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층 아파트건설현장에서 채취한 초미세먼지(PM<SUB>2.5</SUB>)로 건설현장 오염원 분류표 개발

        서영화(Young-Hwa Seo) 한국환경관리학회 2016 環境管理學會誌 Vol.22 No.1

        도시 미세먼지의 오염원을 추적하는 수용모델을 가동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오염원 분류표 중 건설현장 초미세먼지의 오염원 분류표를 개발하였다. 초미세먼지를 채취한 현장은 25층 초고층 아파트 건축이 중간층까지 진행된 건축현장과, 대규모 택지개발을 위하여 토목 공사가 진행되는 곳이었고, 중금속, 이온성 성분, 탄소성 성분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4개의 채취 입구가 장착된 채취기를 가동하여 초미세먼지를 채취하여 분석하여 오염원 분류표를 작성하였다. 고층 건물 건축현장과 토목공사 현장에서 채취한 초미세먼지에는 원소성 탄소 성분, 유기성 탄소 성분의 함량이 높았는데 대형 건설장비가 가동되는 고층건물 건축현장에서는 원소성 탄소 성분(EC)이 더 높았고, 토목공사가 진행되는 벌판에서 채취한 초미세먼지에서는 유기성 탄소 성분(OC)의 농도가 더 높았다. 무기성 원소 성분들의 함량은 고층 건물 건축현장과 토목공사 현장 시료에서는 4.05wt%, 토목공사가 진행되는 벌판 현장에서는 5.99wt%이었으며, 칼슘과 마그네슘을 제외하고는 구리, 납, 아연, 니켈의 함량이 높았다. 황산이온, 질산이온, 암모늄이온 등 수용성 이온은 대형 건설장비가 가동되는 고층건물 건축현장에서 채취한 초미세먼지에서 토목공사가 진행되는 벌판에서 채취한 초미세먼지에서보다 거의 비슷하게 모두 5배 정도 높게 관측되었다. Construction site source profile showing its finger print was developed by a chemical analysis of PM2.5 collected at the construction sites where a apartment building construction and a civil construction are heavily going on near Seoul city. One sampling spot on which 25-story apartment buildings are being constructed and the other spot on which a civil construction for a new residential area development is being heavily is going on. PM2.5 particles for the measurement of metals, ions and organic and elemental carbons were simultaneously sampled with a low volume sampler with four inlets and analyzed thoroughly. Construction site source profiles were produced and inputted to the chemical mass balance model with other source profiles. One construction source profile originated from the apartment building construction site was so different from the other profile come from the civil construction site, with much higher soluble ion concentrations and elemental carbon concentration probably caused by construction heavy diesel mobiles using heavy diesel oils. Whereas organic carbon was much higher in other source profiles. Metals such as soil related elements were ranged from 4 ~ 5.99wt%. PM2.5 construction source profiles showed much different from the old PM10 construction source profiles.

