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3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의 임상 양상

        백창렬 ( Chang Nyol Paik ),이인석 ( In Seok Lee ),오정환 ( Jung Hwan Oh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김상우 ( Sang Woo Kim ),최명규 ( Myung Gyu Choi ),정인식 ( In Sik Chung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1

        서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의 진단과 치료에서 응급내시경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검사 결과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후 지혈 성공률과 예후 인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출혈로 내시경실을 방문하여 응급내시경을 검사하고, 내시경 소견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지혈 성공 여부는 초기 지혈성공률(응급내시경 검사 후 24시간)과 최종 지혈성공률(퇴원일 또는 응급내시경 검사 후 14일)로 판정하였다. 결과: 2003년 8월부터 2005년 4월까지 318명의 환자에서 응급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출혈의 주 원인은 소화성 궤양(50.9%), 정맥류(28.3%), 말로리바이스증후군(10.3%)이었다. 내시경 지혈술은 62.9% (200/318명)에서 시행하였다.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 94.0%이었다. 지혈에 실패한 4명(1.3%)은 수술하였고, 13명(4.1%)은 출혈과 연관되어 사망하였다. 다변량분석에서 초기지혈 성공률과 연관된 인자는 수혈량(OR 0.80, 95% CI 0.72-0.89, p<0.001)과 인공호흡기 장착상태(OR 0.03, 95% CI 0.01-0.31, p<0.001)였고 최종지혈 성공과 관련된 인자는 수혈량(OR 0.79, 95% CI 0.69-0.90, p<0.001)과 중환자실에서 출혈한 경우(OR 0.12, 95% CI 0.13-0.49, p<0.001)이었다. 결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소견에 따른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와 94.0%였다. 총수혈량이 많거나, 중환자실 재원상태 또는 인공호흡기 장착 시 출혈한 경우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Aims: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UGIB) is still responsible for significant morbidity in spite of various therapeutic advanc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uccess rate in managing UGIB and predicting factors that affected clinical courses. Methods: From August 2003 to April 2005, medical data (registered in a standard database categories) of 318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examination to evaluate UGIB were analyzed. Early and final treatment success rates were evaluated on the next day and 14 days after the initial endoscopic procedures respectively (or the day of discharge). Results: Main causes of UGIB were peptic ulcer (50.9%), varices (28.3%), Mallory-Weiss syndrome (10.3%). Endoscopic treatments were tried in 200 patients (63.0%).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and deaths were 4 (1.3%) and 13 (4.1%), respectively.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were 86.2% and 94.0%.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lated with early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80, 95% CI 0.72-0.89, p<0.001) and bleeding during the ventilator care (OR 0.03, 95% CI 0.01-0.31, p<0.001), whereas those factors related with final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79, 95% CI 0.69-0.90, p<0.001), bleeding during the stay in intensive care unit (ICU) (OR 0.12, 95% CI 0.13-0.49, p<0.001). Conclusions: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of bleeding control were 86.2% and 94.0% in acute UGIB. Volume of transfusion, bleeding during ICU state or ventilator state wer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of the treatment fail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26-35)

      • SCOPUSKCI등재

        Helicobacter pylori 양성, 음성 환자에서 각종 상부위장관 질환과 나이에 따른 펩시노겐 1/2 비

        백창렬 ( Chang Nyol Paik ),정인식 ( In Sik Chung ),남관우 ( Kwan Woo Nam ),권정현 ( Jung Hyun Kwon ),장재혁 ( Jae Hyuck Chang ),서정필 ( Jung Pil Suh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이인석 ( In Seok Lee ),김상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2

