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골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

        서재곤,정광훈,양일순,Seo, Jai-Gon,Jung, Kwang-Hoon,Yang, Il-Soo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2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8 No.3

        목적: 유골골종의 진단 후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환자에서 수술 후 기능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인 추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1999년 7월부터 2001년 1월 사이에 임상소견 및 방사선 소견상 유골골종으로 진단 받고 저자들이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를 시행한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최소 8개월에서 최장 2년 1개월로 평균 15.5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학적 검사로는 단순방사선촬영, 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이 진단 및 병소의 정확한 위치파악을 위하여 이용되었으며 술 후에는 정기적인 단순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으로 추적관찰 하였다. 결과: 술 후 환자의 증상 소실은 7례의 환자에서 3일 이내에 완전 소실이 이루어 졌으며 평균 입원 기간은 1례의 화상이 발생한 환자를 제외하고는 평균 2.4일 이었고 퇴원의 기준은 환자의 동통이 완전 소실된 이후로 하였다. 술 후 야간통 및 주간통 점수는 각각 평균 1.8점과 1.3점으로 이었다. 직업 활동 및 여가 활동의 점수도 각각 평균 1점과 0.6점이었다. 결론: 유골골종에 대하여 경피적 고주파 열 치료로 비교적 만족할 만한 기능적 결과를 얻었다. 이 시술은 기존의 고식적 방법으로 인한 입원기간의 증가, 술 후 골절 방지를 위한 내고정술 및 뼈 이식의 필요, 그리고 장기간의 고정으로 인한 관절운동의 장애 등의 합병증 없이 유골골종의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postoperative functional and radiographic follow-up results in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after the diagnosis of osteoid osteoma. Materials and Methods: Seven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and radiographically diagnosed with osteoid osteoma from July 1999 to January 2001, and received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5.5 months(range, 8~25 months). For the diagnosis and accurate localization of the lesion, simple radiography,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ere performed preoperatively. Simple radiographs and MRI were taken periodically for the follow-up studies. Results: In all 7 patients, symptoms completely disappeared within 3 days after the operation. The average period of hospitalization was 2.4 days, excluding 1 patient who needed an additional burn treatment. The average postoperative night and day pain scores were 1.8 and 1.3, respectively. The average vocational and recreational activity scores were 1 and 0.6, respectively. Conclusions: Satisfactory functional results were obtained with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herapy for the elimination of osteoid osteoma. Compared to conventional treatment, the advantages of this therapy were short hospitalization period, no internal fixation and bone graft for preventing fracture, and no limitation of joint motion by long fixation period.

      • 유골 골종의 경피적 고주파 파괴술 - 1례 보고-

        서재곤,김지형,안중모,Seo, Jai-Gon,Kim, Jee-Hyoung,Ahn, Choong-M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1

        유골 골종은 골의 양성 종양으로 대부분 30세 이하의 환자에 이환되며, 주로 하지의 장관골이 가장 흔히 이환된다. 주 증상으로 통증이 있으며, 밤에 심해지고, 아스피린에 특징적으로 반응하기도 한다. 수술적 제거술이 대부분의 일반적인 치료이며, 전산화 단층촬영하에 제거 술, 전산화 단층촬영하의 드릴을 이용한 파괴술 등을 통한 최소한의 침습적인 수술적 방법이나, 더욱 비침습적인 경피적 방법으로 레이저나 고주파를 발생하는 전극을 이용한 파괴술 등이 시도되고 있고, 수술적 제거술의 대체술로서 고려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경골 근위부의 유골 골종을 전산화 단층촬영 투시하에 고주파 치료술을 시행한 1례를 보고하며, 유골 골종의 새로운 치료법들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We report the radio-frequency ablation technique applied on an osteoid osteoma under CT guide and review other new methods of treatment for the osteoid osteoma. An 18-year-old boy with an osteoid osteoma at the left proximal tibia, which was visible at plain film and MRI. He was treated by the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echnique under CT guide after a needle biopsy. He is free from any symptom and able to do daily activities. So, we proposed that the percutaneous radio-frequency ablation technique under CT guide is the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method for an osteoid osteoma.

