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 3세 한국인 유아의 미국 유치원 적응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손수민(Sohn Soo-M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만 3세 한국인 유아가 미국 유치원에 적응하는 과정을 살펴보며 그 과정에서 유아를 둘러싼 다양한 가정적, 사회적 맥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 연구대상은 미국 북동부 지역 B도시에 소재해 있는 주립 대학의 부속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세 한국인 유아로, 연구 대상 유아뿐만 아니라 유아의 부모, 교사들, 교육실습생들, 전(前)학급 교사, 유아의 또래들등에 대해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병행하여 유아에 대한 다양한 자료원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유아의 부모는 유아의 영어 실력 향상에 관심의 초점이 놓여져 있었기 때문에 유치원 초기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자녀를 이해하지 못하였고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없었다. 또한 유아는 가정과 학교에서 상당히 이질적인 경험을 하고 있었고, 이는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더욱 힘들게 하였다. 둘째, 영어의사소통능력 부족 등으로 인해 파생되는 또래와의 계속되는 갈등과 오해로 인해 유아는 또래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토로했다. 셋째, 학기 초에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교사의 적절한 도움과 이해가 부족하였고 이로인해 유아는 좌절감과 상실감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이후 부모와 교사의 협력을 통해 유치원 적응을 위한 실질적인 도움을 받았을 때 유아는 또래관계형성 및 학급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국에 거주하며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한국인 유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앞으로 미국으로 이주할 계획이 있는 잠재적인 유아 집단의 미국 학교 적응 준비에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한국 내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 유아들의 한국 유치원의 초기 적응을 이해하고 도울 수 있는 간접적인 도구로서의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a three-year-old Korean boy's adjustment to preschool in U.S.A and the factors to influence the adjustment. Focusing on the Korean child in the preschool,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his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while he became accustomed to school life. The focal child was in a preschool affiliated with University in North Eastern area in U.S.A. He planned to stay in the U.S. for two years owing to his father's degree. To investigate broad perspectives of the child, the researcher included his parents, teachers, previous teachers, interns, peers as well as the focal child in the stud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Common themes in the responses to a series of open-ended questions as well as observations emerged from the interviews, fieldnotes and field di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the parents were mostly concerned about the child's English achievement, but they did not take any actions toward this goal. Accordingly, the child did not receive appropriate assistance to get adjusted to a preschool from parents and had difficulties to understand what their parents desired. Second, because of his limited English proficiency, he had difficulties to build friendship with peers and experienced degrees of depression and confusion. Third, although the preschool hired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had teachers who had multicultural backgrounds, they failed to understand the child's individual difficulties and provide appropriate help to him.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누리과정 적용 및 실행에 대한 사립유치원장의 인식

        손수민 ( Soo Min Soh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3

        본 연구는 유치원의 총괄적인 관리 및 운영을 맡고 있는 사립유치원장들을 대상으로 누리과정 적용 과정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을 탐색해봄으로써 누리과정의 제도적 안정, 현장 적용 방법 개선 등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 사립유치원장 4인을 선정하여 누리과정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겪었던 경험과 누리과정의 제도적 정착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점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자료 수집은 연구 참여자별로 5개월에 걸쳐서 개별면담 10-12회, 집단 면담 3회, email 교환, 전화면담,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을 통해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교수매체의 활용법과 확장활동 예시 등이 포함된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는 수업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실제적인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반면 사립유치원장들이 경험한 어려움으로는 첫째, 누리과정의 고시부터 시행까지 단기간에 급박하게 이루어지는 과정 속에 질적으로 낮은 교사연수를 경험하며 누리과정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고 답변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누리과정의 내용을 유치원에서 실행하는데 있어서 직면하게 되는 여러 가지 제약 등을 언급하며 현실적용의 어려움을 드러내었다. 셋째, 유치원장들은 새로운 교육제도의 도입과 함께 늘어난 행정업무로 인해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사립유치원장들이 제시한 개선점으로는 충분한 연수과정, 누리과정 교육내용의 재검토와 보완, 행정업무 간소화 시스템 구축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누리과정을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사립유치원장들이 당면한 경험과 어려움 등을 이해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이 실효성 있는 제도로 정착할 수 있도록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who are responsible for overall management of kindergarten and suggest the practical alternatives for institutional stability and efficient application to school in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Study participants were 4 private kindergarten principals working at Kyeonggi-do and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in-depth private interviews, group interviews, email exchanges, phone interviews and researcher``s reflective journals. According to a result of this study, they have experienced low-quality teacher training and had lack of knowledge of Nuri curriculum because Nuri curriculum had been quickly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a short time. Accordingly, the participants confessed that they could not help having negative perception of Nuri curriculum. Second, the participants confronted difficulties when they applied Nuri curriculum to school because the school had not enough resources. Moreover, they were disappointed that Nuri curriculum was not successfully designed for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y were afraid of the phenomenon of standardiz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under the demand of unification of curriculum. Meanwhile, they were satisfied of Nuri curriculum because they provided various extended activities and efficient teacher``s manual. Third, they had hard time to deal with education administrative work which had been changed in implementation of Nuri curriculum. This study provide framework to develop and stabilize Nuri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손수민 ( Soo Min Soh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2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의 전반적인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를 둘러싼 다양한 생태학적 변인들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총체적으로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2008년 자료를 바탕으로 배우자가 있는 취업모 656명과 비취업모 138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보통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양육비용에 대한 부담, 육아정보선택, 자녀의 정서적 안정에 대한 책임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스트레스를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취업모에 비해 비취업모가 더 높은 수준의 양육스트레스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에 관련된 변인들을 살펴보았을 때, 취업모가 비취업모에 비해 자기효능감과 부모됨의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남편이 자녀양육에 더 많이 참여하였고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도 높아 양육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셋째, 양육스트레스에 관련된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두 집단의 어머니 모두 양육 관련 특성인 자기효능감, 부모됨의 태도, 양육방식이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비취업모의 경우에만 남편의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ir related factors which influence their child rearing. The participants were 656 employed mothers and 1380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from 2008 Korean Children Pan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ent though medium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non-employed mothers reported parenting stress higher than employed mother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y experienced high level of parenting stress in parenting costs, selection of appropriate paren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responsibility of infants` emotional stability. Second, compared to non-employed mothers, employed mothers reported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positive attitude of being parent. In addition, employed mothers experienced spouse`s and social supports for child rearing. Third, mothers` child-rearing relate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positive attitude of being parent, and parenting style, had influential impact on parenting stress. Furthermore, in terms of parenting stress, only non-employed mothers were influenced by their spouse`s and social supports.

