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젝트학습 지도안 모형 개발

        설양환(Sol Yang Hwan)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敎育論叢 Vol.5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젝트학습 지도안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학습의 적용단계와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프로젝트학습 적용단계를 프로젝트 설계하기, 문제 해결 계획하기, 문제 해결하기, 발표·평가하기의 4단계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학교현장에서 프로젝트학습을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학습 지도안 모형을 개발하였다. 프로젝트 설계하기 단계는 교사가 프로젝트 전 과정에 대해 구상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설계하는 단계이다. 문제 해결 계획하기 단계는 교사가 설정한 프로젝트 주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는 단계이다. 문제해결하기 단계는 문제 해결을 위해 계획한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으로 실천하는 단계이다. 발표·평가하기 단계는 결과물을 전시하고 서로 발표하며 평가하는 단계이다. 결과물은 보고서, 만들기 작품, 동영상, 사진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자료를 제시한다. 선행 연구자들의 프로젝트학습 지도안에 나타난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트 주제, 성취기준, 프로젝트 목표, 예상 주제망, 프로젝트 명, 관련교과, 학습 순서, 학습 내용, 학습 활동, 학습 자료, 평가 계획, 피드백 계획의 12개 구성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프로젝트학습 지도안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lesson plan model of project-based learning to teach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First of all,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is author set up four steps to administer project-based learning in schools as follows: a) designing a project, b) planning problem solving, c) solving problems, and d) presenting and assessing products. The first step, designing a project, is to plan a whole project and design specific contents for each step. In the planning problem solving step, students discover real-world problems and plan how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solving problems step, students collaboratively work together to solve problems by inquiry and discussion. In the last step, presenting and assessing products, students present their products and students assess them each other. Based on literature review about a lesson plan for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this author developed a lesson plan model of project-based learning, which can be applied to tea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ncludes 12 essential elements to engage project-based learning, such as a topic, standards, learning goals, a topic web, a project title, relative subjects, learning order, learning contents,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resources, an assessing plan, and a feedback plan.

      • 한국 교육실습생은 미국 중학교에서 수업을 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설양환(Yang-Hwan Sol) 학습전략중재학회 2019 학습전략중재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사범대 학생들이 미국의 중학교에서 수업을 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사범대 재학 중인 3학년 3명으로 남학생 2명 여학생 1명이었다. 연구결과 한국교생들은 자국 문화를 미국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문화대사의 역할을 하였으며 미국 교사들은 수업에서 IT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리고 교사들은 학급내의 질서를 유지하고 창의성을 키우면서도 학생들과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였다. 학생들은 교사의 지시에 순응하면서도 기회가 되면 산만해지기도 하였다. 본 연구수행의 의미로는 첫째, 실습 초기 수업용 영어 표현의 미숙함과 아동들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한국의 문화를 미국초등 학교에서 소개하고 함께 공유하는 경험을 나누었다. 둘째, 미국 교육실습에 대한 현실과 이상에 대해 여러 가지 충돌을 경험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미국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체험에 바탕 한 내러티브들은 향후 국제교육실습은 입안하거나 계획하는데 있어 귀중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This study is the case study on teachers’ experience on international teachers’ teaching practice at schools in the USA based on three Korea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including two boys) narrative accou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eanings of practicum exercised by student teachers through narrative inquiry which is the story to refer to anecdotes of specific situations. The data source contains journal of participants, interviews, email and autobiograhpic writings which are a powerful method of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For trustworthiness of this study, participants checking and peer debreefing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orean students teachers suffered very much due to conflicts of the teaching practice in the States classrooms. But they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expectations and reality. It encouraged them to decrease possible mistakes as foreign future teachers. They taught on Korean culture to American students and it made them to have confidence to go through. They found that American teachers are skillful to manage classroom and foster the creativity. Young student seemed to be just kids, sometimes obey teachers and the other time didn’t follow instructions. The study found some meanings. First, the participants shared their experience even though their communication did not work well. Second, they have undergone the big gab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Third, the narrative inquiry can be a useful method to reveal the future teachers experience and to explor their story and episodes.