      • 대퇴골두 부위에 발생한 양성 골 종양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치료 (증례보고)

        서재곤,김응수,Seo, Jai-Gon,Kim, Eung-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3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9 No.1

        서론: 대퇴골 근위부에 발생하는 종양은 양성일지라도 수술적 병변의 제거시 관절내 도달이 필요하거나 대퇴골 경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등 주위 고관절의 구조 및 기능을 위협할 수 있어 그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고 치료에 어려움이 있으나 고관절부의 동통을 유발하는 양성 골종양의 치료는 비관혈적 수술이 현재로는 거의 불가능하다. 최근 CT등을 이용한 경피적 절제술,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등 비교적 덜 침습적인 치료법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대퇴골 근위부 종양중 비교적 흔한 유골골종(osteoid osteoma)에 국한된 연구가 대부분이다. 이에 저자는 대퇴골두내 발생한 내연골종 및 피질골내 연골종을 경피적 고주파 열치료를 통해 치료한 후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1 - 31세 여자환자로 1년 전부터 시작된 우측 둔부 및 서혜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사무직 여성으로 과거력 및 가족력 상 특이 소견 없었으며 통증의 양상은 간헐적으로 야간에 심해지는 양상으로 통증 발현 시에는 체중 부하하기 힘든 정도였다. 통증에 대해 수개월간 대증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수일에서 수주 후 재발되는 양상이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 진통제에 비교적 효과가 있었으나 내원 시에는 증상이 점차 심해지며 지속적인 양상으로 소염진통제가 계속적으로 필요하였다. 이학적 소견상 우측 고관절의 운동제한은 없었으나 Patrick 검사 양성이었으며 내회전시 불쾌감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우측 대퇴 골두 부위에 주변으로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면서 1.5${\times}$1cm 크기로 경계가 비교적 분명하였고 주변에 반응성 부종이 관찰되어.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아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마취하에서 먼저 CT시행 하에 세침 생검을 실시한 후 Radionics$^{(R)}$ 고주파침을 삽입하여 병변 중앙에 위치시킨 후 $80^{\circ}C$ 평균모드으로 6분간 고주파 열 치료 시행하였으며 시행 중 다른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환자는 마취에서 의식이 돌아온 직후와 술 후 14시간 후에 통증 전혀 호소하지 않았으며 술후 1일째 체중 부하시 통증 없는 것 확인 후 퇴원 조치 하였으며 술 후 3주 뒤 MRI로 병변 부위 관찰하였으며, 이때 병변부위 소실된 것 확인할 수 있었다. 술 후 15개월째 환자는 일상 생활에 지장없었으며 통증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 검사결과는 피질골내 연골종으로 확인되었다. -증례 2- 56세 여자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좌측 둔부 및 대퇴부 외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통증은 주로 밤에 악화되었으며 1달 전부터 통증 심해지고 지속되는 양상으로 타 병원에서 아스피린으로 통증 조절되었고 유골 골종 의심 하에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과거력이나 가족력상 특이사항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고관절 운동 범위 제한은 없었으나 외전과 내회전시 좌측 서혜부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단순 방사선 소견상 좌측 대퇴골두 하방 내측으로 석회화를 동반하고 주변 경화상을 보이는 방사선 투과성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MRI상 T1WI와 T2WI에서 비교적 낮은 신호강도를 보이는 양상으로, 유골골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아 고주파 열치료를 시행하기로 하였으며 전신 마취 후 CT시행 하에 먼저 세침 조직 검사를 실시한 후 Radionics$^{(R)}$ Purpose: To report two cases of bone tumors other than osteoid osteoma in the proximal femur and treated with percutaneous high frequency radioablation method. Cases: We reviewed two cases with intracortical chondroma and enchondroma in the femoral head retrospectively. The patient with intracortical chondroma was a thirty one year old woman and had suffered right hip pain of 1 year duration. The lesion was located in the head of right femur and treated with CT guided percutaneous high frequency radioablation after needle biopsy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symptom was gone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and was discharged postop. 1 day. 15 months has passed without symptom recurrence. Second case having enchondroma, was 56 year old woman complaining of gluteal area pain for 3 months. Radiologic evaluation showed osteolytic lesion with sclerotic rim on the inferior portion of the left femoral head. She received a same therapy with CT guided radiofrequency ablation following needle biopsy. She reported dramatic pain relief after the procedure and was discharged postop. 1 day. No symptom has occurred for 3 months until now. Conclusion: We present 2 cases of bone tumor occurred in the hip joint area other than osteoid osteoma which were treated with CT guided radiofrequency ablation.

