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원저 : 모발조직 마그네슘 농도와 비만 연관변수와의 연관성

        서희선 ( Heuy Sun Suh ),장소영 ( So Young Chang ),최준영 ( Jun Young Choi ),이선녀 ( Sun Nyu Lee ),이규래 ( Kyu Rae Lee )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1

        연구배경: 비만은 만성 질병과정의 하나로 인식되어 혈중 저마그네슘증과 연관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99%이상의 마그네슘이 세포내에 존재한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세포외 혈중 마그네슘 측정은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이에 비교적 검체 수집이 용이하며 세포내 조직수준에서의 마그네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발조직 미네랄 검사를 이용해서 건강한 여성에서의 모발 조직 마그네슘 농도와 비만 연관변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계 Background: The obesity was recognized the one of chronic inflammtory diseases and known as relating to the serum hypomagnesemia. But the above 99% of total magnesium exist in intracelluar area, serum extracelluar magnesium is not a accurate method. In H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골밀도와 호모시스테인간의 연관성

        서희선 ( Heuy Sun Suh ),양근석 ( Kyn Suk Yang ),김경곤 ( Kyung Kun Kim ),이규래 ( Gyu Rae Lee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2

        연구목적: 최근 골대사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골밀도 (BMD)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을 대상으로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2006년 8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외래 방문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혈액검사, 요추 및 대퇴경부의 골밀도, 흡연, 음주, 카페인, 우유섭취를 조사하였다. 대상자들은 골밀도에 따라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으로 나누어 분산분석이나 Fisher`s exact test를 통하여 세 군 간에 차이를 분석하였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다중회귀분석결과 호모시스테인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보정하였을 때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연관성은 상관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골밀도에서 세 군 (골다공증, 골감소증, 정상)간에 연령, 우유섭취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5),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세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대퇴경부 골밀도와 각각 독립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P<0.05)을 보였다. 혈당, 혈청 크레아틴,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보정한 후 대퇴경부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 상관관계가 성립하였으나 (β=-0.25, P=0.01), 요추 골밀도와 혈청 호모시스테인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β=0.027, P=0.786). 결론: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혈청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대퇴경부 골밀도 감소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폐경후 및 폐경 주변기 여성에서 증가된 혈청 호모시스테인은 골다공증의 위험요소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Objectiv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however, few such studies have been published. Henc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ne hundred nine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2006 and January 2007 were recruited. The blood was sampled, the lumbar and femur neck BMD were measured, smoking habits were established, and the alcohol, caffeine, and milk consumption of the participants were determined.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BMD (osteoporosis, osteopenia, and normal),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analyzed with ANOVA or Fisher`s exact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erum homocystein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BMD adjusted by factors affecting homocystein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Results: With respect to BMD, the three groups exhibited some differences (P<0.05) in terms of age and milk consumption, but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was individually associated (P<0.05) with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HDL-cholesterol, and femur neck BMD. Although a correlation was established (β=-0.25, P=0.01) between the femur neck BMD and homocysteine concentration when adjusted for serum glucose, serum creatinine, and HDL- cholesterol, there was no such relationship present (β=0.027, P=0.786) between the lumber BMD and the homocysteine concentration. Conclusion: An increased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i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in the femur neck BMD. Hence, the increase in the serum homocysteine level can b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 KCI등재

