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온 환경에서의 운동 시 서로 다른 수분 보충이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반응 및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 ( Il Young Paik ),윤두상 ( Doo Sang Yun ),서상훈 ( Sang Hoon Suh ),노희태 ( Hee Tae Roh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1 체육과학연구 Vol.2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고온 환경에서의 운동 시 단순 수분 및 스포츠 음료를 통한 수분 보충이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호르몬 변화, 염증성 사이토카인 반응 및 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엘리트 운동선수 10명으로 하였으며, 4가지 실험 처치 조건에서 75%HRR 운동 강도로 60분간 트레드밀 달리기를 실시하였다: 1) 적정 환경에서 운동 처치 조건(TE), 2) 고온 환경에서 운동 처치 조건(HE), 3) 고온환경에서 운동 시 물 섭취 처치 조건(HW), 4) 고온 환경에서 운동 시 스포츠음료 섭취 처치 조건(HS). 기후조건은 인공기후실을 이용하여 적정 환경은 온도 18℃, 상대습도 50%로 설정하였으며, 고온 환경은 온도 32℃, 상대습도 50%로 설정하였다. 수분 보충은 물 또는 스포츠음료를 이용하여 고온 환경에서 운동 처치 조건(HE)의 운동 전, 후 체중 차와 동일한 양을 구강 투여하였다. 채혈은 안정 시, 운동 직후, 회복 60분 시점에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운동 직후 시점에서 epinephrine은 HE 처치가 다른 세 처치(TE, HW, HS)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5), norepinephrine은 HE 처치가 TE 처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IL-6는 운동 직후 시점에서 HE 처치가 TE 처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TNF-α는 TE 처치를 제외한 세 처치(HE, HW, HS)에서 운동 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T-cell은 TE 처치를 제외한 세 처치(HE, HW, HS)에서 운동 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5), HE 처치가 TE 처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NK-cell은 운동 직후 시점에서 HE 처치가 TE 처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Neutrophil은 HE 처치의 경우 운동 직후 시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Lymphocyte는 TE와 HE 처치에서 운동 직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Monocyte는 운동 직후 시점에서 HE 처치가 TE 처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온 환경에서의 운동은 적정 환경에서의 운동 시보다 카테콜아민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고온 환경에서의 운동 시 수분 보충은 탈수와 열적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면역기능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 fluid replacement by water or sport drinks on the hormonal, inflammatory cytokine and immune responses during exercise in high ambient temperature. The subjects of the current research were 10 elite athletes.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treadmill running at 75%HRR for 60 minutes in four different conditions, controlled by the environmental chamber: 1) thermoneutral environment (TE), 2) high ambient temperature environment (HE), 3) high ambient temperature environment and body fluid replacement by water (HW), and 4) high ambient temperature environment and body fluid replacement by sport drink(HS). Ambient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set at 18℃ and 50%, respectively, for the theromoneutral environment, and 32℃ and 50% for the high ambient temperature environment. The amount of fluid replaced during two different fluid replacing conditions (HW and HS) were equivalent to the difference in body weight between pre and post completion of the running in HE. The defined amounts of the fluids were administered orally with separations during the exercise trials. Blood samples were taken at rest,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at 60-minute of recovery. For catecholamine responses, the level of epinephrine immediately after exercis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HE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 conditions (p<.05), while the level of norepinephrin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HE compared to TE (p<.05). For cytokine responses, the level of IL-6 immediately after exercis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HE compared to TE (p<.05) while the levels of TNF-α were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all treatment conditions except TE (p<.05). For immune responses, the levels of T-cell were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all treatment conditions except TE (p<.05), and the level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HE compared to TE (p<.05); the level of NK-cell appeared to be higher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HE compare to TE (p<.05); the level of neutrophil was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in HE (p<.05); the levels of lymphocyte were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in TE and HE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p<.05); and the level of monocyte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HE compared to TE at immediately after exercise (p<.05). On the base of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t is suggested that exercise in high ambient temperature can induce increase responses of catecholamines and cytokines which may negatively influence on immune functions. Body fluid replacements during exercise in high ambient temperature, however, can attenuat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rmal stress on immune functions by preventing dehydration and reducing thermal stress.

