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내산과 수입산 송이의 다량 및 미량 미네랄 함량 비교

        정희경,김경제,서경순,진성우,고영우,임승빈,하늘이,김중범,Jeong, Hee-Gyeong,Kim, Kyung-Je,Seo, Kyoung-Sun,Jin, Seong-Woo,Koh, Young-Woo,Im, Seung-Bin,Ha, Neul-I,Kim, Jung-Beom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5

        The mineral content of Tricholoma matsutake was evaluated for comparison of mine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area of cultivation. Ten domestic and thirty Chinese (10 Yanji, 10 Yunnan and 10 Tibet) T. matsutake specimens were assessed using an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 The Na, Mg, K, and Ca contents of domestic T. matsutake were 128.12±85.25 mg/kg, 218.52±105.35 mg/kg, 7,534.58±2,691.52 mg/kg, and 17.69±7.14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Yanji T. matsutake were 124.89±57.24 mg/kg, 64.07±27.52 mg/kg, 1,439.18±311.04 mg/kg, and 10.88±4.52 mg/kg, respectively. The Na, Mg, K, and Ca contents of Yunnan T. matsutake were 90.78±23.23 mg/kg, 77.40±28.36 mg/kg, 1,446.29±126.33 mg/kg, and 28.42±5.18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Tibet T. matsutake were 143.50±41.54 mg/kg, 124.64±50.18 mg/kg, 3,530.95±2,714.99 mg/kg, and 21.05±8.71 mg/kg, respectively. The Cu contents of domestic, Yanji, Yunnan, and Tibet T. matsutake were 105.43±32.97 mg/kg, 19.92±8.95 mg/kg, 54.51±16.91 mg/kg, and 64.80±23.01 mg/kg, respectively. Both domestic and Chinese T. matsutake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K, Mg, and Cu levels in this study. Therefore,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K, Mg, and Cu contents of multiple domestic and Chinese T. matsutake varieties is neede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area of cultiv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유청과 표고버섯 추출물의 혼합 발효를 통한 기능성 음료 제조

        양희선 ( Hee Sun Yang ),조준희 ( Jun Hee Jo ),최유진 ( Yu Jin Choi ),정후길 ( Hoo Kil Jung ),박태영 ( Tae Young Park ),진성우 ( Seong Woo Jin ),최봉석 ( Bong Suk Choi ),서경순 ( Kyoung Sun Seo ),허창기 ( Chang Ki Huh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4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2 No.2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유청과 표고버섯을 혼합한 기능성음료를 개발해 유청의 활용 범위를 높이고자, 유청과 표고버섯을 혼합하여 유산균 발효를 시킨 다음, 발효 전.후 성분 비교, 항산화 활성 평가 및 관능검사 등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고버섯 첨가량에 따른 pH 변화는 버섯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료구별 큰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도는 표고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걸 확인하였다. 표고버섯 첨가 유청 발효액의 유산균수는 1011까지 확인되어 유산균 음료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발효 전 유청과 발효후 유청 발효액의 단백질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않았고, 지방 함량은 0.31%에서 0.63%로 발효 후 유청 발효액이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lactose의 경우, 발효 전 4.83%에서 발효 후 2.48~2.61%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 전 유청은 196.7 mg%였고, 발효 후 유청 발효액의 경우 260.16~462.16 mg%로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효 전.후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유산균 접종 후 즉시 측정한 값과 비교해, 발효 24시간째측정한 값이 모든 시료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ABTS radical소거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결과와 마찬가지로 발효한 시료가 발효 전 시료에 비해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발효 전.후 산화질소 생성량은 발효 후의 산화질소 생성량이 발효 전의 산화질소 생성량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청 발효액의 관능평가 결과는 색, 맛및 종합기호도 항목에서는 1.0% 첨가구에서 4.7, 4.5 및 4.8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유청 발효액의 브랜딩을 통한 유청 음료의 관능평가 결과, 브랜딩 후 유청 음료는 7~8점 정도의 기호도를 보여 음료로써의 기호도 값을 확보하였다. 표고버섯향 첨가량에 따른 기호도를 보면 0.01% 첨가 시료구에서 모든 항목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 functional drink prepared by mixed fermentation of oak mushroom extract and whey. As the ratio of oak mushroom extract increased, the pH value of the whey fermentative solution decreased proportionally, and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after 24 hours of culture was at a level of 1011 CFU/mL in all whey fermentative solutions containing oak mushroom extrac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fter 24 hours of culture were higher in a fermentative solution containing oak mushroom extract than in the control. After 24 hours of culture, the nitric oxide production in whey fermentation solution by LPS-induced RAW 264.7 cells was lower compared to that in whey fermentation solution with oak mushroom.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color, flavo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whey fermentation solution sample, which contained 1.0% oak mushroom extract, were much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Sensory evaluation of a whey drink containing oak mushroom flavor indicated that the whey drink containing 0.001% oak mushroom flavor was better than the other samples.