        말기암환자에서 임박사건 간 48시간 임종예측도 비교

        황인철,최충현,김경곤,이경식,서희선,심재용,Hwang, In-Cheol,Choi, Chung-Hyun,Kim, Kyoung-Kon,Lee, Kyoung-Shik,Suh, Heuy-Sun,Shim, Jae-Y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임박사건(impending event)에 대한 인지는 보호자와의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할 뿐 아니라, 임종실로 옮기는 시점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 주제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임종 48시간을 전후한 시점에서 이미 '발생되어 있는' 증상의 나열에 불과하였다. 이에 '변화'의 시점에서 사망까지의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임박사건 간 48시간 이내 임종예측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인천소재 완화의료병동에서 임종을 맞이한 160명의 환자 중 임종 전 일주일 동안의 의무기록이 있는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및 보호자가 호소하는 주관적 증상 9가지와 의료인에 의해 관찰되는 객관적 징후 8가지를 선정하고 각 항목에 대한 '의미 있는 변화'의 기준을 사전에 정하였다. 결과: 증상에서는 수면량의 증가(53.8%), 징후에서는 혈압의 감소(87.5%)가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였다. 임종까지의 평균시간은 증상의 경우 안정 시 호흡곤란(46.8시간)이, 징후의 경우 산소포화도의 감소(13.6시간)와 혈압의 감소(36.9시간)가 48시간 이내였다. 48시간 임박사건으로서의 예측도는 증상의 경우, 양성예측도는 안정 시 호흡곤란이 가장 높았고(83%) 음성예측도는 안정 시 호흡곤란과 의식혼탁/섬망의 조합이 가장 높았으며(86%), 징후의 경우 양성 예측도는 모두 95% 이상이었고 음성예측도는 혈압의 감소와 산소포화도 감소의 조합에서 가장 높았다(60%). 증상과 징후의 발생양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증상에서는 안정 시 호흡곤란과 의식혼탁/섬망이, 징후에서는 산소포화도나 혈압의 감소가 임종임박을 예측하는데 가장 유용한 임상지표로 생각된다. Purpose: Recognition of impending death is crucial not only for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 caregiver of the patient, but also determination of the time to refer to a separate room. Current studies simply list the events 'that have already occurred' around 48 hours before the death.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dictability of each event by comparing the time length from 'change' to death. Methods: Subjects included 160 patients who passed away in a palliative care unit in Incheon. The analysis was limited to 80 patients who had medical records for the last week of their lives. We determined 9 symptoms and 8 signs, and established the standard of 'significant change' of each event before death. Results: The most common symptom was increased sleeping (53.8%) and the most common sign was decreased blood pressure (BP) (87.5%). The mean time to death within 48 hours was 46.8% in the case of resting dyspnea, 13.6% in the ease of low oxygen saturation, and 36.9% in the case of decreased BP. The symptom(s) which had the highest positive predictive value (PV) for death within 48 hours was shown to be resting dyspnea (83%), whereas the combination of resting dyspnea and confusion/delirium (65%) had the highest negative PV. As for the most common signs before death within 48 hours, the positive PVs were more than 95%, and the negative PV was the highest when decreased BP and low oxygen saturation were combined. The difference in survival patterns between symptoms and signs was significant. Conclusion: The most reliable symptoms to predict the impending death are resting dyspnea and confusion/delirium, and decline of oxygen saturation and BP are the reliable signs to predict the event.

      • KCI등재

        폐경 전후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혈관운동성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지혜 ( Gye Hee Jung ),서희선 ( Heuy Sun Suh ),김경곤 ( Kyung Gun Kim ),황인철 ( Inn Cheol Hwang ),이경식 ( Kung Sick Lee ) 대한폐경학회 2009 대한폐경학회지 Vol.15 No.3

        연구목적: 전세계적으로 안면홍조 관해 활발히 연구가 진행중인 반면 국내에는 현재까지 안면홍조와 연관 있는 인자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면홍조와 야간발한을 독립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일개 대학병원의 갱년기 클리닉을 방문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면접설문조사와 신체계측, 혈액 검사, 골밀도를 측정하고 독립표본 T 검정과 χ2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안면홍조와 야간발한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안면홍조가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 체질량지수 (P=0.021), 분만력 (P=0.007), 난포자극 호르몬 (P=0.005), 심계항진 (P<0.001), 수면장애 (P<0.001), 우울감 (P<0.001)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체질량지수 (P=0.039), 폐경 상태 (전기 폐경이행기, 후기 폐경이행기, 폐경후기, P=0.133, P=0.004, P=0.020), 심계항진 ("가끔", "자주", "많이", P=0.0001, P=0.003, P=0.042)만이 안면홍조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야간발한이 있는 군과 없는 군에서 난포자극호르몬, 요추 골밀도, 심계항진, 수면장애, 우울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난포자극호르몬 (P=0.010), 심계항진 ("가끔", "자주", "많이", P=0.007, P=0.017, P=0.026), 수면장애 ("가끔", "자주", "많이", P=0.08, P=0.036, P=0.001)만이 야간발한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안면홍조는 체질량지수가 낮은 여성보다 높은 여성에게서, 후기 폐경 이행기와 폐경후기로 갈수록 증가하였으며 심계항진과 연관성이 높았다. 야간 발한은 난포자극호르몬 수치가 높을수록 발생율이 높았고 심계항진, 수면장애와 연관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Hot flushes are the subject of research worldwide. However, factors relating to hot flushes have yet to be studied in Korea.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which may independently influence hot flushes and night sweats. Methods: We conducted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among women who attended the Menopause Clinic of Th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09. Along with questionnaire-based surveys, body composition, blood sampling,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measured, A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that would independently influence hot flushes and night sweats. Results: Only the body mass index (P=0.039), menopausal status (early perimenopausal transition, late perimenopausal transition, and postmenopausal, [P=0.133, P=0.004, and P=0.020, respectively]), and palpitation ("occasionally", "frequently", and "many times", [P=0.0001, P=0.003, and P=0.042, respectively]) were predictive factors that influence hot flushes independently. Only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P=0.010), palpitations ("occasionally", "frequently", and "many times", [P=0.007, P=0.017, and P=0.026), respectively]), and insomnia ("occasionally", "frequently", and "many times", [P=0.08, P=0.036, and P=0.001, respectively]) were predictive factors that independently influence night sweats. Conclusion: Our findings show that hot flush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body mass index, menopausal state, and palpitation. Night sweat were shown to be closely related with an increased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level, palpitations and insomnia. (J Korean Soc Menopause 2009;15:164-171)

