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은행의 시장경쟁도 평가 및 정책적 시사점

        서정호 ( Suh Jeong Ho ) 한국금융연구원 2016 KIF 금융분석보고서 Vol.2016 No.4

        Ⅰ. 서 론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은행에 대해 대출금리 및 수수료 인하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이와 함께 높은 진입장벽 등으로 은행들이 독과점적 이익을 누리고 있다는 비판도 비등해짐. · 외환위기 이후 은행산업이 소수의 대형은행으로 재편되어가는 과정을 거치면서, 은행들의 시장지배력이 강화(시장경쟁이 약화)되었을 것이라는 인식이 폭넓게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1997년말 32개였던 은행 수는 2015년말 17개로 줄어들어 은행산업의 시장집중도(concentration)가 크게 상승했음. ▣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시장경쟁이 실제로 약화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전체기간을 ① 외환위기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②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현재까지로 구분한 후, Panzar-Rosse (1987) 모형(이하 ``P-R모형`)을 적용함. · 횡단면적 분석에 치중했던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시간에 걸친 시장경쟁도(market competition)의 변화를 살펴보고, 특히 리먼사태가 발발한 2008년 이후 기간에 대해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함. - 1999년 이전의 시계열의 경우 통계의 정합성이 낮고, 대손 충당금제도 등 제도변화로 인한 시계열의 단절이 우려되어 본 연구에서는 포함시키지 않았음. Ⅱ. 선행연구 1. 개관 ▣ 은행산업의 시장경쟁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크게 구조적 접근방식(structural approach)과 비구조적 접근방식(non-structural approach) 으로 구분됨. · 구조적 접근방식은 시장의 구조와 시장지배적 행위, 그리고 기업의 경영성과 간에 직접적인 연관성(direct link)이 존재한다는 전제를 공유함. - 대표적으로 구조(structure)-행위(conduct)-성과(performance) 가설(이하 SCP가설 또는 SCP패러다임) 등이 있음. · 비구조적 접근방식은 구조적 접근방식이 구조와 행위간 인과 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등의 문제를 지적하면서 시장지배력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을 채택함. - 대표적으로 Panzar and Rosse(1987), Bresnahan(1989), Boone(2005) 등이 있음. 2. 국내외 실증연구 ▣ 해외 은행산업의 시장경쟁을 실증분석한 대표적인 선행연구들로는 Nathan and Neave (1989), Hempell (2002), Bikker and Haaf (2002), Claessens and Laeven (2004), Bikker et al. (2006), Allen and Liu (2007), Bikker and Sperdijk (2008), Ariss (2010), Mulyaningsih (2011), Bikker, Shaffer and Sperdijk (2012) 등이 있음. · 상기 연구들은 P-R모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시장집중도가 증대되더라도 반드시 시장경쟁이 약화되지 않음을 보여주었음. ▣ 국내 은행산업의 경쟁도를 분석함에 있어 P-R모형을 사용한 연구로는 이병윤(2003), 김봉한·전선애·위오기(2004), 이상규·이종건(2004), 최호상(2007), 신동진(2007), Shin and Kim(2013) 등이 있음. · 이병윤(2003), 최호상(2007), 신동진(2007), Shin and Kim(2013) 등은 전반적으로 우리나라 은행시장이 독점적 경쟁(monopolistic competition) 상태이며 외환위기 이전보다 시장경쟁이 최소한 하락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림. · 김봉한·전선애·위오기(2004)는 한국의 은행시장이 독점(monopoly)이며 외환위기 이후 경쟁도가 오히려 하락했다고 주장하였으며, 외환위기 이후 경쟁도가 하락했다는 결론은 이상규·이종건(2004)에서도 찾아볼 수 있음. Ⅲ. 실증분석 1. 시장집중도의 변화 ▣ 외환위기 직후 우리 정부는 부실은행 정리를 신속히 단행하였는데, 그 결과 1997년 말 26개였던 국내 일반은행(시중은행 16개, 지방은행 10개)은 2015년 말 현재 12개(시중은행 6개, 지방은행 6개)로 축소됨. ▣ 은행수 감소는 은행산업의 시장집중도를 크게 증가시켰음. · 총자산 기준 상위 은행들의 집중도를 보여주는 CR3 및 CR5는 1999년 말 각각 33.9%, 49.6%에서 2014년 말 43.6%, 66.9%로 상승했고1)* 예수금 기준으로 볼 때 상승폭은 더욱크게 나타남. · 총자산 기준 HHI도 1999년 말 772에서 2014년 말 1,085로 상승했는데, 대형은행들의 시장지배력이 강화되었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될 만한 변화라고 할 것임. · 국내 은행산업의 시장집중도는 외환위기 직후 인수·합병으로 인해 급상승하였다가 2001~2002년을 지나면서 다소 하락하였으며, 이후에는 안정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음. ▣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장집중도의 증대가 곧바로 시장경쟁의 위축으로 연결되지는 않음. ▣ 신규 기업의 진입이나 기존 기업의 퇴출이 없다 하더라도 그 가능성만으로도 얼마든지 시장경쟁은 심화될 수 있으며(Baumol, 1982), 이론적으로는 시장에 두 개의 경쟁자만 존재하더라도 가격이 한계생산비까지 떨어져 완전경쟁이 될 수도 있음(Bertrand, 1883). 