      • KCI등재

        국내산과 중국산 능이의 미네랄 함량 비교

        정희경,김경제,서경순,진성우,고영우,임승빈,하늘이,김중범,Jeong, Hee-Gyeong,Kim, Kyung-Je,Seo, Kyoung-Sun,Jin, Seong-Woo,Koh, Young-Woo,Im, Seung-Bin,Ha, Neul-I,Kim, Jung-Beom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1

        국내산과 중국산 능이에 대한 다량미네랄, 미량미네랄 및 유해중금속 함량을 비교하여 원산지 판별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능이의 미네랄 함량은 원자흡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및 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ICP-M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국내산 능이의 Na, Mg, K 및 Ca 함량은 각각 170.3±44.0 mg/kg, 81.3±20.8 mg/kg, 1,123.8±274.3 mg/kg 및 12.1± 4.1 mg/kg으로 분석되었으며, 중국산 능이는 각각 112.2±40.8 mg/kg, 297.8±20.9 mg/kg, 10,938.4±2,914.1 mg/kg 및 52.5±27.7 mg/kg으로 분석되어 유의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량미네랄 및 유해중금속 함량은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능이의 원산지 판별 지표 확립을 위하여 향후 다수의 국내산 및 중국산 능이를 사용한 Na, Mg, K 및 Ca 함량 비교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mineral contents of domestic and Chinese Sarcodon aspratus were analyzed for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the mineral content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ites. The mineral contents of 10 domestic and 10 Chinese S. aspratus were analyzed by using an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an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 The sodium, magnesium, potassium, and calcium contents of domestic S. aspratus were 170.3±44.0 mg/kg, 81.3±20.8 mg/kg, 1,123.8±274.3 mg/kg, and 12.1±4.1 mg/k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Chinese S. aspratus were 112.2±40.8 mg/kg, 297.8±20.9 mg/kg, 10,938.4±2,914.1 mg/kg, and 52.5±27.7 mg/kg,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icro mineral contents and hazardous heavy metal contents between domestic and Chinese S. aspratus,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cro mineral contents between domestic and Chinese S. aspratus. Thus, the comparative analyses of the sodium, magnesium, potassium, and calcium contents of many domestic and Chinese S. aspratu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ir production site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발효유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최유진 ( Yu Jin Choi ),양희선 ( Hee Sun Yang ),허창기 ( Chang Ki Huh ),오현희 ( Hyun Hee Oh ),박태영 ( Tae Young Park ),김민경 ( Min Kyung Kim ),진성우 ( Seong Woo Jin ),서경순 ( Kyoung Sun Seo ),정후길 ( Hoo Kil Jung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3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JMSB) Vol.31 No.2

        노년층에 특화된 기능성 발효유를 개발하기 위하여 버섯추출물이 첨가된 발효유 3종(상황, 영지, 표고)을 제조하여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pH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버섯 추출물 첨가구에서 감소하였고, 적정산도와 유산균수 변화는 증가하였다. 일반성분 중에서 조단백질, 탄수화물 및 당류의 함량이 높았으며, 무기질 함량에서는 칼륨, 칼슘, 나트륨, 니켈, 망간 함량이 버섯 추출물 첨가구에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에서는 대체적으로 버섯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점수를 얻었지만, 표고 추출물 1% 첨가구의 경우 색, 향, 맛, 조직감, 전체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냈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버섯 추출물 첨가구에서 항산화 활성이 매우 증가하였으며, 특히 영지 추출물이 첨가된 발효유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버섯 발효유의 품질평가 결과, pH, 적정산도, 유산균수는 품질 변화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학적 및 기능적으로 우수한 새로운 기능성 발효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milk containing mushroom (Phellinus baumii, Ganoderma lucidum, and Lentinus edodes) extracts. As the ratio of the mushroom extract increased, the pH of the fermented milk decreased proportionally and titratable acidities increased significantly. The number of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was the highest in the fermented milk sample containing 1.0% Lentinus edodes extract.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ermented milk containing mushroom extract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pH, titratable acidity, and the number of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were not remarkably different between the milk samples subjected to treatments with and without the addition of mushroom extracts during the storage period. From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fermented milk samples containing mushroom extracts, th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fermented milk sample containing 1.0% Lentinus edodes extract was found to be considerably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indicated that the fermented milk containing mushroom extracts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antioxidant containing food.

