon Seo),현종아(Jong-a Hyun),오민광(Min-Kwang Oh),김지영(Ji Young Kim),김용대(Yong-Dae Kim),김동운(Dong-Woon Kim),Alfreda Stadlin,손현준(Hyun Joon Sohn),이은영(Eun Young Lee) 대한체질인류학회 2016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9 No.3

        해부실습을 위한 시신의 방부처리에 사용하는 포름알데히드는 인체에 유해하다. 국내외에서는 산업 현장에서 근로자들의 건강을 보호할 목적으로 포름알데히드의 허용농도를 규정 또는 권고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시간가중평균농도 (time weighted average, TWA)의 허용범위는 0.5 ppm (0.75 mg/㎥) 이하이고 단시간노출농도 (short term exposure limit, STEL)는 1 ppm (1.5 mg/㎥) 이하이며 미국과 유럽의 TWA는 0.3~2 ppm 사이이다. 이 연구는 배기형 해부테이블과 급배기 장치를 설치한 해부실습실에서 포름알데히드의 공기 중 농도를 측정하여 국내외 포름알데히드 기준 농도와 비교하였다. 배기형 해부테이블은 elevated dissection table을 채택하여 10대를 설치하였고, 급배기 장치는 천장에 급기구 18개와 해부실습실 양쪽 벽면 아래쪽에 배기구 5개씩 10개를 설치하였다. 포름알데히드 농도 측정은 이동식 측정기인 Formaldemeter로 바닥에서 1.5 m 높이에서 실내 5부위와 시신 바로 위에서 측정하였다. 해부실습실 실내 5부위의 포름알데히드 평균농도는 0.31 ppm (0.45 mg/㎥)이었고, 0.21~0.41 ppm (0.26~0.51 mg/㎥)의 분포를 보였다. 시신 바로 위에서의 포름알데히드 평균농도는 0.45 ppm (0.56 mg/㎥)이었고, 0.31~0.64 ppm (0.39~0.80 mg/㎥)의 분포를 보였다. 포름알데히드의 TWA는 5시간 기준으로 해부실습실 실내가 평균 0.19 ppm (0.24 mg/㎥)이었고, 0.13~0.26 ppm의 분포를 보였다. 시신 바로 위의 TWA는 평균 0.28 ppm (0.35 mg/㎥)이었고, 0.19~0.40 ppm의 분포를 보였다. 배기형 해부테이블과 급배기 장치를 설치한 해부실습실은 고용노동부의 포름알데히드 농도 기준을 충족하였고, 대부분의 외국 기준도 충족하는 수준이었다. 이 연구는 국내 의과대학의 해부실습실 환경 개선 선도 모델의 첫 공기 질 평가로서 다른 의과대학 해부실습실의 공기 중 포름알데히드 농도의 기준값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환경 개선 공사를 위한 설계 및 시공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Formaldehyde (FA) used for preserving the body for anatomy dissection is harmful to the human body. In many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health of workers in the industrial field, the maximal allowable air concentration of FA has been set. The threshold limit values of time weighted average (TLV-TWA) and short-term exposure limit (TLV-STEL) of FA recommend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MOEL) of Korea are less than 0.5 and 1 ppm, respectively.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LV-TWAs of FA are recommended at between 0.3 and 2 ppm.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ir concentration of FA to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of FA in an anatomy laboratory equipped dissecting tables with inbuilt exhaust and an air diffuser/return system. We installed ten elevated dissection tables, 18 air diffusers on the ceiling, and 10 air returns at the bottom of both side walls. The concentration of FA was measured at five sites in the anatomy laboratory and above the cadavers on the dissecting tables at a height of 1.5 m from the floor using a Formaldemet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FA in the anatomy laboratory (five sites) was 0.31 ppm (0.45 mg/㎥), range 0.21 to 0.41 ppm (0.26~0.51 mg/㎥).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FA above the cadavers was 0.45 ppm (0.56 mg/㎥), range 0.31 to 0.64 ppm (0.39~0.80 mg/㎥). The average TWA of FA in the anatomy laboratory was 0.19 ppm (0.24 mg/㎥), range 0.13 to 0.26 ppm. The average TWA of FA above the cadavers was 0.28 ppm (0.35 mg/㎥), range 0.19 to 0.40 ppm. The anatomy laboratory dissecting tables equipped with inbuilt exhaust and air diffuser/return system met the criteria of the FA concentration recommended by MOEL of Korea and most foreign countries. This study was the first evaluation of the air concentration of FA in an anatomy laboratory equipped dissecting tables with inbuilt exhaust and an air diffuser/return system in Korea. We expect it will be not only used as a standard of comparison for anatomy laboratories, but as a referenc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to improve air quality in Korean Medical Colleges.