        목적: 혈청 펩시노겐 (PG) I/II 비는 위점막 위축의 표식 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점막의 위축은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감염과 여러 상부위장관 질환, 연령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들의 관련성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여러 상부위장관 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H. pylori의 감염 여부, 연령 등의 요인과 PG I/II 비와의 관련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529명의 환자(남자 307명, 평균나이 57.2세)를 내시경 소견으로 4개의 질환군(위궤양 94명, 십이지장궤양 35명, 역류식도염 105명, 위축위염 295명)으로 분류하였다. H.pylori 감염은 IgG 항체가로 진단하였으며 PG는 라텍스응집면역비탁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대상 환자에서 H. pylori 양성군이 음성군보다 PG II가 높았으며(24.0±14.7 ng/mL vs. 13.8±16.6 ng/mL, p<0.00) PG I/II 비는 낮았다(3.9±2.0 vs. 6.0±2.5, p<0.00). H. pylori 양성 위축위염에서 PG I/II 비는 개방형보다 폐쇄형에서 낮았다(3.0±1.4 vs. 3.8±1.7, p<0.01). H. pylori 양성군에서 PG I/II 비는 십이지장궤양과 역류식도염 환자보다 위축위염과 위궤양 환자에서 의의있게 낮았다(p<0.00, ANOVA, Turkey`s multiples comparison test). 위축위염의 평균 PG I/II는 H. pylori 양성인 경우 연령에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R2=0.9, p=0.01, linear regression analysis). 결론: 혈청 PG I/II 비는 H. pylori 감염 진단과 위점막 위축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연령 증가에 따른 위축위염의 진행은 H. pylori 감염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Background/Aims: Although previous reports suggested that pepsinogen (PG) I/II ratio was the index of gastric atrophy, PG I/II ratio was also related to other factors such as Helicobacter pylori (H. pylori) infection, various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ag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PG I/II ratio and age or upper gastro-intestinal diseases according to H. pylori infection status. Methods: A total of 529 individuals (307 male; mean age, 57.2 years) were divided into 4 groups (94 gastric ulcers, 35 duodenal ulcers, 105 reflux esophagitis, and 295 atrophic gastritis) according to endoscopic diagnosis. H. pylori infection was determined by H. pylori IgG antibody (ELISA) and PG was measured by latex immunoassay. Results: H. pylori infected patients showed markedly increased serum PG II levels (24.0±14.7 ng/mL vs. 13.8±16.6 ng/mL, p<0.001) and low PG I/II ratio (3.9±2.0 vs. 6.0±2.5, p<0.001) than non-infected subjects. In H. pylori infected patients, mean PG I/II ratios in the gastric ulcer and atrophic gastriti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duodenal ulcer and reflux esophagitis group (p<0.001, ANOVA, Turkey`s multiples comparison test). The mean ratio of open type atrophic gastritis was lower than that of close type atrophic gastritis (3.0±1.4 vs. 3.8±1.7, p<0.005). PG I/II ratio gradually decreased with age in H. pylori-infected patients with atrophic gastritis (R2=0.9, p=0.005, linear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Serum PG I/II ratio reflects H. pylori infection and gastric atrophy. In the presence of H. pylori infection, gastric atrophy progresses with ag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84-91)

      • SCIESCOPUSKCI등재

        한국인의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소장세균과다증식증의 유병률

        백창렬 ( Chang Nyol Paik ),최명규 ( Myung Gyu Choi ),남관우 ( Kwan Woo Nam ),권정현 ( Jung Hyun Kwon ),장재혁 ( Jae Hyuck Chang ),서정필 ( Jung Pil Suh ),이인석 ( In Seok Lee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목적 : 과민성장증후군 환자에서 소장세균과다증식증(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이 중요한 병태생리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호기검사를 이용한 SIBO 유병율과 과민성 장 증후군의 아형, 증상에 따른 유병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건강한 성인 45명 (남자 19명, 평균 나이 40.8세)과 IBS 환자 37명(남자 19명, 평균 나이 42.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참여자는 락툴로오스10 g을 복용한 후 180분 동안 15분마다 호기에서 수소와 메탄 농도를 측정하였다(락툴로오스 호기검사, LBT). 이들 중 33명(대조군 20명, 환자군 13명)은 최소한 7일 간격 이후 포도당 호기 검사(glucose breath test, GBT)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락툴로오스 투여 후 45분과 120분 사이에 측정된 수소 농도는 환자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2) LBT에 의한 SIBO의 유병율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48.7%와 26.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과민성 장 증후군 아형에 따른 SIBO 유병율은 설사형 44.4%, 변비형 66.7%, 혼합형 33.3%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GBT 양성율은 IBS 환자에서 7.1%, 대조군에서 20%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락툴로오스 호기검사를 이용한 SIBO의 유병율은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에서 건강성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한국인에서 SIBO는 과민성 장 증후군의 중요기전이라고 추정되었다. Background/Aims: Small intestinal bacterial overgrowth (SIBO)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important pathophysiologic findings in IBS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SIBO by using a breath test (BT) in Korean patients with IBS. Methods: Forty nine controls and 39 IBS patients underwent a lactulose BT (LBT) every 15 minute for 180 minutes. At least 7 days later, the glucose BT (GBT) was performed every 10 minute for 120 minutes in 33 (patients: n=13, control: n=20) who had undergone the LBT. Results: 1) The H2 detected from 45 to 120 minutes in the L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s with IBS than that for the controls. 2) The prevalence of SIBO with LBT in the IBS pati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s (48.7% vs. 26.5%, respectively p<0.05). 3) The prevalence of SIBO with LBT in the subgroups of the IBS patients was 44.4% for the IBS-D, 66.7% for the IBS-C and 33.3% for the IBS-A (p=ns). 4) The positive rates of GBT in the control and IBS patients were 20% and 7.1%, respectively (p=n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SIBO as diagnosed with using LB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patients with IBS, suggesting that SIBO was an important etiologic factor of IBS.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38-44)