      • KCI등재후보

        말기암환자에서 불응성 호흡곤란 완화를 위한 Furosemide 흡입치료 -대한가정의학회 완화의학연구회 세미나에 기초한-

        황인철,이민규,김경곤,이경식,서희선,대한가정의학회 완화의학연구회,Hwang, In-Cheol,Lee, Min-Kyu,Kim, Kyoung-Kon,Lee, Kyoung-Sik,Suh, Heuy-S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4

        말기 암환자에서의 호흡곤란은 매우 흔하면서도 고통스러운 증상이다. 불응성 호흡곤란은 호흡곤란을 야기시키는 가역적인 원인들이 배제되고 기존의 고식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상태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편유사제와 벤조디아제핀이 사용된다. 대한 가정의학회 완화의학연구회에서는 호흡곤란의 원인이 다른 2명의 증례에서 사용한 furosemide 흡입치료에 대해 논의하였다. Furosemide 흡입치료는 비교적 최근에 대두된 것으로 아직까지 그 효과나 기전이 불명확하여 임상에서 일률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뚜렷한 폐쇄성 기도병변이 없는 불응성 호흡곤란 환자에서는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본 증례토론을 통해 국내 완화의료 종사자들과 furosemide 흡입치료 경험을 공유하고, 아울러 향후 이 주제에 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reathlessness is a frequent and distressing symptom in terminal cancer patients. Refractory breathlessness is defined as a state that does not respond to conventional disease-specific therapy with an exclusion of reversible underlying causes, and the main classes of symptomatic drug treatments include opioids and benzodiazepines. Korean Family Medicine Palliative Medicine Research Group discussed two terminal cancer patients in whom severe breathlessness with different causes were treated with inhalation of nebulized furosemide, which is an emerging option of palliative treatment. It still remains unclear how it becomes effective or how much it is effective, therefore, its routine use seems to be somewhat early. Nevertherless, if a patient with intractable breathlessness does not have a marked obstructive airway lesion, its use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the discussion in the seminar, we want to share our experience of the application of inhaled furosemide with other palliative care practitioners and strongly recommend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in the future.

      • KCI등재

        보행 실조, 복시 증세로 나타난 알코올성 베르니케 뇌병증

        고기동(Ki Dong Ko),이윤택(Yoon Taek Lee),이현(Hyun Lee),황희영(Hee Young Hwang),김경곤(Kyoung Kon Kim),서희선(Heuy Sun Suh),황인철(In Cheol Hwang),이규래(Kyu Rae Lee)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7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8 No.1

        Wernicke’s encephalopathy is an acute, reversible neurologic disorder which arises as metabolic complication of thiamine (vitamin B1) deficiency, frequently associated with alcohol misuse. Although Wernicke’s encephalopathy is characterized by a classic triad of mental status changes, ataxia, and ocular motor abnormalities, heterogenous clinical manifestations are more common. Prompt and accurate diagnosis by clinical suspicion is important to avoid death or progression to Korsakoff syndrome with irreversible brain damage. Immediate supplementation of thiamine is the cornerstone of treatment despite no accepted consensus on the optimal regimen. In this case report, we describe a case of Wernicke’s encephalopathy, which presentd with typical symtoms in a 63-year-old man with chronic alcoholism and review relate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