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생지 우점수종의 산마늘 발아 및 유묘 생장에 미치는 잠재적 알렐로파시 효과

        정미진 ( Mi Jin Jeong ),송현진 ( Hyun Jin Song ),김학곤 ( Hak Gon Kim ),서영롱 ( Yeong Rong Seo ),임현정 ( Hyeon Jeong Im ),서강욱 ( Gang Uk Suh ),최명석 ( Myung Suk Choi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알렐로파시 효과 구명을 위해 수종은 울릉도 산마늘 자생지의 우점종인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를 내륙지역 산마늘 자생지 우점종인 신갈나무, 그리고 내륙지역 산지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소나무와 잣나무에 대해 산마늘 종자발아와 실생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수종의 잎을 산마늘종자의 발아율 및 생장을 측정하기 위해 낙엽처리, 분쇄잎 처리, 그리고 냉·열수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였다. 그 결과, 낙엽처리에서는 53~58%로 상대적으로 발아율이 높았고, 분쇄된 잎을 인공토와 섞어처리하였을 때 산마늘의 발아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종 중에서는 소나무 처리구가 가장 산마늘의 발아율을 억제시켰으며, 지상부 생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냉·열수 추출물을 다른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5% 소나무 추출물이 산마늘 종자의 발아를 가장 억제하였고, 전체적으로 냉수추출에서는 침엽수인 소나무와 잣나무 처리에서 낮은 발아를 보였다. 자생지 우점종인 너도밤나무 처리는 산마늘종자의 발아와 실생묘 생장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열수추출된 활엽수 추출물은 산마늘의 종자발아와 실생묘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Allelopathic effect of a dominant tree species on 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habitat were investigated using fallen, grinded leaves and aqueous extracts. Fallen leaves showed germination percentage in 53~58%. Seed germination on grinded leaves was inhibited significantly compared to fallen leaves feeding. Fallen leaves of Pinus densiflora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on seedling growth compared to other tree species. Root growth of seedling was inhibited in 3g treatment of Acer okamotoanum, P.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fallen leaves.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in inland area inhibited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which indicates that plants may possible allelopathic activity. Cold and hot aqueous extracts of 5 tree species caused a reduction in germination percent, seedling vigour index. Tolerance index was significantly low as 5.0% in 5% extract of P. densiflora and exhibited unique pattern on seed germination according to deciduous or conifer tree. Cold aqueous extracts of the P. densiflora revealed the strong inhibitory effect on germination, with hot aqueous extracts of deciduous trees exhibiting lower germination percentage.

      • KCI등재

        한반도 특산식물 꼬리말발도리 개체군 구조 및 서식지 특성

        정지영 ( Jung Ji-young ),피정훈 ( Jung-hun Pi ),박정근 ( Jeong-geun Park ),정미진 ( Mi-jin Jeong ),김은혜 ( Eun-hye Kim ),서강욱 ( Gang-uk Seo ),이철호 ( Cheul-ho Lee ),손성원 ( Sung-won So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6 생태와 환경 Vol.49 No.1

        꼬리말발도리는 한반도 특산식물임에도 불구하고 종의 분포, 개체군 및 자생지 특성, 그리고 이것에 기초한 종 보전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꼬리말발도리를 대상으로 종 분포 및 생태 특성을 분석하였다. 꼬리말발도리의 분포 특성은 문헌, 표본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참고하였다. 현장 조사는 6개 지역에서 11개의 대방형구 (15×15 m)와 33개 소방형구 (5×5 m)의 자생 집단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개체군 특성으로 풍부성(밀도, 피도), demographic 속성 (개화율 및 결실율)이 조사 되었으며, 자생지 특성으로 식생 (구조 및 종조성), 임내광량 (광량, 수관열림도) 및 토양 (온·습도, 이화학 속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꼬리말발도리는 경상도 (강원도 태백 포함)가 분포 중심이었으며, 넓은 해발 분포 범위 (평균 493 m, 및 해발 290~959m 범위)를 나타내었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평균 사면경사는 16° (7~35° 범위)이었으며, 주로 너덜 계곡 입지 및 그곳과 접한 사면하부에 분포하였다. 꼬리말발도리 개체군의 소방형구 (5 m×5 m) 내에서 평균 12.5개체가 출현하였고, ㎡당 평균밀도는 0.5를 보였다. 평균 개화율은 15%로 낮은 개화율을 보이며 영양생식에 의한 번식이 빈번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조사구 수준 식물상은 138분류군이었다. 꼬리말발도리 자생지의 식생은 너덜 입지환경을 잘 반영하는 층층나무 (중요치 25.5%) 및 물푸레나무 (중요치 15.8%)가 우점하는 서식지로 나타났다. 층층나무 유형은 급경사지역, 그리고 물푸레나무 유형은 주로 높은 해발고도에 분포하는 특성이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꼬리말발도리는 인간 활동보다는 범람과 같은 자연 교란, 기후변화 및 진화생태학적인 요인에 의해 개체수의 변동이 예상되는 종으로 판단되며, 개체군 및 자생지의 지속성을 위협하는 뚜렷한 증거는 찾아볼 수 없었다. Deutzia paniculata is an endemic species to the Korean Peninsula. Despite of importance for conservatio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D. paniculata have not been determined yet. We analyz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Field survey was conducted on May to October 2014 during which 11 quadrats of size 15×15 m were studied in six regions. Each of the quadrats were further divided into 5×5 m small quadrats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were recorded. The popula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cluding species abundance (density and coverage), demographic attributes (flowering rates and fruiting plants), vegetation (structure, species composition), light availability (transmitted light and canopy openness) and soil characteristics (temperature and humidity). We found that D. paniculata mainly distributed in Gyeongsangdo (including Taebaek in Gangwondo) along a broad elevational range of 290~959 m (mean: 493 m) above sea level. In preferred habitat the species grows within the slope range of 7° and 35° with the average of 16°. D. paniculata was generally distributed on talus deposits and low adjacent slopes. The average number of individual plants per small quadrat was 12.5 with the mean density 0.5 stemsm<sup>-2</sup>. The vegetative reproduction was frequent in D. paniculata and mean flowering rate was as low as 15%. Altogether 138 taxa were found in whole observation area with the dominant tree species mainly spring ephemerals, such as Cornus controversa (importance value: 25.5%) and Fraxinus rhynchophylla (importance value: 15.8%). Although, C. controversa usually grows on steep slopes and F. rhynchophylla mostly distributed at high-altitudes, however, both species distributed in disturbed environments and among talus deposits. Thus based on our results, we concluded that D. paniculata is a disturbance-prone species, primarily existing in habitats subjected to natural disturbances, such as floods. The species occurs less at anthropogenically disturbed sites, thus there is no apparent threat to the populations and habitat of D. panicul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