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응급실로 내원하는 급성중독환자의 원인물질 분석을 위한 중독 분석실 이용 현황 및 이용 만족도 조사: 전국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설문조사

        손동우 ( Dong Woo Son ),강지훈 ( Ji Hun Kang ),김양원 ( Yang Weon Kim ),박철호 ( Chul Ho Park ),윤유상 ( Yoo Sang Yoon ),지재구 ( Jae Gu Ji ) 대한임상독성학회 2021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oxicology laboratory operated by six locations nationwide an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emergency medical professionals who working at local and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prospective. It was conducted on 665 emergency medical professionals working at regional and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across the South Korea. Among them,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that 510 emergency medical professionals who respond to this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an online basis for a month. To ensure statistical significance, consider a dropout rate of 10% based on a minimum response recovery rate of 70%. 506 people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Results: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status of addiction analysis room usage, the average monthly usage of addiction test rooms among respondents were 406 cases.71.0 cases (17.4%) of toxicology laboratory in Seoul and 71 cases (17.4%) in Gwangju. 32 cases (7.8%), 118 cases (29.0%) requested by toxicology laboratory in Busan, and the toxicology laboratory in Daegu. Eighty two cases (20.1%), Daejeon area 25 cases (6.1%), Wonju area toxicology laboratory was 78 (19.6%).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the addiction analysis room,Seoul (4.9±2.71) and Gwangju (4.8±2.52) showed high satisfaction. Conclusion: Due to the limited operation time of the four addiction analysis rooms currently in opera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addiction analysis by emergency medical professionals in the area is low due to the delay until the result is notified.

      • KCI등재

        진통산(痛散)이 흰쥐의 adjuvant 유발 관절염 및 척수내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손동우 ( Dong Woo Son ),김순중 ( Sun Jung Kim ),서일복 ( Il Bok Seo ) 한방재활의학과학회 2005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15 No.3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the anti-pathogenetic and curative effects of Jintong-san(Chentong-san) on Complete Freund`s Adjuvant(CFA) induced arthritis in rats. Methods : In experiment, Thirty male rats were divided into non-treated normal group(n=12), control group(n=12) is distilled water treated for 15 days after onset of arthritis by CFA, treated group(n=6) is Jintong-san(Chentong-san) treated for 15 days after onset of arthritis by CFA. Body weight, paw edema volume, and thickness of ankle joint were measured at 0, 5, 10, 15 days after treatment. At 15 days after treatment, IL-1β, IL-6 and PGE2 level in Paw Exudate were analysed for anti-inflammatory effect, C-fos immunoreactive cells measurement for analgesic effect,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on the ankle joint. Results : Paw edema volume, thickness of ankle joint, IL-1β, IL-6, PGE2, C-fos immunoreactive cells number of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histopathologically, destructive lesions of articular cartilage and subchondral bony tissue, and degree of fibrous ankylosis in treated group were alleviat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Jintong-san(Chentong-san) has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gression of CFA arthritis in rats, by it`s lowering effects on the secretion of IL-1β, IL-6 and PGE2, and analgesic effect by C-fos immunoreactive cells decrease.

      • KCI등재
      • 소아에서 소용량 아스피린의 장기간 사용에 의한 위.장관 출혈 위험성에 대한 연구

        배선환,손동우,박경희,Bae, Sun-Hwan,Son, Dong-Woo,Park, Kyung-Hee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3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6 No.1

