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onservative Surgery and Primary Radiotherapy for Early Bresst Cancer: Yonsei Cancer Center Experience

        서창옥,이희대,이경식,정우희,오기근,김귀언,Suh Chang Ok,Lee Hy De,Lee Kyung Sik,Jung Woo Hee,Oh Ki Keun,Kim Gwi Eon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2 No.3

        병기 1기, 2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적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기존의 유방전적출술을 대치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정립되었다. 연세암센터에서는 1991년 부터 유방보존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고 첫 3년동안 140예를 치료하였다. 목적 : 연세암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방보존술의 적응증, 치료방침과 방사선치료 방법을 소개하고 결과 및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연세암센터 치료방사선과에서 유방보존적수술 후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64명의 조기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종괴 또는 병변을 포함한 부분유방절제술과 액와임파절 곽청술을 시행받은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방사선치료는 수술후 3-18주에 시행되었는데 선형가속기 4MV X-ray를 사용하여서 침범된 유방 전체에 4500-5040 cGy를 5-6주에 걸쳐서 조사하였고 원발 병소 주변에 전자선을 사용하여서 1-2주에 걸쳐서 1000-2000 cGy를 추가 조사하였다.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치료방법, 방사선치료에 따르는 부작용, 재발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들의 연령은 23세에서 59세로 중앙값이 40세 였다. 총 64명중 T1은 27명, T2는34명 이었으며 3명은 비침윤성 암이었다. 또한 전체의 $42.2\%$인 27명은 액와임파절 침윤이 있었다. 추적 기간(6-30개월, 중앙값 14개월) 동안 1예의 유방내 재발과 2예의 원격 전이가 관찰되었는데 유방내 재발은 원발병소와 다른 사분원에 위치하여서 처음 진단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유방조영술상의 미세석회화음영에서 종괴가 자랐던 예로 다시 유방전적출술을 받은 후 무병생존 중이다. 방사선치료 중 또는 추적 기간 동안 치료를 요하는 부작용으로는 1예에서만 방사선 폐렴이 있었으나 대증요법 으로 완쾌되었다. 결론 : 추적 기간이 짧기 때문에 국소재발율, 생존율, 미용효과 등의 치료 결과를 평가하기는 이르지만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적 수술과 근치적 방사선치료는 심한 급성 또는 아급성 부작용이 없는 안전하고 편안한 치료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소재발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유방보존술에 적합한 환자들을 선택하기 위한 철저한 평가가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irradiation is now accepted as preferable treatment method for the patients with stage I and II breast cancer. Our institution activated team approach for breast conservation in 1991 and treated one hundred and fourty patients during the next three years. Purpose : To present our early experience with eligibility criteria, treatment techniques, and the morbidities of primary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Sixty four patients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who received breast conserving treatment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1992 were evaluated. All patients received partial mastectomy(wide excision to quadrantectomy) and axillary node dissection followed by radiotherapy. Total dose of 4500-5040 cGy in 5-5 1/2 weeks was given to entire involved breast and boost dose of 1000-2000 cGy in 1-2 weeks was given to the primary tumor site. Linac 4 MV X-ray was used for breast irradiation and electron beam was used for boost. Thirty five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before or after radiotherapy. Patients characteristics, treatment techniques, and treatment related morbidities were analyzed. Results : Age distribution was ranged from 23 to 59 year old with median age of 40. Twenty-seven patients had T1 lesions and 34 patients had T2 lesions. In three patients, pathologic diagnosis was ductal carcinoma in situ. Thirty-seven Patients were N0 and 27 patients were Nl. There were three recurrences, one in the breast and two distant metastases during follow-up period(6-30 months, median 14 months). Only one breast recurrence occured at undetected separate lesion with microcalcifications on initial mammogram. There was no serious side reaction which interrupted treatment courses or severe late complication. Only one 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 and one a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 were noted. Conclusions: Conservative surgery and primary radiotherapy for early breast cancer is Proven to be safe and comfortable treatment method without any major complication. Long-term follow up is needed to evaluate our treatment results in terms of loco-regional control rate, survival rate, and cosmetic effect.

