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수준 배경변인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PISA 2003~2006 결과를 중심으로

        손원숙 ( Won Sook Soh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도에 미치는 배경변인들의 영향력을 탐색하여, 향후 성취도 향상을 위한 학교 환경을 구축하고 교육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PISA 2006 과학 및 PISA 2003 수학 자료를 사용하였고, 자료의 위계적 성격에 적절한 2수준 다층분석모형(Raudenbush, et al., 2004)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에는 교과와 관련된 정의적인 태도 변인과 수업 관련 변인 등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특히 학생이 속한 학교의 사회경제적 배경 변인이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변인의 효과는 수학 또는 과학 즉 교과별로 다소 차별적이었다. 마지막으로 PISA 연구 결과를 통해서 얻은 우리나라 학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on students` literacy in mathematics and science, with the available 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data. This goal was approached by analyzing the possible relationships of the context indicators on different levels(student and school level), with mathematical and scientific literacy. For this, the PISA 2003 and 2006 data from Korea were explored. Multi-level statistical models we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the parameters by means of the software HLM, version 6.0(Raudenbush, et al., 2004). It turns out that some school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school SES a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achievement. However a limited number of school variables seem to be related to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students` motivation or self-related belief factor i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in Korea. In all, this study and its findings reveal that student achievement is affected by a highly complex combination of factors.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 :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계

        손원숙(Sohn Won Sook),이빛나,박정(park ch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주요목적은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석하고, 이들의 피드백 경험과 성취목표와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평가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Brown(2011)이 개발한 평가인식 척도(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 SCoA-VI)를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으로는 D와 K지역에 소재한 3개 대학교에서 교직이수 중인 362명을 선정하였다. 평가인식의 다차원적인 하위요인 속성 및 이들 간 독립적인 특성을 고려하여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 유형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예비교사의 평가인식은 크게 긍정인식형(43.1%), 평균형(44.5%) 및 부정인식형(12.4%)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형성적 피드백, 지각된 피드백 유용성 및 피드백 활용 정도 로 측정된 피드백 경험이 긍정적일수록, 그리고 접근지향적 성취목표를 가진 중등 예비교사일수록 긍정인식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적인 학습자의 특징 중 하나인 피드백 활용 요인은 평가인식의 세 유형 모두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로부터 제공받은 피드백을 스스로 활용하려고 노력한 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긍정인식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평가정책의 실행 및 예비교사의 평가교육 모형 개발에서 평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feedback exper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he feedback experience was measured by three constructs such as formative feedback, perceived utility of feedback, and use of feedback. Specifically, the Korean version of Students’ Conceptions of Assessment(SCoA-VI)(Brown, 2011) inventory was completed by 362 prospective teachers attending to three different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D or K region of Korea. The latent profil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four facets of conceptions of classroom assessment(Social/Affective, External, Improvement, and Irrelev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latent profiles such as ‘positive(43.1%)’, ‘average(44.5%)’, and ‘negative(12.4%)’ types were differentiated. Also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feedback experience and mastery or performance approach fo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more related to the positive type rather than the average or negative type. Especially the use of feedback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active learners’s characteristic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differentiate the three latent profiles consistently. Finally implications for the use of the K-SCoA inventory for policy implementation and the importance of conceptions of assessment for prospective teacher education for assessment a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대학생용 자기평가 수행 척도(K-SaPS) 타당화

        손원숙(Won Sook Sohn),박정(Chung Park)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1