2. Panzar-Rosse 모형 ▣ 패널데이터를 이용해 은행산업의 축약형 수입함수를 추정하고 이로부터 도출된 요소가격별 수입탄력성의 합(sum of elasticities of revenues with respect to each input price)으로 H-통계량(H-statistic)을 정의함. · R*는 균형 상태에서 은행의 수입(revenue),ω<sub>k</sub>은 k번째 투입요소의 가격을 나타냄. 3. 분석모형 및 데이터 ▣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경쟁도를 추정하기 위해 P-R모형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고정효과 패널모형을 설정함. · P-R모형을 추정하는 동시에 우리나라 은행시장이 장기균형상태인지를 검증하게 되는데, 이는 P-R모형이 장기균형조건을 충족하는 시장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임. ▣ 개별은행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은행규모변수(scale factor), 시장적응변수(market accommodative factor), 네트워크 변수(network factor) 그리고 리스크변수(risk factor)의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통제변수를 사용함. · 규모변수로는 은행의 총자산(TA)을, 시장적응변수로는 영업이익 대비 비이자이익의 비중(NITR)과 총자산기준 시장점유율(MS)을 사용함. · 네크워크 변수로는 연도별 국내은행 전체 영업점 수 대비 해당 은행의 영업점 수(BTB)를 고려함. · 리스크 변수로는 고정이하여신비율(NPL)과 BIS자기자본비율(BIS)을 사용함. ▣ 본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1999년부터 2014년까지를 분석기간으로 설정하고 이 기간 중 영업활동을 했던 일반은행들의 연간 재무정보를 이용함. 4. 추정결과 ▣ 총수입(TR)과 이자수입(IR)을 종속변수로 P-R모형을 추정한 결과 전체기간(1999~2014년)에 대해 H-통계량이 각각 0.597, 0.635로 나타나 동 기간 중 국내 은행시장은 독점적 경쟁(monopolistic competition) 상태라고 해석할 수 있음. ▣ 1999~2008년 기간중 H-통계량이 0.5 내외의 수준을 보이다가, 이후에는 0.8 이상으로 크게 상승하여 완전경쟁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남. · 즉, 그 간 여러 차례 은행 간 합병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 은행산업의 시장경쟁은 오히려 증대되었거나 최소한 하락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물론 주택담보대출, 개인신용대출, 중소기업대출, 예금 등 모든 세부시장에서 완전경쟁에 가까운 경쟁이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우리나라 은행산업에는 대체로 높은 수준의 경쟁이 존재하며, 적어도 독과점의 폐해를 우려할 상황은 아닌것으로 판단됨. ▣ 통제변수들 중에서는 총자산(TA)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고, 시장점유율(MS)의 경우 두 개의 모형에 걸쳐 일관된 부호를 보여주지는 못했는데 이는 다른 조건이 동일할 때 시장점유율의 변동이 수입의 변동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을 시사함. · 비이자이익 비중(NITR)의 계수는 전체기간 및 2008년까지는 음(-)의 부호를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2009년 이후의 기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약해진 것으로 나타남. → 이는 이자이익의 비중이 오히려 높아지고 수수료 수입의 변화가 미미했다는 사실을 반영한 것으로 보임. · 각행 영업점 비중은 이자이익을 종속변수로 사용한 두 번째 모형에서 전체기간 및 2008년까지 기간에서만 양(+)의 부호를 보여주었고, 2009년 이후에는 종속변수와의 상관성이 약해져서 통계적 유의성이 사라졌음. → 지난 수년간 비대면거래의 급증에 따라 대면채널의 네크워크 파워가 크게 약화된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임. 5. 연구의 한계 ▣ 은행의 경쟁도를 평가함에 있어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타 업종(또는 기업)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구본성·한재준, 2010). · 예컨대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은행은 실질적으로 상호금융회사 및 주택금융공사 등과 경쟁관계에 있고, 소액신용대출의 경우 여신전문회사 등 다양한 금융회사들과 경쟁하고 있으며, 은행의 중소기업대출은 정책금융과 일정부분 경쟁관계를 형성하고 있음. · 즉, 경쟁도를 평가함에 앞서 시장의 범위를 획정해야 하는데 어디까지를 ``시장`으로 정의할 것인지가 더욱 어려운 일이 되고 있음. ▣ 국내에서 나타난 쏠림현상은 시장경쟁도가 세부 시장별로 큰차이가 있을 것임을 의미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시장경쟁도를 가계신용대출·주택담보대출·개인사업자대출·중소기업대출·대기업대출·예수금·외환·방카슈랑스·대고객수수료 등 보다 세분화된 시장별로 분석하지 못했음. Ⅳ. 