      • KCI등재후보

        고 강도 차폐벽돌을 이용한 방사선치료실의 차폐설계

        서창옥,김귀언,추성실,Suh Chang Ok,Kim Gwi Eon,Chu Sung Sil 한국의학물리학회 2004 의학물리 Vol.15 No.4

        신체 심부의 악성종양치료를 위한 6~15 MV의 강력한 에너지의 방사선과 종양만을 조사하기 위한 입체조형치료, 세기 조절방사선치료, 입체적 치료방법 등이 개발됨으로써 방사선의 사출구가 전체 공간으로 확대되고 출력선량도 환자당 5~10 Gy의 과다 선량을 방출하기 때문에 고밀도의 차폐벽이 요구된다. 저자들은 세기조절방사선치료(IMRT)용 고 에너지 선형가속기를 기존건물에 설치하기 위하여 일반 콘크리트와 철, 티타늄등 중금속을 혼합한 고 밀도 차폐벽돌을 제작하여 방어벽을 설계하고 건축된 차폐벽으로부터 투과 산란된 선량을 측정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고 밀도 차폐벽돌을 사용함으로서 기존의 콘크리트(3.5 g/cc)에 비하여 고 에너지의 차폐율 즉 반가층 두께를 약 1/2로 줄일 수 있었다. According to developing high energy linear accelerators and treatment methods, like (3 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many radiotherapy centers are replacing older linear accelerators with new higher technical machines. This often presents a shielding problem as the designed shield for the existing rooms is not adequate for the higher technical machines. Additional shielding in limited existing space becomes necessary. We are replacing older brachytherapy room with new higher technical linear accelerator for IMRT. This room is not adequate for the IMRT machine without additional shielding design. The logical development of optimum structural shielding designs with concrete and high density shielding blocks are presented. We obtained following results by comparison between the pre-calculating values and actual survey of completed LINAC installation. High density shielding blocks have more powerful radiation protection about 2 times.

      • SCOPUSKCI등재

        Effects of Radiofrequency Induced Local Hyperthermia on Normal Canine Liver

        서창옥,노준규,신현수,이형식,문성록,성진실,추성실,김귀언,한은경,박찬일,Suh Chang Ok,Loh. John J.K.,Shin Hyun Soo,Lee Hyung Sik,Moon Sun Rock,Seong Jin Sil,Chu Sung Sil,Kim Gwi Eon,Han Eun Kyung,Park Chan Il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9 No.2

        간조직에 온열치효를 시행시 출현하는 조직병리학적 소견 및 혈액의 생화학적 소견을 관찰하고자 13마리의 정상 간에 8 MHz 라디오파를 이용한 온열치료를 시 행하였다. $42\pm0.5^{\circ}C$로 30분간 온열치료를 받은 군(제 1 군, n=5), $45\pm0.5^{\circ}C$로 30분간 온열치료를 받은 군(제 2군, n=5) 및 온열치료를 받지않은 대조군(n=3)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때, 혈액의 SGOT의 SGPT는 온열치료를 시행한 두군 공히 증가된 소견을 보였고 제 1군에서는 간세포의 부종소견외 특이한 조직병 리학적소견이 관찰되지않아 가역성 변화로 생각되었지만 제 2군에서는 간세포의 심한 괴사소견이 관찰되어 있는 불가역성의 가조직 손상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론으로 유추할때 임상에서 행하여지는 간암의 온열치료시에 정상 가조직의 손상을 가능한 방지하기위하여는 정확한 종괴의 구역에 치료온도의 주의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s of radiofrequency-induced local hyperthermia on the normal liver, histopathologic findings and biochemical changes after localized hyperthermia in canine liver were studied. Hyperthermia was externally adminsitered using the Thermotron RF-8 (Yamamoto Vinyter Co., Japan; Capacitive type heating machine) with parallel opposed electrodes. Thirteen dogs were used and allocated into one control group (N=3) and two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temperature. Group I (N=5) was heated with $42.5\pm0.5^{\circ}C$ 30 minutes, and Group II (N=5) was heated with $45\pm0.5^{\circ}C$ for 15-30 minutes. Samples of liver tissue were obtained through a needle biopsy immediately after hyperthermia and T,14, and 28 days after treatment. Blood samples were obtained before treatment and W, 3,5, 7,14 and 28 days after treatment and examined for SGOT, SGPT and alkaline phosphatase. Although SGOT and SGPT were elevated after hyperthermia in both groups (three of five in each group), there was no liver cell necrosis or hyperthermia related mortality in Group 1. A hydropic swelling of hepatocytes was prominent histologic finding. Hyperthermia with $45^{\circ}C$ for 30 minutes was fatal and showed extensive liver cell necrosis. In conclusion, liverdamage dy heat of $42.5\pm0.5^{\circ}C$ for 30 minutes is reversible, and liver damage by heat of $45\pm0.5^{\circ}C$ for 30 minutes can be fatal or irreversible. However, these results cannot be applied directly to human trial. Therefore, in erder to apply hyperthermic treatment on human liver tumor safely, close obsewation of temperature with proper thermometry is mandatory. Hyperthermic treatment should be confined to the tumor area while sparing a normal liver as much as possible.

