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각 제품디자인의 미각적 요소와 제품과의 적합성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fMRI를 중심으로

        성영신 ( Young Shin Sung ),최민조 ( Minjo Choi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fMRI 기법을 활용하여 제품과 공감각적 은유가 적용된 제품 디자인에 표현된 미각적 요소와의 적합성 수준이 제품에 대한 신경학적 반응과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미각적 요소와 제품 간의 적합성 정도에 따라 제품디자인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총 40개의 제품디자인이 실험자극물로 사용되었다. 총 15명의 건강한 오른손잡이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은 총 2세션으로 구성되어 있고, fMRI scanning session에서 참가자들은 제품디자인을 관찰하였고, post-scanning session에는 제품디자인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적합성이 높은 제품디자인이 낮은 제품디자인보다 선호도, 구매의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뇌 반응의 경우 긍정적 보상과 관련된 미상핵(Caudate nucleus)과 피각(putamen)영역이 적합성이 높은 조건의 제품디자인에서 더 많이 활성화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ppropriateness of gustatory features in product design affect product evaluation and accompanied response by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Through the pilot survey, we categorized the product designs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level of the appropriateness. The total of 40 product design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stimuli. 15 right-handed participants(mean age = 23.33, SD = 1.7) were scanned with 3T MRI machine(ISOL Tech, Oxford OR63). The experimental stimuli were passively presented inside the scanner. In post scanning s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measure their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to the product designs. The results show that both the preference and buying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high appropriateness condition compared to those of low appropriateness designs. Caudate nucleus and putamen, areas related to the positive reward such as monetary acquisition showed greater activation in response to the designs of high appropriateness condition, compared to the low appropriateness designs.

      • KCI등재

        TV광고에 표현된 인간관계와 소비자 반응 -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적 가치관을 중심으로 -

        성영신 ( Young Shin Sung ),황택순 ( Tak Soon Hwang ),이영철 ( Young Cheol Lee ) 한국소비자학회 1993 소비자학연구 Vol.4 No.1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전반에 걸쳐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가치가 혼재되어 갈등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광고에 대해 소비자들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인간관계를 부모-자녀관계, 남녀관계, 친구관계, 그리고 사회관계로 나누어 이 관계를 표현하고 있는 TV광고가 소비자들이 갖고 있는 가치관과 일치하거나 불일치할 때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들의 가치관은 자신과 가까운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현대적 가치관으로 변화하고 있었으나, 사회관계와 같은 먼 관계는 아직까지 전통적 가치관이 지배적이었다. 광고에 대한 반응내용에 있어서는 자신의 가치관과 불일치할 때, 또 자신과 가까운 관계일수록 더욱 민감한 반응을 보였고 이러한 반응들은 광고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간섭권한과 패션감각이 남자친구의 패션스타일 통제에 미치는 영향

        성영신 ( Young Shin Sung ),강정석 ( Jungsuk Kang ) 한국감성과학회 2015 감성과학 Vol.18 No.4

        사람들은 자신이 애정을 가지고 있는 중요 타인(예. 자녀, 배우자, 연인)을 또 다른 자기(extended self)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자기 개념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들의 패션 스타일을 통제하려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개념적으로 통제하려는 사람이 지각한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 수준이 중요 타인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독립적 또는 상호작용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애 중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20대 여성 실험 참가자가 지각한 남자친구에 대한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수준은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수준의 지각은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상호작용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각한 간섭권한이 높은 경우는 패션감각 수준의 차이에 따른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의 차이가 없는반면 지각한 간섭권한이 낮은 경우는 패션감각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ople tend to perceive their loved others (e.g., children, spouse, romantic partner) as their extended selves and then control over the loved others`` fashion style corresponding to their self-concept. The study conceptually suggested that people``s perceptions on legitimacy to interfere the others and their own fashionability would separately or interactively influence their control over the loved others`` fashion style. To investigate the suggestions, an experiment with fe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was conducted by using a scenario.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perception of legitimacy to interfere their boyfriends or their own fashionability did not have a separate effect on control over their boyfriends`` fashion style. However, the legitimacy and the fashionability did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the control. In particular, for high legitimacy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trol between low and high fashionability groups. For low legitimacy groups, the control was stronger in high fashionability group than in low fashionability group.