정책적 시사점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은행산업의 구조가 대체로 독점적 경쟁 (monopolistic competition) 상태이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은행 간 경쟁이 심화되었다는 점을 보여줌. · 2008년말까지 H-통계량이 0.5내외의 수준을 보이다가, 이후에는 0.8 수준까지 크게 상승하여 완전경쟁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남. · 국내 은행산업에는 대체로 높은 수준의 경쟁이 존재하며, 적어도 독과점의 폐해를 심각하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함. ▣ 다만, 이처럼 은행산업내 경쟁이 증대되는 현상은 효율성 측면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으나, 미래의 예상치 못한 충격에 대한버퍼가 취약해지므로 은행시스템의 안정성 차원에서는 부정적 일 수 있음. · 향후 불황의 장기화와 대기업의 구조조정이 계속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시점에서 은행의 충격 완충기능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 ▣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면 첫째, 국내 은행들이 시장지배력을 행사할 개연성 또는 정황에만 기초하여 가격인하를 요구하거나 혹은 담합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은 부작용을 초래할가능성이 높음. ·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장집중도와 시장경쟁도가 함께 증대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은행들이 합병과 더불어 공격적인 자체성장전략을 추진하였고 상호금융 등 비은행부문이 확대되면서 은행상품 및 서비스에 대해 경쟁이 더욱 격화된 데 기인한 것으로 해석됨. · 따라서 만약 시장이 충분히 경쟁적임에도 불구하고 대출금리를 균형가격 이하로 끌어내린다면 대출금리가 예상손실 (expected loss)이나 자금원가(funding cost)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은행은 자금공급이나 서비스제공을 축소하려 할 것임. · 또한 은행은 낮은 대출금리를 부과할 수 있는(또는 예상손실률이 낮은) 우량 고객층에 대출을 집중하게 되어 쏠림행위(herding behavior)를 유발하거나 심화시키는 단초가 될 수도 있음. ▣ 둘째, 비록 현재 충분한 시장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할지라도 집중도가 증가하면 언제든 대형은행 중심으로 시장지배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책당국은 담합 등 불공정행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함. · 국제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최소 수준의 은행 대형화는 이루어졌으므로, 추가적인 인수·합병으로 초래되는 국내시장의 경쟁구조 변화에 대해서는 정책당국이 경쟁제한성 측면에서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임. · 또한 공정경쟁을 모니터링하는 기법, 금융기업결합 심사방식 등을 적극적으로 선진화할 필요가 있으며, 감독정책을 시행함에 있어서도 시장경쟁을 심각하게 제한하는 요소가 없는 지 사전에 보다 철저히 점검해야 함. · 아울러 미국과 같이 은행 합병시 경쟁제한성 여부를 판단하는 가이드라인(<참고 Ⅳ-1>)을 마련하는 것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 ▣ 셋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상승한 시장경쟁도 및 국내영업 비중, 그리고 이자영업 부문의 낮은 수익성 등을 고려할 때, 국내은행은 서비스 차별화에 노력하는 한편 해외영업 확대 등 대체수익원 확충에 더욱 집중할 필요가 있음. · 정책당국도 직접적인 시장규제보다는 국내시장에서 분야별 시장점유율이 일정수준 이상에 도달하면 규제비용을 대폭 증대시키는 간접적인 방식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은행들의 해외진출 및 신시장 개척 등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ocial pressure has been building upon Koreancommercial banks to lower lending rates and service fees. This is largely due to a widespread perception that the domestic banking sector is far from being competitive, given the increased level of market concentration from a number of M&A deals and forbiddingly high entry barriers. An analysis of domestic banking sector`s competition based on a model by Panzar-Rosse (1987) shows that the domestic banking sector is in a monopolistic competition, and the competition has actually grown more intense and closer to a perfect competition. Based on the key findings from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it might have ill effect on allocative efficiency to demand lower lending rates or service fees based on a false assumption that the market is not competitive enough.

