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top-Start 시스템 기술 동향

        손명희,박종현,손승원,Son, M.H.,Park, J.H.,Sohn, S.W.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5

        교토 의정서에 의한 지구 온난화의 규제 및 방지를 위하여 자동차에 환경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나 재생에너지가 전체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부분은 2020년에 약 1%(현재는 약 0.4%) 정도로 예측되어 대체에너지 개발 이전에 에너지 저감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차량의 공회전 상태시 엔진 구동을 정지시키는 Stop-Start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자동차 제조사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불필요한 공회전으로 소모되는 연료 손실 중 $5{\sim}8%$ 이상 회수 가능함이 입증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Stop-Start 시스템 기술에 대하여 소개하고, 국/내외 시장동향을 분석하여 그 필요성에 대하여 고찰하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중인 IT 융합 Stop-Start 시스템 개발 현황에 대하여 기술한 후 결론을 맺는다.

      • 이더넷 메시 망에서의 물리 토폴로지 발견 알고리즘

        손명희,김병철,이재용,Son Myunghee,Kim Byungchul,Lee Jaeyong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4

        통신망에 대한 토폴로지 발견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IP망에 대한 것으로 이더넷 장비의 토폴로지 발견은 배제되었다. 그러나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한 이더넷 망이 점차 매트로 화되면서 이더넷 망에 대한 토폴로지 발견을 통하여 이더넷 망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 되었다. 하지만 벤더 의존적인 토폴로지 발견 알고리즘과 2계층 포워딩 테이블에 의존적인 토폴로지 발견 알고리즘으로 인하여 메시 구조의 토폴로지는 발견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더넷 망을 브리지 망과 호스트 망으로 구분하여 각 망에 효과적인 토폴로지 발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두 가지 종류의 망의 경계에 있는 브리지들을 에지 브리지라고 정의하고 에지 브리지 내부의 브리지 망은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과 관련된 표준 MIB에 의하여 메시 구조의 토폴로지 발견이 가능하고 에지 브리지의 외부 망인 호스트 망은 2계층 포워딩 테이블과 관련된 표준 MIB을 이용함으로써 실시간적인 호스트망의 토폴로지 발견이 가능하다. Earlier researches have typically concentrated on discovering IP network topology, which implies that the connectivity of all Ethernet devices is ignored. But automatic discovery of Physical topology Plays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manageability of modem Metro Ethernet mesh networks due to the benefits of Ethernet services, including: Ease of use, Cost Effectiveness and flexibility. Because of proprietary solutions targeting specific product families and related algorithm which depends on Layer 2 forwarding table information it is impossible to discover physical topology in the Ethernet mesh networks. To cope with these shortcoming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and practical algorithmic solution that can discover accurate physical topology in the Ethernet mesh networks. Our algorithm divides the Ethernet mesh networks into bridged networks and host networks and those bridges located in boundary are named edge bridges. Our algorithm uses the standard spanning tree protocol MIB information for the bridged networks and uses the standard Layer 2 forwarding table MIB information for the host networks. As using the standard MIB information to discover physical topology we can offer interoperability guarantee in the Ethernet mesh networks composed of the various vendors' products.