      • 고농도 초미세먼지 현상 시 황산이온, 질산이온, 암모늄이온 농도 변화와의 관계 분석

        서영화(Young-Hwa Seo) 한국환경관리학회 2015 環境管理學會誌 Vol.21 No.1

        서울시 8지점에서 채취한 초미세먼지(PM2.5)를 분석한 자료에서 황산이온, 질산이온, 암모늄이온의 농도분포 분석으로 PM2.5의 고농도 발생 원인을 해석하였다. 초미세먼지 중 질산이온, 암모늄이온 농도도 황사가 아닌 고농도가 발생한 날 같은 측정 지점에서 황산이온과 같이 최고농도로 관측되어 황산이온 고농도와 같이 질산이온 고농도, 암모늄이온 고농도가 고농도 초미세먼지의 화학특성으로 조사되었다. 연중 평균 질산이온 농도는 강서와 구로 지점에서 4.20 μg/㎥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의(4.07 μg/㎥) > 도봉(3.86 μg/㎥) > 동대문(3.77 μg/㎥) > 신사(3.42 μg/㎥) > 종로(3.03 μg/㎥) > 북한산(2.38 μg/㎥) 순으로 관측되었다. 측정기간중 서울 전 지역에서의 질산이온의 평균농도는 3.62 μg/㎥이었다. 암모늄이온도 최고농도는 신사동 지점에서 16.48 μg/㎥로 관측되었으며 구로(2.77 μg/㎥) >강서(2.72 μg/㎥) > 동대문(2.62 μg/㎥) 순으로 관측되었는데 서울 전 지역에서의 평균농도는 2.44 μg/㎥이었다. 초미세먼지 중 암모늄이온 농도의 분포는 계절별 특성보다는 고농도 미세먼지의 발생과 더욱 밀접한 관계로 나타났다. Cause of outbreak of high concentration PM2.5 was studied by concentration of sulfate, nitrate and ammonium ions in PM2.5 collected 8 sites in Seoul.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itrate and ammonium ions were occurred at the same site and the same day a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sulfate was, meaning that the high concentration of PM2.5 was highly correlated of those three major chemical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nitrate ion was 24.4 μg/㎥ at Sinsa, and then the mean concentration of Kangseo and Gurodong 4.20 μg/㎥ > Guui(4.07 μg/㎥) > Dobong (3.86 μg/㎥) > Dongdamun(3.77 μg/㎥) > Sinsa(3.42 μg/㎥) > Jongno(3.03 μg/㎥) > Bukansan(2.38 μ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ammonium ion was 16.48 μg/㎥ at Sinsa. and then the mean concentration of Gurodong (2.77 μg/㎥) > Kangseo(2.72 μg/㎥) > Dongdamun(2.62 μg/㎥) > Sinsa(3.42 μg/㎥) > Jongno(3.03 μg/㎥) > Bukansan(2.38 μg/㎥). Concentration of ammonium ion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occurrence of high PM2.5, rather than seasonal variation.

      • KCI등재
      • KCI등재

        폐플라스틱 열분해 재생유의 불안정한 요인 규명과 무수탄산나트륨으로 품질 향상

        서영화(Young Hwa Seo),고광윤(Kwang Youn Ko)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12

        폐플라스틱 열분해 재생유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불안정화 요인 규명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분해 재생유를 오존화반응시킨 결과 이중결합 불포화탄화수소가 알데히드와 케톤으로 변하면서 폐HDPE 열분해 재생유의 약 45%는 1-알켄구조불포화탄화수소이며, 폐PP 열분해 재생유는 ~47%의 secondary alkene과 ~20%의 primary alkene을 포함한 약 73 wt% 불포화탄화수소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오존화 반응 후 기름의 냄새, 짙은 색도가 개선되었는데 이중결합 불포화탄화수소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장 용기 별 시험에서는 철제 캔이 갈색유리병보다 좀더 기름의 질 변화를 일으킴을 보여주었다. 기름에 투입된 항산화제는 2-3일 만에 90여 wt%가 소모되면서 항산화제 기능으로 인하여 불포화탄화수소올레핀은 50일이 지나도 안정하였다. 불순물질 제거 흡착여과 시험에서는 실리카, 활성탄, 알루미나 순으로 불순물질 제거효율이 좋으나 수분의 제거효율은 낮았다. 무수탄산나트륨과 무수황산마그네슘이 수분 및 침전물 제거효율이 모두 높으나 실제 열분해재생유 생산 공정에 원가상승을 거의 하지 않은 무수탄산나트륨을 투여·혼합·여과하여 기름의 품질 향상을 달성하였다. Study on the instability of waste plastic`s thermal pyrolysis oil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ts quality. The reaction of pyrolysis oil with ozone changed double bonds into aldehydes and ketone, estimated that HDPE pyrolysis oil contained ~45 wt% 1-alkene type olefins,·and PP pyrolysis oil did ~73 wt% olefins, which consisted of ~47 wt% secondary and ~20 wt% primary alkenes. The dark brown color and odor of pyrolysis oil were improved by eliminating double bonds, indicated that they were directly related to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er test showed that metal can affected oil quality worse than the brown glass bottle. Antioxidant added into pyrolysis oil was consumed up to 90% within 2~3 days and the wt. composi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in pyrolysis oil was not changed within 50 days, inferring that instability of pyrolysis oil due to unsaturated bonds can be stabilized by antioxidants. Adsorption test on silica gel, activated carbon and alumina to remove precipitates in oil produced a good result, but not enough to remove moisture. However, cheap anhydrous sodium carbonate showed the best removal efficiency of moisture as well as precipitates in oil. Therefore the pyrolysis oil quality improvement was accomplished by applying anhydrous NA₂CO₃ into the production plant.

