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바이러스의 병원성 연구

        손상규,전세규,Sohn, Sang-Gyu,Chun, Seh-Kyu 한국어병학회 1999 한국어병학회지 Vol.12 No.2

        The pathogenicity of the fish nodavirus causing viral nervous necrosis (VNN)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was examined in sevenband grouper and other marine fish by intramuscular injection. Sevenband groupers of 27~104 g in body weight were highly susceptible to the fish nodavirus, but yellowtail (537 g in body weight), red seabream (207 g), rock bream (43 g), flounder (41 g), tiger puffer (27 g) and rockfish (94 g) of the sizes used to this experiment were not. The pathogenicity of the viral agent to the sevenband grouper was high without regard to fish sizes at rearing water temperature over $20^{\circ}C$, but not at $15^{\circ}C$. Therefore, susceptibility of sevenband grouper to the viral agent causing VNN was thought to be water temperature-dependent rather than fish size (age-dependent). Compared to the infectivity of the viral agent to sevenband grouper with artificial infection methods, fish were successfully affected by intramuscular, intraperitoneal, oral, dipping and cohabitation administrations although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in mortalities among infection methods. And survival sevenband grouper after infection with the fish nodavirus was resistant to the reinfection for a long time. 능성어의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바이러스(fish nodavirus)의 병원성을 능성어 및 다른 해산어류를 대상으로 인위감염법에 의해 조사한 결과, 능성어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바이러스는 능성어에서는 소형어(27 g)부터 대형어(104 g)까지 제사를 일으켜 강한 병원성을 나타냈지만, 실험에 사용한 크기의 방어(537 g), 참돔(207 g), 돌돔(43 g), 넙치(41 g), 자주복(27 g) 및 조피볼락(94 g)에는 폐사를 일으키지 않아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사육수온별 능성어에 대한 바이러스의 병원성은 수온 $15^{\circ}C$에서는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수온 $20\sim28^{\circ}C$에서는 수온이 높을 수록 병원성을 강하게 나타냈다. 그리고 바이러스는 근육주사, 복강 주사 및 경구감염뿐만 아니라 침지감염과 혼합사육감염에 의해서도 쉽게 능성어에 감염이 되지만, 감염 후 생존한 능성어에 대해서는 바이러스를 재감염시켜도 폐사가 일어나지 않았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넙치에서의 Vibrio vulnificus 오염 방지를 위한 백신 연구

        손상규(Sang Gyu Sohn),김명석(Myoung Sug Kim),박준효(Jun Hyo Park),유민호(Min Ho Yoo),정현도(Hyun Do Jeong) 한국수산과학회 2002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5 No.1

        비브리오 패혈증의 원인균인 V. vulnificus에 대한 어류의 저항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연구로써, 비브리오 백신이 경구로 투여된 넙치에서의 특이 또는 비특이적 면역반응을 조사하였다. 넙치에 대하여 UHKB (uncoated heat killed bacterin of V. vulnificus)를 20 mg/kg b.w.의 농도로 경구를 통하여 4주 연속 투여 (4W) 또는 1주 동안 투여하고 2주 동안 투여하지 않다가 다시 1주 동안 투여(1-2-1W) 하는 두 가지 방법으로 실시한 후 형성된 혈청내 특이항체량을 비교한 결과 1-2-1W group은 4W group에는 도달하지 못하였지만 명백히 증가된 특이 항체량을 보여주었다. UHKB를 1주일에 2회씩 4주 연속 투여한 실험구가 최종 투여 후 2주 째부터 가장 높은 항체가를 보여 주었고 이러한 경향은 전 실험기간 동안 계속 유지되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단일세포수준에서 분석된 특이항체 생성세포 (SASC) 수의 계측에서도 확인되었는데 백신의 최종 경구투여 후 1주 째부터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를 보인 실험구의 SASC수는 최종 투여 후 8주 째까지 유지되었다. 그러나 내산성으로 제조된 백신 (ECHB)은 V. vulnificus에 대한 항체생성 면역반응 그리고 인위 감염시킨 V. vulnificus (1×10 exp (8) CFU/㎏ b.w.) 생균의 체내 제거능력 분석 양쪽 모두에서 UHKB에 비하여 낮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넙치에 경구 투여된 UHKB는 V. vulnificus의 오염을 억제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인되었으나 내산성으로 제조된 ECHB는 면역반응 증가를 유도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study the increased resistance in fish against Vibrio vulnificus known as an important agent of vibrio septicemia in human, we analyzed specific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 in flounder after administration of V. vulnificus bacterins by oral route. It contained the comparison of antibody concentrations in the sera of flounder after oral administration by two different protocols with uncoated heat killed bacterin of V. vulnificus (UHKB, 20 mg/kg body weight), i.e., 4 weeks continuously (group 4W) and taking 2 weeks resting period between the 1st and last week of administration (group 1-2-1W). Even though, 1-2-1W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 of specific antibody in serum, it did not reach to that of 4W group. Certainly, flounder vaccinat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20 ㎎/㎏ b.w.) showed increased concentration of specific antibody against V. vulnificus at week 2 after last administration by oral route and mainta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It also was confirmed by the increased numbers of specific antibody secreting cells (SASC) in the leukocytes isolated from the splenocytes of the flounder of 4W group at week 1 after last administration until the end of experimental period. However, enteric, acid-resistant film coated heat killed bacterin (ECHB) did not show both greater immune reaction for antibody production and faster elimination of a challenge dose of V. vulnificus compared with those of the UHKB.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HKB administered by oral route was very effective method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of V. vulnificus in flounder, and did not show the increased antigenicity by coating the surface with acid-resistant film.