        목 적: 아스피린을 비롯한 NSAID의 사용이 위장관 출혈 등 여러 가지 위 장관합병증의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소아에서 염증성 질환이나 해열제로 사용하는 통상용량의 아스피린보다 10분의 1정도의 소용량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이와 연관된 위 장관 출혈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Kawasaki병으로 아스피린을 사용한 소아들을 대상으로 소용량 아스피린의 장기적 사용에 의한 위 장관 출혈의 위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부터 2001년 5월까지 을지병원 소아과에서 Kawasaki병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하였던 소아가운데, 임상 기록을 확인하고 보호자와 전화통화를 하여 위장관 출혈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던 소아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 장관 출혈 여부는 환아의 임상 기록을 확인하고, 보호자와 직접 전화 인터뷰를 하여 소용량 아스피린 투여시 육안적 토혈, 혈변의 유무를 물어서 확인하였다. 결 과: 모두 100명의 환아가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으며, 남아 63명, 여아 37명으로 이들이 아스피린 투약을 시작할 때 연령은 4~118개월이었으며, 약 75%의 환아가 3세 미만이었다. 아스피린 투약기간은 0.5~17개월로 나타났으며, 약 70%의 환아가 2~3개월 간의 투약을 시행하였다. 한 명의 환아에서 육안적 혈변이 발생하였는데, 환아는 투약 당시 18개월된 여아로 투약 1개월경 하루 한번 씩 약 1주일간 육안적 혈변을 보았으나, 복통이나 다른 증상은 동반되지 않았다. 혈변은 씨메티딘을 약 1주일간 사용한 후 호전되었으며, 이후 씨메티딘을 사용하지 않으며, 아스피린 투약을 약 3개월 가량 더 지속하였으나 더 이상의 출혈은 없었다. 100명의 환아가 총 341.5개월 동안 아스피린을 투여하였으며, 이 가운데 한 명만이 육안적 장출혈을 보여, 이를 100명의 환아가 일년동안 소용량 아스피린을 먹은 것으로 환산하면 3.5회/100명/1년의 비율로 장출혈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결 론: 소아에서 소용량 아스피린의 장기적 사용은 안전하나, 위 장관 출혈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해당 환아에 대한 세심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위 장관 출혈의 위험성을 감소시켜주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o evaluate the risk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associated with use of low-dose aspirin in children. Methods: Among about 250 children who received low-dose aspirin (5 mg/kg/day) under the diagnosis of Kawasaki disease, from March 1995 to May 2001, at Eul-Ji general hospital, 100 childr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ed the children's parents over the phone to confirm the existence of gross gastrointestinal bleeding. Results: The age of the children at the beginning of medication ranged 4~118 months. About 75% of them was younger than 3 years old. The duration of medication ranged 0.5~17 months. About 70% of the children took the medicine for 2~3 months. Only 1 child (1%) had hematochezia during medication without any accompanying gastrointestinal symptom, and cimetidine for 1 week had cleared up the bleeding. The total duration of medication of 100 children was 341.5 months, and only 1 child had gastrointestinal bleeding. This translates into a rate of clinically significant gastrointestinal bleeding of 3.5 episodes/100 children/year. Conclusion: The long-term use of low-dose aspirin is safe, but,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children. Careful follow-up and efforts to reduce the risk of gastrointestinal bleeding are necessary during long-term low-dose aspirin therapy in children.

      • 산전 진단된 폐외분리증 2예

        김현영,손동우,김석영,김지은,하승연,Kim, Hyun-Young,Son, Dong-Woo,Kim, Seok-Yong,Kim, Jee-Eun,Ha, Seung-Yeon 대한소아외과학회 2009 소아외과 Vol.15 No.2

        Congenital thoracic malformations such as intra- and extra-pulmonary sequestration,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congenital pulmonary airway malformation, malinosculation, bronchogenic cyst, reduplication cyst, and foregut cyst are frequently detected on routine prenatal ultrasound.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about treatment for postnatally persistent pulmonary sequestration. Some authors recommend expectant long term follow up but most authors advocate elective surgical excision because of complication such as respiratory distress, infection, intrathoracic bleeding, haemoptysis, cardiac failure, and potential risk of malignancy. We experienced 2 cases of prenatally diagnosed extrapulmonary sequestration which were located in the subdiaphragmatic retroperitoneum. Resections were performed at 2 months and 4 months of age using intraabdominal approach. There were no complications. In conclusion, if the prenatally diagnosed extrapulmonary sequestration remained postnatally, early operation might reduce morbidity related to extrapulmonary sequestration and parental anxiety without 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

