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상조건 및 재배여건을 통한 작물 생산량 예측모델의 개발

        서주원 ( Juweon Suh ),정현우 ( Hyunwoo Jung ),강구 ( Gu Kang ),김한중 ( Hanjo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최근 발생하고 있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지역적인 기상이변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국립기상 연구소에 AIB 시나리오에 따르면 21세기 말 대비 22세기말에는 한반도 전지역의 기온이 4℃ 상승하고 일 최고 기온보다 일 최저기온의 상승이 커서 연교차는 1.7℃ 감소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강수량 또한 한반도 전 지역에서 17%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기상 변화는 농업생산분야에 더 큰 영향을 주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수리시설물과 같은 농업생산기반 여건이 가장 불리한 밭작물 생산여건은 기상변화에 가장 취약한 상태로 볼 수 있다. 밭작물 생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생산기반 요소의 지원능력과 재배관리의 주요 인자들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면, 통계적 생산량의 변화 정도를 기반으로 최근 노지 채소재배 지역에서는 주요 재배여건이라고 할 수 있는 기상조건 변화, 이상 기상으로 볼 수 있는 재배여건으로 인한 작황예측에 의한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과거의 통계자료에서 해당 시기의 기상조건과 재배여건에 의하여 작황이 결정된다고 가정하고 지역별 주요 작물별 과거 재배면적과 생산량 통계와 기본적인 비례 관계와 기상요인 중에서 재배기간 중에서 특히 생산에 중요 영향을 줄 수 있는 특이 기상인자 등을 보완하여 생산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해 가격 변동성이 큰 경남, 충남, 전남지역의 마늘과 양파작물을 선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각 작물의 생육시기를 전체시기, 파종기, 생육기, 수확기 4가지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기상자료는 전국 시도별 자동기상관측장비 및 강우관측소의 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풍속 등 8가지 인자를 각 시기별로 분류 분석하고 또한 생산기반 시설에 대한 인자들과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상관분석을 통해 작물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하고 그 인자들을 회귀분석을 통해 생산량을 예측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또는 기상여건 및 작황에 영향을 주는 이벤트 특성을 발생 수준의 조건을 가정하여 현재 통계연보의 생산량을 이용하여 검보정을 실시하여 주요 밭작물의 생산량 예측 모형 개발울 위한 통계모델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균주에 따른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

