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흡연량과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관련성에 관한 경향성 분석

        변해원(Byeon, Hae-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3

        우리나라 성인의 현재 흡연율은 감소 추세이지만, 여전히 OECD국가 중에서 가장 높다. 이 연구에서는 2008 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이비인후 검진을 완료한 19세 이상 지역사회 성인 3,600명을 대상으로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위험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는지에 관한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는 연령, 성, 교육수준, 소득 사분위수, 최장직업, 음주, 최근 2주 동안 만성 및 급성 질환 등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 여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고도 흡연(>40.5∼55.5 pack year)과 일일 평균 1갑 이상의 흡연은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독립적인 위험요 인이었다. 일일 평균 흡연량이 증가할수록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지만, 평생 흡연량(pack year)은 교차비의 증가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인 인지 음성장애의 조기 선별 및 예방을 위해서 주관적 음성 평가 외 에도 추가적으로 현재 흡연량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The South Korea has the highest overall smoking rates of male among the thirty member-countries i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mount of smoking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 in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national survey data.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8. Subjects were 3,600 persons (1,501 male, 2,099 female) aged 19 years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Adjusting for covariates (age, sex, education, income, longest occupation, alcohol drinking, pain and discomfort during the last 2 weeks), Severe smoke (>40.5-55.5 pack year), more than 20 cigarettes per day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elf-reported voice problem.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cigarettes smoked per day (CPD) the proportional increased in risk of voice disord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vestigation of CPD are required for effective screening of voice disorder.

      • KCI등재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의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에 따른 음성 변화

        변해원(Byeon, Hae-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4

        이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NMES) 과정에서 나타 나는 음성의 변화를 음향음성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고, NMES 중재가 음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0년 2월 부터 2011년 3월까지 인천광역시의 2개 병원에서 삼킴장애로 진단을 받은 발성이 가능한 15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를 실시하였다. 음성은 강도, 음도(F₀), 음질(Jitter, Shimmer, NNE; Normalized Noise Energy)을 측정하였고, 중재가 종료된 1주 후에 변화된 음성이 유지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 과, NMES 중재 후 대상자의 삼킴 기능 회복과 함께 음성 강도가 향상되었고, 성대 진동의 주기성(Jitter, Shimmer)이 안정되었다(P<0.05). 그러나 음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NNE는 중재 후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비정상적인 수치를 보였다. 이 결과는 반복된 경부근육전기자극치료가 삼킴 능력의 회복과 함께 음성 강도의 향상 및 성대 진동 주기성 의 안정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changes in voice using acoustic analysis during the process of neuromuscular electircal stimulation targeting dysphagia treatment. Fifteen man with dysphagia caused by stroke was treate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two months and intensity of voice, F₀, Jitter, Shimmer, NNE were measu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improvement in functions of dysphagia and Jitter, Shimmer were stabilized. But there was not significantly changes of F₀. NNE was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but still showed abnormal levels. This result suggests a possibility of effects that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has on stabilization of Jitter, Shimmer and intensity of voice.

