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실업계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게임중독 정도에 따른 성향

        이정화(Jeong Hwa Lee),손정락(Chong Nak So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8 스트레스硏究 Vol.16 No.4

        본 연구는 J지역 실업계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게임중독 정도에 따른 성향을 조사 하였다. 연구는 939명의 남자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Young KS(1996)의 인터넷 게임중독 검사와 학년별, 진로계획 유무, 가족지지 정도, 게임이용시간, 인터넷을 이용한 목적, 게임을 통해 추구하는 목적, 선호하는 게임, 게임 중독에 대한 자각정도를 묻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은 학년이 낮을수록, 진로계획이 없을수록, 가족들로부터 보살핌을 적게 받을수록, 게임을 이용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인터넷을 이용하는 목적이 게임/오락일수록 중독 정도가 강했고, 중독이 심할수록 스스로 중독되었다고 자각하는 정도도 컸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mercial high school male students" game addiction tendency.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the game addiction tendency from 939 high school male students were as follows, the addiction degree tends to be higher to the lower school year students, the students wanting family"s interest, the students who game using time is longer, the students who purpose for internet using was game, the students who his favorite kind of game is Role-Playing Games and degree of selfawakening of his game addiction is higher more addictive. (Korean J Str Res 2008;16:419∼426)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 성인애착유형 및 역기능적 분노표현과의 관계

        이지영(Ji Young Lee),손정락(Chong Nak So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정서적 외상경험, 애착, 특성분노 및 역기능적인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반복되는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불안정애착을 경유하는지 혹은 병렬적으로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외상, 애착유형, 특성분노, 분노표현양식을 측정하는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적 외상은 애착유형, 특성분노수준 및 역기능적 분노표현 방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애착도 특성분노 수준 및 역기능적 분노표현방식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특히, 애착유형 중 두려움형은 분노억제 뿐만 아니라, 분노표출에서도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외상과 애착, 그리고 역기능적 분노표현간의 경로모형을 살펴본 결과, 정서적 외상은 불안정애착을 매개로 하여 역기능적 분노표현으로 이어지는 간접경로의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는 정서적 외상이 불안정한 애착에 영향을 미치고, 이후 역기능적 분노표현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trait anger, &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attachment &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hood emotional trauma is predictable variable of attachment, trait anger &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cond, attachment is also predictable variable trait anger &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and the score of not only anger-in, but also anger-out was the best high score in fearful type. Final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on childhood emotional trauma experience &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fit in the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hood emotional trauma have influence on maladaptive anger expression indirectly through mediation of insecure attachment. (Korean J Str Res 2009;17:81∼89)

      • KCI등재후보

        스트레스와 신체화 간의 관계에서 걱정의 매개 효과

        박문규(Moon Gyu Park),손정락(Chong Nak So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보속성 인지인 걱정이 스트레스 강도와 신체증상 심도 사이에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걱정척도, 펜실베니아 걱정 증상 질문지, 신체증상 척도에 대한 287명의 대학생 집단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걱정의 매개 효과에 대한 평가는 AMOS 7.0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시행되었다. 분석 결과, 보속성 인지인 걱정이 스트레스의 영향을 매개하여 신체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걱정과 같은 보속성 인지는 스트레스가 신체증상이나 신체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인으로 간주되었다. 또한 모형 비교에서 부분 매개모형이 완전 매개모형보다 모집단 자료에 더 적합하고 더 우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본 연구의 매개모형은 여성에게 더 적합하는 등 신체화에 대한 걱정의 매개모형 검증 결과에서 성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에 관해 논의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worry(perseverative cognition) mediates the link between stress and somatic symptoms.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287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Life Stess Scale Revised, the Worry Scale of Life Stress for college students,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 and the Somatic Symptoms Scale. The data was analysed to assess the mediating effects of worry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AMOS 7.0. The results showed that worr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the stress and the severity of the somatic symptoms. Therefore, perseverative cognition manifested in worry can be thought of as a mediator through which the stressor exercises its effects on the somatic symptoms or the body"s systems. In additio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of worry was more fit to population"s data and better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of worry in model comparison. Meanwhile, the mediation models of this study was more fit to women than men. This result indicated there was sex difference in the tests of mediation model of worry about somatiza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Korean J Str Res 2011;19:361∼369)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신병리적 정서간의 관계