        이상일,이예경,김순동,강윤환,서주원,Lee, Sang-Il,Lee, Ye-Kyung,Kim, Soon-Dong,Kang, Yun Hwan,Suh, Joo Wo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잎을 이용한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차 제조를 시도하였다. 균주로 Saccharomyces cerevisiae(S),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속 혼합미생물(B), Bifidobacterium bifidus(L), Monascus pilosus(M) 및 Aspergilus oryzae(A)를 사용하여 발효차(S, B, L, M, A)를 제조하였으며, 발효시키지 않은 청미래덩굴잎(C)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와 관련된 total polyphenol(TP) 및 total flavonoid(TF) 함량과 활성산소 소거계 활성으로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ferrous iron chelating ability (FICA) 및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LPOIA)와 활성산소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XOIA) 및 aldehyd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AOI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수로 1% 농도로 우려낸 발효차의 색상은 A차는 적색을 띠었으나, 그 외의 모든 차는 황색을 띠었다. 차의 향, 맛, 밝기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A차 3.95점, M차 3.30점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외 S, B, L차는 2.55~2.28점으로 C차와 유사하였다. C차 열수 추출물의 TP 및 TF 함량은 각각 28.94 및 18.39 mg/g,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34.97 및 34.44 mg/g 이었다. 발효차는 C차에 비하여 TP의 함량이 낮았으나, 에탄올 가용성 flavonoid 함량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A차는 수용성 TF 함량과 에탄올 가용성 TP의 함량이 낮았다. 청미래덩굴잎 및 그 발효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EDA($1mg/m{\ell}$)는 19.25~22.48%이었으나, A차는 8.04~12.49%이었다. C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FRAP($Fe^{2+}\;{\mu}mole/g$ dry basis)는 4.38~5.84이었으며, S, B, L, M 및 A차와 대등하였다. FICA는 발효차 중에서는 A차가 높았으며, 여타 차는 발효차와 비발효차 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LPOIA는 $200{\mu}g/m{\ell}$의 아주 낮은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37.08~41.42%, 에탄올 추출물은 28.66~32.57%를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다소 높았으며, 차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1mg/m{\ell}$)의 XOIA 및 AOIA는 모두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에서의 XOIA는 C, S, M 및 A차에서는 4.83~9.20%이었으나, B 및 L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9.00~19.00%이었다. AOIA는 열수 추출물은 30.17~48.52%, 에탄올 추출물은 44.09~66.93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발효차 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은 비발효차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에 의하여 TP와 TF의 감소율이 높으나, 관능적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A차 열수 추출물(0.1%)에서도 FRAP, FICA, LPOIA 및 AOIA와 같은 항산화 지표들의 활성이 나타나, 기능성 발효차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o evaluate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 and availability for drinking of the fermented Smilax china leaf tea by using different microbial species, various fermented leaf tea was prepared by non-fermentation (C), or the ferment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 Bacillus sp. (B), Bifidobacterium bifidus (L), Monascus pilosus (M) and Aspergilus oryzae (A), and sensory and antioxidant parameter of each brewed tea was observed. The color of the A tea was red, but the other teas were yellow in color. Furthermore, the aesthetic quality of the A and M tea was 3.95 and 3.30 point, respectively, and other teas (2.55~2.28) were similar to that of the C tea. TP of fermented tea water extract was lower than that of the C, although TF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fermented and non-fermented tea. Especially, TF of the A te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teas. The range of EDA ($1mg/m{\ell}$)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ea C and the fermented teas was 19.25~22.48%; however, tea A was only 8.04~12.49%. In addition, FRAP, FICA and LPOIA of tea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fermented and non-fermented teas. On the other hand, XOIA and AOIA of tea ethanol extract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water extracts. XOIA of water extract derived from the teas was 4.83~9.20%, while ethanol extract of these was 9.00~19.00%. However, XOIA of B and L teas water extract was not detected. Furthermore, AOIA of fermented tea water extract (30.17~48.52%) were lower than those of ethanol extract (44.09~66.93%). In this study, interestingly, antioxidant parameters, such as FRAP, FICA, LPOIA and AOIA, of the A tea water extract (0.1%)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ea in spite of high decreasing rate in the contents of TP and TF. Therefore, above results imply the possibility of fermented Smilax china leaf tea as a functional food.