      • SCOPUSKCI등재

        Treatment of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ith High-Dose-Rate Intracavitary Irradiation using Ralstron

        서창옥,김귀언,노준규,Suh Chang Ok,Kim Gwi Eon,Loh John J.K. The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Oncology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79년 5월부터 1981년 12월까지 총 524명의 자궁경부암 환자가 근치적 목적하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524명의 환자중, 356명이 코발트 선원을 사용한 원격 조정 아프터로딩 고선량률 강내조사 시스템 (Ralstron)으로써 치료받았으며 168명의 환자는 라듐 선원을 사용한 저선량률 강내 조사를 받았다. 외부조사는 골반부 전체에 총 40-50 Gy가 주어졌으며, 이어서 A지점에 10-13번에 걸쳐 30-39 Gy의 강내 조사를 시행하는 치료지침이 사용되었다. 강내조사는 3 Gy씩, 일주일에 세번 주어졌다. 고선량률 강내조사를 받은 군에서의 5년 실제생존률은 IB기 (N=20)가 $77.6{\%}$, II기 (N=182)가 $68.2{\%}$ 그리고 III기 (N=148)가 $50.9{\%}$였다. 저산량률 강내조사군에서의 5년 생존률은 IB기 (N=22)가 $87.5{\%}$, II기 (N=91)가 $66.3{\%}$, 그리고 III기 (N=52)가 $55.4{\%}$였다. 생존률은 병기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두 강내조사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치료후 내장의 후기 합병증은 고선량률 강내조사 군에서 $3.7{\%}$, 저산량률 강내조사군은 $8.4{\%}$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만큼 심한 합병증은 없었다. 방광에서 발생한 합병증의 빈도는 고선량률 강내조사군이 $1.4{\%}$, 저선량률 강내조사군은 $2.4{\%}$였다.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시술은 외래 환자에 시행하기에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쉬우며 마취가 필요없고, 환자가 매우 잘 견딘다. 담당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도 저선량률 강내조사에 비해 사실상 거의 없다.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경우 치료시간이 짧기 때문에 주어진 시간내에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환자를 치료해야 되는 암센터의 경우, 고선량률 강내조사 시스템이 훨씬 더 권장되어 진다. 그러나 더욱 향상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다른 치료 방식으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적절한 선량-분할조사 계획과 외부조사와 강내조사의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rom May 1979 through December 1981 a total of 524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ere treated by radiation therapy with curative intent. Among the 524 patients, 350 were treated with a high-dose-rate (HDR), remote-controlled, afterloading intracavitary irradiation (ICR) system using a cobalt source (Ralstron), and 168 patients received a low-dose-rate (LDR) ICR using a radium source. External beam irradiation with a total dose of 40-50 Gy to the whole pelvis followed by intracavitary irradiation with a total dose of 30-39 Gy in 10-13 fractions to point A was the treatment protocol. ICR was given three times a week with a dose of 3 Gy per fraction. Five-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in the HDR-ICR group were $77.6{\%}$ in stage IB (N=20), $68.2{\%}$ in stage II (N=182), and $50.9{\%}$ in stage III (N=148). In LDR-ICR group, 5-year survival rates were $87.5{\%}$ in stage IB (N=22), $66.3{\%}$ in stage II (N=91), and $55.4{\%}$ in stage III (N=52). Survival rat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t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CR groups. Late bowel complications after radiotherapy were noted in $3.7{\%}$ of the HDR-ICR group and $8.4{\%}$ of the LDR-ICR group. There was no severe complication requiring surgical management. The incidence of bladder complications was $1.4{\%}$ in the HDR-ICR group and $2.4{\%}$ in the LDR-ICR group. The application of HDR-ICR was technically simple and easily performed on an outpatient basis without anesthesia, and the patients tolerated it very well. Radiation exposure to personnel was virtually nil in contrast to that of LDR-ICR.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more patients can be treated with HDR-ICR because of the short treatment time. Therefore, the HDR-ICR system is highly recommended for a cancer center, particularly one with a large number of patients to be treated. In order to achieve an improved outcome, however, the optimum dose-fractionation schedule of HDR-ICR and optimum combination of intracavitary irradiation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an extensive protocol.