      • KCI우수등재

        초기 하이데거의 현사실성의 해석학 ‒현사실성과 해석학의 관계 문제를 중심으로‒

        서영화(Young-Hwa Seo)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9

        이 글은 초기 하이데거 철학에서 현사실성과 현사실성의 해석학 사이의 관계 문제를 다룬다. 현사실성의 해석학에 관한 논자들의 해석은 현사실성에 대한 철학의 참여 혹은 개입을 어떻게 볼 것인가와 관련하여 입장을 달리한다. 현사실성은 그 자체로 몰락에로의 경향성을 가지며 철학의 개입을 통해서만 현존재의 본래적 삶으로의 전환 가능성이 성립하는가? 아니면, 현존재의 현 사실성은 몰락에의 경향과 동시에 몰락하는 삶의 경향에 대한 반대운동을 그 자체에 포함하며, 그렇기에 현사실성의 해석학은 각자의 현존재가 자신의 실존 가능성을 수행하는 바를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작업으로 한정되어야 하는가? 필자는 후자의 입장에 서서, 현사실성의 해석학을 비본래적 삶을 본래적 삶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아가 현존재의 본래적 실존 가능성과 방식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전자류의 기존 해석이 갖는 부당성을 밝히고자 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초기 하이데거에게 현사실성의 해석학은 각자성과 각자의 현존재가 갖는 실존 수행의 면모를 은폐시키지 않고 그 자체로 드러내는 것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학문 이론으로서의 해석학과 방법적이고 형식적 측면에서 차이를 갖는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연구는 『존재와 시간』을 중심으로 논의 되어 온 본래성과 비본래성의 문제를 초기 하이데거의 연구에 기초해 발생적 관점에서 보여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The main topic of this paper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icity and hermeneutics of facticity.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hermeneutics of factical life differ in regard to philosophical enactment(Einsatz) into the factical life. Can factical life be converted to authentic way of life only through the philosophical enactment because facticity is characterized by a constant moving away from the itself(Abfallen)? Or, does factical life itself have a tendency to take care of their being as a counter movement against falling into decline? My interpretation is that each Dasein’s factical life has the inclination into the decline and also a counter movement against falling into the decline. I explain why the philosophical enactment still be need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the enactment of each Dasein is concealed in the phanomenon of factical life.