      • KCI등재

        유동성위기상황에서 수신고객구조가 은행위험에 미치는 영향

        서정호 ( Jeong Ho Suh ),박정수 ( Jung Soo Park ),신현한 ( Hyun Han Shin ) 한국금융학회 2010 금융연구 Vol.24 No.1

        Shin(2009), Liu and Mello(2009) 등은 금융기관이 자금조달을 위해 법인, 금융기관 등 대규모신용공여자(large lenders)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유동성위기상황에서 뱅크런의 위험이 증폭될 수 있다는 새로운 은행실패 가설을 최근 제시하였다. 대규모신용공여자들이 제공한 자금의 상당 부분이단기성일 뿐 아니라, 이들은 시중 유동성 악화에 따른 자신의 재무제표 위험을 선제적으로 통제하기 위해 제공한 자금을 조기에 회수하려는 디레버리징 동기를 갖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유동성위기상황에서 수신고객구조(depositor structure)가 국내 은행들의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2004년 이후 국내 은행들의 분기별 불균형 패널 데이터에 대해 고정효과모형에 기초한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Lehman Brothers의 파산보호신청 등으로 인해 국내 은행들이 급격한 유동성 압박을 경험했던 2008년 하반기를 유동성위기상황으로 정의하고 은행위험의 변동을 살펴본 결과, 주식시장 참여자 뿐 아니라 예금자들도 유동성위기하에서 수신고객구조에 따른 위험에 차별적으로 반응한다는 실증적 근거를 볼 수 있었다. 은행의 특성을 나타내는 통제변수들이 감안되었고, 다양한 강건성 검증도 실행하였다. 본 연구는 Shin(2009), Liu and Mello(2009) 등이 제시한 새로운 가설과 이론에 대해 우리가 아는 한 최초의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법인 등 도매조달(wholesale funding)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국내 시중은행의 수신고객구조의 추이를 감안할 때 은행경영 뿐 아니라 건전성 감독규제를 설계함에 있어서도 시의성 있는 함의를 던져줄 것으로 판단된다. Shin (2009) and Liu and Mello (2009) presented a new theory on bank risk in which if a bank relies too much on the funding from the large lenders such as financial institutions, corporations, and major credit suppliers, it is more likely to increase the bank risk during the liquidity crisis. A significant portion of credit provided by large depositors is short-term, and it is sensitive to market liquidity because major credit suppliers (large depositors) have an incentive of de-leveraging when liquidity crisis occurs, and withdraw funds from other institutions in order to take a preemptive action against the risk of unfavorable financial situation. In this paper, we assume that capital market participants and bank depositors are concerned about the bank risk caused by depositor structure during the liquidity crisis. In other words, we assume that capital market participants expect potential withdrawals from large depositors during liquidity crisis when a large proportion of bank deposit is made by major credit suppliers. Using the fixed effect model and Korean banks` quarterly unbalanced panel data since 2004, we investigate whether the depositor structure affects the Korean bank risk. We use the following empirical model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is: Yi,t=αi+β1·RDEPOi,t+β2·RDEPOi,t*CRISISt+β3·CRISISt+γX+εi,t (1) where Yi,t is a dependent variable representing the risk of bank failure, RDEPOi,t is a proxy variable for depositor structure (the proportion of institutional and other types of non-individual deposits), CRISIS is a proxy variable for liquidity crisis, X is a vector of control variables representing bank characteristics. Dependent variable Yi,t measures the risk of a bank failure at a point in time. We use stock return volatility (SDR) and percentage changes in deposits (DEP) as a proxy for the risk of bank failure. Stock return volatility is a standard deviation of an individual bank`s stock returns (1nPt/Pt-1) for a quarter, and it measures how sensitive the capital market participants are to bank risk, while the percentage change in deposit measures how sensitive depositors are to bank risk. We use the second half of 2008 as a period of liquidity crisis because Korean banks experienced a sudden liquidity pressure following Lehman Brothers` bankruptcy filing. In other words, CRISIS takes the value of one for the 3rd and 4th quarter of 2008, while it takes the value of zero for all previous periods. We also use CDS premium as a proxy variable for liquidity crisis. During the second half of 2008, domestic banks have experienced liquidity crisis despite abundant liquidity in domestic currency. Because of deteriorating conditions in bank borrowing in foreign currency, bank risk premium has been rising rapidly. Thus, the domestic banks` degree of stress could be measured more accurately by the CDS premium since it reflects the full risk of the overall economic system caused by foreign borrowing conditions. We find empirical evidence that the reaction to the liquidity crisis by equity market participants as well as depositors is associated with the risk caused by depositor structure. We also performed various robustness tests controlling for variable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bank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paper provides the first empirical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recent hypothesis and theory provided by Shin (2009), and Liu and Mello (2009).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considered to provide timely implications in the bank management as well as in the design of the prudential regulations given the trend that the proportion of corporate and wholesale funding continues to rise in Korean banks.