      • SCOPUSKCI등재

        Paraquat 중독 환자에서 전폐 방사선치료의 효과

        이창걸(Chang Geol Lee),김귀언(Gwi Eon Kim),서창옥(Chang Ok Suh)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4

        목적 : 제초제로 사용되는 Paraquat(Gramoxone??)는 10cc미만의 소량복용으로 사망이 가능하여 자살목적 혹은 사고로 복용한 후 응급실로 내원하게 되는데 적극적인 치료방법으로 신장 및 간장에 대한 독성은 가역적으로 회복이 가능하나 폐에 대한 독성은 가장 치명적으로 초기에 폐부종, 폐출혈등의 성인형호흡곤란증후군의 양상을 보이며 더욱 진행하면 폐섬유화를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사망하게 된다. 1984년 Webb등이 폐부종이 진행되는 paraquat중독환자에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 폐섬유화로의 진행을 억제하여 생존시킨 예를 보고한 이래 전폐 방사선치료가 paraquat에 의한 폐독성을 방지할 수 있는 가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다. 저자들은 연세의대 치료방사선과에서 paraquat중독으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폐섬유화 예방에 대한 효과 및 궁극적으로 생존율 향상에 기여하였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7년 6월부터 1993년 8월까지 paraquat중독으로 연세의료원에 내원하여 치료하였던 3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14예에서 전폐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환자들의 특성을 보면 남녀비가 12:18 이었고 3-76세의 연령에서 20-30세사이가 가장 많았고, 자살목적이 22예, 우발적인 사고로 복용한 예가 8예였다. 환자 및 보호자의 진술에 따라, 복용한 양을 소량(<5cc), 한모금(5-50cc) 그리고 과량(>50cc)군으로 세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응급실에 도착하여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24시간 이 내 시작하였고 방사선량은 10Gy/5ft/1주으로, 전폐를 범위로 폐밀도 보상 없이 전후 2문 대향조사하였다. 3예에서 방사선치료도중 중단하였는데 치료거절(2Gy) 및 사망(2Gy, 6Gy)이 원인이었다. 결과 : 소량복용군에서는 방사선치료와 상관없이 7예 전원이 생존하였고 대조군에서 2예의 경미한 폐부종이 나타났으나 방사선치료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모금 복용군의 경우 15예 전예에서 폐독성이 나타났는데, 대조군에서는 7예중 1예(14%0에서만 회복된 반면 방사선치료군에서는 8예중 4예(50%)에서 폐독성에서 회복되었다. 한모금 복용군에서 음독후 4일이내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 5예중 4예(80%)에서 폐독성이 회복된 반면 5일 이후에 치료한 3예에서는 전원(100%)이 호흡부전으로 사명하여 차이를 보였다. 4일이내 방사선치료군에서 2Gy 조사 후 치료를 거절한 1예를 제외하면 4예 전원(100%)에서 폐섬유화를 예방할 수 있었다. 과량복용군에서는 방사선치료와 상관없이 8예 전원이 다기관 손상과 함께 호흡부전으로 사명하였는데 방사선치료는 3예 모두 음독2일 이내에 시행되었지만 모두 폐섬유화로 진행되어 사망하였다. 결과 : Paraquat중독으로 궁극적인 사망의 원인이되는 폐섬유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폐방사선치료는 비록 복용량이 정확하지는 않으나 약 한모금(5-50cc)정도 복용한 경우 paraquat배설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와 함께 조기에(적어도 4일 이내에) 시행될 경우 폐섬유화로의 이행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생존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고, 소량복용의 경우와 과량을 복용한 경우 전폐방사선치료는 필요가 없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향후 음독후 정확한 혈중 paraquat농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전폐방사선효과를 규명하는 임상실험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o evaluate whether the early pulmonary irradiation can prevent or decrease the pulmonary damage and contribute to improve ultimate survival in paraquat lung.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un. 1987 to Aug. 1993. thirty patients with paraquat poisoning were evaluated. Fourteen of these patients were received pulmonary irradiation(RT). All of the patients were managed with aggressive supportive treatment such as gastric lavage, forced diuresis, antioxidant agents and antifibrosis agents. Ingested amounts of paraquat were estimated into three groups(A: minimal <about 5cc. B: mouthful 5-50cc. c: large>50cc). Pulmonary irradiation was strated within 24 hours after admission(from day 1 to day 11 after ingestion of paraquat). Both whole lungs were irradiated with AP/PA parallel opposing fields using Co-60 teletherapy machine. A total of 10Gy(2Gy/fr. x 5days) was delivered without correction of lung density. Results : In group A, all patients were alive regardless of pulmonary irradiation and in group C, all of the patients were died due to multi-organ failure, especially pulmonary fibrosis regardless of pulmonary irradiation. However, in group, six of 7 patients(86%) with no RT were died due to respiratory failure, but 4 fo 8 patients with RT were alive and 4 of 5 patients who were received pulmonary irradiation within 4 days after ingestion of paraquat were all alive though radiological pulmonary change. One patient who refused RT after 2Gy died due to pulmonary fibrosis. All 3 patients who were received pulmonary irradiation after 4 days after ingestion were died due to pulmonary fibrosis in spite of recovery from renal and hepatic toxicity Conclusion :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effect of pulmonary irradiation on the course of the paraquat lung because the precise plasma and urine paraquat concentration were not available between control and irradiation groups. But early pulmonary irradiation within 4 days after paraquat poisoning with aggresive supportive treatment appears to decrease pulmonary toxicity and contribute survival in patients with mouthful ingestion of paraquat who are destined to have reversible renal and hepatic damage but irreversible pulmonary toxicity.