        학생 자기평가는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를 위한 대표적인 전략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학습의 질을 성찰하고 판단하여 자신의 학습을 적절히 수정해 나가는 형성적 평가의 과정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자기평가 수행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SaPS(Self-assessment Practice Scale for Students) (Yan, 2018a)를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317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평정척도모형(Andrich, 1978)에 기반한 Rasch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하여 척도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한국판 SaPS는 원척도와 동일하게 4개의 구성요소(모니터링 또는 질문 방법에 의한 외적 피드백 추구, 내적 피드백 추구, 자기성찰)가 탐색되었고, 전체 20개의 문항 중 신뢰도 및 타당도가 낮은 8개의 문항이 제외되어 총 12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학생 자기평가의 구성요소 간 위계성과 독립성을 고려하여 총 4개의 요인모형을 비교한 결과, 4요인 1차 모형이 자료에 가장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판 SaPS의 외적 타당도 점검을 위해 성취목표, 인지 및 주도적 참여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자기평가 수행은 숙달 및 수행접근, 학업참여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한국판 SaPs 척도는 학생 자기평가 수행의 내적 과정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학생들의 자기평가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개입 방안 마련에 활용될 수 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tudent self-assessment Practice Scale (K-SaPS), which is designed to assess the behaviors students engage in during the self-assessment process (Yan, 2018a). Data of a 317 Korean college students sampled from urban districts were analyzed. Factor analysis and Rasch analysis were applied in a complementary way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Sa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original scale held in the K-SaPS, and only 12 items of 20 original items were selected by examining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Also the 4-fact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model fitted best compared to other alternative factor models. In addition, the external validity test indicated that students’ mastery or performance achievement goal and academic engagement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self-assessment practice. Finally the applicability of K-SaPS as an assessment-as-learning(AAL) strategy and importance of students’ self-assessment practice in the learning context were discussed.

      • KCI등재

        차별기능의 원인파악을 위한 차별기능문항군 기법의 적용

        손원숙 ( Won Sook Soh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혼합문항 유형으로 구성된 평가도구에서 발생 가능한 차별기능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차별기능문항군(Differential Bundle Functioning: DBF)’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PISA 2006 읽기 소양 검사를 응시한 한국과 핀란드 자료이며, 차별기능 분석을 위해서는 비모수적 접근 중 공통 로그 승산비 기법을 활용한 L-A LOR 검증(Liu & Agresti, 1996)과 DIF 효과 분산 추정치(Penfield & Algina, 2006) 및 PSIBTEST(Shealy & Stout, 1993)를 사용하였다. 문항 수준의 차별기능과 더불어서 PISA 평가틀의 하위차원인 읽기상황, 지문유형, 인지과정 및 문항유형에 따라 문항군(item bundle)을 구성하고, 전체 검사 및 이들 문항군 수준에서 집단 간 차별기능이 파악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문항수준에서는 약 59%의 DIF가 파악되었고, 전체 검사는 한국과 핀란드 집단 간에 ‘큰’ 수준의 차별기능을 보였다. 한편 DBF 분석 결과에서는 읽기상황, 지문유형 및 문항유형 등이 차별기능의 원인으로 탐색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로부터 차별기능문항군 및 검사 분석이 평가도구 개발 및 검토 단계에 주는 유용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differential bundle or test functioning(DBF or DTF) analyses to understand possible sources of differential functioning. The process is described on the reading literacy test from PISA 2006 that includes 27 mixed format items.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Korea and Finlan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DIF)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L-A LOR tests(Liu & Agresti, 1996), whereas DBF or DTF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variance-based DTF measures suggested by Penfield and Algina(2006) and PSIBTEST(Shealy & Stout, 1993). Bundles were created by using the sub-dimensions of assessment framework developed for PISA 2006 as well as item formats. About 59% of the items were identified as DIF, while some item bundles for text format or item types exhibited DBF.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test development or valid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극단 및 중간 응답양식의 종단적 안정성 검증