      • KCI등재

        소닉 브랜딩에 대한 신경 반응: fMRI 연구

        성영신 ( Young Shin Sung ),최민조 ( Min Jo Choi ),정선주 ( Sun Joo Chung ),김채연 ( Chai Youn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1

        소닉 브랜딩은 소리를 활용하여 브랜드 가치를 창조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소닉 브랜딩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도, 브랜드 정체성의 청각적 요소인 소닉 로고는 보통 비주얼 로고와 함께 쓰이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소닉 브랜딩의 형태이다. 소닉 브랜딩이 중요한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거의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소닉 브랜딩에 대한 신경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15명의 오른손잡이 참가자의 뇌 반응이 3T MRI 장비를 통해 스캔되었고, 청각 자극 없이 여러 장의 브랜드 로고 사진(광고에서 소닉 로고와 함께 제시되었던 비주얼 로고 사진 20장과 광고에서 소닉 요소가 없었던 비주얼 로고 사진 20장)이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소닉 요소가 없었던 비주얼 로고에 비해 소닉-비주얼 로고가 청각 심상과 관련된 뇌 영역(예를 들어, 상측두이랑)의 활성화 증가와 연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닉-비주얼 로고에 대한 브랜드 친숙도, 광고 친숙도가 높을수록, 이러한 영역의 활성화 정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onic branding is defined as creation and management of brand value by using sounds. Among various methods of sonic branding, sonic logo, i.e., brand`s acoustic identification element, is the most widely used form and usually combined with visual logo. Although sonic branding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tool for marketers,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topic.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neural responses to sonic branding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Brain activity of 15 right-handed participants was monitored with 3T MRI machine, while they viewed sequentially presented pictures of brand logos (20 visual logos usually accompanied by sonic logos and 20 visual logos unaccompanied by sonic logos) without sound. Results showed that brain area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uditory imagery (including superior temporal gyrus, STG), showed greater activation for the visual logos usually accompanied by sonic logos compared to visual logos unaccompanied by sonic logos, although actual sound was not presented during scanning. The degree of familiarity participants have with the brand and its advertisements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signal strength in these areas.

      • KCI등재

        남성의 외모가꾸기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동기, 성역할, 외모관심도를 중심으로

        성영신(Sung, Young Shin),박은아(Park, Eun A),최광열(Choi, Kwang Yeol),한신(Han, Sh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09 소비문화연구 Vol.12 No.4

        최근남성의외모관리행동이눈에띄게증가하고외모를가꾸는남성에대한사회적관심도높아져‘꽃미남신드 롬’등흥미위주의이슈로는자주언급되고있으나, 남성의외모가꾸기행동에대한체계적인연구는부족하다. 이에본연구는20-30대초반의대학생과직장인남성169명을대상으로외모가꾸기행동의현황과외모를가 꾸는동기에대하여실증적으로접근하였다. 남성의외모가꾸기행동은5개하위종류로구분되었는데, 치장행 동을가장많이하는반면몸매관리는매우낮게나타났다. 직장인보다대학생들이외모가꾸기에적극적이며, 남성성집단과양성성집단의남성이외모관리에보다적극적인것으로밝혀졌다. 남성들이외모가꾸기를통해 추구하는심리적혜택(동기)은권력, 성취, 유희, 사랑, 변화, 지식의6가지요인으로나타났으며, 이들동기요 인과성역할정체성, 외모관심도, 인구통계적변인을예언변인으로하여회귀분석한결과유희동기와변화동기, 외모관심도와직업이남성의외모가꾸기행동을유의하게설명하였다. 또한, 외모가꾸기세부행동별로유의미 한예언변인에차이가있어서액세서리착용과같은치장행동에는남성성과변화동기가중요한설명요인으로나 타났다. 마지막으로본연구의한계점과향후연구방향에관하여논의하였다. Although mal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s increasing recently and the perspective on such behavior in the society is changing positively, there are not many empirical studies on this issue. In this study, authors defined mal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s male 'grooming behavior' and discovered the specific categories of male grooming behavior, the motives that generate male grooming behavior,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m. From the result of factor analyses, 5 specific grooming categories are yielded from various grooming activities and 6 motives are generated from the motivation statements for grooming behavior. From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es, each specific grooming category is influenced by different motives and factors, telling that what is so far called as 'male grooming behavior' is in fact a composite of disparat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each of them is motivated from different motives. Also, the male grooming behavior,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emal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ontains both socially acceptable and unacceptable behaviors ,and such co-existence seems to affect the level of each grooming category among males.