      • 자가 아킬레스 건과 장력 부하 기법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한 이식건의 평가

        서재곤,문영완,유재철,장문종,김승연,김무현,Seo, Jai-Gon,Moon, Young-Wan,Yoo, Jae-Chul,Chang, Moon-Jong,Kim, Seung-Yeon,Kim, Mu-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목적: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이식한 전방십자인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분석하고 이를 정상전방십자인대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추시 자기공명영상을 검사한 21명 21예(그룹 A)의 자기공명영상을 분석하였다. 대조군(그룹 B)은 반월상 연골 파열로 관절경적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관절경적 소견상 정상 전방십자인대가 확인된 50명으로 구성되었다. 자기공명영상의 시상면 및 관상면에서 이식건의 위치를 측정하여 이를 정상 십자인대와 비교하였다. 결과: 그룹 A의 평균 전방십자인대 시상면 각도($55.7^{\circ}{\pm}5.6^{\circ}$, 범위, $47.2{\sim}68.8^{\circ}$)는 그룹 B의 각도($58.7^{\circ}{\pm}3.8^{\circ}$, 범위, $50.4{\sim}67.5^{\circ}$)보다 작았다(p=0.036). 그러나 평균 전방십자인대-Blumensaat 선 사이의 각도(그룹 A: $8.1^{\circ}{\pm}4.9^{\circ}$, 범위, $1.7{\sim}22.0^{\circ}$, 그룹 B: $8.6^{\circ}{\pm}3.6^{\circ}$, 범위, $2.6{\sim}18.1^{\circ}$)와 평균 전방십자인대 관상면 각도(그룹 A: $64.9^{\circ}{\pm}9.1^{\circ}$, 범위, $46.9{\sim}76.4^{\circ}$, 그룹 B: $65.9^{\circ}{\pm}4.4^{\circ}$, 범위, $57.7{\sim}75.2^{\circ}$)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8) (p=0.62). 시상면에서 그룹 A의 평균 경골 터널 위치($31.9{\pm}7.1%$, 범위, $22.4{\sim}47.9%$)는 그룹 B의 위치($37.0{\pm}4.9%$, 범위, $18.5{\sim}44.7%$)보다 더 앞쪽에 위치하였다(p=0.005). 하지만 관상면에서의 위치는 두 군(그룹 A: $46.3{\pm}2.8%, 범위, $42.1{\sim}52.5%, 그룹 B: $45.7{\pm}2.8%, 범위, $41.0{\sim}49.1%)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92). 결론: 장력부하기법과 자가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제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추시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통해 이식건이 정상 전방십자인대와 비슷하게 위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the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finding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ed with a tension load technique using auto-Achilles tendon, and to compare the results with knees with a native ACL.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21 postoperative MRI scan of 21 patients (group A) who had undergone ACL reconstruction between January 1995 and November 1996. The control group (group B) consisted of 50 patients whose meniscus tear had been operated by arthroscopy and whose ACL was intact. We measured the orientation of the graft in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s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the native ACL. Results: The mean sagittal angle of the ACL angle in group A ($55.7{\pm}5.6^{\circ}$, range $47.2{\sim}68.8^{\circ}$) was statistically lesser than group B ($58.7{\pm}3.8^{\circ}$, range $50.4{\sim}67.5^{\circ}$) (p=0.036).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ith regard to the mean ACL-Blumensaat line angle (group A: $8.1^{\circ}{\pm}4.9^{\circ}$, range $1.7^{\circ}{\sim}22.0^{\circ}$, group B: $8.6^{\circ}{\pm}3.6^{\circ}$, range $2.6^{\circ}-18.1^{\circ}$) and the mean coronal angle of the ACL (group A: $64.9^{\circ}{\pm}9.1^{\circ}$, range $46.9^{\circ}{\sim}76.4^{\circ}$, group B: $65.9^{\circ}{\pm}4.4^{\circ}$, range $57.7^{\circ}{\sim}75.2^{\circ}$)(p=0.88, p= 0.62). In the sagittal plane, the mean center of tibial insertion of the ACL graft in group A ($31.9{\pm}7.1%$, range 22.4-47.9%) was positioned more anteriorly than group B ($37.0{\pm}4.9%$, range $18.5{\sim}44.7%$)(p=0.005). But in the coronal plan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group A: $46.3{\pm}2.8%$, range $42.1{\sim}52.5%$, group B: $45.7{\pm}2.8%$, range $41.0{\sim}49.1%$)(p=0.392). Conclusion: We performed an ACL reconstruction with the tension load technique using auto-Achilles tendon and we found that the graft orientation in MRI was as good as that of the native AC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