      • SCOPUSKCI등재

        Treatment of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ith High-Dose-Rate Intracavitary Irradiation using Ralstron

        Chang Ok Suh(서창옥),Gwi Eon Kim(김귀언),John J.K. Loh(노준규)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8 No.2

        1979년 5월부터 1981년 12월까지 총 524명의 자궁경부암 환자가 근치적 목적하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 524명의 환자중, 356명이 코발트 선원을 사용한 원격 조정 아프터로딩 고선량률 강내조사 시스템(Rastron)으로써 치료받았으며 168명의 환자는 라듐 선원을 사용한 저선량률 강내 조사를 받았다. 외부조사는 골반부 전체에 총 40-50 Gy가 주어졌으며, 이어서 A지점에 10-13번에 걸쳐 30-38Gy의 강내 조사를 시행하는 치료지침이 사용되었다. 강내조사는 3Gy씩, 일주일에 세 번 주어졌다. 고선량률 강내조사를 받은 군에서의 5년 실제생존율은 ⅠB기 (N=20)가 77.6% Ⅱ기 (N=182)가 68.2% 그리고 Ⅲ기(N=148)가 50.9%였다. 저산량률 강내조사군에서의 5년 생존율은 ⅠB기(N=22)가 87.5% Ⅱ기(N=91)가 66.3%, 그리고 Ⅲ기 (N=52)가 55.4%였다. 생존율은 병기에 따라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두 강내조사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방사선 치료후 내장의 후기 합병증은 고선량률 강내조사 군에서 3.7%, 저산량률 강내조사군은 8.4%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외과적 치료가 필요할 만큼 심한 합병증은 없었다. 방광에서 발생한 합병증의 빈도는 고선량률 강내조사군이 1.4%, 저산량률 강내조사군은 2.4%였다.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시술은 외래 환자에 시행하기에 기술적으로 간단하고 쉬우며 마취가 필요없고, 환자가 매우 잘 견딘다. 담당자에 대한 방사선 피폭도 저선량률 강내조사에 비해 사실상 거의 없다.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경우 치료시간이 짧기 때문에 주어진 시간내에 더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어진다. 따라서 많은 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암센터의 경우, 고선량률 강내조사 시스템이 훨씬 더 권장되어 진다. 그러나 더욱 향상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다른 치료 방식으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고선량률 강내조사의 적절한 선량-분할조사 계획과 외부조사와 강내조사의 적절한 배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rom May 1979 through December 1981 a total of 524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ere treated by radiation therapy with curative intent. Among the 524 patients, 356 were treated with a high-dose-rate(HDR), remote-controlled, afterloading intracavitary irradiation(ICR) system using a cobalt source(Ralstron), and 168 patients received a low-dose-rate (LDR) ICR using a radium source. External beam irradiation with a total dose of 40-50 Gy to the whole pelvis followed by intracavitary irradiation with a total dose of 30-39 Gy in 10-13 fractions to point A was the treatment protocol. ICR was given three times a week with a dose of 3 Gy per fraction. Five-year actuarial survival rates in the HDR-ICR group were 77.6% in stage ⅠB(N=20), 68.2%% in stage Ⅱ(N=182), and 50.9% in stage Ⅲ(N=148). In LDR-ICR group, 5-year survival rates were 87.5% in stage ⅠB(N=22), 66.3% in stage Ⅱ(N=91), and 55.4% in stage Ⅲ(N=52). Survival rat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t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CR groups. Late bowel complications after radiotherapy were noted in 3.7% of the HDR-ICR group and 8.4% of the LDR-ICR group. There was no severe complication requiring surgical management. The incidence of bladder complications was 1.4% in the HDR-ICR group and 2.% inthe LDR-ICR group. The application of HDR-ICR was technically simple and easily performed on and outpatient basis without anesthesia, and the patients tolerated it very well. Radiation exposure to personnel was virtually nil in contrast to that of LDR-ICR.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more patients can be treated with HDR-ICR because of the short treatment time. Therefore, the HDR-ICR system is highly recommended for a cancer center, particularly one with a large number of patients can be treated. In order to achieve an improved outcome, however, the optimum dose-fractionation schedule of HDR-ICR and optimum combination of intracavitary irradiation with external beam irradiation should be determined through an extensive protocol study with different treatment regimens.