      • 도로먼지 구성 성분 원소의 상세한 분석으로 도로먼지 오염원 분류표 작성

        서영화(Young-Hwa Seo) 한국환경관리학회 2010 環境管理學會誌 Vol.16 No.1

        대기 중 미세먼지 오염 배출원의 경로가 불확실한 미세먼지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하여 미세먼지 오염 배출원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오염원의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방법 중 Chemical Mass Balance(CMB) 모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오염원의 오염물질 분류표가 필요하며, 본 연구는 오염원 분류표 중 도로먼지의 분류표 작성을 위한 기초연구로 시행하였다. 도로변 8지점에서 채취한 먼지의 구성 성분들을 상세하게 측정 조사하였는데 채취된 도로먼지는 불산, 질산, 염산을 사용하여 고압 용기에서 마이크로웨이브 분해를 시켜서 완전 액상 시료로 전 처리한 후 ICP-AES로 26가지 원소를 측정하여 조성을 파악하였다. 도로먼지는 토양 구성 원소인 Si, Al, Fe, Ca, K, Na, Mg과 자동차 운행과 여러 산업 활동으로 야기되는 Ba, Mn, Zn, Pb, P 원소들, Cu, Sr, Li, Sb, Ni, V과 극미량의 중금속인 Co, Mo, Cd, As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채취지점별로 오염이 가장 낮은 지점, 주거가 밀집된 도로변 지점, 교통과 사회활동이 가간 빈번한 지점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어서 향후 도로먼지 오염원 분류표로 사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Source apportionment of air particulate by receptor models has been studied to identify and to control the particular source emissions to reduce ambient air particulate levels. Since the source profile is an essential data base to run Chemical Mass Model (CMB), a detailed chemical composition analysis of road dust is carried out to develop road dust source profiles. Road dust samples were collected at 8 sites, and they were degraded into solution samples by microwave treatment with hydrofluoric, nitric and chloric acid in a high pressure vessel followed by ICP-AES analysis. Road dust is made up of the soil group elements including Si, Al, Fe, Ca, K, Na, Mg, the second group elements caused by vehicles and various industrial activities such as Ba, Mn, Zn, Pb, P, the third group elements related with another industrial activities such as Cu, Sr, Li, Sb, Ni, V, and the fourth trace heavy metal group of Co, Mo, Cd, As. Each road dust samples showed the particular characteristic site by site with the lowest pollution character, the crowded housings character and the heavy transportation and social activities character, indicating that the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s future road dust source profiles for CMB modeling.

      • Deuterated isotope standard dilution mass spectrometry 분석 방법에 의한 Levoglucosan의 정량 연구

        서영화(Young-Hwa Seo) 한국환경관리학회 2012 環境管理學會誌 Vol.18 No.3

        Levoglucosan은 농작물 잔재물 소각이나 산불과 같은 생물성 물질의 연소 배출 특성을 강하게 나타내는 유기화합물로서 대기 미세먼지에 함유되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다. 이 화합물은 무수 단당류 유형의 분자로서 2차 알코올의 -OH 작용기를 다량 함유한 화합물로서 유도체화 반응을 하지 않고서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석이 어렵다. BSTFA 유도체 반응 시약으로 유도체화한 후 GC/MS분석에서 levoglucosan은 피크 강도가 매우 약한 분자 질량이온 378을 비롯하여 333, 217, 204m/z와 같은 다량의 딸 질량이온을 가진 질량 스펙트럼을 생산한다. Levoglucosan과 d-levoglucosan을 함유한 표준 혼합액을 수십 번 GC/MS 분석하여 각 각의 딸 질량이온들의 재현성과 안정성을 측정하였는데 333m/z 딸 질량이온의 안정성과 재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기 미세먼지 시료에 함유된 미량의 levoglucosan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PM10 Hi-vol 채취기로 채취한 미세 먼지에 levoglucosan은 126~385ng/㎥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미세먼지 중 미량의 levoglucosan을 측정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판단되었다. Levoglucosan is an organic compound found in atmospheric fine particles, which it presents a strong source characteristic caused from biomass burning including combustion of agricultural residues and forest fires. It is an anhydride monosaccharide type molecule with secondary alcohols -OH, so that it can be hardly analyzed on Gas Chromatography without derivatiz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ic (GC/MS) analysis of levoglucosan after a derivatization with a BSTFA reagent produces several daughter mass ions such as 333, 217, 204m/z including a very weak molecular ion (378m/z). Reproducibility and stability of these daughter mass ions were determined by running standard mixtures of levoglucosan with deuterated labeled levoglucosan compound. Daughter mass ion of 333 m/z was appeared as the mass ion with the best stability and reproducibility within 1.97% RSD. Atmospheric fine particles sampled on quartz filter with a PM10 hi-vol sampler were extracted after spiking d-levoglucosan and analyzed on GC/MS by monitoring daughter ions particularly 333 m/z. PM10 particles contained a levoglucosan within a 126~385ng/㎥ range.