      • KCI등재후보

        성인에서 횡격막 탈장에 동반하여 발생한 급성 췌장염의 증례

        오수윤 ( Suyun Oh ),백창렬 ( Chang-nyol Paik ) 대한췌담도학회 2018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3 No.4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에 따르면 횡격막 탈장에 동반되어 발생한 급성 췌장염의 사례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횡격막 탈장 시 급성 췌장염이 발생하는 기전은 췌장 자체의 탈장, 탈장으로 인해 췌장의 견인이나 위의 급격한 팽창으로 인해 발생하는 췌장의 허혈로 설명된다. 이 증례는 명치 통증과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78세 남자환자에서 영상의학적 검사 및 혈액학적 검사 등을 통하여 췌장의 탈장 없이, 횡격막 탈장에 동반되어 발생한 급성 췌장염을 확인한 증례이다. 환자는 고령임을 감안하여 수술적 치료 없이 보존적 치료만을 시행하였고, 보존적 치료만으로 상태가 호전이 되었으며 34개월 후에도 증상의 재발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횡격막 탈장에 의해서 발생한 급성 췌장염에서 정립된 표준 치료는 없으나, 증례를 살펴보면 대부분 위식도 열공 탈장의 수술적 교정을 시행한 후 췌장염이 호전되었고, 수술의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 보존적 치료만으로 성공적으로 치료된 경우가 소수 보고되었다. 이 증례를 통하여 저자는 위식도 열공 탈장이 있는 환자에서 급성 췌장염을 유발할 만한 일반적인 원인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급성 췌장염이 발생한 경우 횡격막 탈장에 동반한 췌장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함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Acute pancreatitis with diaphragmatic hernia is rare, and furthermore, very few were reported in the case without incarceration. The suggested mechanism of acute pancreatitis with diaphragmatic hernia is that herniation of pancreas itself. The other possible mechanism is pancreatic ischemia due to traction after aggravation of hernia or acute distention of stomach. We report a case of acute pancreatitis due to diaphragmatic hernia with no evidence of herniation of pancreas. A 78-year-old male was administered for epigastric pain and dyspnea. The radiologic and laboratory result demonstrated an acute pancreatitis with diaphragmatic hernia without any evidence of herniation of pancreas. The patient was managed conservatively to reduce the hernia and to treat pancreatitis.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18;23(4):177-181

      • SCOPUSKCI등재

        소화관 유암종의 임상 고찰과 전이 인자 분석

        장재혁 ( Jae Hyuck Chang ),김상우 ( Sang Woo Kim ),정우철 ( Woo Chul Chung ),김영철 ( Young Chul Kim ),정찬권 ( Chan Kwon Jung ),백창렬 ( Chang Nyol Paik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이인석 ( In Seok Lee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1