      • KCI등재후보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서창옥(Chang-Ok Suh),신현수(Hyun Soo Shin),조재호(Jae Ho Cho),박원(Won Park),안승도(Seung Do Ahn),신경환(Kyung Hwan Shin),정은지(Eun Ji Chung),금기창(Ki Chang Keum),하성환(Sung Whan Ha),안성자(Sung Ja Ahn),김우철(Woo Cheol Kim),이명자(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4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2 No.3

        목 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 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를 계획하였다. 그 첫 단계로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있도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와 1999년도에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27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 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미용 효과 등 10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5개 병원에서 입력된 261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은 24∼85세(중앙값 45세)였다. 병리학적 유형은 관상피암종이 88.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수질성암종이 4.2%, 소엽상피암종이 1.5%였다.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5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이 59.7%, T2가 29.5%, Tis가 8.8%였으며 전체의 42.5%가 T1c에 해당하였다. 전체 환자의 91.2%에서 액와림프절 곽청술이 시행되었고 69.7%의 환자들에서는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었으며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5.3%, 4∼9개가 4.2%,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1.9%였다. 따라서 병기 0기가 8.4%, I기, 44.9%, IIA기, 33.3%, IIB기 8.4%였다. 에스트로겐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수용체 검사는 각각 71.6, 70.9 % 에서 이루어졌다. 유방보존적 수술 방법은 단순절제술(excision/lumpectomy)이 37.2%, 광범위절제술이 11.5% 사분원절제술(quadrantectomy)이 23%, 부분절제술(partial mastectomy)이 27.5%에서 시행되었다. 수술 후 10예 (3.8%)에서 절제연이 양성이었고 10예는 절제연이 종양에서 2 mm 이내였다. 항암화학요법은 I기에서 54.7%, IIA기에서 83.9%, IIB에서 100%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들이 계획된 방사선량의 90% 이상을 조사 받음으로써 순응도가 매우 높은 치료임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의 범위는 전체의 88% 가 유방만 치료받았고 5%는 유방과 쇄골상부림프절을, 4.2%는 유방, 쇄골상부림프절에 액와림프절후방추가조사를 하였으며, 유방, 쇄골상부림프절과 함께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였던 예는 1예(0.4%) 뿐이었다. 유방치료에 사용된 방사선의 종류는 Co-60가 8명(3.1%), 4 MV X-ray가 115명(44.1%), 6 MV X-ray가 125명(47.8%) 이었으며 11명(4.2%)은 10 MV X-ray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유방 전체에 45∼59.4 Gy (중앙값 50.4),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조사가 8∼20 Gy (중앙값 10 Gy)로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50.4∼70.4 Gy (중앙값 60.4 Gy)였다. 결 론: 조기 유방암에 대한 진단과 병기 결정 과정,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되는 방사선치료는 큰 편향이없이 권고안대로 잘 시행되고 있었다. 다만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치료는 비교적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이것이 치료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적조사연구가 필요하며 방사선치료 계획상의 세부 사항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o determine the pattern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in the patient with early breast cancer treated with conservative surgery and radiotherapy and to improve the radiotherapy techiniques, nationwide survey was performed. Materials and Methods: A web-based database system for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PCS) for 6 common cancers was developed. Two hundreds sixty-one randomly selected records of eligible patients treated between 1998∼1999 from 15 hospitals were reviewed. Results: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24 to 85 years(median 45 years). 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was most common histologic type (88.9%) followed by medullary carcinoma (4.2%) and infiltrating lobular carcinoma (1.5%). Pathologic T stage by AJCC was T1 in 59.7% of the casses, T2 in 29.5% of the cases, Tis in 8.8% if the cases.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in 91.2% of the cases and 69.7% were node negative. AJCC stage was 0 in 8.8% of the cases, stage I in 44.9% of the cases, stage IIa in 33.3% of the cases, and stage IIb in 8.4% of the cases. Estrogen and progesteron receptors were evaluated in 71.6%, and 70.9%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Surgical methods of breast-conserving surgery was excision/lumpectomy in 37.2%, wide excision in 11.5%, quadrantectomy in 23% and partial mastectomy in 27.5% of the cases. A pathologically confirmed negative margin was obtained in 90.8% of the cases. Pathological margin was involved with tumor in 10 patients and margin was close (less than 2 mm) in 10 patients. All the patients except one recieved more than 90% of the planned radiotherapy dose. Radiotherapy volume was breast only in 88% of the cases, breast+supraclavicular fossa (SCL) in 5% of the cases, and breast+SCL+posterior axillary boost in 4.2% of the cases. Only one patient received isolated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rradiation. Used radiation beam was Co-60 in 8 cases, 4 MV X-ray in 115 cases, 6 MV X-ray in 125 cases, and 10 MV X-ray in 11 cases. The radiation dose to the whole breast was 45∼59.4 Gy (median 50.4) and boost dose was 8∼20 Gy (median 10 Gy). The total radiation dose delivered was 50.4∼70.4 Gy (median 60.4 Gy). Conclusion: There was no major deviation from current standard in the patterns of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the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treated with breast conservation method. Some varieties were identified in boost irradiation dose. Separate analysis for the datails of radiotherapy planning will be followed and the outcome of treatment is needed to evaluate the process.

