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ikert형 태도 척도의 문항진술방식에 따른 척도 및 문항 특성 비교

        백순근(Sun-Geun BAEK),김미림(Mee-Reem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Likert형 태도 척도의 문항진술방식이 척도 및 문항의 측정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 척도’의 긍정형 척도와 부정형 척도를 개발한 후, 이를 활용하여 문항진술방식에 따라 척도 및 문항의 측정학적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 595명이었으며, 이 중 긍정형 척도에 응답한 피험자는 255명, 부정형 척도에 응답한 피험자는 340명이었다. 분석 결과, 척도 수준에서는 요인 구조와 능력 모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문항 수준에서는 문항 변별도, 문항 모수(문항의 평균 곤란도), 성별에 따른 차별기능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Likert형 척도를 활용하여 태도를 측정할 때에는 문항진술방식에 따라 결과 분석 및 해석에 유의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tem wording (positive and negative item wording) on scale and item characteristics of Likert-type attitude scale. For this study, two ‘Attitude Toward Science Scale (specifically ‘positive scale’ and ‘negative scale’)’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95 second grade students at 21 classrooms within 2 middle schools who were divided into the 255 students in positively worded scale group and 340 students in negative scale group. In scale level, the result of analyzing content factors and person parameters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positive scale and negative scale. In item level, the result of analyzing item characteristics (item discrimination, mean of step difficulty, and gender-rela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lso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positive scale and negative scale.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positive and negative scales of ‘Attitude Toward Science Scal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ale and item characteristics because of item wording.

      • KCI등재후보

        정신전력 개념 발전 및 측정도구 개발

        백순근(Baek, Sun-Geun),엄문영(Eom, Moonyoung),정상근(Jung, Sang-keun),신안나(Shin, Anna),장지현(Jang, Jihyeon),김학중(Kim, Hackjung),김연경(Kim, Yun-Kyung),양혜원(Yang, Hye-Won)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0

        이 연구는 한반도를 둘러싼 국내외 안보 상황과 한국군에 대한 국민의 변화된 인식에 부합하는 정신전력 개념을 발전시키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각 군의 정신전력 교육의 목표 및 내용, 핵심가치들 등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관련 선행연구와 법령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초점집단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등을 통해 이해당사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공감대가 높은 정신전력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그에 따른 구인지도(構因地圖, Construct-Map)를 작성하였다. 구인지도는 정신전력을 구성하는 하위구인과 하위요소를 추출·선정한 것으로, 정신전력은 ‘투철한 국가관’, ‘확고한 안보관’, ‘강인한 군인정신’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중 ‘강인한 군인정신’은 ‘엄정한 군기’, ‘왕성한 사기’, ‘굳은 단결’로 구성되었다. 또한,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총 150개)을 개발하여 초점집단 인터뷰(FGI)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각 군장병들(총 4,351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Pilot Test)를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등 양호도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측정도구는 ‘투철한 국가관’(10개 문항), ‘확고한 안보관’(10개 문항), ‘강인한 군인정신’(45개 문항)의 총 65개 문항으로, 하위구인 및 정신전력 측정도구 모두 타당도와 신뢰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된 정신전력교육 및 평가를 위해 발전된 정신전력의 개념과 측정도구를 정신전력 진단 및 교육에 반영하고 환류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concept and measurement scale of the mental strength of military soldiers, reflecting dynamic situations around the globe and the new expectations for military soldiers. To this end, we first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analyzed relevant legislation, literature, and assessment tools that had hitherto been used for education and survey of military soldiers’ mental strength. Then,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upon content experts and stakeholders of the military. Aggregating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 defined the concept of ‘mental strength of military soldiers’ and established a construct map of ‘mental strength of military soldiers’ to be constituted of three main domains of ‘perspective to the nation’, ‘perspective to security’, and ’soldier spirit.’ In order to examine if the construct map is supported by empirical evidence, a preliminary measurement scale of 150 items was developed and a pilot test was executed upon 4,351 soldiers sampled from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corps. Consequently, a finalized measurement scale of 65 items (constituted of 10 short-answer questions and 55 Likert-type questions) was verified of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correlation analysis. Moreove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scale also proved that the construct map was solidly supported by actual data.