      •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무의 지위에 대한 해석 (1) -『존재와 시간』에서 무가 갖는 세계와 자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영화 ( Seo Young-hwa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1 존재론 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존재와 시간』과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하이데거의 무 개념을 고찰하기 위한 작업의 1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존재와 시간』의 무 개념을 검토한다. 우선 필자는 무에 대한 기존 해석을 검토해 보았다. 그런데 기존 해석자들은 (발터 슐츠, 알베르토 로잘레스, 윌리엄리처드슨) 공통적으로 무를 주체가 개방하는 세계 아니면 존재 자체가 드러나는 것으로 파악함으로써, 무에 대한 해석은 이 둘 중에서 양자택일을 해야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필자에게 무를 주체철학적인 사유의 결과물로 볼 것인가, 존재 자체의 드러남으로 볼 것인가는 대립적이지 않다. 필자는 SZ에서 무를 현존재의 개시성의 이행의 경험으로 해석할 것이다. 현존재의 개시성의 이행은 일차적으로 세계 이행과 관련해서 해석할 것이다. 현존재의 세계 이행 경험은 현존재가 공공의 세계 해석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비로소 자기 세계를 개방하는 경험을 가리킨다. 나아가 필자는 현존재의 개시성의 이행의 경험을 현존재가 세인자기로부터 자기 자신을 회복하는 실존의 운동, 즉 현존재의 자기 이행과 관련해서도 해석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필자는 본래적으로 된 현존재가 자기세계를 개방하는 실존의 운동을 세계의 궁극목적을 이해함으로써 비로소 하나이자 공통의 세계를 개방하는 자로 있게 됨으로 해석할 것이다. 여기에서 하나의 세계를 개방함은 존재자를 그 자체로 비로소 존재하게 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그런 한에서 무는 현존재의 세계상실과 자기상실의 경험이자, 존재자 자체의 경험 가능성 조건을 가리킨다. The focus of this paper, which belongs to the first half of the project to clarify the conception of the Nothing (das Nichts) which figures in Heidegger’s Being and Time and “What is Metaphysics?”, i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er work. First, I criticized the preceding interpretations, proposed by Walter Schultz, Alberto Rosales and William J. Richardson, regarding the Nothing as either the world which the subject discloses or the disclosure of Being itself. I discuss that drawing a strict line between these two choices is misleading because both do not seem to be oppositional to each other. The Nothing is the experience of Dasein’s transfer of disclosedness (Erschlossenheit): this transfer of the Dasein’s disclosedness indicates the experience which Dasein discloses their own world by escaping from the dominance of public world and domestic environment (die Umwelt). Furthermore, the transfer of the Dasein’s disclosedness is that of the self which Dasein regains herself from the way of living as they-selves (das Man-selbst). Consequently, I will interpret that Dasein’s transfer of disclosedness indicates that Dasein regaining herself could let beings reveal as themselves.