      • KCI등재

        창덕궁 후원의 꽃구경 모임에서 정조와 규장각 관원이 지은 시 모음

        손명희(Son Myeng hee) 국립고궁박물관 2010 古宮文化 Vol.- No.3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내원상화임자갱재축 (內苑賞花壬子賡載軸)>과 <내원상화계축갱재축 (內苑賞花癸丑賡載軸)>은 조선후기 문예군주로 평가받는 정조(正祖, 1752~1800, 재위 1776~1800)가 자신의 친위세력이라 할 수 있는 각신(閣臣, 규장각 관원)들과 창덕궁 후원에서 ‘내각상조회(內閣賞釣會) 를 갖고 함께 꽃구경과 낚시를 하고 시를 지으면서 제작한 친필갱재축이다. 임금이 신하와 함께 수창하면서 제작된 시축 가운데 어제어필을 비롯하여 당시 참가자들의 친필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드문 사례이다. 본고는 이들 갱재축의 제작배경이 되는 내각상조회 및 각 갱재축의 현상과 내용을 파악한 후 두 갱재축이 지니는 문화사적 의미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1792년(壬子) 3월 21일에 정조는 규장각 제학 오재순(吳載純) 등 27명의 신하와 창덕궁 후원의 농산정(籠山亭)에서 꽃구경을 하고 수택재(水澤齋)에서 고기를 낚고 춘당대(春塘臺)에서 화살을 쏘았다. 이후 정조는 주찬(酒饌)을 내리고 운자(韻字)를 나누어 신하들과 연구시(聯句詩)를 지었는데 이 때 제작된 시축이 <내원상화임자갱재축>이다. <내원상화계축갱제축>은 1793년(癸丑) 3월 20일에 그 해가 계축년(癸丑年)이고 그 날 또한 계축일(癸丑日) 인 것을 기념하여 난정수계 고사(蘭亭水禊 故事)를 본 떠 옥류천(玉流川)의 곡수구(曲水溝)에 술잔을 띄워 술을 마시며 참여자들이 각기 종이에 지은 시를 이어 붙인 것이다. 난정고사에 부합하기 위해 정조는 정민시 등 규장각 전·현직 관원과 그 자제 및 일찍이 승지나 사관을 지낸 사람까지 불러들여 참가자는 40명에 달하였다. 난정고사를 모방한 계축년의 모임은 <조선왕조실록> 등의 자료에서 내각상조회 중에서도 가장 성대한 일로 칭송되고 있다. 이 두 점의 친필 갱재축은 정조가 각신이란 특정 관원들과 특별히 정기적으로 모임을 갖고 갱재賡載를 통해 상하 간에 적극적으로 소통함과 아울러 유대를 강화하고자 하였음을 실증해 준다. 서예사적으로도 정조를 비롯하여 당대 정치와 사상을 주도했던 규장각 관원들의 친필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또한, 색지 및 금가루·운모가루 등으로 장식한 종이는 조선후기 왕실에서 사용한 최상급 종이의 면모를 잘 보여준다 하겠다. This research introduces and examines two poetry handscrolls, Naewonsanghwaimjagaengjaechuk and Naewonsanghwagyechukgaengjaechuk, which were written by King Jeongjo (1752~1800, r. 1776~1800), who led a cultural resurgence of literature and a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is trustworthy officials, who mostly worked for the Gyujanggak, built in the first reign of King Jeongjo, to reinforce royal authority and to improve scholarship. King Jeongjo regularly had spring meetings to appreciate flowers and fishing with the Gyujanggak officials in the rear garden of the Changdeokgung palace during the early 1790s. After illuminating the activities and features of the meeting, this research analyzes not only the literary and diplomatic meanings of the two poetry handscrolls but also their political implication. Naewonsanghwaimjagaengjaechuk was produced at the spring meeting held on March 21, 1792. During the meeting, King Jeongjo and the Gyujanggak officials appreciated spring flowers at Nongsanjeong pavilion, enjoyed fishing at Sutaekjae (what is now called Buyongjeong pavilion), and shooting arrows at Chundangdae. The king granted wine and food to the officials. Then the king improvised a poem, and the officials composed their own poems according to the rhymes in his poem. The next year was the fiftie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癸丑) circulating twenty four times after the year 353 when forty-two scholars including Wang Xizhi held the well known Orchid Pavilion Gathering. To commemorate the same fiftie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with the year of the Gathering, King Jeongjo expanded the limit of the participants of the 1793 spring meeting and had the meeting held at Okryucheon. The participants sat along the banks of a stream and wrote poems sipping wine. This spring meeting was recorded as the most magnificent meeting on the record of the Annals of King Jeongjo, and the poetry hanging scroll produced at this meeting reaches 25 meters. The poems sing of the magnificence of their meeting in comparison to the original Orchid Pavilion Gathering, the blessing of the King, and the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The two poetry handscrolls display King Jeongjo’s calligraphy as well as that of the Gyujanggak officials who led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trend of the period. Also, the papers on which the poems are written present the best quality used in the court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fined polish, various colors dyed by natural herbs, and the use of powdered mica and gold. Furthermore, we can guess from them and other documents related to the spring meeting that King Jeongjo sought to communicate and reinforce his relationships with the Gyujanggak officials through the activity of composing poetry.