        손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6 교육평가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종단연구 자료의 타당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법편파 탐색에 관한것으로, 국내 학업성취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서 시간에 따른 응답양식의 안정성 정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구인의 시간-불변적 특성요인과 시간-특수적 상태요인간의 관계를 모형화 할 수 있는 잠재 특성-상태-상황 모형(Latent Trait-State-Occasion Model:TSO)(Cole et al., 2005)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초, 중학교패널자료(1~3차년도)를 활용하여서 우리나라 응답자들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극단(Extreme Response Style: ERS) 및 중간응답양식(Middle Response Style: MRS)의 종단적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특정시점의 ERS와 MRS 상태(S) 요인의 분산에는 시불변적인 안정적인 특성(T)과 시변적인 상황(O) 요인의 효과가 공존하고 있었다. 둘째, ERS 및MRS 모두에서 상황 요인(50.9~60.2%)이 특성 요인(39.8~49.1%)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학교급(연령) 및 응답양식 유형에 따른 안정성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초등학생 보다는 중학생의 응답양식에서, 그리고 MRS 보다는 ERS에서 특성적인 (trait-like) 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성별에 따른 응답양식의 특성 차이는 중학생자료에서만 유의하였고, 여학생은 MRS, 남학생은 ERS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Response style such as extreme response style(ERS) and middle response style(MRS) is a well known source of data contamination in survey research. This research extends the existing literature tolongitudinal research setting by attempting to test stability and change of ERS and MRS over time. Specifically this study used a latent Trait-State-Occasion model(TSO)(Cole, Martin & Steiger, 2005) to evaluate the longitudinal stability of response style across three-waves, three-years for a sample of 4,282 primary and 4,157 middle school students. Results revealed the existence of a time-invariant trait factor and a set of time-varying occasion factors. Also, a stable trait factor accounted for about 40.1~49.1%, 39.8~41.5% of the variance in latent ERS and MRS state factors respectively, whereas occasion factors accounted for about 50.9~59.9%, 58.5~60.2% of the total variance of ERS and MRS state factors. Third, the stability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 style tended to increase with age and differed in types of response style. Finally, the effect of gender on ERS and MRS tra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the application of questionnaires in longitudinal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확인적 잠재계층 요인분석을 활용한 응답편파모형 탐색

        손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평정형 응답척도를 사용한 심리측정에서 체계적인 오차의 유발 요인으로 고려되는 응답편파(response bias) 효과를 측정 및 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확인적 잠재계층 요인분석(confirmatory latent-class factor analysis: LCFA)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TIMSS 2011의 8학년 학생 설문 중 수학 및 과학 가치 10개 문항의 응답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응답편파인 묵인반응(ARS) 및 극단반응(ERS) 양식를 탐색하기 위하여, Moors(2003)에 의해 제안된 응답편파모형을 수정한 6개의 LCFA 모형을 설정하고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응답편파요인의 유무 및 요인의 개수 등에 따른 대안모형 중 최적의 모형으로는 ARS와 ERS 및 2개의 가치모형이 포함된 4요인 LCFA 모형이 선정되었다. 즉, 수학 및 과학 가치 측정에 있어서 응답편파의 효과가 확인되었고, 이는 양적지수에 기반한 ARS 및 ERS 지표와의 타당화 및 모형의 모수치 등을 통하여 타당화 되었다. 또한 국가(한국, 싱가포르 및 미국) 변인을 투입하여, 집단 간 차이를 탐색한 결과, 수학 및 과학가치의 내용요인 뿐 아니라 ARS와 ERS의 응답편파 요인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차이가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집단 간 평균 비교 및 변인 간 인과적인 모형을 활용한 사회과학 연구 결과의 타당성 제고를 위하여, 응답편파의 측정 및 통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또한 LCFA 모형의 추가적인 적용 및 보다 정교화된 응답편파의 탐색방안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Many empirical studies confirmed that response biases can seriously distort psychological measurement such as attitudes or personality scales and subsequent causal models. This study would apply a confirmatory latent-class factor analysis(LCFA) as one of the statistical methods for detection of and correction for response biases such as acquiescence response style(ARS) and extreme response style(ERS). The response bias model originally proposed by Moors(2003), which had several advantages especially for dealing with both substantive and response bias factors, was modified for this study. Using data of three countries(Korea, Singapore and US) from TIMSS 2011, response biases such as ARS and ERS in answering Likert-type questions on math and science value were explored. Several LCFA models in terms of the number of factors or including response bias factors were compared and the 4-factor model as a best fitting model was finally selected. The model specifications of the selected model with two substantive and two response bias factors are analyzed and interpreted. Also, the effects of county group on math/science value and response bias factor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a strong evidence for the presence of response bias(ARS and ERS) and three countries differed not only in their math/science value but also in ARS and ERS.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importance of detecting and controlling for response bias in psychological measureme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모형 연구- 부모, 교사, 학생 특성의 영향 -