      • KCI등재

        Detection of a mollicute-like organism in kuruma shrimp, Penaeus japonicus

        최동림,손상규,박명애,허문수,르노 트리스탕,Choi, Dong-Lim,Sohn, Sang-Gyu,Park, Myoung-Ae,Heo, Moon-Soo,Renault, Tristan 한국어병학회 1996 한국어병학회지 Vol.9 No.1

        자연산 보리새우(Penaeus japonicus) 모하의 병리검사 결과 사상체의 mollicute와 유사한 미생물의 감염을 확인하였다. 검사에 사용된 보리새우 모하는 일본산이며, 한국으로 수입되었다. 일반 조직검사 결과 병리학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간췌장 상피세포에서 세포내 다형태성 사상체 세균의 광범위한 감염을 발견하였다. 사상체 세균은 직경이 약 60nm이며, 길이가 300nm에서 $1{\mu}m$ 이상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이 세균의 구조는 사상체이며, 끝마디를 가진 가지로 분지 되는 특징을 보였다. 세포벽은 없으며, 원형질막으로만 둘러싸여 있었으며, 전형적인 원핵세포성 리보소음과 선형 DNA와 유사한 가닥을 가지고 있었다. 그 외 다른 세포내 기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형태적인 특징들과 세포내 감염부위로 볼 때 이 세균은 mollicutes로 판단된다. A filamentous form of mollicute-like bacterium was detected during a routine health survey of wild adult kuruma shrimp Penaeus japonicus. The kuruma shrimp were native to Japan and were imported to Korea. The histology showed no pathological changes.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extensive infections of hepatopancreatic epithelial cell by a pleomorphic, filamentous intracellular bacterium. The filamentous bacterium was of about 60 nm in diameter and 300 nm to more than $1{\mu}m$ in length. Teh morphology of bacteria were filamentous and branched with terminal blebs, or knobs, on the branches. They lacked the cell wall, and were bounded by the plasma membrane. They contained typical prokaryotic ribosomes and fibrillar DNA-like strands. No additional internal structure has been observed. They are considered to be mollicutes, based upon the morphological appearance and upon the cellular location.

      • KCI등재

        수산 생물의 생산과 관리에 관한 기초연구 항체 감작 Staphylococcus aureus 에 의한 Coagglutination Test 기법을 이용한 Edwardsiellosis 의 신속 진단

        하재이(Jai Yi HA),손상규(Sang Gyu SOHN),허민도(Min Do HUH),정현도(Hyun Do JEONG) 한국수산과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5