      • KCI등재

        운동 전 BCAA, OKG 및 Albumin 가중 투여가 에너지 생성 물질과 대사관련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곽이섭,서상훈,진화은,김영일,우진희,Paik, Il-Young,Kwak, Yi-Sub,Suh, Sang-Hoon,Jin, Hwa-Eun,Kim, Young-Il,Woo, Jin-Hee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6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장시간 운동시 BCAA 투여는 BCAA 산화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피로물질 축적에 의해 운동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나, 체내 글루코스가 소진되어가는 시점에서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기여 되어 운동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OKG나 알부민을 가중투여하면 크렙스 사이클의 중간물질로 또는 유리지방산 동원의 운반자로서 BCAA 단독 투여시 부정적으로 나타난 원인을 해결하여 운동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운동과 BCAA, 그리고 내분비 체계와의 관계는 각 호르몬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도출되는 결론이 다를 수 있어, 앞으로 BCAA 대사와 관련된 효소반응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CAA and additional OKG or albumin supplementation on energy metabolism and hormone changes in prolonged submaximal exerci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y took participated in each experiment. In each experiment (control, BCAA, BCAA+OKG, BCAA+albumin), the subject ran for 90 minutes on the treadmill. Blood was drawn and analyzed as glucose, FFA, ammonia, growth hormone, insulin, cortisol, $T_3$, and $T_4$. The obtained results were analyzed via two-way repeated ANOVA using SPSS program. A value of p<.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was the lowest in the BCAA supplement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s of exercise (p<.05). In concentration of FF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s of exercise and supplemented groups (p<.05). The concentration of blood ammonia was the lowest in the BCAA+albumin supplement group, and was the highest in the BCAA supplement group. Concentration of growth hormone, cortisol, $T_3$ and $T_4$ were increased as exercise progressed and decreased after all exercise. But concentration of insulin was decreased as exercise progressed. In these results, BCAA and additional OKG or albumin supplement with BCAA may make better effect to the increasing energy generation and inhibiting protein degradation during prolonged submaximal exercise.

      • KCI등재

        목질진흙(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투여가 운동 시 혈중 피로요인 변화와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한대석,박태선,곽이섭,서상훈,진화은,김영일,우진희,Paik, Il-Young,Han, Dae-Seok,Park, Tae-Sun,Kwak, Yi-Sub,Suh, Sang-Hoon,Jin, Hwa-Eun,Kim, Young-Il,Woo, Jin-Hee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 Linteus and C. militaris supplement on lactate, phosphorous, ammonia, MDA(malondialdehyde), GPX(glutathione peroxidase) and TAS(total antioxidant status) following $VO_{2max}$, and 85% $VO_{2max}$ exercise. The 15 male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5 P. liteus supplied(PL), 5 C. militaris supplied(CM), and 5 placebos supplied(PB)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supplement before and after.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exercise performance tim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L, CM and PB groups. Regular supplement of P. linteus or C. militaris partially reduces fatigue induction factors. Also, P. linteus or C. militaris supplement decreases MDA, increases GPX and TA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 linteus or C. militaris supplement not only have a pharmacological effect for clinical treatment, but also have a maintenance effects on the tissue oxidant-antioxidant system after exercise. 본 연구는 인체를 대상으로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 투여 후 운동과 회복 중 피로유발 지연과 항산화 방어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남자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목질 진흙버섯 투여군(PL), 동충하초 투여군(CM), 그리고 위약 투여군(PB) 등 세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해당음료 100ml/day을 구강으로 투여하였고, 투여 전과 후 운동수행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운동수행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운동수행에 따른 PL군과 CM군의 피로물질 축적이 부분적으로 감소됨을 보였으며, 지질과산화 생성량은 감소되었고, 항산화효소 활성은 향상됨을 나타냈다. 따라서,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는 임상치료 목적의 약리작용 뿐만 아니라, 운동 시 에너지 동원과 피로물질 제거, 그리고 조직의 항산화 방어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고교 축구선수의 경기 후 회복방법의 차이가 혈중 염증, 근 손상 및 피로 지표에 미치는 영향