        목적: 유암종은 발현 빈도는 낮지만 점막하종양을 형성하고 악성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소화관 유암종의 임상 양상을 살펴보고 전이와 관련된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강남성모병원과 성빈센트병원에서 1996년 3월부터 2006년 8월까지 병리적으로 진단한 81명의 소화관 유암종 환자를 후향 조사하였다. 원발장기, 연령, 성별, 증세, 치료방법, 전이 예를 분석하였으며 전이에 미치는 인자를 육안 소견과 현미경 소견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원발장기 분포는 직장 유암종이 58예(71.7%)로 가장 많았고 위 11예(13.6%), 십이지장 7예(8.6%), 충수, 소장, 대장, 담낭 순이었다. 평균 연령은 49세였고 50대가 33.3%로 가장 많았다. 남녀 비는 1.38로 남자가 많았다. 대부분 무증상과 복통 등의 비특이 증상을 호소하였다. 55예 (67.9%)에서 내시경 치료를 받았고 23예(28.4%)에서 수술치료를 받았다. 평균 15.6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10예 (12.3%)에서 전이가 있었고 8예는 진단 당시, 1예는 진단 3개월 후, 나머지 1예는 50개월 후 전이가 발견되었다. 전이와 관련된 인자로는 육안 소견에서 크기가 10 mm 이상(p<0.001), 표면의 중심 함몰 혹은 궤양이었고(p=0.009), 현미경 소견에서 고유근층 이상의 침범, 림프 혹은 정맥 침범, 유사분열 수 3개 이상, Ki-67 표지 지수 3 이상이었다(p<0.05). 유암종 크기와 표면의 중심 함몰 또는 궤양은 전이의 독립 예측인자였다(각각 p=0.002, p=0.035). 결론: 유암종 크기가 10 mm 이상, 표면의 중심 함몰 혹은 궤양, 고유근층 이상 침범, 림프 혹은 정맥 침범, 유사분열 수 3개 이상 등의 전이 인자가 있는 경우보다 적극적인 치료와 주의 깊은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Backround/Aims: Carcinoid tumors are submucosal tumors with metastatic potential. We tried to determine the clinical course of gastrointestinal (GI) carcinoid tumors and find the factors predicting metastasis.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81 cases with GI carcinoid tumors. Involved organ, age, sex, symptoms, treatments, and metastatic patterns were reviewed. We evaluated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parameters to predict the metastatic potential of GI carcinoid tumors. Results: The common sites of GI carcinoids were rectum (71.7%), stomach (13.6%), and duodenum (8.6%).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9 years old with a peak incidence of sixth decade. Male to female ratio was 1.38:1. Most symptoms were usually nonspecific. Fifty five patients (67.9%) received endoscopic treatments while 23 patients (28.4%) received surgical treatment.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ean period of 15.6 months. There were 10 cases (12.3%) of metastasis.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tumor size >10 mm (p<0.001), central depression or ulcer (p=0.009) in macroscopic parameter, and with invasion below submucosa, lymphatic or venous invasion, number of mitosis >2, or Ki-67 labeling index >2 in microscopic parameter (p<0.05). Independent factors predicting metastasis were tumor size and central depression or ulcer in multivariate analysis (p=0.002 and p=0.035, respectively). Conclusions: Patients with tumor size >10 mm, central depression or ulcer, invasion below submucosa, lymphatic or venous invasion, mitosis >2, and Ki-67 labeling index >2 have higher metastatic potential. Those with risk factors predicting metastasis should be treated and followed carefully.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19-25)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경피 스텐트 삽입술로 치료한 단독상장간막동맥박리 1예

        곽재욱 ( Jae Wuk Kwak ),백창렬 ( Chang Nyol Paik ),이강문 ( Kang Moon Lee ),정우철 ( Woo Chul Chung ),정성훈 ( Sung Hoon Jung ),김지은 ( Ji Eun Kim ),백준현 ( Jun Hyun Baik ),양진모 ( Jin Mo Yang ) 대한소화기학회 201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5 No.1

        Isolated spontaneous dissection of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SMA) without aortic dissection is a rare cause of acute mesenteric ischemia. A sudden decrease of intestinal blood flow can lead to fatal complications such as ischemic necrosis, shock, and death.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therapeutic approach before the occurrence of intestinal infarction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patient`s prognosis. A 52-year-old male presented with postprandial periumbilical pain, and isolated spontaneous dissection of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with mural thrombus was detected by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with contrast enhancement. By the percutaneous implantation of vascular metallic stent via femoral artery, he was treated successfully. We report a case of isolated spontaneous dissection of the SMA treated by a percutaneous endovascular stent replacement with a review of literature. (Korean J Gastroenterol 2010;55:58-61)

      • SCIESCOPUSKCI등재

        역류성 식도염과 병발한 식도 이완불능증

        손덕승 ( Der Sheng Sun ),장재혁 ( Jae Hyuck Chang ),남관우 ( Kwan Woo Nam ),권정현 ( Jung Hyun Kwon ),서정필 ( Jung Pil Suh ),박호성 ( Ho Sung Park ),백창렬 ( Chang Nyol Paik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2007 Journal of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JNM Vol.13 No.1

        Achalasia is characterized by esophageal nonperistaltic contraction and incomplete relaxation of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 with swallowing, as can be seen on esophageal manometry. Since the low esophageal sphincter i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is hypotensive or inappropriately relaxed, achalasia has been considered quite distinct from GERD. The food in the low esophagus of a patient with achalasia can ferment and cause inflammation. GERD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retention esophagitis. We recently experienced a 32-year-old 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chest pain. He was previously diagnosed with a variant of angina pectoris, but his symptoms did not improve with calcium channel blocker or nitrate. He was diagnosed with reflux esophagitis on esophagogastroduodenoscopy and 24 hour esophageal pH monitoring, and also with achalasia on the esophageal manometry. After esophageal balloon dilatation for treating the achalasia, his symptoms were much improved. (Kor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07;13:72-75)