        손원숙 ( Won Sook Sohn ),정혜승 ( Hey Seung Chung ),정현선 ( Hyeon Seon Jeong ),김정자 ( Jeong Ja Kim ),민병곤 ( Byeong Gon Mi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4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home, teacher and student factors with primary school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 attitudes toward literacy between home or teacher factors and out-of-school liter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06 students sampled from 1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 and I province. We hypothesized a structural model in that perceived family members’ literacy activities, their conversation about students’ literacy activities, and teacher’s instruction such as teacher’s positive feedbacks about students’ reading or writing influence students’ attitudes toward literacy and in turn, students’ attitudes toward literacy influence their out-of-school liter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ome and students’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while the teacher factor had on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in terms of students’ attitudes.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s’ attitudes toward literacy were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s between home or teacher factors and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Finall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ome, teacher and student factors can contribute to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regardless of students’ grade, or gender.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future work is nee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r improvement of students’ out-of-school literacy.

      • KCI등재

        교사의 내ㆍ외적 요인과 교실평가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 싱가포르 및 핀란드 비교

        손원숙(Won sook Sohn),신이나(Yi na Shin),배주현(Joo hyun Bae),박정(Chung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실평가 활동과 이에 영향을 주는 교사의 내ㆍ외적 요인과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것으로, TIMSS 2011의 한국과 성취도 상위국에 해당하는 싱가포르와 핀란드의 중학교 수학교사 자료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모형에서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학습의 가교역할을 하는 숙제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및 활용정도로써 교실평가 활동을 측정하였고, 교사의 외적특성에 해당하는 학교풍토, 수업 개선을 위한 동료교사와의 교류정도, 교수자신감 및 수업에 대한 학생참여유도 정도를 사용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적 근거에 기반하여 이들 요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다집단 SEM 모형을 통하여 국가 간 구조적 관계의 동등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3개 국가 공통적으로 학교풍토는 교수자신감과 동료교사교류에 정적인 효과를, 동료교사교류는 수업참여유도를 강화하여, 교사의 교실평가 활동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동료교사교류가 교수자신감에 미치는 정적인 효과는 한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모형에서 파악된 3개 국가의 차이는 수업참여유도가 교실평가에 미치는 효과와 모형의 설명력에서 나타났는데, 이들은 핀란드에서 가장 높았고, 싱가포르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로부터 교사의 수업 및 평가 활동 간의 연계성에 대한 시사점 및 교실평가의 보다 종합적인 영향요인 탐색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chool climate(SC), confidence in teaching math(CTM), collaboration to improve teaching(CIT), instruction to engage students in learning(IES) and assessment practice. This study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comparing Korea with Singapore and Finland in term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lassroom assessment and its related variables using TIMSS 2011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 had the direct effects on the CTM and CIT, and also the indirect effects on teachers' assessment practices through the three variables such as CIT, CTM and IES. However, the direct path from CIT to CT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Singapore and Finland, and thus all their indirect effects in terms of the CTM variable were not ei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the direct path coefficients among the variables in the model were statistically equivalent across the three countries, whil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ath from IES and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 This path coefficient was the highest in Finland and also the variance explained by the model for Finland was the larg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bout the importance of alignment of instruction with classroom assessment, and also the role of assessment practices in math classroom for Korea, Singapore and Finland. Finally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동기, 확산적 사고 및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의 관계