      • KCI등재

        표고 유산균 발효물의 성분 및 간기능 보호 효과

        임승빈,김경제,진성우,고영우,하늘이,정희경,이재근,윤경원,서경순,Im, Seung-Bin,Kim, Kyung-Je,Jin, Seong-Woo,Koh, Young-Woo,Ha, Neul-I,Jeong, Hee-Gyeong,Lee, Jae-Keun,Yun, Kyeong-Won,Seo, Kyoung-Sun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인체에 유익한 효과가 있고 부작용 없이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간보호 및 간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표고를 추출 및 농축하여 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3종의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였다. 표고의 농도를 달리하여 유산균을 배양하였을 때 면역관련 물질인 ergothioneine 및 β-gluca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ergothioneine함량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plantarum이 첨가되어 배양된 발효물이 40.48 mg/100 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β-Glucan은 30% 표고추출농축액에 L. brevis가 첨가된 발효물이 13.94%로 가장 높은 함량이 나타났다. 두 면역관련 물질 모두 표고추출농축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SD rat을 간을 적출하여 일차 간세포로 분리해 발효물의 간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표고추출농축액과 유산균 발효물을 10, 50, 100, 500 ㎍/mL을 일차 간세포에 처리하여 MTT assay 방법으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10 mM 아세트아미노펜을 처리하여 독성을 유발한 일차 간세포에 시료를 처리하여 AST, ALT, LDH를 측정한 결과, 효소의 농도가 감소하여 간보호 기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중 L. brevis를 첨가하여 배양한 발효물 처리구에서 효소의 농도가 가장 감소한 것을 보았고, 가장 간보호 효과가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표고추출농축액에 유산균을 첨가하여 발효하였을 때, 기존의 표고보다 면역관련 물질의 함량이 증가하고, 간기능 보호에 더욱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표고 유산균 발효물이 건강기능 소재로서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usefu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Lentinula edodes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LAB). Three LAB strains (Lactobacillus brevis KCCM 11904, L. plantarum KCCM 354469, and L. fermentum KCCM 12116) were inoculated and used for L. edodes hot water extract (10%, 20%, 30%) fermentation. LAB fermentation of L. edodes hot water extracts decreased pH and thus were more acidic than non-fermented L. edodes hot water extract. β-glucan and ergothioneine contents were increased by L. edod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ergothioneine and β-glucan contents were highest in fermented with 30% L. edodes hot water extract fermented by L. plantarum and L. brevis (40.48 mg/100 g and 13.94%, respectively).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L. edodes hot water extracts by the three LAB were tested using Sprague-Dawley rat primary hepatocytes. In primary hepatocytes obtained following liver injury induced by acetaminophen, fermented L. edodes hot water extracts by the three LAB showed protective effects, as evident by reduction of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liver markers. The collectiv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rmented L. edodes hot water extracts obtained using LAB are potentially valuable in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 KCI등재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스프레드잼의 품질특성

        하늘이,정희경,진성우,김경제,고영우,임승빈,정상욱,윤경원,김기만,서경순,Ha, Neul-I,Jeong, Hee-Gyeong,Jin, Seong-Woo,Kim, Kyung-Je,Koh, Young-Woo,Im, Seung-Bin,Jeong, Sang-Wook,Yun, Kyeong-Won,Kim, Ki-Man,Seo, Kyoung-Sun 한국버섯학회 2021 한국버섯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상품성이 떨어지는 원목표고를 활용하여 전통된장의 기호성과 저장성이 향상된 저염표고된장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확인하였다. 대조구로 시판된장(전통된장, 농업회사법인 장흥식품)을 분석하였다. 염도함량은 염수 중 식염 첨가량이 낮은 저염표고된장이 시판된장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 L(명도)값은 더 높게 나타났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은 저염표고된장보다 시판된장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시판된장에서 glucose, fructose,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저염표고된장에서는 arabinose와 fucose가 추가로 검출되었다. 유기산 분석결과 시판된장과 저염표고된장은 2 종만 검출되었으며,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은 4 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시판된장과 저염표고된장의 주요 아미노산은 histidine, glutamic acid, arginine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시판된장(49.26 mg%)보다 저염표고된장(54.81 mg%)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염표고된장을 활용한 된장스프레드잼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43.01 mg%로 나타났다. Ergosterol 함량과 β-glucan은 표고정과를 첨가한 된장스프레드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중된장보다 저염표고된장에서 함량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저염표고된장 및 된장스프레드잼은 표고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며, 염도가 낮은 장점이 있어 표고를 활용한 건강식품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a low-salt Lentinula edodes soybean paste (LSLESP) with improved palatability and storability relative to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was developed by utilizing low quality log cultivation of L. edodes. We also conducted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es of spread jam made from low-salt L. edodes soybean paste (SJLLESP). The lowest salinity content and the highest L (brightness) value was found in LSLESP. According to proximate compositions analysis,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 were higher in commercial soybean paste than in LSLESP. Glucose, fructose, and maltose were the only free sugars detected in commercial soybean paste, whereas arabinose and fucose were additionally detected in LSLESP. Only two types of organic acid, were detected in common in commercially available soybean paste and LSLESP. Four types of organic acid, were detected in SJLLESP due to its added ingredients. The major free amino acids in commercially available soybean paste and LSLESP are histidine, glutamic acid, and arginine. Total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LSLESP (54.81 mg%) than in commercial soybean paste (49.26 mg%).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in SJLLESP was 43.01 mg%. Ergosterol and β-glucan contents were highest in SJLLESP. The elevated ergosterol and β-glucan content in low-salt LSLESP relative to commercial soybean paste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LSLESP and SJLLESP contain useful components from L. edodes, and offer the advantage of low salinity. LSLESP and SJLLESP could thu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using L. edode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