      • SCOPUSKCI등재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에서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rhG-CSF)의 투여 용량에 따른 치료 효과

        최문영,정연숙,손동우,안효섭,Choi, Moon Young,Jung, Yeon Sook,Son, Dong Woo,Ahn, Hyo Seop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4

        목 적 :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 환아의 치료에 있어서 부가적으로 rhG-CSF(recombinant human granulocye colony-stimulating factor)를 투여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용량의 rhG-CSF를 투여함으로써 나타나는 신생아 패혈증에 합병된 호중구 감소증의 치료와 환아들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비교하려고 하였다(group I/II형 연구). 방 법: 1995년 10월부터 1996년까지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 환아는 모두 10명으로 이들에게는 $10{\mu}g/kg$을 피하주사 하였고(rhG-CSF $10{\mu}g/kg$ 투여군), 1996년 10월부터 1997년 9 월까지는 신생아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 환아는 모두 12명으로 이들에게는 rhG-CSF를 $5{\mu}g/kg$ 피하주사 하였다(rhG-CSF $5{\mu}g/kg$ 투여군). 각 군의 호중구 증가 정도와 임상적 결과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 RhG-CSF $10{\mu}g/kg$ 투여군은 조발형 신생아 패혈증 1명과 지발형 신생아 패혈증 9명으로 이루어졌고, 모두에게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되었다. rhG-CSF $5{\mu}g/kg$ 투여군은 조발형 신생아 패혈증 1명과 지발형 신생아 패혈증 11명이 대상이 되었고, 이들 모두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되었다. 두 군간에 출생체중, 재태주령, 항생제 사용, 신생아 패혈증 시기에 기계적 환기요법 투여, 승압제로 dopamine 투여 또는 다른 지지적 요법의 투여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다. rhG-CSF 투여 전의 순 호중구 수(ANC)는 rhG-CSF $10{\mu}g/kg$ 투여군이 $1,065{\pm}89$($mean{\pm}SEM$), $5{\mu}g/kg$ 투여군이 $1,053{\pm}131$로 차이가 없었다. 투여 후의 ANC의 증가는 rhG-CSF $10{\mu}g/kg$ 투여군과 $5{\mu}g/kg$ 투여군에서 각각 투여 후 24시간에 7배, 6배, 투여 후 48시간에 10배, 6배, 투여 후 72시간에 8배, 4배, 투여 후 120시간에 8배, 4배로 투여 전에 비하여 두 군 모두에서 각 시간에 의미 있는 증가를 보였다(repeated measure ANOVA와 Kruskall-Wallis test, within subjects effect). 그러나 두 군 간의 차이는 투여 후 48시간에 ANC 최고치에서만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student t-test와 Wilcoxon rank sum test). 단핵구 수도 이 기간 동안 의미 있게 증가하였으나 정상범위를 넘지는 않았다. rhG-CSF $10{\mu}g/kg$ 투여군에서 1명의 환아가 자의 퇴원하였고, 1명의 환아가 사망하여 신생아 패혈증에서 회복하여 문제없이 퇴원한 생존율은 자의 퇴원 환아를 제외한 9명 중 8명으로 88.9%였고, rhG-CSF $5{\mu}g/kg$ 투여 군은 12명 중 10명이 생존하여 생존율은 83.3%였다. 두 군 모두에서 특별한 독성이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RhG-CSF의 투여는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극심한 신생아 패혈증 환아에서 호중구의 증가를 일으켰다. 두가지 투여 용량에 따르는 효과는 거의 동일하였으며, 단지 투여 후 48시간에 ANC 최고치에서만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두 군의 생존율은 80%이상이었다. 이와 같은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에서 rhG-CSF의 투여 효과는 골수 억압이나 호중구 소모에 의하여 호중구 감소증이 합병된 신생아 패혈증에서 시기적으로 적절히 투여하면 효과적인 치료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향후 rhG-CSF의 효능과 부작용에 대하여 무작위 대조실험이 필요시 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effects of adjunctive therapy with different doses of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rhG-CSF) on reversing sepsis-associated neonatal neutropenia, and their survival rate in a group I/II-type trial. Methods : RhG-CSF was injected subcutaneously to 10 septic-neutropenic neonates with doses of $10{\mu}g/kg$ from Oct. 1995 to Sep. 1996, and was administered to another 12 septic-neutropenic neonates with doses of $5{\mu}g/kg$ from Oct. 1996 to Sep. 1997. Neutrophilic responses and the outcomes of both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 In the rhG-CSF $10{\mu}g/kg$ treated group and in the $5{\mu}g/kg$ treated group, the absolute neutrophil count(ANC) was $1,065{\pm}89$($mean{\pm}SEM$) and $1,053{\pm}131$, respectively.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the peak ANC at 48 hours. Eight patients from the remaining nine of rhG-CSF $10{\mu}g/kg$ treated group(88.9%) and ten in $5{\mu}g/kg$ treated group(83.3%) survived the sepsis and were discharged without any problems. Conclusions : RhG-CSF can increase the neutrophil count in critically ill septic neutropenic neonats. The survival rate of both groups were up to 90%. This finding suggests that both doses of rhG-CSF may be effective in a therapeutically useful time frame to treat septic neonates with neonatal neutropenia attributable to bone marrow supression or neutrophil consumption.