        백승훈(Seung Hoon Paik),백일영(Il Young Paik),서상훈(Sang Hoon Suh),조수연(Su Youn Cho),노희태(Hee Tae Roh)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6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recovery treatments on serum inflammation, muscle damage and fatigue variables after a game of soccer players in high school. The subjects of current study were 10 soccer players in high school without any medical complications. All subjects received both recovery treatments (contrast bath and massage) for once and a control application; therefore, all underwent 3 experimental conditions. Blood sampling taken at rest, at immediately after the match, and at 60 minutes recovery. From the three blood samples, the parameters of inflammation and fatigue were analyzed. Additional blood sampling was taken at 24 hours recovery for the analysis of the long term effect of the applications on the parameters of muscle damage. The concentration of interleukin-6(IL-6), creatine kinase(CK), lactate dehydrogenase (LDH), and lactate were shown to significantly increase at immediately after the match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p<.05). For inflammation responses the concentration of IL-6 60min recovery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contrast bath and massage treatments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p<.05). Also, for muscle damages the concentration of CK 24h recovery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massage treatment compared to contrast bath and control treatments(p<.05). On the base of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t is suggested that soccer match can induce increased concentrations of IL-6, CK, LDH and lactate which may influence on inflammation, muscle damage and fatigue. However, contrast bath and massage were beneficial for recovery from muscle damage.

      • KCI등재
      • KCI등재

        The Effect of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Energy Substrate Levels and Fatigue Induction Factors

        Il-Young Paik(백일영),Woe-Ryong Chang(장외룡),Yi-Sub Kwak(곽이섭),Su-Youn Cho(조수연),Hwa-Eun Jin(진화은)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매실투여로 인해 젖산, 암모니아, 무기인산과 같은 피로물질의 축적은 감소되고, 혈중 글루코스 수치는 감소한 반면 유리지방산 농도는 증가했다. 피로는 일반적으로 피로물질의 축적과 에너지기질의 고갈로 인해 발생한다. 매실에 포함되어 있는 citric acid는 피로회복의 역할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매실 섭취가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산성화되어 가는 인체를 약알칼리로 유지하게 하여 pH 감소를 억제함으로 혈중 피로물질들의 낮은 농도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글리코겐 결핍이 citric acid cycle 중간물들의 고갈을 통한 피로 발전과 연관되어질 수 있는데, 매실에 함유된 citric acid가 글리코겐 고갈을 지연시키고 반면에 유리지방산을 많이 사용하게 함으로 피로물질의 적은 축적을 가져온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매실이 운동 시 발생하는 에너지 기질 이용과 혈중 피로물질들의 축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매실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매실만을 투여하였으며, 매실 섭취가 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으므로 운동 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매실투여량과 다른 매실투여 관련 연구들 및 시중에서 판매되는 매실음료의 함량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매실의 최적의 효과를 위한 투여량이 결정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매실이 에르고제닉 에이드로써 활용되기 위해서 다양한 운동 및 훈련 조건에서의 과학적 자료가 확립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unus mume supplementation on changes of energy substrate (glucose, FFA) and fatigue factors (lactate, ammonia, phosphorous) in the performance of exerci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male university students. The exercise test was performed for 30 minutes at 75% VO₂max on the treadmill and conducted both before and after administering Prunus mume for 6 weeks. Through Prunus mume supplemntation, the accumulation of such fatigue factors as lactate, ammonia, and phosphorous along with concentration of glucuse decreased, but the concentration of FFA increased. From the study, it can be seen that Prunus mume plays a positive role for the use of energy substrates and accumulated fatigue factors.