      • KCI등재

        영아기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가정 및 사회적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손수민(Sohn, Soo M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가정 및 사회적 지원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76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보통 수준보다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어머니의 자녀수와 연령 및 영아의 형제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모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부모로서의 효능감과 부모로서의 만족감과 자신감이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내 지원 중 남편의 정신적 지지와 사회적 지원 중 관계 차원의 지원이 양육스트레스와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드러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겪게 되는 실질적인 양육스트레스와 양육 환경 및 어려움을 이해하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v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family support,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The subjects were 176 mothers with infants in Gyeonggi-province.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family and social support. More specifically, satisfaction and confidence of parenting, self-efficacy as a parent, emotional support from a husband, a husband’s assistance for child-rearing, social support of functional and relational assistance were the most powerful predictors on parenting stress. These results imply that parent education program should include fathers and provide resources for social support to enhance self-efficacy as a parent and relieve mothers' parenting stress.

      • KCI등재

        아시안 부모의 교육참여와 아동의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연구

        손수민 ( Soo Min Sohn ),이재경 ( Jae Kyung Lee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내 거주하는 아시안 부모들의 자녀 교육에 참여하는 형태와 참여 정도를 알아보고, 부모참여와 자녀의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부모의 자녀교육 참여 정도는 자녀의 학교와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녀의 학업성취도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 각각 읽기와 수학 능력을 측정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Kindergarten Class of 1998-99 [ECLS-K]에서 유치원생(만 5세) 아동들을 표집하여 초등학교 1학년 때까지 1년간 변화추이를 살펴보았으며, 총 6599명의 아시안과 미국인 아동들 및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 모두 아시안 부모들이 미국인 부모들에 비해 가정과 자녀의 학교에서 교육활동 참여정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시안 부모들이 미국인 부모들에 비해서 자녀의 학교 활동에 참여하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는 실질적으로 그들의 낮은 참여율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참여하는 형태 및 정도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업성취도는 유치원 시기에는 아시안 아동들이 미국인 아동들에 비해 읽기와 수학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는 두 집단 간의 격차가 상당히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to which Asian and White parents were involv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the ways in which they were engag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arental involvement on children`s education during kindergarten and first grade and the factors to explain the types and degrees of Asian parents` involvement with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both in school and at home, comparing with White parents. Furth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se factors to parental involvement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home versus school parental involvement behaviors on children`s school achievement.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the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Kindergarten Class of 1998-99 [ECLS-K]. The analytical sample drew only data from Asian and White (non-Hispanic)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kindergarten and grade 1(N=6599).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Asian-American parents tended to be less heavily involved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both at home and at school than were White parents. Asian-American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Whites in reading and equally well in math achievement in kindergarten; but, by the end of grade 1, their achievement gap tended to be small.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academic achievement were mixed with positive effect of school involvement and negative effect of home involvement.

      • KCI등재

        인성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참여 실태가 유아의 인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

        손수민 ( Soo Min Sohn ),김희환 ( Hee Hwan Kim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유아인성교육의 필요성, 목적, 내용, 인성교육의 적기, 인성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인성교육의 실행 내용, 실제 참여 정도, 인성교육방법 등 아버지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고, 이러한 아버지의 인식과 참여 실태가 유아의 인성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아버지 23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백분율, 다중응답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아버지는 인성교육의 필요성, 목적, 내용 등에 대해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유아기를 인성교육의 적기라고 응답하였지만, 실제 교육 참여에 있어서는 ‘보통’ 정도를 가장 빈번히 응답하여 만족스러운 참여를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아버지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은 유아의 인성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인성교육의 실제 참여는 유아의 안정성, 사려성, 사회성, 충동성 등 인성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thers’recog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cluding necessity, purpose, contents, proper time, and affecting variables of character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and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reveal how fathers’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of character education influenced children’s character trai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38 parents who have 3-5 year-old children attended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SPSS 1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multiple response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from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highly recognized the necessity, purpose, and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owever, most of the participants evaluated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s ‘on average’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While the fathers`` recog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did not influence the character traits of their young children. their participation significantly affected stability, reflectivity, sociability, and impulsivity of their young children.