      • KCI등재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에 대한 평가 연구

        백순근(Sun-Geun Baek),유예림(Ye-Lim Yu)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의 관점을 반영하여 2009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계층분석적 의사결정방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공급자, 수요자, 전문가, 교육당국별로 정책의 ‘기존안’(2008학년도까지 시행)과 ‘변경안’(2009학년도부터 시행)에 대한 상대적 선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선호도 평가 영역은 ① ‘시험 내용’, ② ‘시험 방법’, ③ ‘정책 수립 및 시행 절차’, ④ ‘정책 효과’의 네 가지로 구성되었으며, 총 228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공급자는 중등교원양성기관의 교수 40명, 수요자는 예비 중등교사 119명, 전문가는 교원정책 및 평가 전문가 39명, 교육당국은 교육과학기술부, 시?도교육청,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실무 담당자 30명이다. 연구 결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은 전반적으로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변경안(67.5%)을 기존안(32.5%)보다 선호하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14.35, p<0.01). 다만 ‘정책 수립 및 시행 절차’ 영역에 대해서는 ‘공급자’와 ‘수요자’의 경우 기존안과 변경안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중등교사 임용시험 정책의 수립 및 시행 절차를 더욱 투명하게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 policy of the 2009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with different stakeholder’s perspective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4 different kinds of stakeholders (① ‘provider’, ② ‘user’, ③ ‘professional’, and ④ ‘authority’) evaluated the relative preference between ‘the present policy’ and ‘the new policy’ for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This preference evaluation includes four evaluation criteria: ① examination contents, ② examination methods, ③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dure, and ④ policy effective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8 stakeholders. Results indicated that those stakeholders generally preferred ‘the new policy’ (67.5%) to ‘the present policy’ (32.5%), and the difference of these preferences between two polici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4.35, p<0.01). However, in the case of ‘provider’ and ‘us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dure’ between the present policy and the new policy. It suggests that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dure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should be open and clear in the future.

      • KCI등재

        준거지향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Rasch 방법의 숙달 학습자 판정 일치도 - 원점수 및 Angoff 방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백순근(Baek Sun-Geun),최인희(Choi In-H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Rasch 모형에 근거하여 평가 기준을 설정하는 ‘Rasch 방법’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준거지향평가에서 기준 설정 방법으로 널리 활용되는 ‘원점수 방법’ 및 ‘Angoff 방법’과 비교하여 Rasch 방법의 숙달 학습자 판정 일치도를 검토하였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의 12개 학급, 430명의 학생들에게 검사를 실시하였고, 과학교과의 내용 전문가 7명이 평가 기준 설정자로 참여하였다. 검사 도구로 중학교 2학년 과학과의 한 단원에서 곤란도 수준이 다른 두 개의 성취도 검사를 개발하였으며, 각 검사는 25개의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성취수준 80%를 ‘숙달’과 ‘미숙달’ 집단으로 분류하는 기준으로 설정하고, 두 개의 검사에서 같은 집단으로 분류된 피험자의 비율을 숙달 학습자 판정일치도로 정의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Rasch 방법의 판정 일치도는 71.3%, 원점수 방법은 54.7%, Angoff 방법은 75.4%로, Rasch 방법은 원점수 방법보다 α= 0.01 수준에서 판정 일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Angoff 방법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astery learner judgment consistency rate of Rasch model-based standard setting method (Rasch method) for classroom achievement tests at middle schools in Korea. In this study, ‘Rasch method’ was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both ‘raw-score method’ and ‘Angoff method.’<BR>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th-grade 430 students at 12 classrooms in 4 middle schools. For this research, two achievement tests for science classes were developed with different difficulty levels. Each test consisted of 25 multiple-choice items and its total scores ranged between 0 and 100 respectively. The mastery level was set up as 80%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and 7 teachers were involved as judges.<BR>  In results, the mastery learner judgment consistency rate of Rasch method between two achievement tests was 71.3%, raw-score method’s rate was 54.7%, and Angoff method’s rate was 75.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asch method and raw-score method ( χ²=4.916, p<0.01),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Rasch method and Angoff method. However, Rasch method has an additional advantage which can show the difficulty of items and the distribution of persons visually on an ‘item-person map.’ Therefore Rasch method may supplement or replace both raw-score method and Angoff method.

