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양배 과실의 육질 관련 형질의 유전분석

        황해성(Hae Sung Hwang),변재균(Jae Kyun Byeon),김휘천(Whee Cheon Kim),신일섭(Il Sheob Shin)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1

        동양배의 교배육종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13품종의 교배친을 이용한 15 조합으로부터 얻어진 교배실생 4,035주를 공시하여 과실의 품질과 밀접한 상관이 있는 육질관련 주요 형질에 대한 유전력, 양친평균과 실생평균과의 상관과 후대실생의 분포특성을 분석하였다. 배 과실 육질관련 형질의 유전력은 조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경도, 육질경도, 육질밀도, 석세포 모두 대부분의 조합이 0.6 내외로 비교적 높았다. 그러나, 경도에 있어서는 조합별로 유전력의 차이가 다른 형질에 비해 큰 편이었고 ‘신고’ × ‘장수’ 조합에서는 유전력이 0.11로서 특이하게 낮았다. 배 육질관련 형질의 양친평균과 교배실생 평균 사이에 경도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육질경도, 육질밀도, 석세포 함량에서는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회귀계수는 경도 0.778, 육질경도 0.343, 석세포는 0.313으로 산출되어 경도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 반면 육질밀도에서는 -0.273으로 부의 회귀값을 나타냈다. 배과실 육질 관련 형질인 양친의 경도, 육질경도, 육질밀도, 석세포 함량에 대한 조합별 교배실생의 분포양상이 달랐으며 특히 경도는 양친이 모두 낮은 경우 낮은 쪽 낮음 × 높음 의 경우 중간에, 높음 × 높음의 경우 높은 실생이 많이 분포되는 양상이었으며 석세포 함량이 적음 × 적음 조합에서는 실생의 분포가 적은 쪽으로, 적음-중간 × 중간-많음 조합에서는 중간에 많은 실생이 분포되는 양상을 보였다. To improve the breeding efficiency of oriental pear, the inheritance of major fruit traits were analyzed using 4,035 seedlings of 15 cross combinations combined with 13 cultivars. Yearly variation of parental cultivars, broad-sense heritability of the traits, and frequency of seedlings with commercially acceptable characteristics by the mid-parent values were studied. Despite the heritabilities of traits related with pear the fruit texture were different depending on cross combination, the average narrow-sense heritability (h²) for firmness, flesh hardness, flesh density and grit were over 0.6, a relatively high value. However fruit firmness showed different heritability among the cross combination and its value of cross combination between ‘Niitaka’and ‘Choju’ was very low as 0.11. Positive correlation was not observed on fresh hardness, fresh density and grit but observed on firmness between mid-parent value and average value of offspring. Regression of offspring on firmness, fresh hardness, fresh density and grit between mid-parent value and average value of offspring were 0.778, 0.343, -0.273, 0.313, respectively. Frequency distributions of fruit texture in 15 cross combinations of pear seedling was influenced by parental characteristics. When fruit firmness was estimated as low, low × high and high × high values in parental fruits, firmness in their offspring exhibited low, medium and high, respectively. In addition, when parental grit by sensory evaluation were light × light and light- medium × medium-heavy, most of offsprings showed light and medium grit, respectively.

      • KCI등재

        동양배 과실 숙기형질의 유전분석

        황해성(Hae-Sung Hwang),변재균(Jae-Kyun Byeon),김휘천(Whee-Cheon Kim),신일섭(Il-Sheob Shin)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5

        동양배의 교배육종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13품종의 교배친을 이용한 15개 교배조합으로부터 얻어진 실생 4,035주를 시험재료로 과실숙기에 대한 유전력, 양친 평균과 실생 평균과의 상관과 후대 실생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10년간 조사된 교배친 13품종의 숙기 평균과 표준편차 및 변이계수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조생종의 숙기가 만생종에 비해 숙기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품종의 숙기 변이 계수는 0.92-3.41사이로 과실의 다른 형질에 비해 변이 폭이 좁고 안정된 형질임을 보여주었다. 유전력은 대부분의 조합에서 0.8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숙기의 유전력은 다른 형질에 비해 매우 높아 표현형에 의해 양친을 선택하여 교배하였을 때 후대 실생의 평균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교배 실생의 숙기 변이의 방향은 만생종 품종을 교배친으로 한 조합에서는 교배 실생의 평균숙기가 양친 평균보다 빨라 만생에 비해 조생이 우성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중생종 × 조생종 조합이나 중생종 × 중생종 조합에서는 평균 숙기와 거의 일치되었다. 배 과실 숙기의 양친 평균과 실생 평균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r = 0.68<SUP>**</SUP>)이 인정되었다. 배 과실의 숙기와 과중 사이에 밀접한 상관이 존재함으로 숙기에 대해 선발을 행하는 경우 과중에 대해서도 간접적으로 선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o improve the breeding efficiency of oriental pear, heritability, correlation and frequency distribution of fruit ripening date were analyzed using 4,035 seedlings obtained from 15 families between 13 parental cultivars. Although variation of fruit ripening time was higher in most early-ripening parental cultivars than in late-ripening parental cultivars, according to analysis of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ripening variation for ten years, fruit ripening time obtained from all parental cultivars was inherited narrower and more stable variation than others fruit trait, with 0.92-3.41 in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heritability of fruit ripening time was calculated to be over 0.8 in almost all crosses and average fruit ripening time of seedlings from cross combinations could be predicted based on that of the parental cultivars due to its superior heritability relative to other fruit traits. The average ripening time was earlier than the mid-parental value in families obtained from cross combinations using at least one late-ripening cultivar as parent, indicating that the early-ripening trait was more likely to be dominant compared to the late-ripening trait. By contrast, average ripening time was clustered in families of crosses not only between mid-season and early-season cultivars, but also between mid-season and mid-season cultivars. There was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 (at 0.68) between mid-parental and progeny mean fruit ripening time. The correlation between fruit ripening time and fruit weight was also highly positive and thus, the mid-parental fruit ripening time could be a potent criterion for indirect selection of fruit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