      • KCI등재

        만 2세 영아의 놀이성과 보육시설 기관적응에 관한 연구

        손수민(Sohn Soo-Min),김민영(Kim Min-Yo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5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놀이성이 보육시설 기관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상호관련성을 통합적으로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22개 보육시설에 재원중인 만 2세 영아들의 담임교사 206명이 신입영아와 재입영아들을 각각 관찰하고 측정하여 기록한 질문지 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신입영아와 재입영아 간에 놀이성의 하위요소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에 차이가 있었고, 기관적응에 있어서는 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감정, 자아강도, 하루일과의 적응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놀이성의 차이가 보육시설 기관적응의 하위요소인 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감정, 또래간의 적응, 자아강도, 하루일과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영아의 보육시설 초기적응을 돕기 위해 보육시설 현장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해 보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year-old infants' adjustment to Child Care Center and their playfulness while comparing new-comers and reentered infants. The subjects were 206 teachers of two-year-old infants at 22 Child Care Centers in Kyeonggi Province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mpleted as of March, 2009.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new-comers to Child Care Centers, reentered infants exhibited higher levels of playfulness in their subordinate factors of playfulness; such as, bodily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enjoyment, and sense of humor. Second, both new-comers and reentered ones showed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relationships between playfulness and adjustment to the Child Care Center, in terms of pro-social behaviors, positive emotion, peer interaction, sense of self, and adjustment to daily schedule.

      • KCI등재

        다문화가정 영아의 어린이집 경험과 어머니, 교사 특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민영(Min Young Kim),손수민(Soo Min Soh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영아의 어린이집 경험과 어머니, 교사 특성이 어린이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상호관련성을 비교분석하여, 그들의 기관적응을 돕는 방 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 78개소에 재원 중 인 만 2세반 다문화가정 영아 91명으로 다문화 통합보육을 담당하는 교사가 영아들 의 기관적응을 평가한 자료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 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 였다.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정 영아의 기관적응은 영아의 어린이집 재원경험 유무와 어머니의 한국거주기간과 한국어소통능력, 교사의 연령과 교직경력, 다문화 통합보육 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 의 한국거주기간과 한국어소통능력이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xperience with child care centers and how maternal and teacher 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adjustment of toddl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child care centers. The study aims to provide effective ways to guide these children to stably adjust themselves to a child care center. The subjects consist of 91 toddl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78 child care centers of Kyeonggi Provinc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es for 2-year-olds, observe and assess the toddlers`` adjustment to the child care centers.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are observed in the toddlers`` adjustment according to their prior experience with the child care center, their mother``s residence period in Korea, their proficiency in Korean, the teachers`` age, and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s well as experience teaching in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es. Based on the results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determines that the two factors that significantly explain toddlers` adjustment to a child care center are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their mother`s residence period in Korea.

      • KCI등재

        만 2세 영아의 개인적 특성과 어린이집 경험,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김민영(Kim, Min-young),손수민(Sohn, Soo-min)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만 2세 영아의 개인적 특성과 어린이집 경험,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상호관련성을 통합적으로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어린이 집 28개소에 재원 중인 만 2세 영아 175명으로 담임교사가 영아의 놀이성을 평가하고, 어머니가 영아 의 기질과 자신의 양육태도를 평가한 자료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 사후검증, Pearson 상관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성별과 월령, 기 질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에 차이가 드러났다. 둘째, 영아의 어린이집 재원기간과 이용시간은 영아의 놀 이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긍정적 태도는 영아의 사회 적 자발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영아의 월령, 기질 중 활동성,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가 놀이성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로부 터 영아의 놀이성 발달을 돕기 위해 부모와 교사가 지원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fants' individual characteri stics, infants' experience of child care center, and maternal child-rearing attitudes on two-year-old infants' playfulness. The subjects were 175 two-year-old infants at 28 child care centers in Kyeonggi Province. The teachers assessed infants' playfulness and the mothers assessed infants' temperament and their own child-rearing attitud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R,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using SPSS 18.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infa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ir gender, age, and tempera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ants' playfulness. Second, infants' experience of child care center, such as the number of months they attend at child care center and the number of hours infants spent at child care center, was highly related to infants' playfulness. Third, among the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positive attitudes were highly related to infants' social spontaneousness, which means how they are spontaneously involved in social interac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 infants' age, the number of months they attend at child care center, activity, which means how actively the infants do at child care center,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fants' playful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s at child care center and mothers' ones at home. The present study proposes effective methods to facilitate infants' playfulness and furth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