      • KCI등재

        소비활동이 행복에 기여할 수 있을까?

        성영신(Young Shin Sung),유창조(Chang Jo Yoo),신은희(Eun Hee Shin),이진용(Jin Yong Lee),박은아(Eun A Park),백인기(In Gee Baek)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6

        본 연구는 소비활동이 사람들의 행복으로 연결될 수 있는가 하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소비활동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직접적으로 삶의 행복으로 연결되는 경로와 소비행복을 통하여 삶의 행복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함께 살펴보았다. 소비활동 유형을 일상소비, 놀이여가, 재테크, 수집활동, 타인 의식 소비, 의례활동, 외모 가꾸기, 친환경 소비, 윤리적 소비 등 9가지로 분류하고 전반적 소비활동 및 각 유형의 개별 소비활동에 대하여 소비활동, 소비행복, 삶의 행복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수를 고려한 다양한 집단에서 추출한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사하였다. 전반적인 소비 활동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소비활동이 소비행복을 매개하여 삶의 행복으로 연결되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소비활동 수준이 높아지면 소비행복이 높아지고 다시 삶의 행복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소비활동 수준이 직접적으로 삶의 행복으로 이어지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삶의 행복 구성요소에 따라 다른 효과를 보였기 때문이었다. 소비활동은 삶의 행복의 구성요소인 삶의 만족, 긍정적 감정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부정적 감정도 동시에 높임으로써 삶의 행복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9가지 각 유형의 소비활동에 대하여 소비활동, 소비행복, 삶의 행복의 관계를 각각 모두 포함하여 분석하였으며 소비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대체로 놀이여가, 외모 가꾸기 등 경험적 활동이 일상소비, 재테크 소비 등 물질적 활동에 비하여 삶의 행복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여가활동이 소비행복을 통하여, 그리고 직접적으로 모두 삶의 행복을 증대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외모 가꾸기에 대하여 소비활동수준이 소비행복을 통하여 삶의 행복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확실하게 나타났지만, 소비활동이 직접적으로 삶의 행복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일상소비활동은 소비행복을 거쳐서 삶의 행복에 기여하였으나 직접적인 효과는 오히려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일상소비에서 소비행복을 느끼지 못하여 소비행복이 삶의 행복에 미치는 경로가 작동하지 못하면 삶의 행복을 저하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재테크활동이 삶의 행복에 대하여 기여하는 직접적인 효과 및 소비 행복을 통한 간접적 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다. 이 밖에 윤리적 소비활동 수준 자체가 삶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소비자들이 윤리적 소비 자체에 의미를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타인의식소비, 의례활동, 친환경소비 등은 소비활동이 소비행복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었지만 소비활동이 삶의 행복에 기여하는 직접적인 효과나 소비행복이 삶의 행복을 증대하는 효과가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수집활동이 소비행복을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시 삶의 행복에 부정적 영향으로 연결되는 효과가 도출되었다. 추가분석에 의하면 부정적 효과는 다중공선성 문제점 중 하나인 부호효과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결론에서 연구의 의의 및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alt with an issue of whether a variety of consumption activities may improve people`s happiness level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 consumption activity’ on ‘happiness in life (or subjective well-being)’ with and without mediation of ‘consumption happiness’. Consumption activities were decomposed into 9 types of routine consumption, entertainment/leisure, financial investment, collection activity, other-directed consumption, ritual/formality, personal grooming,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and ethical consumption. We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3 variables, i.e., consumption activity, consumption happiness and happiness in life not only during overall consumption activities and but also during each type of consumption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ample of 500 people from demographically diverse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ables adopted in this study. For overall consumption activities, consumption activities improved happiness in life with mediation of consumption happiness, but did not show the direct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in life. 3 elements of happiness in life showed different impacts. The direct effects of consumption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and on positive affect were positive but, unexpectedly, the direct effect on negative affect was also positive. The result indicates that consumers may become more satisfied and may have more positive feelings but may simultaneously have more negative feelings when they implement consumption activities. These mixed outcomes led to the upshot that consumption activities, in general, could not improve happiness in life directly. In addition,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for individual 9 types of consumption activities and, as results, obtained different relationships for each type of consumption activities. On the whole, experiential consumption activities such as entertainment/leisure, and personal grooming contributed to happiness in life more strongly than material consumption activities such as routine consumption and personal investment. Entertainment/leisure activities led to happiness in life both directly, and, through mediation of consumption happiness. Similarly, personal grooming obviously improved consumption happiness which, in turn, brought about happiness in life, but did not show the direct effect on happiness in life.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when they conducted routine consumption, they experienced the enhancement of consumption happiness which subsequently boosted happiness in life. However, routine consumption activities brought about the direct deteriorating effect on happiness in life. This implies that, unless people feel consumption happiness during routine consumption, this type of consumption activity may make them become less happy with their lives. While people were involved in ethical consumption, they were not happier with their lives. Nevertheless, ethical consumption activities directly led to happiness in life. This suggested that consumers assigned a high value to ethical consumption in itself. Consumption activities did not directly heightened happiness in life but resulted only in higher consumption happiness, in the process of ritual/formality, other-directed consumption, or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 Moreover, consumption happiness of these types of consumption activities did not upgrade happiness in life. Lastly, although analysis showed a negative impact of happiness from collection activities, this was likely to happen due to a sign effect from a multicollinearity problem We discussed the contribu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managerial implications, w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acro perspectives and thus covered not only a standpoint of marketing managers and but also that of policy makers.