      • KCI등재

        12주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제 2형 당뇨환자의 ST 분절과 QTc 연장에 미치는 영향

        김영일(Young-Il Kim),백일영(Il-Young Paik),진화은(Hwa-Eun Jin),서아람(Ah-Ram Suh),곽이섭(Yi-Sub Kwak),우진희(Jinhee Woo)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

        12주 유산소 트레이닝 결과, 제 2형 당뇨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및 심혈관계 기능은 향상되었고, 심근허혈을 판단하는 ST- level과 ST-slope가 트레이닝 후 감소함을 나타냈다. 또한, 당뇨에서 자주 나타나는 대표적인 자율신경계 이상 마커인QTc interval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12주 유산소 트레이닝은 심혈관계 기능과 당뇨로 인한 심장허혈, 자율신경계 기능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12 week regular aerobic exercise on ST-segment and QTc interval in middle age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patients. The subjects consist of 13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patients in middle age men and all of them had no other complications. Subjects participated in aerobic exercise training for 12 weeks. They started to exercise for 20~60 min at 60~80% of HRmax (exercise intensity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per day, 3~5 times a week. The resul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Weight and BMI, % body fat, fasting glucose, HOMA-IR, peakDB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peakHR, peakVO₂, exercisre tim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 aerobic exercise. Also, QTc interval and ST-segm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at rest, peak exercise after 12 week aerobic exercise. Conclusionally, 12 week aerobic exercise may be improvement in de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factors (ST-segment) and abnormal autonomic dysfunction (QTc interval) and potentially increased exercise capacity.

      • KCI등재

        건강한 젊은 성인에서 8주 규칙적인 저항성 트레이닝이 산화질소(NO) 농도와 평균동맥압(MAP)에 미치는 영향

        김영일(Young-Il Kim),백일영(Il-Young Paik),곽이섭(Yi-Sub Kwak),김근수(Keun-Soo Kim),우진희(Jin-Hee Woo)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5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서로 다른 두 집단(RTG, ATG)의 비교시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RTG)보다 유산소 트레이닝 집단(ATG)에서 산화질소(NO)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지속적인 유산소 형태의 트레이닝이 간헐적인 저항성 형태의 트레이닝 보다 더 많은 산화질소(NO)가 생성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박수(HR)와 혈압(BP), 평균동맵압(MAP)의 감소에도 저항성 트레이닝(RT)보다는 유산소 트레이닝(AT)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산소 트레이닝(AT)에 비해 저항성 트레이닝(RT)에서 유의하진 않았지만 산화질소(NO) 농도가 증가된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단기간일 지라도 혈관이완 및 자율신경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은 유산소 트레이닝(AT) 임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일반적으로 운동을 선택할 시(근력과 근비대를 제외한 운동)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는 12주 이상의 장기간의 트레이닝을 통해 저항성 트레이닝(RT)이 혈관이완의 직접적인 척도인 산화질소(NO) 농도에 관한 연구가 필요시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nitric oxide (NO) levels, mean arterial pressure (MAP), blood pressure (BP), and heart rate (HR) in college students. 5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 an aerobic training group (ATG) and a resistance training group (RTG). In aerobic training, based on measured maximum oxygen consumption rate, 70% exercise intensity was applied and conducted for 60 min. In resistance training, 70% of 1-RM was performed for 90 min. Blood sampling was conducted 3 times during resting state, post-exercise, and after 30 minutes of recovery.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or the post training values of VO2max, % body fat and MA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TG compared to pre training (p<0.0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TG between pre and post training. NO increased post training , during rest and at the end of exercise compared to pre training in the ATG (p<0.05). Also, the HR decreased in post training at the end of exercise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BP and DBP between pre and post training in the ATG. The HR, SBP and DBP did not change at all in post training compared to pre training in the RTG. In conclusion, an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concentration and VO2max, decrease of body fat% and physiological variables (HR, BP, MAP) were shown to be more effective in aerobic training (AT) than resistance training (RT).