      • KCI등재

        부분점수모형에 근거한 적합도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 - 교사의 전문적 판단과의 상관분석을 중심으로 -

        백순근(Baek Sun-Geun),김혜숙(Kim Hye-Sook)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교육평가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부분점수모형에 근거한 적합도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특정 학력검사의 각 문항과 개별 학생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판단과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6학년 9개 학급의 담임교사와 학생 321명이었다. 검사도구는 6학년 1학기 수학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20개의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된 학력검사로 각 문항은 풀이 과정 및 결과에 따라 부분점수가 부여되었으며 만점은 50점이었다. 아울러 각 문항과 개별 학생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판단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가 사용되었으며, 각 반응은 1~4점으로 채점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부분점수모형의 문항 적합도와 각 문항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판단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피험자 적합도와 개별 학생에 대한 교사의 전문적 판단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요컨대, 이 연구가 제한된 범위에서 시행된 것이어서 일반화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전문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즉 담당 학생 수가 지나치게 많거나, 문항에 대한 충분한 검토 시간이 부족할 때에는 부분점수모형의 적합도를 활용하여 교사의 판단을 대치 혹은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fit-statistics of the Partial Credit Model(PCM). For this research, an achievement test for the 6th grade mathematics was developed. It consists of 20 polytomous response items and its total scores ranged from 0 to 50.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21 sixth grade students at 9 classrooms within 3 elementary schools. 9 classroom teachers also made their judgments for each item of the test and for each student in their own classroom.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ndertaken for verifying their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room teachers' judgments and fit-statistics for items and for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teachers' judgments and item fit-statistics for each item. In other words, classroom teachers' judgments for each item of the test are similar to the item-fit statistics of the PCM.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teachers' judgments and person fit-statistics for each student. In other words, classroom teachers' judgments for each student in their own classroom are similar to the person-fit statistics of the PCM. Therefore fit-statistics of the PCM might supplement or replace classroom teachers' judgments, specially in cases that classroom teachers can't make their own judgments because there are too many students in their own classroom or there is a shortage of time to investigate test items.

      • KCI등재

        비디오 포트폴리오 평가와 피드백 방식이 현직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

        백순근(Sun-Geun BAEK),윤승혜(Seung-hye YO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비디오 포트폴리오 평가와 피드백 방식이 실천적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중ㆍ고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37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 비디오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직 교사의 실제 수업을 녹화한 비디오 포트폴리오를 관련 교과별 전문가 2명에게 의뢰하여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3가지 피드백 방식 즉 ① 자기평가, ② 전문가 서면평가, ③ 전문가 평가협의회 방식으로 해당 교사에게 제공되었다. 아울러 1, 2차 평가를 모두 마친 후 참여교사 중 12명과 평가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연구결과 해석에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피드백 방식에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서 사후검사 점수(2차 총점)가 사전검사 점수(1차 총점)보다 높게 나타났다(종속표집 t=-7.36, p<0.01). 또한 비디오 포트폴리오 평가를 활용한 피드백 방식 중에서는 ‘전문가 평가협의회’ 방식이 현직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었다(F=13.91, p<0.001). 이러한 결과는 비디오 포트폴리오 평가가 현직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문가 평가협의회를 통하여 피드백 할 때 효과가 더 크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s an attempt to experimentally confirm the effects that both a video portfolio assessment and its feedback method may have on second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To answer these questions, two sets of video portfolio assessments were conducted on 37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The video recorded each teacher’s lessons were assessed by 2 evaluative experts. After the first set of video portfolio assessments, three groups were assigned to provide a different type of feedbacks for the assessment results. The three feedback methods included ① a self-assessment, ② a written report card by two experts, ③ a discussion as an expert committee. After a second set of videos were record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score for the second assessment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first set of results (t=-7.36, p<0.01). And after examining each feedback method and its effects on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a discussion with an expert committee was proven to be the most effective (F=13.91, p<0.01). Therefore, when conducting video portfolio assessments to improve teacher’s practical teaching competency, a discussion as an expert committee should be actively utilized to maximize its positive impact.

      • KCI등재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대학생용 학업적 회복탄력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백순근(Baek, Sun-Geun),김지우(Kim, Jiwoo),박혜민(Park, Hyemi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1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0 No.3

        이 연구는 일반적인 대학생들의 학업 상황을 고려하여 시나리오 기법을 활용한 대학생용 학업적 회복탄력성 측정도구를 새롭게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학업적 회복탄력성의 5가지 하위영역을 ‘자아효능감’, ‘상황판단력’, ‘자원 활용’, ‘활력성’, ‘미래지향성’으로 설정하고, 각 하위영역을 다시 3가지 하위요소들로 구성하였다. 대학생용 학업적 회복탄력성 측정도구의 초안은 각 하위영역에 대한 3개 시나리오와 각 시나리오 별 6개 문항, 총 90개 문항으로 개발하였으며,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1차 수정·보완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서면평가를 통해 내용타당도 등을 검토하여 2차 수정·보완하였다. 2차로 수정·보완한 측정도구를 활용해 서울 소재 S 대학 재학생 13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했고, 탐색적 요인분석의 요인부하량과 내용타당도 점검 결과 등을 고려해 최종 측정도구(총 15개 시나리오, 45개 문항)를 완성하였다. 완성된 대학생용 학업적 회복탄력성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와 신뢰도 등을 점검한 결과,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scale for measuring academic resilience for undergraduate students considering their learning situation using the scenario method. To this end,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onstructed sub-domains of academic resilience as ‘self-efficacy’, ‘situational judgment’, ‘resource utilization’, ‘vitalization’, and ‘future orientation’ and also constructed three sub-elements for each sub-domain. The preliminary version of the scale was developed with 3 scenarios for each sub-domain and 6 items for each scenario(the total of 90 items), which were revised and improved based on both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7 undergraduate students and a review of content validity by 9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Subsequently, a pilot test using a preliminary version of the scale was conducted on 133 students in S University in Seoul. Using the data, this study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Consequently, the finalized ‘Academic Resilience Scale for Undergraduate Students’(the total of 15 scenarios, 45 items) was good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백순근(Sun-Geun Baek),함은혜(Eun Hye Ha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4