      • SCOPUSKCI등재

        골스캔 판독시 오류를 범할 수 있는 정상 변이소견 및 인공물

        손명희 ( Son Myeong Hui ) 대한핵의학회 2004 핵의학 분자영상 Vol.38 No.1

        Bone scan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studies in nuclear medicine. In bone scan, the amount of radioisotope taken up by lesion depends primarily on the local rate of bone turnover rather than on the bone mass. Bone scan is extremely sensitive for detecting bony abnormalities. However, abnormalities that appear on bone scan may not always represent disease. The normal scan appearances may be affected not only by skeletal physiology and anatomy but also by a variety of technical factors which can influence image quality. Many normal variants and artifacts may appear on bone scan. They could simulate a pathologic process and could mislead into the wrong diagnostic interpretation. Therefore, their recognition is necessary to avoid misdiagnosis. A nuclear medicine physician should be aware of variable appearance of the normal variants and artifacts on bone scan. In this article, a variety of normal variants and arlifacts mimicking real pathologic lesion in bone scan interpretation are discussed and illustrated.

      • KCI등재

        탈남한 탈북 난민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 : 캐나다 토론토 거주자 사례를 중심으로

        손명희 ( Son Myong Hee ) 북한연구학회 2018 北韓硏究學會報 Vol.22 No.1

        2000년대 중반 이후 국내 입국한 북한이탈주민들이 해외로 나가는 사례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한국을 떠나 한국 국민임을 증명하는 여권을 숨기고 제 3국에서 난민신청을 한다. 이러한 사례는 2007년 영국을 시작으로 그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한국 사회를 스스로 떠나는 ‘사회 이탈’의 모습인 ‘탈남((脫南)’은 하나의 ‘현상’이라고 부를 만큼 유행처럼 번졌다. 점차 늘어난 탈북 난민들의 주 목적지는 2010년 이후 캐나다로 바뀌었고, 2013년에는 캐나다의 탈북 난민신청자수가 700명을 넘어섰다. 이들은 자신들이 한국을 통해 들어온 사실을 숨기고 북한을 탈출해 캐나다로 바로 들어온 것처럼 난민 신청을 했다. 이 글의 목적은 그 당시 캐나다에 체류 중이던 탈남한 탈북 난민이 캐나다에서 어떻게 적응해 살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는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캐나다 토론토에 살고 있는 탈북 난민 14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심리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적응 실태를 분석했다. 또 이들이 한국을 떠난 이유와 입국할 나라를 선택하는 배경 등을 파악해 이러한 요인들이 캐나다 사회 적응과 관련성이 있는지도 살펴보고자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North Korean refugees who left Korea at that time were adapting to Canada. Since the mid-2000s, North Korean refugees have begun to go abroad. They left Korea and hid a passport proving that they were Korean citizens. They also applied for refugees in third countries. These cases have increased explosively in the UK since 2007. An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destination has moved to Canada after 2010. Especially more than 700 refugees have applied for refugee status in Canada by 2013. I interviewed fourteen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Toronto, Canada and examined their psychological, economic, socio-cultural adaptation. I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of adaption between the reasons why they had left Korea and then chosen Canada.

      • 아동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놀이중심 인지재구조화 프로그램의 효과

        손명희(Son, Myoung-Hee),오정숙(Oh, Jeung-Sug),김현영(Kim, Hyun-Young) 한국복지행정학회 2007 복지행정논총 Vol.17 No.1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인지재구조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또래관계를 변화키려는 소수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담임교사로부터 또래관계에 어려움이 있다고 의뢰된 아동 중 또래에 대한 지각이 부정적인 아동 5명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인지적 문제해결기술훈련과 역할놀이, 정서적 교육 및 놀이의 치료적 요인인 동기유발, 통찰, 재경험에 중점을 두고 1회기 70분, 주 2회, 총 12회 실시되었다. 또래관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 보고식 또래관계 척도를 사전․사후․유지로 비교하고, 자유놀이 상황에서 2회기마다 놀이행동 관찰 기록지를 사용하여 아동의 놀이행동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놀이 중심의 인지재구조화 프로그램은 또래관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놀이 중심의 인지재구조화 프로그램이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reports a case of 5 children whose peer relations have been improved through a play-based cognitive restructuring program. The 5 children with negative perception on peers were selected from children who were referred by the class teacher for difficulties in peer relation. The program was practised for six week, two sessions a week and a total of 12 sessions, and 70 minutes in each session, focusing on cognitive problem solving skill training, role play, emotional education and the therapeutic factors of play such as motivation, insight and re-experience. Changes in peer relation were examined by testing the childre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program using a self-reporting peer relation scale, and changes in the children’s playing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a playing behavior observation chart at every other session. The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peer perception and peer expectation, as well as in their peer relation, suggesting that a play-based cognitive restructuring program brings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peer relation.