      • KCI등재

        소비유형별 소비행복의 비교

        성영신 ( Young Shin Sung ),유창조 ( Changjo Yoo ),이진용 ( Jinyong Lee ),박은아 ( Euna Park ),양윤재 ( Yunjae Yang ),정수정 ( Soojung J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3 소비자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소비자행동 분야에 소비행복이라는 새로운 연구단위를 소개한다. 본 연구자들은 소비행복이라는 연구단위의 개념을 소비자가 소비하면서 느끼는 행복의 정도로 정의하고, 소비자는 소비대상에 따라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느끼는 소비행복의 수준도 달라질 것으로 추론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소비시 추구하는 가치 또는 혜택을 검토하여 혜택의 종류, 소비지향성 및 혜택의 시점이라는 세 가지의 소비가치 차원을 제안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9가지의 소비유형을 구분한 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본 연구가 제안하는 소비유형과 소비차원이 소비자들에게 의해 인식되고 구별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적집단면접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9가지의 소비유형을 구별하고 있고, 이들 세 가지 소비가치차원을 토대로 소비유형별 차이를 구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각 소비유형별 행복 수준을 비교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는 일반 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각 응답자들이 소비유형별 느끼는 행복수준을 측정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들은 일상생활에서보다 소비상황에서 더 큰 행복감을 경험하고 있었고, 소비유형별 및 소비차원별 행복수준의 정도도 같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비자들은 놀이소비에서 가장 큰 행복을 느끼고 있었고, 의례소비에서 가장 적은 행복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소비자들은 실용적인 가치, 타인지향적인 가치 및 미래시점에서 혜택을 느낄 수 있을 때보다 쾌락적인 가치, 본인지향적인 가치 및 현재시점에서 혜택을 느낄 수 있는 소비유형을 소비할 때 더큰 행복을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결과가 마케팅 관리자에게 제시하는 관리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가 새로운 연구단위를 제시함에서 나오는 여러 가지 연구의 한계점들을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연구결과를 학장하기 위한 미래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roduced consumption happiness as a new construct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We defined consumption happiness as a degree to which consumers experience a sense of, and a feeling of happiness while consuming products or services. We propose that consumption happiness felt by consumers will vary across the consumption types, because consumers will seek different values depending on the consumption objects. We explored dimensions of consumption value that is sought by consumers while they are consuming and, then, proposed types of benefits, consumption orientation toward the objects and time of benefits. Based on these dimensions, we found nine different consumption type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4 consumers to check if consumers are perceiving and using each value dimension to characterize each consumption type. We found that consumers are discerning nine different consumption types and perceiving the differences among those types based on three dimensions about consumption values. Based on these in-depth interviews, we conducted survey questionnaire to compare the felt happiness by each consumption type. We found that the degree to which consumers felt happiness are not the same across different consumption types and by consumption dimensions. These results reconfirmed that our value dimensions and consumption types are frequently used in our daily life. The results of our survey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felt more happiness at consumption occasions than for the rest of the d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nsumption itself can give joy and happiness and thus enhance consumers’ perceived quality of life. Second, consumers felt the highest level of happiness when they consume leisure products or services and the lowest level of happiness when they engage in formal or ritual relationship, indicating felt happiness may depend on the voluntariness of the consumption behavior. Third, consumers felt more happiness when they pursued self-oriented value, hedonic value and present benefits than others-oriented/society-oriented value, utilitarian value and future benefits. Forth, we found that consumers pursue both present and future benefits even though the benefits of the consumption can be realized in the future. However, they seemed to enjoy present benefits more than future benefits. Lastly, consumers perceived self-oriented value while they are consuming social products. Consumers can feel happiness even when they conduct socially desirable consumption behavior as an act of social responsibility. Along with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and provided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rketing managers. We also indicated the various limitations of this study that come from exploring a new construct,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and to exte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얼굴 매력도와 신뢰성 평가에서 시각적 주의의 차이