      • SCOPUSKCI등재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Intracranial Tumors

        서창옥 (Chang Ok Suh),정상섭 (Sang Sup Chung),추성실 (Sung Sil Chu),김영수 (Young Soo Kim),윤도흠 (Do Heum Yoon),김선호 (Sun Ho Kim),노준규 (John Juhn Kyu Loh),김귀언 (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88년 8월 10MV 선형 가속기를 이용한 방사선 뇌수술(radiosurgery, stereotactic external beam irradiation)을 시작한 이래 1991년 12월까지 총 24예의 두개강내 종양에 대하여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조직학적 유형은 뇌수막종이 5예, 두개인두종이 3예, 악성임파종이 1예, 전이성 뇌종양이 2예 있었다. 대상환자들은 몇가지 다른 질병상태에서 방사선 뇌수술을 받았는데, 10예는 뇌정위적 생검이나 신경방사선학적 영상만으로 진단을 한 후 일차적인 치료로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했으며, 9예에서는 수술 후 잔류 종양에 대하여 방사선 뇌수술을 시행하였다. 또 3예에서는 방사선 치료후 재발한 종양에 대해 구제요법으로 시행하였고, 2예에서는 외부 방사선 조사와 함께 추가 방사선조사로써 시행되었다. 6개월 이상 추적 조사된 환자 16명 중에서 7명 (뇌수막종 2예, 신경교종 4예, 악성임파종 1예)이 CT Scan 또는 MRI상 종양의 완전 소멸을 보였고 나머지 9예는 모두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다. 방사선 수술시 급성 부작용은 없었고 4예에서 만성 합병증이 나타났는데 3예에서 신경학적 증상의 발현과 함께 CT Scan상 뇌부종이 나타났었고 1예의 두개인두종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시신경 손상으로 생각되는 시력 소실이 있었다. 저자들의 경험 예들은 조직학적 유형이 다양하고 증례수가 많지 않고 추적 조사 기간이 짧기 때문에 결론을 얻기 어렵지만 정위적 방법으로 종양에 다량의 방사선을 일시에 조사함으로써 완전 관해까지의 우수한 종양 제어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종류의 뇌종양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뇌수술이 생존율 향상이나 삶의 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더 많은 증례를 통하여 경험을 축적하여야 할 것이다. Between August 1988 and December 1991, 24 patients with intracranial tumors were treated with stereotactic radiosurgery (RS) using a 10 MV linear accelerator at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re were 5 meningiomas. 3 craniopharyngiomas. 9 glial tumors, 2 solitary metastases, 2 acoustic neurinomas, 2 pineal tumors. and 1 non-Hodgkin's lymphoma. Ten patients were treated as primary treatment after diagnosis with stereotactic biopsy or neuroimaglng study, Nine patients underwent RS for post-op. residual tumors and three patients as a salvage treatment for recurrence after external Irradiation, Two patients received RS as a boost followed by fractionated conventional radiotherapy. Among sixteen patients who were followed more than 6 months with neuroimage. seven patients (2 meningiomas, 4 benign glial tumors. one non-Hodgkin's lymphoma) showed complete response on neuroimage after RS and nine patients showed decreased tumor size. There was no acute treatment related side reaction. Late complications include three patients with symptomatic peritumoral brain edema and one craniopharyngioma with optic chiasmal injury. Through this early experience, we conclude that stereotactically directed single high doses of irradiation to the small intracranial tumors is effective for tumor control. However, in order to define the role of radiosurgery in the management of intracranial tumors. we should get the long-term results available to demonstrate the benefits versus potential complications of this therapeutic modality.

      • 두경부종양 환자에서 경부림프절 전이의 분포에 관한 고찰

        서창옥(Chang Ok Suh),김귀언(Gwi Eon Kim),금기창(Ki Chang Keum),신현수(Hyun Soo Shin) 대한두경부종양학회 1999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5 No.1

        Objectives: The records of 936 patients with previously untreated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were reviewed in order to define the incidence and topographical distribution of neck node metastasis on admiss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common regions of metastasis are presented for each of the 12th individual head and neck sites selected for study. Results and Conclusion: Knowledge of the preferred areas of spread and those that are almost never involved allows the design of more adequate radiation therapy plans to manage the individual tumors.