        To avoid the self-agglutin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sensitized with rabbit antibody in the absence of antigen, we determined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rabbit antibody for sensitization. It was analyzed by using three different kinds of S. aureus strains at various concentraions of antibody. The optimized coagglutination test using the S. aureus sensitized with rabbit antibody was applied to the diagnosis of edwardsiellosis in field and in laboratory. The presence of E. tarda as low as 10 ㎍/㎖ was detected by this method. Moreover, it showed good coagglutination results against several different forms of antigens such as FKC, EDTA or heat extracted antigen of E. tarda. E. tarda strains, isolated from the flounders suffering from edwardsiellosis in fields, showed some cross-reactions to the E. tarda 219 analyzed by both agglutination and coagglutination test with rabbit anti-E. farda 219 antibody. The degree of cross-reactions analyzed was enough to apply the coagglutination test for the diagnosis of edwardsiellosis in field. Thus, even 1,000 fold diluted tissue homogenate of infected flounder naturally contained enough E. tarda as an antigen to show good coagglutination with S. aueus sensitized with rabbit anti-E. tarda 219 antibody.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is method to the homogenate and heat extract of tissues from naturally or artificially infected flounder or tilapia proved that coagglutination test was a simple and rapid reliable dignostic technique suitable for using in laboratory and field without any special equipments.

      • KCI등재후보

        생태양식에서 미꾸리 치어에 대한 pH, 암모니아 및 아질산의 급성독성

        이영식 ( Young-sik Lee ),손상규 ( Sang-gyu Sohn ),한형균 ( Hyung-gyun Han ),이주용 ( Joo-yong Lee ),강언종 ( Eon-jong Kang ),정정조 ( Cheong-jo Che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5 No.5

        미꾸리의 생태양식에서 미꾸리 치어(Misgurnus anguillicaudatus)의 급성독성에 미치는 pH, 암모니아 및 아질산 농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미꾸리 치어는 pH 9.50에서 폐사율이 10%였으며, pH 9.93에서는 12 시간 이내에 100%가 폐사하였다. pH 4.5에서는 4일 이내에 25%가 폐사하였다. 암모니아의 농도가 192.86 ㎎/L(pH: 7.45) 이하에서는 폐사는 없었지만, 암모니아의 농도가 401.14, 565.71 ㎎/L에서 노출시간이 8일에서 각각 10, 20%가 폐사하였다. pH 8.60에서는 암모니아의 농도가 25.05 ㎎/L에는 4일 노출시켰을 때 7.7%가 폐사하였으며, 암모니아의 농도가 35.78 ㎎/L에서는 실험 4일에 미꾸리가 100% 폐사하였다. NO<sub>2</sub><sup>-</sup>의 농도가 33.35 mg/L 이하에서 폐사는 없었으며, 46.29 ㎎/L에서는 3일 노출시켰을 경우 30%가 폐사하였다. 그리고 NH<sub>3</sub>, NO<sub>2</sub><sup>-</sup>에 대한 96hr-LC<sub>50</sub>은 2.89와 590.06 mg/L로 나타났다. To establish techniques for culturing loaches in paddy fields, we investigated the acute toxicity for pH, ammonia, and nitrite on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At a pH of 9.50, loach mortality was 10% for the entire duration of the experiment (10 days); however, at a pH of 9.93, 100% mortality was experienced within 12 h of exposure. At a pH of 4.5, there was 25% mortality, after 4 days of exposure. No loach mortality was observed at an ammonia concentration of 192.86 mg/L and a pH of 7.45 for the entire duration of the experiment. At ammonia concentrations of 401.14 and 565.71 mg/L, there was 10% and 20% mortality, respectively, after 8 days of exposure. At an ammonia concentration of 25.05 mg/L and pH of 8.60, there was 7.7% mortality after 4 days of exposure. Mortality was 100% after 4 days of exposure with 35.78 mg/L ammonia at pH 8.60. No loach mortality was observed at NO<sub>2</sub><sup>-</sup> concentrations <33.35 mg/L. At an NO<sub>2</sub><sup>-</sup> concentration of 46.29 mg/L, there was 30% mortality after 3 days of exposure. The 96-h LC<sub>50</sub> values for NH<sub>3</sub> and NO<sub>2</sub><sup>-</sup> were 2.89 and 590.06 mg/L, respectively.