      • KCI등재
      • KCI등재

        글로벌 금융위기와 은행산업의 경영전략 : 평가와 시사점

        박정수(Jungsoo Park),서정호(Jeong Ho Suh),함준호(Joon-Ho Hahm)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4

        본 논문은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급과정에서 드러난 국내 은행산업의 취약성에 대한 평가와, 8,404개 국제은행 패널자료의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은행 경영전략의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2000년 이후 국내 은행경영의 전략적 특성은, 대출자산의 빠른 확대를 통한 이자이익 중심의 성장, 상품별ㆍ시점별 운용전략의 은행 간 쏠림현상, 시장성 자금 및 도매조달의 확대를 통한 경기순응적 레버리지 행태 등으로 요약되며, 이는 금번 글로벌 금융위기시 국내 은행산업이 취약성을 드러내게 된 배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국제 은행자료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는 국내은행의 대형화 및 겸업화에 대한 유의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첫째, 대형화는 수익성을 높이며 수익의 변동성을 감소시키지만, 일정 수준 이상의 대형화는 오히려 수익성을 저하시키며 도산위험도 높이는 규모의 비선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형화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되며, 국내 은행산업의 여건과 거시경제적 환경에 따라 최적의 은행규모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둘째, 자산 대비 대출비중의 효과를 통제한 후, 대출증가율의 상승은 수익성과 안정성에 유의한 부정적 효과를 유발하며, 이러한 효과는 시장이 경쟁적일수록 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급속한 대출확대전략은 중장기적인 수익창출 능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은행들의 쏠림현상과 결합될 때 그 부정적 효과가 더욱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향후 국내 실물경제의 성장속도와 규제환경 변화 등을 고려할 때, 자산확대를 통한 자생적 성장보다는 합병을 통한 대형화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셋째, 은행의 비이자이익 비중확대는 수익성과 더불어 수익의 변동성 및 도산위험도 함께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은행별로 다양한 재무적ㆍ비재무적 특성과 위험관리 능력 등을 면밀히 고려하여 수익다각화의 수준과 대상업무를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derives strategic implications for Korean commercial banks by critically evaluating bank business behaviors since 2000 and by empirically analysing micro data of 8,404 world-wide banks. The business strategies of Korean bank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rapid loan growth with a strong asset size orientation, the herd behavior across banks in the provision of financial services, and the procyclical leverage financed by non-core and wholesale funding, which led to th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Korean banks at the onset of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Our investigation of the international bank dataset yields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an expansion of bank asset size raises bank profitability and lowers earnings variability. However, we find that this positive scale effect is not linear in that an excessive increase in bank assets leads to lower profitability and higher bankruptcy risk.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re may exist an optimal bank size reflecting the state of banking industry and economic development in each nation.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 of loan to asset ratio, an acceleration of loan growth rate leads to significant negative impacts on bank profitability and risk, and these negative impacts are stronger in a more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Hence, a pursuit of rapid organic growth by aggressive credit expansion may lead to deteriorations in longer-term profit capacity of banks, especially when banks show herd behaviors in saturated markets. Third, an expansion of non-interest income businesses raises bank profitability as well as bankruptcy risk, which suggests that an optimal level of income diversification must be achieved by carefully selecting non-bank businesses reflecting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risk management capacity of respective banks.