        홍순천(Soon Cheon Hong),손원숙(Won Sook Soh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Siau(1995)의 집단창의성 모형에 기반 하여서, 집단의 창의적 수행에 대한 영향요인을 입력 및 과정요인으로 구분하고, 이들과 창의적 산출물과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동기 및 확산적 사고가 집단 내에서 산출된 창의적 아이디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 초등학생이 지각한 창의적 분위기가 동기 및 확산적 사고와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D광역시와 K지역 2개 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261명이 내외동기검사, 확산적 사고검사(TTCT), 창의적 분위기 검사 모두에 응답하였다. 68개의 집단을 무작위로 구성한 뒤, 집단브레인스토밍 방법을 통하여 집단 내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의 동기 중 내적동기는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직접적인 효과 뿐 아니라 창의적 분위기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적동기는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확산적 사고 중 적응적 창의성 요인은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직접적인 효과 뿐 아니라 창의적 분위기를 통한 간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혁신적 창의성 요인은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창의적 분위기는 내적동기 및 확산적 사고와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내적동기와 적응적 창의성 요인이 집단 내 창의적 아이디어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간접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집단의 장기적 창의적 산출물, 과제의 특성, 다수준 SEM 등을 활용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tivation, divergent thinking, creative climate, and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A sample of 261 primary school students(101 girls, 160 boys) responded to all three instruments such as motivation, TTCT(Torrance, 1998), and creative climate tests. To measure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subjec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68 groups, and the two scoring criteria such as originality and usefulness of creative ideas were used. The results from SEM indicated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adaptive creativity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creative climate and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Also, intrinsic motivation and adaptive creativity ha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through creative climate. However, extrinsic motivation and innovative creativity ha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creative climate and individual creative ideas in group. This study has great meaning in that it proposed a Group Creativity Model with interactional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motivation and divergent thinking), context(creative climate), and product(creative ideas in group). Also this study emphasized the usefulness and roles of divergent thinking and motivation, as well as the creative climate for group creativity. Final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ime, task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level SEM should be considered for future group creativity study.

      • KCI등재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적 목표와 진로성숙도 및 교과 성취도의 관계: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김동욱 ( Dong Uk Kim ),손원숙 ( Won Sook Soh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미래와 현재에 대한 목표성향이 진로성숙도와 교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적 목표를 가족 지향적 목표, 사회?명성 지향적 목표, 부자?직업 지향적 목표로 측정하였고, 현재의 목표 성향으로는 4개의 성취목표지향성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이 진로성 숙도 및 교과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G도 Y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00명이며, SPSS PROCESS(Preacher & Hayes, 2004) 매크로를 사용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중 매개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붓스트래핑 기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족, 사회?명성, 및 부자?직업 지향적 미래목표는 모두 진로성숙도에는 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나, 교과 성취도에는 가족 지향적 미래목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효과를 보였다. 둘째, 가족, 사회?명성, 및 부자?직업 지향적 미래목표는 숙달 및 수행 접근의 성취목표지향성에는 정적인 효과를 미쳤으나, 회피 지향적 성취목표지향성에는 유의하지 않거나, 강도가 작은 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셋째, 미래지향적 목표는 성취목표지향성의 접근 지향적 목표성향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직, 간접 효과를 모두 나타내었다. 넷째, 미래지향적 목표는 성취목표지향성의 접근 지향적 목표 성향을 매개로 교과 성취도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미래목표지향성의 가족 지향적 목표 성향은 진로성숙도 및 교과 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적 목표 성향의 특성을 파악하고, 미래지향적 목표 각 하 위변인이 진로성숙도와 교과 성취도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 하였다. 이에 현 정부에서 강조하는 진로교육을 통한 행복교육 강화의 타당성과 초등학생의 미래지향적 목표 성향에 대한 추가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etween primary school students` future oriented goals, there effects on career maturity development or academic achievem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and mediation effects were estimated by bootstrapping methods. The sample consists of 5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Y city in G province, who completed the survey items measuring the four constructs mentioned abov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types of future oriented goals such as family, social? fame, and wealth?career oriented goals have different effects on students`career maturity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had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oriented or social fame-oriented goals and career maturity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had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ealth?career oriented goals and career maturity development. In addition, only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ful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oriented goals and career maturity development. Conclusions carry implications of the importance of combining future goal orientation and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need for primary school students`care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