      • KCI등재

        α-Glucosidase 저해제 생산 균주, Gluconobacter oxydans CK-2165의 특성 및 배양 최적화

        김병국(Kim, Byoung-Kuk),서민정(Suh, Min-Jung),박지수(Park, Ji-Su),박장오(Park, Jang-Woo),서정우(Suh, Jung-Woo),김진용(Kim, Jin-Yong),이선영(Lee, Sun-Young),최종근(Choi, Jongkeun),서주원(Seo, Ju-Won),이인애(Lee, In-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논문은 당뇨병 치료제로 알려진 Miglitol은 α-glucosidase 저해제로, 산업적으로 포도당과 에탄올아민으로부터 세 단계의 화학 및 생물전환 과정을 거쳐 합성되며. acetic acid bacteria에 속하는 Gluconobactor oxydans (G. oxydans)는 불완전 산화를 통해 1-deoxy-1-(2-hydroxyethylamino)-D-glucitol (P1)을 Miglitol의 전구체인 6-(2-hydroxyetyl) amino-6- deoxy-α-L-sorbofuranose (P2)로 생물 전환시키는 균주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으로부터 스크리닝하여 선발된 고효율 생 물전환 박테리아인 CK-2165의 균주를 동정하고 최적의 발효조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16S rDNA 서열과 계통수 분석결 과 CK-2165는 G. oxydans에 속하는 미생물임을 결정하였으며, API 20E kits를 사용하여 선발된 균주의 탄소원 이용성을 실험한 결과 glucose, mannose, inositol, sorbitol, rhamnose, sucrose, melibiose, amygdalin, arabinose와 같은 탄소원에 대한 이용성을 가진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업적 생산을 위하여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였고 균체를 이용하여 생물전환 반응에 중요한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생물전환 반응을 위해 사용되는 균체는 균 성장 단계 중 후기 정지기 (late-stationary phase)에 수확한 균체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생물전환 반응에는 MgSO<sub>4</sub>가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Amycolatopsis sp. KCTC 29142로부터 유래된 siderochelin A의 다제 내성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이동령,성금화,이성권,홍희전,송재경,양승환,서주원,Lee, Dong-Ryung,Cheng, Jinhua,Lee, Sung-Kwon,Hong, Hee-Jeon,Song, Jaekyeong,Yang, Seung Hwan,Suh, Joo-Wo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6 미생물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에서는 신규 Amycolatopsis 균주 KCTC 29142를 분리하여 형태학적 관찰, 계통분석 및 화학분류학적 분석 등 다상 분류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KCTC 29142 균주의 에틸아세테이트추출물은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났고, 활성물질은 철 이온 킬레이트 물질인 siderochelin A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siderochelin A는 다제내성균인 Acinetobacter baumanii,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및 Escherichia coli (E. coli)에 대해 강한 활성을 보였고, 임상에서 분리된 다제내성균에 대한 MIC를 결정하였다. A novel Amycolatopsis strain KCTC 29142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based on the polyphasic taxonomic analysis including morphological observation, phylogenetic analysis, physiological and chemotaxonomic characteristics.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strain KCTC 29142 culture broth show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active compound was identified as siderochelin A, a ferrous-ion chelating compound. In this study, siderochelin A showed good activity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athogens, including Acinetobacter baumanii,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and Escherichia coli (E. coli). The minimum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linical isolates was also determined.

      • 김치의 재료별 첨가량에 따른 SAM 함량의 변화

        이명기,이현정,박완수,구경형,김영진,서주원,Lee, Myung-Ki,Lee, Hyun-Jung,Park, Wan-Soo,Koo, Kyung-Hyung,Kim, Young-Jin,Suh, Joo-Won 한국식품연구원 2008 食品技術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발효기간 중 SAM 생성량 증진김치의 최적조건을 개발하기 위해 배추김치의 재료별 및 제조법에 따른 발효기간 중의 SAM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모든 김치군의 pH는 발효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후기에는 pH $4.2{\sim}4.3$으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산도는 pH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면서 발효초기에는 급격히 감소하다가 후기에는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AM 함량은 가장 기본적인 재료로만 제조한 표준(A)김치는 가장 낮게 나타났고, SAM이 검출되는 원 부재료에 SAM 함량이 많은 김치가 SAM 함량도 높게 나타났다. 모든 김치군 중 I김치가 가장 높은 SAM 함량을 나타냈으며, 김치별 SAM 함량이 가장 높은 발효시점은 A, K김치는 pH $4.6{\sim}4.9$, 산도 $0.38{\sim}0.57$0.57, D, H김치는 pH 6.3, 산도 $0.24{\sim}0.27$, E, G김치는 pH $6.1{\sim}6.6$, 산도 $0.05{\sim}0.14$0.14, B, C, F, I, J김치는 pH $4.3{\sim}5.3$, 산도 $0.45{\sim}1.02$에서 나타났다. 따라서 대부분의 김치는 적숙기시점이 되었을 때 B, E, G, H김치는 초기발효 때부터 SAM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SAM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연구결과 주재료인 채소류와 젓갈의 함량비를 적절히 제조하여 최적의 SAM 생산능력의 발효시점과 김치맛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관능적으로 적합하고 SAM 생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되는 최적의 조건에 대한 실험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