      • 미국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하는 한국 예비교사를 위한 웹사이트 구성요소 탐색

        설양환(Yang-hwan Sol)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2 교육실습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미국의 공립학교에서 실시하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하는 한국의 교육대학교와 사범대학의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한 웹사이트의 구성요소를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미국에서는 대학교들끼리 컨소시엄(COST)을 구성하거나 대학교가 단독으로 외국으로 학교현장실습을 보내왔으며, 그 모든 과정(모집, 연수, 현장정보제공, 귀국 후 등)을 온라인으로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가장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COST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하게 수정하고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온라인으로 미국학교현장실습을 실시하는 두 군데 대학교의 실습구성요소를 반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COST의 웹사이트를 구성하는 주요 분야(홈, 출국 전과 후, 현지에서 할 일, 귀국 후 등)를 기반으로 하여, 제거할 내용과 보완할 요소를 제시하였다. 마지막 부분에는 결론과 함께 한국 예비 교사들의 비대면 미국학교현장실습을 위한 온라인 지원 웹사이트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언을 남겼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ive of exploring the components of a website to support students of Korean universities pursuing teaching certificates and participating in school field experience conducted at public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In the United States, for many years pre-service teachers have visited foreign schools for their teaching practicum, what is called overseas student teaching. They were sent by a consortium like COST or a university itsel like IU. Both institues run websites that support all the courses (recruitment, training, on-site information, after returning home, etc.).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site operated by COST, which provides the most comprehensive information, were analyzed, and in order to modify and supplement it suitable for the situation in Korea. Cases of two universities conducting overseas student teaching via online in Korea were reflec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based on the major areas that make up the COST website (home, before and after departure, what to do locally, after returning home, etc.), some contents presented were removed and some factors were supplemented. In the last part, along with the conclusion, suggestions were made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the online support website for on-line student teaching implemented in the U.S. for Korean prospective teachers.

      • KCI등재

        교원양성기관 학교현장실습 운영 현황 분석: 초등교원양성기관을 중심으로

        설양환(Sol Yang-Hwan),박효원(Park Hyowon),박일수(Park Il-Soo)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원양성기관의 교육실습 운영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3개 초등교원양성기관(교육대학교 10개교 및 일반대학교 초등교육과 3개교)의 교육실습 교육과정 및 운영 지원체제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고, 문헌분석 방법(document analysis)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육실습의 개념과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에 기재된 세부 규정 항목들을 토대로 여섯 가지의 항목을 선별하여 만든 연구 분석틀을 가지고 분석하였으며, 여섯 가지 항목은 교육실습의 유형, 목적 및 내용, 실습시기, 실습기간, 이수학점, 실습대상학교이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실습의 유형은 각 기관에 따라 참관실습, 수업실습, 실무실습과 하나 이상의 유형을 합친 유형, 세 가지를 모두 합친 종합실습, 그리고 기타 유형으로 농산어촌 및 도서벽지 실습과 수시실습이 운영되고 있다. 둘째, 교육실습의 내용은 기관별로 각 실습 유형의 내용이 비슷하며, 상이한 실습 유형에서 실습 내용이 중첩되어 나타나는 경향도 보였다. 셋째, 교육실습의 시작 및 종료 시기는 각 기관마다 상이하였으며, 넷째, 교육실습 평균 기간은 9주이고 각 기관마다 편차가 있었다. 다섯째, 이수학점은 2-4학점과 P/F 학점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여섯째, 교육실습 대상학교는 부설초등학교와 실습협력학교로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교 유형에서 교육실습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정책 제언과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current teaching practicum system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To conduct research, the study analyzed curriculum and operational system of thirteen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by using document analysis method. The study used a conceptual framework with six elements that are types, purpose and content, time, duration, credits of teaching practicum, and schools to perform teaching practicu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ypes of teaching practicum are observation practicum, teaching practicum, practical practicum, a teaching practicum type that consists of more than two types, overall practicum that contains all three types, and a practicum performed in rural areas and a practicum performed frequently for a longer period of time for other types of teaching practicum. Secon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eaching practicum are similar by institutions, and some of the contents of different teaching practicum are tended to be overlapped. Third, start and end time of teaching practicum varies by institution and fourth, the average teaching practicum duration is nine weeks and there are also variations by institution. Fifth, teaching practicum is being operated from two to four credits and some institutions credited student teachers with P/F. Sixth, schools to conduct teaching practicum are the types of schools that are indicated in the notific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study suggested political implication and further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 교수법 개선에 관한 요구분석-전국 교육대학교 교수자를 중심으로