      • KCI등재
      • KCI등재

        소아에서 발생한 Clostridium difficile 관련 질환의 역학과 임상양상: 지역사회감염과 원내감염의 비교

        조혜정,류일,선용한,조강호,손동우,차한,Cho, Hye-Jung,Ryoo, Eell,Sun, Yong-Han,Cho, Kang-Ho,Son, Dong-Woo,Tchah, Han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3 No.2

        목 적: 최근 소아에서의 지역사회 획득 Clostridium difficile 관련질환(CDAD)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아직 소아에서 발생한 CDAD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소아 CDAD환자에서 지역사회감염(CA-CDAD)과 병원감염(HA-CDAD)의 역학과 임상양상의 차이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8년 4월부터 2010년 3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소화기계 증상을 가지고 있으면서 C. difficile 독소 A, B 또는 C. difficile 배양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경우 CDAD로 진단하였다. 결 과: 총 61명(남 32, 여 29)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고, 평균연령은 3.79${\pm}$4.54세였으며, 1세 미만이 22명(36.1%)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중 23명(37.7%)의 환자만이 증상 발현 3개월 이내에 항생제를 투여 받은 적이있었다. 총 61명의 환자 중 CA-CDAD군이 41명, HA-CDAD군이 20명이었고, 나이, 성별, 증상, 검사실소견, 회복기간, 합병증 발생 및 재발률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항생제 노출 여부는 HACDAD의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 결 론: 소화기계 증상을 가지고 외래에 내원한 영아와 어린 소아에서 항생제 노출력이 없는 CA-CDAD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신속하게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요구된다. Purpos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community-acquired Clostridium difficile-associated disease (CA-CDAD) among children. There is an overall lack of information on CA-CDAD i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 aim of our study was to compare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between CA-CDAD and hospital-acquired C. difficile-associated disease (HA-CDAD) in childr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 difficile-associated disease (CDAD) at Gil Hospital between April 2008 and March 2009. The diagnosis of CDAD was made whe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had positive results for C. difficile toxins A and B assay or stool culture. Results: Sixty-one (male, 32 and female, 29)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age was 3.79${\pm}$4.54 years. Of the 61 patients, 22 (36.1%) were <1 year of age. Twenty-three patients (37.7%) had a history of antibiotic exposure in the previous 3 months. Forty-one patients (67.2%) were diagnosed with CA-CDA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ender, symptoms, laboratory findings, recovery period,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between the CA-CDAD and HA-CDAD groups. On the other hand, exposure to antibiotics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among patients in the HA-CDAD group (p=0.0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ccurrence of CA-CDAD is increasing in the pediatric population, especially in younger children with no history of exposure to antibiotics and in outpatients. Awareness of the increasing incidence of CA-CDAD and prompt investigation of C. difficile in susceptible patients is needed to avoid misdiagnosis and for appropriate therapy.