      • KCI등재

        趙熙龍의 梅ㆍ蘭ㆍ竹ㆍ石圖 연구

        손명희(Son Myeonghui) 한국미술사학회 2006 美術史學硏究 Vol.- No.252

        趙熙龍(1789-1866)은 19세기 대표적인 閭巷文人畵家로 두드러진 회화창작과 회화 관련 저술활동을 통해 당대 화단을 이끌어가는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그의 회화작품에는 紀年作이 거의 없어 작품의 제작시기 및 화풍 전개과정을 살피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본고에서는 조희룡 회화작품에 적혀 있는 당호ㆍ인장을 문헌기록 및 작품의 화풍과 상호 고찰함으로써 사용시기를 분석하고, 조희룡이 즐겨 그린 梅ㆍ蘭ㆍ竹ㆍ石 화목을 중심으로 작품에 대한 편년적 분석과 화풍의 전개과정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다. 조희룡의 회화생애는 관련기록이 거의 없는 40대까지의 청장년기 (제1기)와 50대에서 유배 전 (62세)까지의 시기(제2기), 유배기와 그 이후의 시기(제3기)로 구분할 수 있다. 조희룡 회화작품에 보이는 당호 중 溜雲館ㆍ絳雪堂ㆍ曇華書屋ㆍ元祐石?庵ㆍ香雪館은 50대에서 유배 전 시기인 제2기에, 畵鷗?ㆍ小香雪館은 제3기에서도 유배시절 주로 사용된 당호임을 밝혔으며 ‘紅蘭吟館’은 50대 이후, ‘上下千古’와 熙龍ㆍ梅?’ 印은 제3기에 주로 사용된 印章임을 밝혔다. 이를 토대로 각 화목별 화풍의 전개과정을 살필 수 있었다. 매화의 경우 줄기와 가지가 細長하고 조그만 苔點을 드문드문 찍다가 점차 줄기가 기굴해지고 잔가지는 銳角으로 뻗으며 運筆이 분방하고 거칠어졌다. 특히 제2기 후반 이후 ?點ㆍ側筆이 거침없이 구사되고 번짐과 破墨의 양상이 두드러지는데, 이러한 화풍의 면모는 유배 이후인 제3기에 더욱 적극적으로 구사되었다. 제3기의 墨梅는 거침없이 필을 운용하면서도 구도ㆍ화풍에 있어 완숙된 면모를 보였다. 墨蘭은 초기에는 김정희 寫蘭論의 강한 영향을 드러내었으나 점차 난엽이 두껍고 하단부에서 벌어지며 격자모양으로 교차되는 등 김정희와 변별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제3기의 墨蘭은 난엽이 세장하면서도 유연한데 거침없는 필의 운용이 두드러지고 파격적 구도를 다양하게 시도하였다. 墨竹의 경우 유배 전 시기의 작품은 앞서의 두 화목에 비해 기량이 떨어졌다. 제2기 후반에 이르면 보다 숙련된 면모를 보이나 一筆로 竹竿의 기세를 살리는 데는 기량의 부족을 드러내었으며 제3기에는 숙련된 필의 운용과 다양한 구도를 시도하는 등 완숙한 화경을 보여주었다. 石圖는 주로 윤곽선과 ?點, 雨點?만으로 간략하게 묘사되었으며 바위 내부에 곡선을 그어 입체감을 표현하였다. 제3기에 이르면 ?點 등의 점이 적극적으로 구사되고 형태 또한 다양해졌으며 분방한 필의 운용이 두드러졌다. 이상과 같은 작품고찰을 통해, 네 화목은 대체적으로 제2기에 점차 筆의 운용이 분방하고 거칠어지며 구도 또한 다양하고 대담해지는데 제3기에 이르면 완숙한 화경을 보여주면서도 거리낌없는 필의 운용과 파격적인 구도가 더욱 적극적으로 구사되는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Jo Hui-ryong (趙熙龍, 1789-1866), one of the leading literati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ontributed to Korean painting in the 19th century by activities in many genres as well as writing several books on painting. None of his paintings are elat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track when the works were created and how his painting styles evolved. This study has identified his paintings by period on the basis of his several studio names and seals. These findings provide an alternative way to trace the production years of works and the development of his painting style, especially in his favorite subjects such as plum, orchid, bamboo and stone. His life as a painter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is until his forties, of which mere are hardly any documents left: the second phase is from his fifties until he reaches 62: and the third phase is tile years during and after his exile (63 to 65 years old). Studio names such as Yuungwan (溜雲館), Gangseoldang (絳雪堂), Damhwaseook (曇華書屋). Wonwooseokyoam (元祐石?