        성영신 ( Young Shin Sung ),조경진 ( Kyung Jin Cho ),김도연 ( Do Yeon Kim ),김학진 ( Hack Jin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3

        본 연구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필수적인 얼굴 인상형성 과정 중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는 매력도와 신뢰성을 평가할 때 시각적 주의에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실험 1에서는 참가자들이 얼굴 신뢰성과 매력도를 평가하는 동안 안구추적기(eye-tracker)를 사용하여 사람들의 시선움직임을 측정하고, 이 후 히트맵(heatmap) 분석을 통해 평가과제 간 차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매력도를 평가할 때와 비교하여 신뢰성을 평가할 때, 얼굴의 주요요소라 할 수 있는 눈과 코 부위 에서 더 많은 시선응시가 일어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실험 2에서는 참가자들이 실험 1과 동일한 얼굴 평가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얼굴의 각 요소에 단어를 짧게 제시하였다. 실험종료 후 실시된 회상검사 결과, 신뢰성 평가과제 시 코 부위에 제시되었던 단어의 회상률이 매력도 평가과제 시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 신뢰성 판단은 시각적인 주의적 자원(attentional resources)의 할당과 관련된 측면에서 얼굴매력도와는 구분되는 정보처리과정을 거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visual attention between the evaluations of facial attractiveness and facial trustworthiness, both of which may be the two most fundamental social evaluation for forming first impressions under various types of social interactions. In study 1, participa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attractiveness and trustworthiness of 40 new faces while their gaze directions being recorded using an eye-tracker. The analysis revealed that participants spent significantly longer gaze fixation time while examining certain facial features such as eyes and nose during the evaluation of facial trustworthiness, as compared to facial attractiveness. In study 2, participants performed the same face evaluation tasks, except that a word was briefly displayed on a certain facial feature in each face trial, which were then followed by unexpected recall tests of the previously viewed words.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recognition rate of the words that had been presented on the nos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task of facial trustworthiness vs. facial attractiveness evalu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valuation of facial trustworthiness may be distinguished by that of facial attractiveness in terms of the allocation of attentional resources.

      • KCI등재

        기부 광고 효과에 대한 ERP 연구: 심상과 주의

        성영신 ( Young Shin Sung ),김지연 ( Jiyoun Kim ),강정석 ( Jungsuk Kang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2

        기부 광고가 기부의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청중이 동정심, 공감이나 심리적 불편감등의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행연구들은 기부 광고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서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광고의 언어적 요소인 메시지의 속성(구체성과 정서가)과 그에 따른 심리적 반응(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을 제안한다. 기부 광고를 처리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 →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 → 정서적 경험 → 기부의향’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개념적 모형 중 본 연구는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가 (1)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ERP로 측정하고, (2)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기부의향금액을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구체적인 메시지는 추상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심상을 더 유발시키며, 부정적인 메시지는 긍정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더 많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메시지가 구체적이면서 부정적일 경우, 기부희망금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 way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charitable donation ads is to activate or magnify emotional experiences (e.g., sympathy, empathy,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target audience. Past studies suggest that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which activate or magnify emotional experiences, can be influenced by verbal message attributes (i.e., message concreteness and valence) of charitable donation advertisement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study built a conceptual framework for processing of charitable donation advertising: message concreteness and valence →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 emotional experiences → donation intention. To verify the framework, the study investigated on the influence of message concreteness and valence on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through assessing ERP responses. It also examined how message concreteness and valence have an effect on the intent to donate through measuring the amount of don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concrete message activated mental imagery more than abstract message whereas negative message enhanced attentional level more than positive message. Compared to the other conditions, when the message was concrete and negative, the amount of donation was significantly lar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