          이 연구는 중등교사 양성기관인 사범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4주간의 교육실습의 ‘교육적 가치’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분석 및 전문가 면담 등을 통해 교육실습의 ‘교육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준거로 3가지, 즉 ① 실천적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e), ② 교직 준비도, ③ 인격적 성숙도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평가 준거를 측정하기 위해 ① 실천적 교수역량 척도, ② 교직 준비도 검사, ③ 인격적 성숙도 검사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S대학교 사범대학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의 ‘실천적 교수역량’, ‘교직 준비도’, ‘인격적 성숙도’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여, 교육실습이 교육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육실습 전과 비교하여 교육실습 후에 예비교사들의 실천적 교수역량(t=3.21, p<0.01), 교직 준비도(t=6.02, p<0.01), 인격적 성숙도(t=5.24,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요컨대, 이 연구는 매우 제한된 범위 내에서 시행된 것이기는 하지만,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롭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ducational value of teaching practicum in secondary schoo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 pre-service teachers in College of Education at ‘S’ university. First of all, each pre-service teacher"s the first and the last classes were videotaped during the four-week teaching practicum and his/her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was evaluated with those videotapes by two teaching expertises. Secondly, ‘readiness for teacher’ was measured twice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with ‘the readiness test for teacher’. Thirdly, ‘maturity in character’ was also measured twice before and after teaching practicum with ‘the maturity test in character’. Finally, paired t-test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tes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teaching practicum improved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t=3.21, p<0.01). ② It improved pre-service teachers" readiness for teacher (t=6.02, p<0.01). ③ It improved pre-service teachers" maturity in character (t=5.24, p<0.01).

      • KCI등재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백순근(Sun Geun Baek),윤승혜(Seunghye Yoon),신안나(Anna Shin),손주영(Jooyoung Son),김연경(Yun Kyu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여섯 가지 핵심역량(자기관리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 창의적 사고역량, 심미적 감성역량, 의사소통역량, 공동체역량)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수-학습상황 등을 고려하여 교육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것을 타당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여섯 가지 핵심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예비검사를 위한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로서 각 역량별로 세 개의 하위 영역을 제시하고 각 하위 영역별로 여섯 개의 하위 요소 및 관련 예비문항들을 개발하였다. 초안 형태로 개발된 측정도구는 총 12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내용 타당도 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하였으며, 이렇게 수정·보완된 예비검사용 측정도구(총 108개 문항)를 활용하여 ◯◯도 소재 A고등학교 2학년 362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미응답 및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총 32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여섯 가지 핵심역량의 각 영역별 개별 문항의 요인부하량과 앞서 실시된 내용타당도 점검 결과 등을 고려하여 최종적인 측정도구(총 90개 문항)를 완성하였다. 완 성된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는 각 역량별로 세 개의 하위 영역과 각 하위 영역별 다섯 개의 하위 요소 및 관련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와 문항 내적일치도 계수 등을 점검한 결과 타당도와 신뢰도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measuring six core competencies (Self-management,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reative Thinking, Aesthetic-emotio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competency) applicable for high school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s provided by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each core competency was subdivided into three domains as they were then specified into six sub-domains with corresponding question items. Prior to a pilot test, conferences consisting of 12 experts review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Subsequently, the developed measurement scale for a pilot test (total of 108 items) was given to 362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 province, and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screened to rule out unanswered and insincere ones. With the data of remaining 327 respondents, the factor loading and the content validity had been examined to finalize the measurement scale (total of 90 items). Evidenc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the measurement scale for high school students six core competencies each of which comprised of three domains and five sub-domains was proven to be well-constr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