        이지영(Ji Young Lee),손정락(Chong Nak So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1

        정신병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가정되어온 심리도식과 정신병리적 정서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Young JE(1996)이 개발한 75문항으로 구성된 단축형 심리도식 질문지(YSQ-SF)와 임상장면에서 정서를 추정하는데 사용되어온 자기보고형 검사인 SCL-90-R (I-S, DEP, ANX, HOS, PHOB, PAR)과 MMPI (D, Pt) 상의 정서관련 소척도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도식척도는 각각 정서적 결핍, 유기, 불신, 사회적 고립, 결함, 실패, 의존, 위험에 대한 취약성, 융합, 복종, 자기희생, 정서적 억제, 엄격한 기준, 특권의식, 불충분한 자기통제 등 15개의 하위도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도식과 정서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각 정서를 예언하는 도식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우울 정서는 정서적 결핍, 결함, 위험에 대한 취약성, 융합, 불신, 고립, 자기훈련 도식이, 불안은 위험에 대한 취약성, 자기훈련, 고립, 의존, 융합, 엄격기준 도식이, 예민성은 정서적 결핍, 위험에 대한 취약성, 유기, 불신 도식이, 공포 불안은 의존과 위험에 대한 취약성 도식이, 부적절감은 유기, 위험에 대한 취약성, 억제 및 엄격기준 도식이, 적대감은 정서적 결핍, 유기, 불신, 고립, 위험에 대한 취약성, 융합, 엄격기준 도식이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험에 대한 취약성 도식은 측정된 모든 정서를 잘 예측하는 도식이었다. 이 결과는 특정 도식이 특정 정서와 일대일 식으로 대응되어 있기 보다는 개인에 따라서, 같은 도식을 가지고 있어도 상이한 정서를 경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cognitive schemas the psychopathological affects to be supposed to do important role in psychopathology.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ere 313 college student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most of schema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affect scales except for some schema & affect in MMPI. The study also looks at how well each schema predicts psychopathological affect measured by MMPI & SCL-90-R. The study also investigate which of the schema sub-scales were most predictive of each affect. Vulnerability to harm or illness, Insufficient self-control/self-discipline, Social isolation/alinenation, Dependence/Incompertence, enmeshment, Dependence/incompetence & Unrelaenting standards/hypercriticalnes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xiety. Vulnerability to harm or illness, emotional deprivation, defectiveness, enmeshment & Unrelaenting standards/hypercriticalness with hos functions as a predictive variable on all affect.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limitati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orean J Str Res 2009;17:11∼17)

      • KCI등재후보

        동기화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알코올 기대, 금주 효능감 및 문제 음주에 미치는 효과

        이혜일(Hye-Il Lee),손정락(Chong Nak So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3

        본 연구에서는 동기화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알코올 기대, 금주 자기-효능감 및 문제 음주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학생들 511명을 대상으로 음주 결과기대 척도, 금주 자기-효능감 척도, 알코올 사용장애 척도, 음주문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이들 중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에서 8점 이상에 해당하고,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14명을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무선할당하였다. 각 참가자들은 프로그램을 마친 시점에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4주 후에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서는 알코올기대, 금주 효능감, 문제 음주, 알코올 사용에서 아무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처치집단에서는 알코올 기대와 문제 음주, 금주 효능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the Motiv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alcohol expectancy, abstinence self-efficacy, and the problematic drinking college students. Alcohol Expectancy Scale, Abstinence Self-efficacy Scal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AUDIT), and Drinking Problems Scale were administered to 511 college students. Among them, 14 students who fell on more than 8 points on the AUDIT diagnosis and would liked to participate in the present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consisting of 7 persons. The subjects were post-tested after the program and follow-up after 4 weeks la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lcohol expectancy, problematic drinking, and abstinence self-efficacy whereas the control group no difference.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Korean J Str Res 2009;17:237∼245)