      • KCI등재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의 경향 및 특징: 한국의 전국 데이터베이스 연구

        윤승배 ( Seung Bae Yoon ),김정미 ( Jungmee Kim ),백창렬 ( Chang Nyol Paik ),이준규 ( Jun Kyu Lee ),장동기 ( Dong Kee Jang ),윤원재 ( Won Jae Yoon ),김정욱 ( Jung-Wook Kim ),손병관 ( Byoung Kwan Son ),이태희 ( Tae Hee Lee ),장재영 대한췌장담도학회 2021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6 No.3

        배경/목적: 내시경역행담췌관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은 췌장담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효과적인 시술법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40년 이상 ERCP 시술에 대한 범국가적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으나 시술에 대한 경향과 특성에 정보는 미미하다. 본고는 ERCP 건수 및 현황에 대한 전국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방 법 : 2012년부터 2015년 사이에 ERCP와 관련된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ERCP 시술건수와 시술과 관련된 특성, 시술을 시행 받은 환자의 건수 및 인구역동학적 특징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조사에 해당하는 기간에 158,038건의 ERCP 시술이 114,757명의 환자에게 시행되었다. ERCP 전체 수는 매년 증가하였으며, 특히 치료 ERCP의 비율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 시술의 약 2/3 (63.3%)가 종합병원 이상의 규모 큰 기관에서 시행되었다. 2015년에는 시술은 받은 80세 이상의 고령 환자비율이 2011년 14.3%에서 2015년은 17.2%로 증가하였다. 결론: 한국에서 매년 시행되는 ERCP의 시술 건수는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치료 목적 또는 고령 환자의 시술이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여 시술과 관련된 환자의 안전에 더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Background/Aim: Endoscopic retrograde choangiopancreatography (ERCP) has been established as an effective tool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ncreatobiliary diseases. However, after the evolution for more than 4 decades, nationwide data on current trends and characteristic is not well known. Therefor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nationwide database to determine the number and status of ERCP performed in Korea. Methods: We used the nationwide claims database,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between 2012 and 2015. We investigated the frequ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ERCP procedure performed as well as demographics of the patients. Results: A total of 158,038 ERCP procedures were performed in 114,757 patients during study period. The number of total ERCPs increased every year, and especially the rate of therapeutic ERCPs is on the increased trend. About two-thirds of ERCPs (63.3%) were performed in high-scaled hospitals. In 2015, the proportion of elderly patients over 80 years old increased compared to that in 2011, from 14.3% to 17.2%. Conclusions: The annual number of ERCPs performed is increasing in Korea. With increasing ERCP for therapeutic purposes or for older patient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safety for patients. Korean J Pancreas Biliary Tract 2021;26(3):186-194

      • KCI등재

        서울-경기 지역 2차 병원에서의 급성 췌장염 원인

        윤건중 ( Gun Jung Youn ),정우철 ( Woo Chul Chung ),이지민 ( Ji Min Lee ),백창렬 ( Chang-nyol Paik ),오정환 ( Jung Hwan Oh ),정성훈 ( Sung Hoon Jung )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0 No.4

        Background/Aims: In recent years, the incidence of acute pancreatitis (AP) has been increas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tiology is directly linked to more favorable outcomes. Unfortunately, there have been reports suggesting the variation of etiologies of AP across countr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tiology of AP in a general hospital of Seoul-Gyeonggi province in Korea during the past decad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onsecutive patients with AP who were admitted to St. Paul’s Hospital (Seoul, Korea) with an affiliation to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between January 2003 and January 2013. Results: A total of 1,110 patients were enrolled, totaling 1,833 attacks, and the most frequent cause of AP was alcohol consumption. The recurrence rate of AP was 24.5% (272/1,110), and habitual recurrence rate (more than three times) was 12.6% (140/1,110). The rate of severe AP was 4.9% (90/1,833 attacks). The mortality rate of AP was 2.6% (29/1,110 patients). The frequency of an idiopathic cause of AP was 13.3%. The recurrence rate and mortality rate of idiopathic AP were 16.2% and 5.4%, respectively. In 41.7% (10/24) of cases of idiopathic AP, microlithiasis was suspected. Conclusions: Between 2003 and 2013 in Korea, alcohol was the most frequent cause of AP in the general hospital of Seoul-Gyeonggi province of Korea. It appears that alcohol abstinence program may be necessary. Further nationwide studies would be needed to evaluate the etiologies of AP. (Korean J Gastroenterol 2017;70:190-19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