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비대면 교양수업 운영에 따른 인식조사 연구

        손한결(Sohn, Han-Gyeol),손복은(Son, Bo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확산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온라인 강의로 시행된 외국인 유학생의 비대면 교양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A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교양교육 만족도, 학습 환경, 수업 내용, 교수자와의 교류 및 평가의 적절성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결과 첫째, 연구변인의 평균분포가 평균 이상으로, 교양교육 만족도, 학습 환경, 수업 내용, 교수자와의 교류 및 평가의 적절성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변인들 간에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의 비대면 교양수업의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 환경과 평가의 적절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 개방형 설문을 통해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외국인 유학생의 비대면 교양교육의 설계와 운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나 관련 정책의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foreign students’ general education courses conducted as online due to the spread of Coronavirus 19.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learning environment, class contents,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s and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was analyzed. Results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he variables was above averag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courses, learning environment, class contents, professor-student relationships and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were above average. Second,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s of foreign students’ on satisfaction of online general educatio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appropriateness of evalu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Fourth,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general education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 will be used as sources of establishing related polices and programs to promote for foreign students’ online general education.

      • KCI등재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충동성의 매개효과

        손한결(Sohn, Han Gyeol),김은혜(Kim, Eun Hye)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및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데이터 2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여 정규 중, 고등학교를 그만둔 상태인 학업중단 청소년 45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변인 간의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모델 적합도를 검증하였고, 경로의 직, 간접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감과 충동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충동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충동성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학업중단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개인의 심리정서와 관련된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및 충동성이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시사되므로, 학업중단 청소년을 위한 지원과 개입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tigma, self-esteem, and impuls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by adolescents who are drop out of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454 adolescents who are drop out of school, with data taken from the 2nd year(2014)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and impulsivit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impulsivit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self-esteem and impul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social stigma, self-esteem and impulsivity related to individual psychological emotion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buse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thus the need for support and intervention for adolescents who are drop out of school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자본이 유데모니아에 미치는 영향: 인권의식을 매개로

        김은혜,손한결,Kim, Eun Hye,Sohn, Han Gyeol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 2021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22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uman rights conscious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udaimonia perceived by adolesc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021 adolescents, with data taken from the 6<sup>th</sup> year(2018) panel survey. All variables were evaluated by self-report of adolesc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First, social capital perceived by adolescents had a direct effect on eudaimonia. Second, social capital perceived by adolescents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eudaimonia through human rights consciousnes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ed that human rights consciousness was identified as importan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eudaimonia.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promoting the eudaimonia in adolescent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교육 만족도, 개인 정서,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 A 대학을 중심으로

        손복은 ( Son¸ Bok Eun ),손한결 ( Sohn¸ Han Gyeol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A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교양교육에 대한 만족도, 개인 정서 및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양교육 과정에 대한 실제적 요구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양교육의 만족도는 보통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고, 교수자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개인 정서와 관련하여 수업에 대한 긴장감 및 부담감은 중간 이하로 그리 높지 않았으며, 수업 참여에 대한 적극성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넷째, 모든 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교양교육 만족도에 개인 정서 및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외국인 유학생의 교양교육 운영 개선을 대한 논의와 관련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actical needs and areas of improvement concern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y examining the satisfaction, affective factors, and classroom environment regarding the general educ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The primar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and satisfaction with professors was high. Second, regarding affective factors, tension and burden related to the class as well as class participation were above average. Third, satisfaction with the classroom environment was above average.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all the variables was relatively high, and affective factors and classroom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sources for discussion and related policies to improve the operation of gener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 맞벌이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가경험에 대한 질적 접근

        김수지(Kim, Soo-Ji),김민정(Kim, Min-Jung),김정은(Kim, Jung-Eun),손한결(Sohn, Han Gyeol),김태선(Kim, Tae-Sun) 한국웰니스학회 2018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만 3-6세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들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과정에서의 경험과 변화에 대해 질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2명의 취업모들을 대상으로 총 6회기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진행 과정과 그 이후의 변화에 대해 참가자들의 주관적 평가서와 보조진행자들의 관찰일지 및 소감문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면서 어머니 자신과 자녀에 대해 깊이 이해하게 되었고, 긍정적인 양육에 대한 실천 노력이 있었으며, 이로 인한 자녀의 긍정적인 변화들을 경험하였다. 참가자들은 부모교육 프로그램 종료 이후에도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였고, 일과 가정의 양립에 대한 죄책감이 줄어들었으며, 부부관계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가정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과정 및 종료 후 변화에 대한 경험을 질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맞벌이가정의 부모역할에 대한 이해와 부모교육을 통한 긍정적인 변화가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qualitatively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the young children’s working mothers who participated in parent education program. Twenty-two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3-6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it conducted six times. Data were collected from mothers’subjected evaluation of participants, observers’descriptive notes and reflective notes by assistant leaders.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deeply understood their mothers and children and they had been practical efforts for positive parenting, eventually mother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ir child. Mothers continued their positive interaction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fter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elt less guilty about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also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marital relations. We employed qualitative analyse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the change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for working mothers, which helped to inform the understanding of parents" role in dual-income families and the possibility of positive change through paren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