      • KCI등재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흡연과 우울증의 관련성

        변해원(Byeon, Hae-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0

        이 연구는 2009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를 완료한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재학생 36,657명 (인문계 27,380명, 실업계 9,277명)을 대상으로 흡연과 우울증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혼란 변수는 성, 학년, 학교급, 학업성적, 경제상태, 주관적 스트레스 인지, 주관적 수면 충족률, 주관적 행복 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자살 생각 경험을 포함하였다. 연구 결과, 평생 흡연 경험이 없는 학생에 비해서 흡연 경험이 있는 학생은 우울증의 관련성이 약 1.4배(OR=1.43, 95% CI: 1.35-1.50) 더 유의미하게 높았다(p<0.01). 또한, 일일 평균 흡연량이 1 개비 이하인 학생에 비해서 반 갑 이상 한 갑 미만인 학생은 우울증의 관련성이 약 1.5배(OR=1.48, 95% CI: 1.22-1.79), 한 갑 이상인 학생은 우울증의 관련성이 약 2배(OR=2.05, 95% CI: 1.59-2.64) 더 유의미하게 높았다 (p<0.001).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기 흡연이 우울증과 독립적으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 결과를 기초 로 청소년기 정신 건강의 증진 및 유지를 위해서 흡연 행위의 적극적 관리가 요구된다. Smoking among adolescents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depression Symptoms of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09. Subjects were 36,657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community. Adjusting for covariates (sex, school year, school education, economics, school record, hours of sleep per day, self-reported stress, self reported happiness, self-reported health status, suicidal thinking), smoker(OR=1.43, 95% CI: 1.35-1.50), 10~19 cigarettes per day(OR=1.48, 95% CI: 1.22-1.79) and more than 20 cigarettes per day(OR=2.05, 95% CI: 1.59-2.64)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depression Symptoms. It was found that cigarette smoking is a independent factor related to adolescent depression.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is needed to management of adolescent depression.

      • KCI등재

        이완형과 경직형 마비말장애 남성의 이중모음 /야, 위, 의/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변해원(Hae Won Bye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1

        배경 및 목적: 이중모음은 활음과 모음의 빠른 연결로 생성되는데, 청지각적 평가만으로는 오류의 위치와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상남성과경직형, 이완형 마비말장애 남성을 대상으로 이중모음 /야, 위, 의/의 시간점에 따른 음향음성학적 특성을 통해서 혀와 턱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산출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방법: 경직형마비말장애 화자 4명과 이완형 마비말장애 화자 2명, 정상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스크린에 제시된 /햐다/, /휘다/, /희다/를 읽는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이중모음은스펙트로그램을 통해서 전체 구간이 4구간으로 나누어졌으며, 각 시간점의 평균 포먼트 수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야/의 산출과정에서 이완형 마비말장애집단은 정상집단과 경직형 마비말장애집단보다 전이구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위/에서는 모든 구간에서 경직형 집단과 이완 형 집단의 혀가 후방화되어 조음이 되었다. /의/에서는 정상집단과 경직형 마비말장애집단은턱과 혀의 움직임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완형 마비말장애집단은 산출과정에서 턱과혀의 움직임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결과는 마비말장애 화자의 이중모음 산출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Diphthong is accomplished with a fast connection glide and vowel.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type of error and position using only the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oustic 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diphthongs /ja/, /wi/, and /ɰ/ in a word reading assignment between patients with dysarthria (flaccid, two; spastic, four; average age, 58 years) and normal patients (N=10, average age, 57 years). Methods: Using the computer program “Kalvin (2004),” test words consisting of /h +‘diphthong’ + da/ were shown on a computer monitor. Recorded diphthongs were divided into four sections, and the average formants of each moment were analyzed using ‘Praat’ (version 4.6.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ja/, changes in the position of a tongue were observed in the spastic dysarthria group, and backing appeared when a diphthong was pronounced. A longer transition time of diphthongs was observed in the flaccid dysarthria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normal group.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wi/, more backing was observed in the dysrthria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while the position of the tongue was tune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ɰi/, while the levels of the openness of the jaw in the normal group were pronounced in the form of /i/, a single vowel, it can be estimated that /ɰi/, a diphthong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 openness of the tongue was tuned in the flaccid dysarthria group. Discussion &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understand for vowel of dysarthric speech.