      • 서울시 고농도 PMnullnull과 PM2.5 발생시 levoglucosan과의 상관관계

        서영화(Young-Hwa Seo),정권(Jung Kweon) 한국환경관리학회 2013 環境管理學會誌 Vol.19 No.1

        Levoglucosan은 농업 잔재물 소각이나 산불과 같은 바이오매스 연소 특성을 강하게 나타내는 유기화합물이다. 서울 광진구와 구로구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 채취된 PM10과 PM2.5 에서 levoglucosan을 분석하여 그 인과관계를 알아보았다. 동시에 유기 탄소성 물질(OC)과 원소 탄소성물질(EC)도 측정하였다. 미세먼지 채취 기간 중인 1월에 PM10 농도가 120.5 ㎍/㎥, 그리고 PM2.5 농도가 79.2 ㎍/㎥ 까지 높게 관측되었는데 OC 농도도 PM10의 17.5%~44.5%, PM2.5의 25.7~64.6% 까지 동시에 높게 나타나서 OC의 증가가 미세먼지 농도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C/EC 비율도 PM10의 경우 5.13, PM2.5의 경우 5.54로 상당히 높아서 매우 많은 양의 OC가 유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PM10농도가 평상인 날의 PM10 levoglucosan의 농도는 24 ~ 65 ng/㎥ 이었으며, PM10 농도가 높은 날 PM10 levoglucosan의 농도는 225~146 ng/㎥으로 평균 5배 이상 높았다. 그러므로 PM10 농도가 높은 원인은 levoglucosan 농도의 증가 결과로서 바이오매스 연소로 인한 스모그의 유입이 큰 원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PM2.5 농도가 평상인 날의 PM2.5 levoglucosan의 농도는 19.3 ~ 35.4ng/㎥ 이었는데 PM2.5 농도가 높은 날의 PM2.5 levoglucosan의 농도는 114 ~ 146 ng/㎥으로 4~ 5배 이상 높게 관측되어 PM2.5 농도가 높은 원인도 바이오매스 연소로 인한 스모그의 유입이 큰 원인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 결과로부터 levoglucosan의 농도는 미세먼지 농도가 급속하게 오르기 전 하루 전부터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바이오매스 연소 스모그가 유입되면서 미세먼지의 농도는 추후로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of levoglucosan and the high concentration of fine particulate. Levoglucosan is an organic compound found in air particulates, presenting a strong biomass burning characteristics such as combustion of agricultural residues and forest fires. It was measured from fine particulates sampled at the dates when the high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outbreaks occurred in January and February, 2012. When PM10 concentration was raised to 120.5 ㎍/㎥, and PM2.5 concentration was to 79.2 ㎍/㎥, OC concentration were also raised upto 44.5% of the PM10 and 64.6% of the PM2.5, indicated that increase of OC impacted on the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PM10 and PM2.5 High ratio of OC/EC also indicated that a large amount of OC was introduced. Levoglucosan concentrations of PM10 at the dates with high PM10 concentration were 225~146 ng/㎥ which were 5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PM10 concentration. Levoglucosan concentrations of PM2.5 at the dates with high PM2.5 concentration were 114 ~ 146 ng/㎥ which were 4~5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normal PM2.5 concentration. Thes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cause of the high PM10 concentrations could be a levoglucosan concentration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influx of smog caused by the burning of biomass. And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also confirmed that the concentration of levoglucosan was increased from the day before when the fine particulate concentration is rapidly increased.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biomass burning smog influxes earlier and the higher concentration of fine dust occurs later.

      • 건설현장에서 채취한 미세먼지(PM<SUB>10</SUB>)의 분석으로 건설현장 오염원 분류표 작성

        서영화(Young-Hwa Seo) 한국환경관리학회 2013 環境管理學會誌 Vol.19 No.2

        도시 미세먼지의 오염원 추적하는 수용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오염원 분류표 중 건설현장 미세먼지의 오염원 분류표를 작성하였다. 지하 3층, 지상 6층의 건물의 건축과 빌딩 건축을 위하여 임야를 깎아 부지 조성을 동시에 진행하는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PM10)를 채취하여 칼슘, 칼륨을 비롯한 21종의 원소 성분과, 황산 음이온, 질산 음이온, 염소 음이온, 암모니움 양이온과 유기성 및 원소상 탄소 성분을 분석하는데 부지조성에서 비롯되는 흙먼지와, 콘크리트 작업으로 인한 콘크리트 원료 물질과 경유를 사용하는 중대형의 건설 기계들로부터 배출되는 경유 연소로 인한 대기오염물질이 상당량 측정되었다. 양음이온의 합은 총 미세먼지 중량에 가장 높은 분율을 차지하였는데 황산 음이온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원소성분 중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건설현장의 지문을 확실히 나타내는 칼슘은 알루미늄과 실리콘보다 시멘트 원료 조합의 특성으로 3~5배 높게 측정되었다. Construction site source profile showing its finger print was developed by a chemical analysis of PM10 collected at the construction site where a 6-story building was being built, and a digging being done simultaneously to begin a building construction. Detailed chemical analysis including 21 elements, cations, anions, organic and elemental carbons was carried out. Due to the emission gas from the construction transportation machinery equipment that use diesel as fuel, sulfate anion level was the highest component among ions, and total weight of anions and cations ranged from 25~42 wt%, organic carbon ranged from 9~11wt%, elemental carbon ranged from 5.8~6.5 wt%. Calcium level was 3~5 times higher than those of aluminum and silicon, which it directly indicates the finger print of 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