        설양환 ( Yang Hwan Sol ),유병민 ( Byeong Min Yu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05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29 No.-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교수자를 대상으로 교수법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서 교수법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 교육대학교 교수 84 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강의자로서 자신의 평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실제 학부나 대학원 강의에 사용하고 있는 교수법은 강의식 수업방식 위주로 실시되고 있었다. 강의진행의 저해요소로는 학생수의 과다, 업무과중, 강의지원의 부족 등으로 나타나 교수법 향상을 위한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법 개선을 위해서는 강의자로서 자신의 노력과 대학 차원의 행정적 지원, 그리고 교수학습개발센터와 같은 전문기관의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체계가 필요하다. 강의자로소 교수자는 끊임없는 교수법 개발의 의지와 노력으로 자신의 강의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배움의 자세를 갖추어야 하며, 대학은 교수자가 강의와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조교 지원, 업무의 부담 체계화, 우수강의자를 위한 인센티브 등의 행정적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개발센터를 중심으로 교수자의 교수법 개선을 위한 다양한 워크샵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Teaching skill of faculty in universities has recently been concerned among administrators and faculty themselves, Despite many foreign universities have devoted to developing programs to help faculty develop their teaching skill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 a few universities in Korea have been concern about it. Moreover, there is no attempt, even concern, to developing faculity`s teaching skill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atus of teaching issues in classroom and provide guidelines for developing faculty program for effective teach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participant satisfied themselves on their self-evaluation as teachers. However, the main teaching method was the lecture style in class. They felt there were many obstacles for improving and applying diverse teaching skill, such as over-loaded work, lack of support from university, lack of programs or workshops for faculty development, over-numbered students of class. We suggest building faculty support system for managing class and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providing incentives for outstand teaching, and utilizing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교육대학교에서의 교수-학습 지원센터 설립과 운영사례

        설양환 ( Yang Hwan Sol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초등교육 발전 방안으로 실시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원 과제 중 ‘교수·학생 능력 계발 프로그램 개발’ 과제를 지난 3년(2003-2005년) 동안 수행한 사례연구의 결과이다. 2003년에는 ‘교수·학생 능력계발 센터’의 모형과 그 센터에서 실시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004년에는 전년도의 연구결과에 따라 센터를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2005년에는 그 동안의 연구결과를 적용하고 새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그 결과를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공유할 목적으로 개발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전국에 확산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본고에서는 ‘교수·학습 지원 센터의 운영사례’를 소개하고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향후 전국 교육대학교에 정식 교수·학습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실질적인 방법 및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 교수·학생 능력 계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운영과정 및 결과를 소개하였다. 또한 시범 적용 프로그램 및 결과의 보급, 공유, 확산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센터 설립 및 운영을 위한 제언 및 시사점을 보고하였다. This study is a research result for the last three-year(2003-2005) for faculty-student ability development program. It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t aim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of twelve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Korea. The first year research in 2003 developed a model of establishing faculty-student ability development center and provided programs for supporting faculty teaching and student learning. The second year study in 2004 established a model center and implemented the programs according to the first year research results. The third year study in 2005 established a model center and implemented the program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year research results. In 2005, some new program - student digital teaching portfolio - was developed.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all the three year research results which are about the implement procedure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establishing the center and running the programs. These information can provide practical guidelines to establish an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and to implement programs in 12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later on.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미국 교육실습 체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한숙(Park, Han-Sook),설양환(Sol, Yang-Hwa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2 敎育思想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미국 교육실습에 참여한 두 명의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미국 초등학교 현장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그리고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내러티브 형식으로 탐구한 사례이다. 본 연구는 반성적 저널, 인터뷰, 이메일, 웹사이트 대화 등의 방식으로 8주 동안 자료가 수집되었고 ‘이야기하기’와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하여 현장 텍스트가 구성되고이를 바탕으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 줄거리, 주제 등을 찾아내어 연구 텍스트가 구성 되었다. 연구 대상자로서는 국제교육실습에 지원한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 가운데 자신의 경험을 글로 표현하는데 소질이 있는 예비교사 2명을 선택하였고, 우리나라에서 기본적인 교육실습을 마치고 일정수준의 어학능력이 있는 학생들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 초등학교 교육실습에 참여한 두 교사는 언어적 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충돌, 인종 차별 등 여러 가지 갈등과 문제에 부딪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도 교사의 조언, 동료 교사들의 격려 등을 바탕으로 스스로의 실천적 지식을 만들어가며 생존과 적응의 길을 형성하여 나간다. 이러한 적응의 과정에서는 교실 안에서의 ‘신성한 이야기’에서 벗어나 연구자들과의 ‘비밀스런 이야기’를 공유하고 공감함으로서 미국이라는 학교 현장에서 지녔던‘기대’와 ‘현실’과의 괴리에서 오는 ‘전이 충격’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이 매우 큰 역할을 하였고 이러한 과정이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이다. This study is the case study on teachers’ experience on international teachers’ teaching practice at elementary school in USA based on two teachers’ narrative accou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meanings of practicum exercised by student teacher through narrative inquiry which is the story to refer to anecdotes of specific situations and to refer to long-term life events. The data source contains journal of participants, film of lessons, interviews, dialogue of website and especially autobiograhpic writings which are a powerful method of understanding experience. For trustworthiness of this study, member checking, triangulation and peerdebreefing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udents teacher suffered very hard conflicts through the teaching practice in usa. But they understand the gap between their expects and practice and tried to diminish possible mistakes as in-service teachers. It is very important thing showing for them what and how to do in spite of many kind of disorder and confusion caused by the alienation between expect and actuality. Student teacher gained the confidence from guidance teacher and students’ attachment and they had experience to teach Korean tradition culture. They can have vision of exellant elementary teacher by decreasing ‘transition shock’ through the sharing ‘secret story’ on teaching practice as narrative texts. In addi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narrative inquiry can be a useful method to reveal the teachers experience and to exploring teacher practice story and episodes.