      • KCI등재

        은행의 대출확대가 은행수익성과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Bankscope 자료를 중심으로

        박정수 ( Jung Soo Park ),서정호 ( Jeong Ho Suh ),박보경 ( Bo Kyung Park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3 국제경제연구 Vol.19 No.1

        연구에서는 은행의 과도한 대출확대가 은행의 수익성과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국제 은행패널 자료인 Bankscope DB를 기초로 실증분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서는 대출확대의 효과는 대출확대가 정상적인 수준인가 아니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가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더 나아가 과도한 수준의 대출확대는 정상적인 수준의 대출확대가 총자산이익률, 순이자마진 등의 수익성 지표를 높이는 효과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도한 대출확대는 대손충당금 및 무수익여신비율 등에 반영되는 은행의 위험성을 추가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도산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은행의 대출확대 행위에 대해서 금융당국의 적절한 정책적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how excessive expansion in bank loan affects bank profitability and risk based on Bankscope database. The main findings show that bank loan expansions have differential effect of the bank performance depending on whether the loan is normal or excessive. Excessive loan growth reduces the profit enhancing effects of normal loan growth. On the other hand it aggravates the bank risk in terms of loan loss provision ratio, non-performing loan ratio, and bank default risk. The findings of our study indicates that there should be prudent policy consideration in terms of bank supervision for bank loan expansion behaviors.

      • KCI등재

        부동산신탁사의 부동산 대출에 대한 필요 자기자본비율 : 구조모형을 통한 신탁계정에 대한 대출의 위험도 측정

        한상일(Sang-Il Han),강임호(Im-Ho Kang),서정호(Jeong-Ho Suh) 韓國住宅學會 2009 주택연구 Vol.17 No.4

        본고는 구조모형에 따라 부동산 신탁사의 부도율 및 자기자본 비율을 산정하여 보았다. BIS비율에 기초한 부실금융기관 지정은 주주들의 경영진에 대한 감시기능을 강화할 것이므로 BIS 비율에 기초한 적기시정 조치는 유효한 감독수단이 될 것이다. 위험가중 자산에 대한 자기자본비율을 보면 '06년말 현재 7개 부동산신탁사의 평균 BIS 비율은 37.3%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토지신탁 비중이 높은 신탁사의 경우 BIS 비율은 20.5~49.2%이나 나머지 회사들은 58.8~179.4%를 보이고 있으며, 동 비율자체의 변동성이 매우 높다. 부도율 10%, 부도시 손실율 30% 가정하에서 부동산 신탁에 대해 18% 수준의 자기자본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의 경우에도 BB- 신용등급에 12% 수준의 자기자본비율을 요구하고 있는데, 시장관행상 우리나라 신용등급이 상대적으로 2 노치정도 더 높고 신탁사 신용등급이 BBB 수준이라면 18%는 매우 높은 자기자본비율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본고의 구조모형에 따른 부동산 신탁사에 대한 적정 자기자본비율을 산정 방법은 은행 등의 부동산 대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향후 은행대출에서 부동산 대출에 대한 부도율, 회수율 등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지면, 본고가 사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타 금융권 대출에 대한 적정 자기자본비율 산정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calculation of default probabilities and required capital adequacy ratios of the real estate trust companies (RTCs, hereafter) based upon structural modeling approaches. Inspired by Leland-Toft(1996), we estimate default probabilities, covariance matrices, loss rates given default and required capital for the RTCs. Assuming 10% default probability and 30% loss rate given default, we find that the industry needs approximately 18% of capital adequacy ratio to cover unexpected losses. Considering that the U.S. regulator calls for at least 12% capital adequacy ratio for BB- rated bonds, 18% for domestic RTCs appears reasonable.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introduc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optimal capital adequacy ratio for real estate loans of commercial banks.