      • KCI등재

        우리나라 중학생의 체질량지수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우울감 경험의 관련성

        변해원(Byeon, Hae-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2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생의 체질량지수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우울감 경험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2012년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 재학생 37,29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비만 및 주관적 체형인식과 우울증의 관련성은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신의 체형이 저체중이라고 인지하는 중학생은 우울감 경험의 관련성이 약 111%(OR=1.11, 95% CI: 1.03-1.20) 더 높았고 (p<0.01), 비만으로 인지하는 중학생은 우울감 경험의 관련성이 약 114%(OR=1.14, 95% CI: 1.06-1.22) 더 높았다 (p<0.001). 그러나 체질량 지수는 저체중과 비만 모두 우울감 경험과 관련성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를 근거로 청소년 정신건강의 증진을 위해서 주관적 비만뿐만 아니라 주관적 외소집단의 정서적 문제에도 관심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ody Mass Index (BMI), weight perception and depression-like symptoms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2012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The subjects were 37,297 students living in the community. Adjusting for covariates (sex, school year, home economics, city-type, school record, self-reported happiness, self-reported health status, suicidal thinking, smoking, alcohol consumption), the self-reported obesity (OR=1.14, 95% CI: 1.06?1.22) and self-reported underweight (OR=1.11, 95% CI: 1.03?1.20), compared to the self-reported healthy weight, we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like symptoms. On the other hand, the BMI-based weight was not associated independently with depression-like sympto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eight perception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like symptoms.

      • KCI등재

        잠재적 위험요인의 탐색에 관한 단일표본분석과 복합표본분석의 비교

        변해원(Byeon, Hae-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5

        본 연구는 잠재적 위험요인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단순임의추출분석(unweighted sample design), 빈도 가중치 를 적용한 단일표본분석(frequency weighted sample design), 가중치를 층화하여 적용한 복합표본분석(complex sample design)을 비교하고, 도출된 결과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원은 2009 국민건강영양조 사의 이비인후과 검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피어슨의 교차검정(Pearson chi-square test)과 라오-스콧교차검 정(Rao-scott 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빈도 가중치만을 적용한 단일표본분석의 경우에는 모든 변수가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과대 예측 되었고,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은 단순임의추출 분석과 복합표본분석은 유의수준 및 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국가통계자료를 이용할 때, 연구의 결과가 전체 인구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하 기 위해서는 층화변수와 집락변수를 사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하는 복합표본분석이 필요하다. 나아가, 빈도 가중치만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연구 결과에 대한 과잉해석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This study compared the unweighted sample design, frequency weighted sample design and complex sample design to using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an effort to identify whether or not there is any difference in potential risk factors. Pearson chi-square test and Rao-scott chi-square test were applied to the analytic methods. As a result of analyses, all the variables were overestimated as significant risk factors in case of the unweighted sample design to which only the frequency weights were applied.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fidence levels and results from the simple random sampling analysis and complex sample design to which no weight was applie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complex sample design rather than the analysis to which the frequency weights are applied, in order to ensure the findings to represent the whole population when our national statistics data is used.

      • KCI등재

        음성문제 인지 기간의 증가에 따른 음성장애 발병의 선형 추세 분석

        변해원(Hae Won Byeo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or not a risk of voice disorder increases as the duration for the self-reported voice disorder increases.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8. Subjects were 3,113 persons (1,303 male, 1,810 female) aged 19 years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Co-variates were age, sex, education, longest occupation, smoking, alcohol consumption, thyroid disorder, and pain and discomfort during the last two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d Cochran-Armitage trend test. As a result of research, a risk of voice disorder was significantly higher, about 3.3 times if the period of the self-reported voice problems lasted for less than three weeks, and significantly higher, about 5.6 times if it lasted for three weeks or longer (p<0.001). In addition, the odd ratio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period of the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guideline for self-reported voice problems for the prevention of voicedisorders.

      • KCI등재

        흡연과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의 연관성

        변해원(Hae Won Byeon) 한국언어치료학회 2011 言語治療硏究 Vol.20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cross-section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national survey data. Data were drawn from the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3,600 persons 1,501 male, 2,099 female) aged 19 years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djusting for co-variates (age, sex, education, income, longest occupation, alcohol drinking, pain and discomfort during the last 2 weeks), current smoker (OR=5.30, 95% CI: 3.30-8.50), more than 20 cigarettes per day (OR=l.84, 95% CI: 1.12-3.02), no experience in smoking cessation (OR=2.l5, 95% CI: 1.15-4.02) were considered independently associate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p<0.05). However, age of starting to smoke and duration of smoking were not significant relate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urrent smokers, amount of smoking, and no experience in smoking cessation are high risk factor for voice problems in the adult po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