      • KCI등재

        골프 숙련도에 따른 아이언 샷 연습량이 혈중 근손상 지표와 피로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서아람,백일영,서상훈,진화은,김영일,조수영,곽이섭,우진희,Suh, Ah-Ram,Paik, Il-Young,Suh, Sang-Hoon,Jin, Hwa-Eun,Kim, Young-Il,Cho, Soo-Young,Kwak, Yi-Sub,Woo, Jin-Hee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숙련도에 따른 아이언 샷 연습량이 혈중 근 손상 지표물질과 피로물질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었으며, 남자골프선수 24명을 대상으로 초급(8명), 중급(8명), 고급(8명)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연습량(100,200, 300타)으로 연습하는 동안 채혈시기별로 혈중근손상 지표물질인 CK(creatine kinase), LDH(lactate dehydrogenaset-혈중 피로물질인 무기인산, 젖산, 암모니아, 그리고 IGF- I (insulin like growth factor-I)과 크레아티닌의 수준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운동하는 동안 피로물질과 근손상 지표, 크레아티닌은 숙련도가 높을수록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연습량이 증가됨에 따라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회복시 피로물질과 크레아티닌은 운동종료 후 빠르게 회복되었으나, 근손상 지표, 특히 CK는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회복되지 못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골프연습도 격렬한 운동과 마찬가지로 근손상과 상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숙련도와 연습량에 따라 차별화된 훈련과 회복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ron shot practice volume based on golf skill level on the indices of muscle damage and fatigue in blood. Twenty four golf players were studied under conditions of different golf skill level (beginners, intermediate, expert) and practice volume (100, 200, 300balls). In this study blood CK and LDH were determined to show the level of muscle damage, and blood phosphorus, lactate, and ammonia were measured to see the level of fatigue. Blood creatinine, and IGF- I generally used to see the rate of protein synthesis were also measured. In summary,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to mean that 1) blood fatigue factors, muscle damages, and creatinine levels increased due to a rise in the practice volume of iron shot, 2) those levels decreased due to rise in the golf skill level, 3) blood fators and creatinine recovered quickly after exercise, however muscle damages did not recover even after 24hr, Therefore, both golf skill lev-el and practice volume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muscle damage and fatigue during practice iron shot.

      • KCI등재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지구성 운동수행력과 에너지 기질 및 혈중피로요소에 미치는 영향

        강서영(Seo-Young Kang),백일영(Il-Young Paik),곽이섭(Yi-Sub Kwak),조수연(Su-Youn Cho),김희은(Hee-Eun Kim),진화은(Hwa-Eun Jin)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1

        본 연구는 지구성 운동 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운동 수행력과 에너지기질인 글루코스(Glucose), 유리지방산(FFA)동원과 중추 피로물질인 암모니아(Ammonia), 5-HT, 말초피로요소인 젖산(Lactate), 무기인산(Phosphorus), pH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가 운동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지구성 운동수행시간은 투여 전과 비교하여 투여 후에 10.7%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혈중 피로물질 농도(Ammonia, Lactate, Phosphorus, pH, 5-HT) 의 변화는 실험의 모든 시기에서 투여 전, 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혈중 에너지기질 농도(Glucose, FFA) 의 농도 변화는 실험의 모든 시기에서 투여 전, 후 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는 운동수행력을 10.7% 향상시켰으며, 향상된 운동수행력에도 불구하고 혈중피로물질의 추가적인 축적은 없었다. 따라서, 복합 기능성보조제 투여는 지구성 운동수행 시 피로물질 축적의 지연을 초래함으로써 운동수행력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단일 물질 투여에 의한 선행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할 때, 복합 투여가 단일투여보다 운동수행력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운동수행력 증진 측면에서 단일투여와 복합 투여 효과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후 다양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복합투여물질의 구성 물질 및 비율, 다양한 운동의 형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lex ergogenic aid supplementation on endurance performance, energy substrate utilization (glucose, FFA) and blood fatigue factors (ammonia, lactate, phosphorous, pH, 5-HT) in endurance exercise. Subjects (male=10) took in complex ergogenic aid (180 ㎖/day) for 4 weeks and were tested after pre-test. Endurance performance times increased after supplementation compared to before supplementation. However, there was no additional accumulation of the fatigue materials. Thus the complex ergogenic aid supplementation caused the delay of the fatigue material accumulation during endurance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