庵) and Hyangseolgwan (香雪館) had been used during the second phase, while Sohyangseolgwan (小香雪館) and Hwaguam (畵鷗?) were used during his exile. In addition. the seal of Hongraneumgwan (紅蘭吟館) was often imprinted in his fifties and therafter, me seals of Sanghacheongo (上下千古), Huiryong (熙龍) and Maesu (梅?) in his exile period.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focuses on how his painting style changed in his favorite subjects. In the early period. his plum paintings featured long and slender trunks and branches with small dots placed sparsely on memo However, me trunks of plum became much thicker while the twigs reached out very sharply. and the brushwork got more rough. Especially after the latter half of the second phase, groups of dots and the skill of broken ink appeared remarkably. and these styles were strongly executed to his paintings during his exile and thereafter. During me early phase, jo Hui-ryong applied the brushwork and theory of Kim Jeong-hui (金正喜) strictly to his orchid paintings. After his fifties, however. he revealed his own personality on his orchid paintings with the leaves much fatter forming lattice across each other. During me third period. the leaves in his orchid paintings tend to become thinner and suppler. and the artist tries out various extraordinary compositions to his work. Jo Hui-ryong was less skillful in painting bamboos compared to plums and orchids before his exile. His paintings reveal his skills developing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second phase. but still shows me lack of skill to depict a bamboo stalk in the single brushstroke However. in the third phase it is clear that he established his own style of bamboo painting showing proficient brushwork and various angles. "Oddly shaped stone" paintings simply consists of groups of dots and raindrop dot texture strokes, in which me plasticity of the painting is depicted with a single curved line. jo applied bold brushstrokes and various shapes to his stone paintings as he approached the third phase. As one can see above. Io Hui-ryong applied various compositions and unrestrained bold brushwork to his paintings of me four subjects during his second phase, while reaching the third phase, his application of rough. unreserved brushstrokes and bold compositions reached me height of maturity.