      • KCI등재

        예비교사의 교육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한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심미자 ( Mi Ja Shim ),설양환 ( Yang Hwan Sol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No.1

        정보공학의 발달은 교사들에게 교육정보 활용 능력과 테크놀로지 스킬을 요구하고 있다. 이미 선진국 대학들은 현직 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신장과 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e-티칭 포트폴리오이다. 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교육정보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e-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하여 교육실습에 적용,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e-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념과 유형, 개발 과정, 교사교육에서의 효과성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헌 분석과 선행연구 고찰, 외국 대학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육실습생이며 e-티칭 포트폴리오를 공동 개발하여 교육실습에 적용,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e-티칭 포트폴리오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정보화 능력과 테크놀로지 스킬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흥미롭거나 도움이 되었던 내용으로는 동료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협력학습의 기회와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자신의 교육실습 활동을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인쇄매체기반 실습록과 비교하여 e-티칭 포트폴리오의 장점은 다양한 수업자료 활용, 정보의 접근성과 보관성, 자료 축적 및 수정 작업의 편리성, 디지털 자료의 활용성, 다음 실습에 연속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반면, 단점으로는 컴퓨터 활용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거부감, e-티칭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장비 및 시설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ven teachers are being required to acquire technological skills and the ability to use educational information. At many universities in advanced countries, various programs are already being developed and carried out to enhance the information literacy of in-service teachers and student teachers, and refurbish their professionalism, and one such program is e-teaching portfolio. In this study, as a way of enhancing the student teachers` ability to use educational information, we asked student teachers to develop an e-teaching portfolio and apply it to student teaching in order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and we aimed to present a more effective program of using e-teaching portfolio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first, e-teaching portfolios were shown to help enhance the student teachers` educational information literacy and technological skills, and aid them in their self-reflection. Second, what was most interesting was that they gave student teacher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collaborative learning with their peers through the work of developing a portfolio together. Third, the most difficult was shown to be building the web site within a limited time, due to lack of prior-knowledge, and creatively developing it without any set design template. Fourth, e-teaching portfolios were shown to be better than traditional paper-based teaching journal in that their information and material sharing allowed more various teaching materials to be used. And they had information access, easy information sharing, convenience of material accumulation and editing work, allowed use of digital materials, convenience of storage and transfer,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continuously in the following teaching practice.

      • KCI등재

        초등학교 중학년용 학습기술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한숙 ( Han Sook Park ),설양환 ( Yang Hwan Sol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중학년용 `학습기술 검사`를 개발하는 과정으로 객관적인 문항검증과정과 타당도, 신뢰도 검증 과정을 통해 과학적인 학습기술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총 374명이었으며, 남자가 211명, 여자가 175명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문항의 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자기관리 기술, 수업참여 기술, 과제해결 기술, 시험관리 기술 그리고 정보처리 기술의 5개 요인과 50개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들 요인들의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hronbach α 계수로 .718에서 .769사이였고 동형검사 신뢰도로는 .795에서 .879로 만족스러운 수준이었으며 하위 영역간 상관도는 .231-.452 사이로 서로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긴밀한 상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중학년용 학습기술 측정도구의 객관화를 위한 첫 시도로서 매우 의의가 있으며, 이후 이를 바탕으로 학습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교육청 혹은 국가 수준에서 지원센터 개설 등을 통해 학습기술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udy Skills Inventory for middle grades student in primary school in Korea. The factors and items of this test were developed and categorized based on the conceptual model of Gall & Gall(1990), Wang(2005) and so forth. The content validity of 189 items was examined by professional group including 2 professors, doctoral student 1, expert professional of developing curriculum 2, teacher of elementary school 2. 189 items for testing were performed with 374 students of six elementary schools in 3 cities, Seoul, Busan and Gwangju. Item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Study Skills Inventory consists of 5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at is `self-management skills`, `class-participation skills`, `assignment solving skills`, `test-taking skill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Second, 50 items were involved with 5 factors in SSI(Study Skills Inventory) through analysis factors and the proving validation proc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respectively. Cronbach`s α ranged from .825 to .718 and parallel-form reliability ranged from .879 to .795. Third, the model fit, GFI, NFI, RMSEA was satisfied with the standar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SSI has acceptabl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and it can be used in future middle grade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