      • KCI등재

        한국사람 지문의 생김새

        정민석(CHUNG Mm Suk),이제만(LEE Je Man),손현준(SOHN Hyun Joon),백두진(PAIK Doo-Jm),박성식(PARK Seong-S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0 No.2

        지문은 개인을 식멸하는 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민족의 제정인류학적 특성을 밝히고 유전병을 진단하는 례에도 이용된다. 지문은 많은 민족을 대상으로 조사된 바 있는데 한국사람을 대상으로 조사원 것은 대상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거나 분석 방법이 다양하지 앉아서 한국사람의 표준치로 이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람 3216 명 ( 남자 2095 명, 여자 1121 명)의 지문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표준치를 구하고, 이를 외국사람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사람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을 밝히고 한국사람의 유전병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경파는 다음과 같았다 1. 지운의 유형 중에서 자쪽고리형 (50 4%)이 가장 많았 , 그 다음은 소용돌이형 (42 9%), 노쪽고려형 (3 8%), 활형 (2 9%) 의 순이었다. 지문 유형의 빈도를 외국사람과 비교한 경과 한국사람은 백인과 흑인에 비하여 고리형이 적고 소용돌이형이 많은 동양인의 특성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거 한국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과에 비하여 백인과 흑인 쪽에 가까운 경향이 있었다. 2. 소용돌이형은 남자와 오른손에 않고 활형은 여자와 왼손에 많은 것으로 보아 지운 유형은 손가락의 힘과 관계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노쪽고리형은 집게손가락에 많고 자쪽고 리형은 새끼손가락에 많은 것으로 보아 고리형은 손가락에서 물건이 많이 닿는 쪽으로 열리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지문의 세부 유형 중에서는 단순하게 생긴 것이 않았다 활형에서는 노쪽피부능선과 자쪽피부능선의 수가 같은 단순활형이 많았고, 고리형에서는 동심원 또는 나선이 없는 자쪽고려형이 많았으며, 소용돌이형에서는 고리가 없는 옹성원소용돌이형이 많았다. 4. 피부능선수는 엄지손가락 (16 9 개 )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반지손가락 (13 9 개) 가운데손가락 (11 9 개), 집게손가락 (11 3 개), 새끼손가락 (11 2 개 )의 순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 황명에는 피부능선수가 없고 소용돌이형에는 피부능선수가 많은데, 피부능선수를 결정하는 것은 지문 유영뿐만 아니라 손가락 크기 운동 습관 등 다른 요인도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등재후보

        소뇌의 정상 발생과정에서 저분자열충격단백질인 HSP27과 αB-crystallin의 발현

        서제훈(Je Hoon Seo),문상원(Sang Won Moon),손현준(Hyun Joon Sohn)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6

        저분자열충격단백질(small heat shock protein)의 분자적 샤프론(molecular chaprone) 기능은 잘 알려져있다. 그러나 중추신경계통의 정상 발생과정에서 저분자열충격단백질의 발현과 분포에 대하여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닭 배아의 소뇌에서 저분자열충격단백질의 일종인 HSP27과 αB-crystallin (αBC)의 발현을 정량적, 공간적으로 관찰하여 발생과정 중에 발현하는 저분자열충격단백질의 역할을 추정하고자 immunoblot, 면역조직화학염색 및 이중면역형광염색을 시행하였다. Immunoblot 결과 HSP27과 αBC는 공통적으로 발생 14일에 처음 발현이 관찰되었고, 발생 18일에는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면역조직화학염색의 결과 αBC면 역세포는 발생 14일에 소뇌 백색질에서 약한 면역반응을 나타내었고, 발생 18일에는 백색질에서 강한 면역염색성을 보였다. 일부의 세포는 과립층에서도 관찰되었다. Myelin-basic protein (MBP)과의 이중면역형광염색에서 소뇌의 백색질과 과립층에서 관찰된 αBC면역세포는 희소돌기아교세포로 확인되었다. HSP27면역반응은 발생 14일에 처음 소뇌 백색질과 조롱박층에서 약하게 관찰되었다. 발생 18일에는 백색질, 소뇌핵 및 조롱박층에서 면역반응이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과립층에서도 드물게 관찰되었다. αBC와의 이중면역형광염색에서 백색질과 과립층에서 관찰된 HSP27면역세포는 희소돌기아교세포로 확인되었다. HSP27과 αBC는 공통적으로 말이집을 형성하는 성숙 희소돌기아교세포에서 발현하였고, HSP27은 성숙 단계의 조롱박세포와 소뇌핵의 신경세포에서 발현하였다. 정상 발생 소뇌의 특정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에서 HSP27과 αBC가 특정 시기에 발현이 시작되고 이 후 발현이 증가하는 것은 각 세포의 성숙단계에서 요구되는 생리적 스트레스에 대응하기 위한 세포 방어기전의 일부로 판단된다. It is well known that small heat shock proteins play a role as molecular chaperone. However, during normal development of the cerebellum,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HSP27 and αB-crystallin (αBC) which are small heat shock proteins have not been reported. To verify the protective role of HSP27 and αBC in neurons and glial cells, we examined the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HSP27 and αBC in the developing chick cerebellum using immunoblot, immunohistochemical and double immunofluorescence staining. Expression of both HSP27 and αBC was first identified in the cerebellum of the embryonic day 14 (E14) embryo, and was increased at E18. Double immunofluorescence analysis with myelin-basic protein (MBP) demonstrated that αBC positive (+) cells were mature myelinating oligodendrocytes. αBC+ cells were observed in the white matter of the E14 cerebellum. At E18, there were a number of αBC+ cells in the white matter and a few cells in the granular layer of the gray matter. On the other hand, HSP27+ cells were observed in the white matter and the Purkinje cell layer at E14. At E18, HSP27+ signals were observed in Purkinje cells and neurons of cerebellar nucleus as well as oligodendrocytes in the white matter and the granular layer. The results that HSP27 and αBC were expressed in specific neurons and glial cells in the developing cerebellum suggest that HSP27 and αBC may be involved in the protective mechanism for the apoptosis of neurons and the physiological stress occurred in oligodendrocyts during cell matu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