      • KCI등재

        《태상향의도병太常享儀圖屛》 연구

        손명희(Myeng hee Son) 국립고궁박물관 2014 古宮文化 Vol.- No.7

        국립고궁박물관에는 국가 사전祀典과 관련한 각종 내용을 그림과 표, 그리고 글로써 한눈에 살필 수 있도록 제작한 4첩 병풍이 전해진다. 동 병풍은 현재 《제례의궤도병풍》으로 불리는데, 이 논문에서는 해당 병풍이 헌종 대 초 봉상시에서 제작한 《태상향의도병》임을 밝히고, 각종 문헌 자료 및 영조대와 고종 대에 각기 제작된 2종의 『태상지』를 비교ㆍ검토하여 제작경위와 제작자, 병풍의 원 구성과 내용 및 그 성격을 파악하였다. 국가 사전祀典에 대한 정조의 지대한 관심과 염려는 ‘경모궁향의도병’을 비롯하여 종묘와 사직의 향의도병 등 다양한 제의도병이 제작되는 계기가 되었다. 왕실의 향사와 관련된 일을 관장한 봉상시에서도 여러 제사의 향품享品과 향의享儀에 대한 내용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적은 ‘태상향의도병’을 제작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태상향의도병》은 정조의 명으로 당시 봉상제조였던 서용보(1757~1824년)가 제작한 것에서 연원하였다. 여러 문헌의 기록과 병풍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해당 병풍이 순조 대 말에서 헌종 대 초에 봉상제조를 역임한 이지연(1777~1841년)이 정조 대의 범본을 바탕으로 다시 만든 《태상향의도병》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병풍은 고종 대까지 봉상시에 전해오다가 고종 대 초에 봉상대제조를 맡은 이유원이 오래되어 상한 것을 보고 다시 장황하여 창고에 보관토록 하여 현재까지 전해지게 되었다. 현재 《태상향의도병》은 4첩 병풍으로 제기ㆍ제물도설, 과저해호용대용지도 및 사향십이월표와 제물단자표를 그리고, 각종 향사 소용 곡식과 제물의 공급을 위한 적전과 공물 내용 및 제물의 봉진ㆍ조리ㆍ진설 방식 등에 대해 적고 있다. 그러나 문헌 기록을 고찰 할 때, 《태상향의도병》은 원래 단묘도설과 각종 제향의 진설도 및 홀기의 내용이 추가적으로 기록된 8첩 병풍으로 추정된다. 《태상향의도병》은 정조가 봉상시에 명한 것처럼 국가 사전과 관련된 각종 내용을 하나하나 그림을 그리고 설명을 붙인 종합병풍이었다. 새로 부임한 봉상시 관원들도 이 병풍을 보고 향사의 준비에서 사후 처리까지 제반 과정을 엄중히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전복들이 전담하는 제수 준비와 조리 및 진설 등에 이르는 실무의 내용까지도 상세히 기술하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태상향의도병》은 영조 대에 편찬된 『태상지』를 바탕으로 하되, 『국조오례의』와 『춘관통고』등의 전례서를 참조하면서 정조 대에 변화된 제도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고종 대 편찬된 『태상지』권수의 제기와 제물도설 및 과저해호용대용지도는 동 병풍 제1첩의 도설을 그대로 모사하고 있어, 제작 당시 이유원이 창고에 보관한 동 병풍을 참조하였음을 알려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a four-panel folding screen from the Joseon Dynasty depicting state sacrificial rites, which is now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This paper reveals that the screen, which is currently known as Jerye uigwedo byeongpung, had been called as Taesang hyangui dobyeong (太常享儀圖屛) after its production of the early King Heonjong era (r. 1834-1849). Furthermore, this paper studies its production, original composition, and character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wo sets of Taesangji (太常誌, Records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published respectively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ngjo (r. 1724- 1776) and King Gojong (r. 1863-1907). Taesang hyangui dobyeong was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s of King Jeongjo’s time (r. 1776-1800). King Jeongjo paid great attention to state sacrificial rites and ordered the production of folding screens with illustrations and texts explaining the procedures of and objects for important sacrificial rites such as those held at Gyeongmogung, the shrine of Crown Prince Sado, Jeongjo’s father; Jongmyo, the royal ancestral shrine; and Sajikdan, the state altar for the gods of the earth and grains. In accordance, the Director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Bongsangsi jejo 奉常寺提調), Seo Yong-bo (1757-1824), created an illustrated folding screen showing all the ritual procedures from preparation to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rites as well as ritual objects. Through comprehensive study of the screen, Taesang hyangui dobyeong was found to have been produced sometime between 1834 and 1835. Yi Jiyeon (1777-1841), Director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at the time, led its production, modeling on the screen produced by Seo Yong-bo during King Jeongjo’s reign. Originally, the screen might have consisted of eight panels, different from the current four panels, which contain illustrations of ritual vessels and food offerings, diagrams of seasonal substitute foods, and a table of dates for sacrificial rites as well as texts stipulating the various ritual procedures. Based on the study of related documents, it is presumed that the other four panels included illustrations of altars and shrines, diagrams on the arrangement of food offerings on the ritual tables, and texts of the ritual procedures for each rite (holgi).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creen and the two sets of Records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 is found that while the folding screen Taesang hyangui dobyeong was based on the records from King Yeongjo’s era, it reflects changes in systems introduced in King Jeongjo’s time. Furthermore, the similarity of the illustrations between the first panel of the folding screen and the first volume of the Records of the Office of Sacrificial Rites published in King Gojong’s reign shows the influence of the former on the latter.

      • ATM 기반 MPLS를 위한 LDP 구현

        손명희(Myunghee Son),김은아(Eunah Kim),최승한(Seunghan Choi),전우직(Woojik Chun)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Ⅲ

        인터넷 사용자의 기하 급수적인 증가로 고속 데이터 전송과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MPLS는 이러한 요구사항에 부응하는 기술로 레이블이라는 짧고 고정된 길이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패킷 포워딩을 하는 3계층 스위칭 방법이다. LDP는 MPLS도메인 내에서 LSP 개발을 진행 중인데, 본 논문은 서로 다른 환경에서도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관리 블록과 상태 머신을 이용한 LDP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