      • 해양 갈조류를 생물흡착제로 이용한 납흡착 특성 연구

        서정호,감상규,오영희,이동환,이민규 동의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8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8 No.1

        Lead sorption performances by biomass of nonliving, dried marine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is, and Sargassum fulvellum used as biosorbent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s the amount of biosorbent materials added was increased, the lead removal by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but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decreased. However, with increasing initial lead concentration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by the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but lead removal efficiencies decreased. In the range of initial lead concentration(C_0) 10-500 mg/L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and removal efficiencies by the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Among the biosorbent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 U. pinnatifida $gt; H. fusiformis $gt; S. fulvellum. The lead biosorption by biosorbent materials were expressed by the Langmuir isotherm better than the Freundlich isotherm. The biosorption rate could be expressed by the first order reaction rate equation for initial lead concentration like that r_ad = 0.288C_0 for U. pinnatifida, r_ad = 0.255C_0 for H. fusiformis, and r_ad = 0.161C_0 for S. fulvellum.

      • SCOPUSSCIEKCI등재

        실험적 뇌경색의 형태학적 관찰에서 Neutral Red와 Tetrazolium Salt 교차 염색의 의의

        서정호,박윤관,김명현,정용구,정흥섭,서중근,이훈갑,주정화,이기찬 대한신경외과학회 1992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1 No.8

        Serial changes in the size of infarcted area induced by MCA occlusion(MCAO) were compared with Neutral Red(NR) and 2,3,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TTC) stains. The differences in size of the infarcted area as shown by the 2 stains and its significance were also evaluated.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7 groups, with each group consisting of rats; these groups were stained at 2,4,6,8,12,24 and 48 hours after MCAO. After MCAO, NR was infused into the femoral vein, after which the brain was removed, the frontal pole of the brain cut into 1.5㎜ sections, and each section photographed. Then, the NR-stained sections were immersed in TTC solution for 45 minutes and photographed. Results showed that the infarcted area progressively increased according to time duration after MCAO(one-way ANOVA, p<0.01). Between 4 and 6 hour groups, the difference of the infarcted area was greater than at any other timed groups, this being statisfically significant(unpaired t-test, p<0.05). After 6 hours, the infarcted area with NR stain became relatively stable. In contrast, however, the infracted area with TTC stain did not stabilize, but continued to increase up to 24 hours. Overall, the infarcted area with NR stain was greater than with TTC stain in all the timed groups(paired t-test, p<0.05). As time progressed, the differences tended to decrease 48 hours post occlusion. In our study, serial changes of the ischemic penumbra area were evaluated by staining the ischemic area simultaneously with Neutral red and TTC stai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schemic penumbra area may still persist even after 48 hours post-MCAO.

      • 두부 손상 후 이소골 장애의 양상

        김정희,김선용,서정호,박기현 아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 1999 아주의학 Vol.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ypes of ossicular disruption in patients with conductive hearing loss after head trauma.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scans of 24 cases of ossicular disruption after head trauma (mean age : 20 years, M : F=15: 9). Ossicular disruption was diagnosed by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and temporal bone HRCT, and confirmed by operative findings. We classified ossicular disruption and observed combined temporal bone fracture. In 24 cases of ossicular disruption confirmed by operative findings, 16 cases had temporal bone fracture. In 16 cases of temporal bone fractures, 15 cases had longitudinal fractures and 1 case had complicated fracture. Incus dislocation was found in 14 cases, of which 12 cases had temporal bone fracture. Maleoincudal joint separation was found in 3 cases, among which 2 cases with temporal bone fracture. Incudostapedial joint separation was found in 5 cases, among which 2 cases with temporal bone fracture. Also, fracture of incus long process was found in 1 case, and stapedial crus fracture was found in 1 case without temporal bone fracture. In conclusion, we found that ossicular disruption could occur with or without temporal bone fracture. Incus dislocat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ossicular disrup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incus has no muscular anchor and has the weakest soft tissue attachment among all ossi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