      • KCI등재

        필리핀산 실뱀장어(Anguilla Bicolor Pacifica)의 양식 밀도 및 초기 사료의 급여 양에 대한 연구

        김광석 ( Kwang-seog Kim ),손상규 ( Sang-gyu Sohn ),최혜승 ( Hye-sung Choi ),박나리 ( Na-ree Park ),이영식 ( Young-sik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5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6 No.4

        극동산 뱀장어(Anguillla japonica)의 대체어종으로 필리핀산 뱀장어(Anguilla bicolor pacifica)의 양식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필리핀산 실뱀장어를 대상으로 먹이순치 및 적정 사육밀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입붙임 사료를 4, 6, 8, 10배 공급한 계에서 성장도 및 생존율이 서로 비슷하였으며, 입붙임 사료의 공급일수가 5, 10, 15일에서도 그 성장률과 생존율은 서로 간에 명확한 차이는 없었다. 그리고 사육 밀도 실험에서 469 마리/㎡에서 성장 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극동산 뱀장어와 큰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양만장에서 필리핀산 뱀장어를 사육할 경우 입붙임 사료의 공급 양은 4배, 일수는 5일, 밀도는 469 마리/㎡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Initial feed rate and farming density of the Philippines grass eels, Anguilla bicolor pacifica were studied to obtain the optimal culture method as alternative species for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There were no difference at growth and survival rate among feeding rate and feeding days for initial feed. The highest growth rate was observed at 469 ind./㎡ in eel density for initial feed, and this results was similar to that of Anguilla japonica. It seems most appropriate that four times in amount of initial feed, 5 days in period of initial feed, and 469 ind./㎡ in its density are sufficient to breed Philippines grass eels, Anguilla bicolor pacifica.

      • KCI등재

        미꾸리 치어에 대한 암모니아 및 아질산의 급성독성

        박나리 ( Na-ree Park ),손상규 ( Sang-gyu Sohn ),최혜승 ( Hye-sung Choi ),정정조 ( Cheong-jo Cheong ),이영식 ( Young-sik Lee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7 No.1

        미꾸리 치어를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해 미꾸리 치어(전장 19.93 mm, 전중 0.03 g)에 대하여 ammonia 및 NO<sub>2</sub><sup>-</sup>의 급성독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Ammonia의 농도가 44.74 ㎎/L에서는 실험 기간 8일 동안 폐사는 없었다. 165.60 ㎎/L에서는 2일 노출시켰을 때 100%가 폐사하였다. NH<sub>3</sub>에 대한 12hr-LC<sub>50</sub>, 24hr-LC<sub>50</sub>, 48hr-LC<sub>50</sub>, 72hr-LC<sub>50</sub> 및 96hr-LC<sub>50</sub>은 각각 5.68, 3.79, 2.59, 2.40, 2.37 ㎎/L 였다. NO<sub>2</sub><sup>-</sup>의 농도가 51.54 ㎎f/L에서는 7일째에 폐사가 발생하였으며, 92.09 ㎎/L에서는 약 4일 후에, 그리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2일 이내에서 폐사가 발생하였다. NO<sub>2</sub><sup>-</sup>에 대한 12hr-LC<sub>50</sub>, 24hr-LC<sub>50</sub>, 48hr-LC<sub>50</sub>, 72hr-LC<sub>50</sub> 및 96hr-LC<sub>50</sub>은 각각 3531.8, 1570.6, 537.6, 375.8, 303.2 ㎎/L로 조사되었다. NO<sub>2</sub><sup>-</sup> 농도가 200 ㎎/L에서 pH가 7.92에서는 3일째까지 폐사는 없었다. pH가 6.46에서는 2일째부터 폐사하였으며, pH가 5.75, 4.27에서는 1일 이내에 모두 폐사하였다. 미꾸리 치어의 대량양식에 있어 유수식, 순환 여과방식 또는 BFT 시스템에서 pH가 낮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ammonia보다는 NO<sub>2</sub><sup>-</sup>의 농도변화에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To establish techniques for culturing fry loaches, we investigated the acute toxicity for ammonia and nitrite on fry loach. Fry loach did not died at a TAN concentration of 44.74 ㎎/L for the entire duration of the experiment (8 days). However, 100% mortality was observed within 2 days of exposure at a TAN concentration of 165.60 ㎎/L. The 12hr-LC<sub>50</sub>, 24hr-LC<sub>50</sub>, 48hr-LC<sub>50</sub>, 72hr-LC<sub>50</sub>, and 96hr-LC<sub>50</sub> values for NH<sub>3</sub> were 5.68, 3.79, 2.59, 2.40 and 2.37 ㎎/L, respectively. The fry loach died at 51.54 ㎎/L of NO<sub>2</sub><sup>-</sup> after 7 days of exposure, 92.09 ㎎/L after 4 days, and 92.09 ㎎/L after 2 days. The 12hr-LC<sub>50</sub>, 24hr-LC<sub>50</sub>, 48hr-LC<sub>50</sub>, 72hr-LC<sub>50</sub>, and 96hr-LC<sub>50</sub> values for NO<sub>2</sub><sup>-</sup> were 3531.8, 1570.6, 537.6, 375.8 and 303.2 ㎎/L, respectively. The fry loach did not died at a NO<sub>2</sub><sup>-</sup> concentrations of 200 ㎎/L and a pH of 7.45 for 3 days. At a pH of 6.46, fry loach died after 2 days and the mortality was 100% at pH of < 5.75 within 1 day. It seems necessary to more careful control of NO<sub>2</sub><sup>-</sup> than TAN because the pH values will decrease at pond, water recycling culture system, and BFT system for massive fry loach culture.