      • SCOPUSKCI등재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술 후 재발에 영향을 주는 인자

        서창옥(Chang Ok Suh),정은지(Eun Ji Chung),이희대(Hy De Lee),이경식(Kyong Sik Lee),오기근(Ki Keun Oh),김귀언(Gwi Eo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7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5 No.4

        Purpose : To evaluate our experience in the breast-conserving treatment for early breast cancer with special regard to recurrence pattern and related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 : Two hundred and sixteen patients with AJC stageⅠ and Ⅱ breast cancer who received breast conserving treatment between January 1991 and December 1994 were evaluated. Age distribution ranged from 23-80 year old with a median age of 44. One hundred and seventeen patients had T1 lesions and 99 patients had T2 lesions. Axillary lymph nodes were involved in 73 patients. All patients received a breast conserving surgery (wide excision to quadrantectomy) and axillary node dissection followed by radiotherapy. Ninety six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before or after radiotherapy. Results : During the follow -up period (3-60 months, median 30 months), local recurrences were noted in six patients (true; 3, elsewhere; 1, skin; 2). Sixteen patients developed distant metastases as the first sign of recurrence at 8-38 months (median 20 months) after surgery. Among them, three patients simultaneously developed local recurrence with distant metastases. Contralateral breast cancer developed in one patient and non-mammary cancers developed in three patients. The actuarial 5 year survival rate was 88.4% (stage Ⅰ 96.7%, stage Ⅱa 95.2%, stage Ⅱb 69.9%). Age, T stage, number of involved axillary lymph nodes, and AJC stage were risk factors for distant metastases in univariate analysis.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number of involved axillary lymph nodes was the most significant risk factor for metastases. Conclusion : Local recurrence was not common in the early years after radiotherapy. Distant metastases occurred at a steady rate during the first three years and was more common in the patients with larger tumors , higher number of involved axillary nodes, and younger age. 목 적 : 연세의대 연세암센터에서는 1991년도부터 조기유방암에 대하여 유방보존술을 실시해오고 있으며 본원에서 사용하는 치료방법과 치료에 따르는 부작용 등에 대해서는 이미 보고한 바있다. 아직 추적 관찰 기간이 짧기 때문에 치료결과를 평가하기는 어려운 시점이지만 치료 후 수년 이내에 재발하는 양상을 알아보고 그에 관련되는 위험인자를 알아봄으로써 본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유방보존술을 중간 점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AJCC 병기 1기, 2기 유방암으로 유방보존적 수술을 받은 후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21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 분포는 23세에서 80세로 중앙값이 44세였으며, 40대가 86명(39.8%), 30대가 73명(33.8%), 50대가 38명(17.6%)였다. T 병기 별로는 T1이 117명, T2가 99명이었으며 이 중 T1c와 3cm 이하의 T2가 전체의 79%를 차지하였다. 액와림프절은 73명에서 양성이었다. 따라서 stage I이 89명(41.2%), IIa가 81명(37.5%), IIb가 46명(21.3%)이었다. 모든 환자들은 유방부분절제술과 액와림프절 곽청술을 시행받은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96명의 환자들이 방사선치료 후, 또는 방사선치료 전후에 항암화학요법을 받았다. 추적 기간은 3-60개월로 정중앙 추적기간이 30개월이었다. 결 과 : 추적 기간 동안에 19명이 재발하였는데 3명은 국소 재발(true recurrence; 1, elsew here; 1, skin;1)만 있었고 13명은 원격전이만 있었으며, 3명은 국소재발과 원격 전이가 동시에 있었다. 이 외 반대편 유방암이 1예에서 발생하였고, 3예에서 2차 원발암이 발생하였다. 국소 재발을 보인 예들 중, 유방의 피부에서 재발하였던 예는 곧 이어 원격전이를 보였지만, 나머지 2예는 유방전적출술을 받은 후 무병 생존중이다. 원격전이를 보인 예들은 대부분(12/16) 2년이내에 재발하여 빠르게 진행되어 11명이 사망하였고 원격전이 후 정중앙 생존기간이 8개월이었다. 병기 별 5년 생존율은 I기 96.7%, IIa기 95.2%, IIb기 69.9%이었고, 5년 무병생존율은 I기, IIa기, IIb기가 각각 97.1%, 91.7%, 59.9%이었다. 원격전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연령, T병기, N병기, AJCC stage가 의미있었으며, 병리학적 유형, 화학요법 여부, 수술절제연 침범 유무는 원격전이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 론 : 조기유방암의 유방보존술 후 수년 이내에는 유방내 국소재발은 적으나, 원격전이는 주로 3년이내에 발생하였는데 40세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서, 종양이 클수록, 침범된 액와림프절의 숫자가 많을수록 원격전이율이 높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