      • KCI등재후보

        인지적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훈련이 우울한 아동의 우울수준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최민정(Min Jeong Choi),손정락(Chong Nak Son) 대한스트레스학회 2009 스트레스硏究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훈련이 우울성향을 지닌 아동의 우울수준과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아동이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을 개선한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4∼5학년 617명(남아 308명, 여아 302명)이었다. 이 아동들을 대상으로 아동용 우울척도(CDI)와 대인관계성향척도를 실시하였다. 이 설문을 통하여 우울과 대인관계성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인지적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DI에서 20점 이상에 해당된 아동을 우울성향 아동으로 선별하여 처치집단(n=10)과 통제집단(n=10)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처치집단에는 6주 동안 주 2회씩 총 12회기의 인지적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모든 참가자들에게는 사후검사와 4주 후 추적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이 우울할수록 의존적/무책임감적, 비동정적/비수용적, 비사교적/비우호적, 자기폐쇄적/자아의식적, 반항적/불신적인 등의 부정적인 대인관계성향을 보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실시한 인지적 대인관계 문제해결 기술훈련은 우울한 아동의 자기비하와 우울정서의 감소와 사교적/우호적 성향, 과시적/도취적 성향, 긍정적 대인관계성향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Training on depressive leve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dispositions in the depressed children. CDI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s Scale were administered to 617 fourth and fifth grade children from the thre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in K city. They were selected among those subjects who get more than 20 points in CDI as a depression tendency children. And they assigned a treat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for seeking the effects of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training. The treatment group had progressed 12 sessions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solving skill training during 6 weeks (two times a week). The subjects were post-tested after the program and follow-up after 4 weeks la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humiliation, depressive emotion, and social/friendly, flaunt/narcissism and positive disposition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Korean J Str Res 2009;17:399∼406)

      • KCI등재후보

        자기 주장훈련이 대학생의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경선 ( Kyung Sun Lee ),손정락 ( Chong Nak Son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지역과 세계 Vol.34 No.2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장훈련이 대학생의 분노억제, 분노표출 및 분노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J지역소재 대학에서 심리학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325명을 대상으로 특성분노척도, 분노표현양식척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여 특성분노에서 상위 50% 이상인 160명 한에서 분노표현방식에 따라 분노억제집단, 분노표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노억제집단은 특성분노점수가 상위 50%이면서, 분노억제점수가 상위 25% 이상인 32명을 선정하여, 9명을 분노억제실험집단에 배정하고, 8명은 분노억제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그리고 분노 표출집단은 특성분노점수가 상위 50%이면서, 분노표출점수가 상위 25% 이상인 32명을 선정하여, 9명을 분노표출실험집단에 배정하고, 8명은 분노표출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자기주장훈련을 각각의 실험 집단에 실시하였다. 자기주장훈련 실시 후 분노억제, 분노표출, 분노 수준에 대한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분노억제집단에서 자기주장훈련집단이 대기통제집단보다 분노억제, 분노수준에서 더 감소를 보였고, 분노표출집단에서 자기주장훈련집단이 대기통제집단보다 분노표출, 특성분노에서 더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on anger-in, anger-out and anger reduction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325 college students using Trait Anger Inventory and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in Group were 32 participants whose Trait Anger score was in the upper 50% and Anger-in score was in the upper 25%; 9 participants were assigned in Assertiveness Training group and 8 in the waiting list (anger-in)control group. And Anger-out Group were 32 participants whose Trait Anger score was in the upper 50% and Anger-out score in the upper 25%; 9 participants were assigned in Assertiveness Training group and 8 in the waiting list (anger-out)control group. After 8 sessions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anger-in and trait anger level of the Anger-in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waiting list (anger-in)control group. And anger-out and trait anger level at the Anger-out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e waiting list (anger-out)control group. Finally, the mean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