      • KCI등재후보

        동자개 치어 성장에 있어 pH, 암모니아 및 아질산의 급성독성

        이영식 ( Young-sik Lee ),손상규 ( Sang-gyu Sohn ),한형균 ( Hyung-gyun Han ),이주용 ( Joo-yong Lee ),강언종 ( Eon-jong Kang ),정정조 ( Cheong-jo Cheong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5 No.4

        동자개 폐사 원인구명 및 바이오플락 시스템의 운용을 위해 동자개 치어의 pH, 아질산 및 암모니아에 대한 급성 독성 수준을 공기를 주입하지 않는 회분식 수조에서 검토하였다. 산성인 pH 3.52에서 1일후에 15.4%가 폐사하였으며 3일째에는 53.8%가 폐사하였다. 알칼리성인 pH 9.93에서 4일째 15.4%가 폐사하였고, 10.40에서는 2일째에 모두 폐사하였다. NO<sub>2</sub><sup>-</sup>의 농도가 16.49 ㎎/L에서 2일 노출시켰을 경우 20%가 폐사하였으며, 4일째에 30%가 폐사하였다. 그리고 그 농도가 181.54 ㎎/L에서는 12시간 노출에 약 70%가 폐사하였다. NH<sub>3</sub>의 경우 그 농도가 1.66 ㎎NH<sub>3</sub>/L에서는 실험 4일째에 20%가 폐사하였으며, 3.11 ㎎NH3/L에서는 3일째에 100% 폐사하였다. NO<sub>2</sub><sup>-</sup>에 대한 96hr-LC<sub>50</sub>은 15.14 ㎎/L, NH<sub>3</sub>에 대한 96hr-LC<sub>50</sub>은 2.04 ㎎/L였다. 바이오플락시스템의 물 만들기 과정 및 일반 양식장에서 동자개의 폐사방지를 위해 아질산농도를 가능한 낮은 농도로 엄격히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operating a biofloc aquaculture system for the culture of banded catfish (Tachysurus fulvidraco), we investigated the toxicity of pH, un-ionized ammonia, and nitrite concentrations on the survival of juvenile banded catfish under batch conditions of no aeration. At a pH of 3.52, there was 15.4% and 53.8% mortality after 1 and 3 days of exposure, respectively. At pH values of 9.93 and 10.40, mortality was 15.4% and 100% after 4 and 2 days of exposure, respectively. When the NO<sub>2</sub><sup>-</sup> concentration was 16.49 mg/L, mortality was 20% and 30% after 2 and 4 days, respectively, and 70% of juvenile banded cat fish died within 12 hours of exposure to 181.54 mg/L NO<sub>2</sub><sup>-</sup>. When the un-ionized ammonia concentration was 1.66 mg NH<sub>3</sub>/L, the catfish experienced 20% mortality within 4 days of exposure. There was 100% mortality within 3 days of exposure to 3.11 mg NH<sub>3</sub>/L. The 96-h LC<sub>50</sub> values (17℃) for NO<sub>2</sub><sup>-</sup>and NH<sub>3</sub> were 15.14 and 2.04 mg/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w concentrations of NO<sub>2</sub><sup>-</sup>(<15.14 mg/L) need to be maintained in biofloc and general aquaculture systems to prevent banded catfish mort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