      • KCI등재

        복통이 있는 소아청소년에서 식도염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권현정,이대용,류일,조강호,손동우,차한,Kwon, Hyun-Jung,Yi, Dae-Yong,Ryoo, Eell,Cho, Kang-Ho,Son, Dong-Woo,Tcha, Ha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08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1 No.2

        목 적: 소아에서 식도염은 성인과 달리 나이별로 다양하고, 비특이적인 증상이나 징후를 보인다. 또한 식도염을 진단하기 위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과 조직 생검을 시행하는 것도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식도염의 유병률과 조직 검사의 필요성 및 위험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가천의대 길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급만성 상복부 복통을 보인 환자들 266명을 대상으로 문진 및 신체 검사, 상부 위장관 내시경과 함께 식도 및 위 조직 생검을 시행하였다. 식도염의 진단은 조직 검사로 확진 하였으며, H. pylori 감염 여부는 CLO 검사, H&E 염색과 Giemsa 염색 혹은 요소호기검사로 확인하였다. 식도염과 관련된 위험인자 및 내시경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의 관련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상부 내시경과 조직 생검을 시행 환자 266명 중 조직학적 식도염 환자는 전체 266명 중 53명(19.9%)이었으며, 남자 18명(34.0%), 여자 35명(66.0%)으로 평균 나이는 11.6${\pm}$0.87세였다. 내시경 소견의 민감도는 41.5%, 특이도는 77.0%, 양성 예측도 31.0%였다. 조직학적 식도염 환자 중 역류성 식도염은 50명, 호산구성 식도염은 2명, 캔디다 감염증에 의한 식도염은 1명이었다. 모든 연령에서 복통이 가장 흔한 증상으로 나타났으며, 8세 이하 환아들에서 구토가 의미 있게 많았다(p<0.05). 봄에 좀더 많이 내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OR 2.5, 95% CI 1.2544 to 4.8286), H. pylori 감염군에서 식도염의 가능성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OR 2.5, 95% CI 1.1598 to 4.2798). 결 론: 상부 위장관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시행할 때, 특히 학령 전기 환자에서 구토를 동반한 위장관 증상이 있거나, 봄에 내원시, H. pylori 감염이 있을 경우 식도염의 가능성이 더욱 높으므로 식도 조직 생검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Children with esophagitis express a variety of nonspecific symptoms and signs depending on their age, and diagnosis is limited because gastrointestinal endoscopy (GFS) and biopsy are difficult to perfor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esophagitis in children with upper abdominal pain,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esophageal biopsy, and to evaluate the associated risk factors. Methods: We reviewed 266 pediatric patients with upper abdominal pain who underwent history-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GFS with esophageal and gastric biopsies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07. Esophagitis was confirmed on biopsy. We analyzed the risk factors for histologic esophagitis and the necessity of esophageal biopsy. Results: The prevalence of esophagitis was 19.9% (53/266 patien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ndoscopic diagnosis were 41.5% and 77%. Of 53 patients with histologic esophagitis, reflux esophagitis was seen in 50 patients, eosinophilic esophagitis was seen in 2 patients, and esophageal candidiasis was seen in 1 patient. Vomiting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atients under 8 yr of age (p<0.05). H. pylori infection was documented in 41.5% of patients with histologic esophagitis, compared with 58.5% of patients not infected with H. pylori (p<0.05). The possibility of histologic esophagitis was higher in patients with H. pylori infection (OR 2.5, 95% CI 1.2544 to 4.8286) and in those who visited in the spring (OR 2.5, 95% CI 1.2544 to 4.8286). Conclusion: We believe esophageal tissue biopsy should be performed in pediatric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symptoms who are undergoing GFS and stomach tissue biopsy, especially preschoolers and H. pylori-infected children in the sp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